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향 챔버형 마이크로폰 검교정기의 검교정 주파수 한계와 모드 특성을 이용한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김차영,신금재,문원규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1

        This paper identifies the cause of the high frequency calibration limit of the acoustic chamber type calibrator for microphone calibration and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it. By using a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software, we analyzed the calibration frequency limit of the acoustic chamber type calibrator through eigen-frequency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Based on this, we designed and fabricated an acoustic chamber type calibrator that can precisely calibrate within 1 dB from about 2 Hz to 6.4 kHz and verified its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The acoustic chamber type calibrator fabricated through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librate multiple microphones simultaneously in a wide frequency range, so it can be usefully used for simple calibration for multiple microphones. 본 논문은 마이크로폰 검교정을 위한 음향 챔버형 검교정기의 고주파 검교정 한계가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고이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유 주파수 해석과 주파수 영역 해석을통해 음향 챔버형 검교정기의 검교정 주파수 한계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약 2 Hz 부터 6.4 kHz 까지 1 dB 수준이내로 정교하게 검교정할 수 있는 음향 챔버형 검교정기를 설계 및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제안된 음향 챔버형 검교정기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동시에 검교정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위한 간편한 검교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조홍연,김백운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5 No.1

        가덕도 인근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해저 퇴적물과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표사포획장치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질을 이용하여 탁도계 검교정을 수행하였다. 포획된 부유물질은 모래 함량이 약 6%인 해저 퇴적물에 비하여 주로 실트 및 점토로 조성되었으며, 해저면으로부터의 놀이가 증가함에 따라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최소값으로 나타났으며, 수심별로 포획된 부유물질에 의한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포획 고도가 증가함(즉, 입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결과로부터 부유물질 농도를 환산할 경우 과대추정의 오차가 발생되며, 본 연구해역의 경우에는 그 오차가 최대 25%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해저 퇴적물보다는 수층에서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보정된 검교정식을 적용하는 것이 부유물질 농도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Turbidity meter calibrations were conducted using bottom sediment and suspended material collected with a vertical array of sediment traps at the coastal water off Gaduk Island. Compared to the bottom sediment comprising sand fraction of approximately 6%, trapped suspended material was composed entirely of silt and clay fractions and showed a tendency to get finer as elevation from the sea-bed increases. Slope parameter of linear regression due to bottom sediment was of minimum value and values of those due to suspended material increased gradually as the height of sediment trap increases (i.e., sediment size decreases). This result shows that turbidity meter calibration using bottom sediment can cause an overestimation error in the calcul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at the error can reach up to 25% in case of this stud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a corrected calibration curve based on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material instead of bottom sediment may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 KCI등재

        강릉원주대학교 복사-위성연구소에서 실외 비교관측을 통한 전천일사계 교정

        지준범,조일성,김부요,이규태,유명선,이용주,장정필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2

        Although the technology for the observation of solar radiation is rapidly developing worldwide, in Korea the guidelines for comparing observations of solar radiation are only now under preparation. In this study, a procedure for intercomparison observations of solar radiation was established which accounts for meteor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he intercomparisons among observations by national reference pyranometers were carried out at the Asia Regional Radiation Center, Japan, in 2017. Recently, the result of the calibration of the reference pyranometer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as been reported. Using the KMA pyranometer as a reference, comparisons between observations and calibrations were carried out for the standard (B to J) pyranometers of the KMA, and for the reference (A) and the standard pyranometers of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The intercomparisons were carried out between October 24 and October 25, 2018. The sensitivity constant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performed on October 24. On October 25, a post-comparison observation was also performed, and the data of the participating pyranometers were verified. The sensitivity constants were calculated using only data corresponding to a solar radiation of 450Wm−2 or higher. The B and I pyranometers exhibited a small error (±5Wm−2), and the applied sensitivity constants were in the range 0.08-0.16 µV (Wm−2)−1. For the C pyranometer, the adjustment of the sensitivity constant was the largest, i.e., −0.16 µV ( W m−2)−1. As a result, the nine candidate pyranometers could be calibrated with an average error of 0.06Wm−2 (0.08%) with respect to the KMA reference, which falls within the allowed tolerance of ±1.00% (or ±4.50Wm−2). Keywords: Pyranometer, Calibration, Intercomparison, Sensitivity Constant, World Radiation Center 전세계적으로 일사계 비교관측 기술은 급격히 발전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일사 비교관측 표준지침을 준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 및 지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전천일사계의 비교관측 절차를 정립하였다. 2017년 아시아 지역 복사센터에서는 국가표준 일사계들의 비교관측을 통해 일사계 보정이 이루어졌다. 이때 검교정된 기상청 기준기를 이용하여 기상청의 부기준기들과 강릉원주대의 전천일사계의 비교관측 및 검교정이 수행되었다. 비교관측 및 검교정은 2018년 10월 24일부터 10월 25일(2일)까지 수행되었으며 비교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오차분석 및 검교정을 수행하였다. 보정전 비교관측에 따르면, 전천일사계 부기준기들(B-J)은 기상청 전천일사계 기준기(A)를 기준으로 ±12.0Wm−2 이하의 편차가 나타났고 B와 I 전천일사계는 ±4.0Wm−2 미만의 작은 편차를 보였다. 태양 복사량이 450Wm−2 이상인 자료들을 이용하여 감도정수의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B와 I 일사계(오차 ±0.5Wm−2 이하)를 제외한 일사계들(오차 ±5Wm−2 이상)은 0.08-0.16 µV (Wm−2)−1 감도정수 변경이 적용되었다. C 일사계는 감도정수의 변화가 가장 컸으며 감도정수는 −0.16 µV ( W m−2)−1으로 보정하였다. 비교관측에 참가한 9종의 기준기 및 부기준기들의 최종 관측오차는 0.06Wm−2 (0.08%) 이하였으며 허용범위인 ±1.00% (±4.50Wm−2)로 검교정되었다.

      • KCI등재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 예측을 위한 허약측정도구의 개발

        김창오(Kim, Chang-O),선우덕(Sunwoo, Duk)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장기요양 예방의 관점에서 허약노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허약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 지표와 기준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높은 위험예측 및 판별․검교정 능력을 갖춘 허약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8-2011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7,513명의 노인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9가지 잠재적 허약측정지표와 지표간 조합을 통해 개발된 잠재적 허약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정되었다. 3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IADL, ADL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은 각각 연구 대상자의 9.5%, 4.1%, 1.6%, 6.3%에서 발생하였다. 연구결과 허약을 악력저하(신체적 결정요인), 정신심리적 고갈(정신심리적 결정요인), 사회적고립(사회적 결정요인) 중 2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을 때, IADL, ADL 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허약노인의 상대위험도는 질병․장애수준 및 다른 변수 요인을 보정한 이후에도 비허약 노인에서 보다 각각 1.9배(OR 1.89, 95% CI 1.39-2.57), 1.9배(OR 1.92, 95% CI 1.34-2.74), 3.2배(OR 3.22, 95% CI 1.92-5.39), 1.6배(HR 1.58, 95% CI 1.21-2.0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허약측정도구의 부정적 건강결과에 대한 판별(c 0.63-0.72) 및 검교정능력(p≥.05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한 허약측정도구(안)는 모든 검사를 완료하는데 3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실제 공공보건사업을 통해 장기요양 경증요보호 대상자를 일차적으로 선별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frail older adults are regarded as a high-risk group for institutionaliza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a clear definition of frailty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ilty instrument which has high predictive validity, discrimination and calibration ability for adverse health outcomes such as disabi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mortality. For this purpose, nine potential frailty indicator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3 potential instruments were test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1 with 7,513 elderly people. During the three years of follow-up, 9.5% and 4.1% of study participants lost at least one ADL and IADL, respectively, 1.6% received the National Long-Term Care Service (NLTCS), and 6.3% died. Results showed that, when we defined frailty as the presence o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weakness of grip strength (physical component), 2) exhaustion (psychological component), and 3) social isolation (social component), the frailty instrument was independently predictive (over 3 years) of worsening IADL, worsening ADL disability, becoming eligible for the NLTCS, and death, with relative ratios 1.9 (OR 1.89, 95% CI 1.39-2.57), 1.9 (OR 1.92, 95% CI 1.34-2.74), 3.2 (OR 3.22, 95% CI 1.92-5.39), and 1.6 (HR 1.58, 95% CI 1.21-2.05),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multiple covariates such as health, disease, existing disability,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isk assessment remained strong when it was estimated by other measures of model discrimination (c 0.63-0.72) and calibration (p≥.051). Because it takes only 3 minutes or less to complete the entire measurement, this frailty instrument could be used by community-based healthcare programs to screen elderly people who are at risk of receiving care from the NLTCS.

      • 유량계 검교정을 위한 유량계 직선길이의 특성

        박용철(Young Chul Park),남기한(Ki-Han Nam),박정근(Jung-Guon Park)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sufficient straight running length of the upstream and the downstream of flow meter to calibrate a flow meter. We have performed an analytic analysis by a computer simulation to find an stabilized flow velocity in the test section of the flow meter. It was necessary to have a sufficient straight length of the test section pipe to converge on an veloc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stable flow velocity was maintained in 20 times ID to 40 times ID of straight running length in the test section.

      • KCI등재

        전력연구원 지진관측자료의 사전자료처리 기법 및 효과적인 활용에 관한 고찰

        연관희,박동희,최원학,장천중 한국지진공학회 2002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지진특성을 추정하기 전에 적용할 수 있는 사전자료처리기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사전처리 기법으로는 계기보정, 센서검교정상태 확인, 윈도우에 의한 스펙트럼 왜곡 최소화, non-causal ringing에 의한 초동 왜곡 보정 기법을 분석하였으며, 자료 선택시 주파수 영역의 S/N비 확인 및 포화된 자료의 사용가능성 여부를 제시하였다. Several pre-processing techniques for earthquake data from earthquake monitoring institutes in Korea including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re thoroughly reviewed. Among these techniques for removing an instrumental response, removing the non-causal ringing distortion by FIR filter, checking calibration status of seismic stations, and minimizing the window effect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real data. It is also recommended that analysts evaluate S/N ratio in the frequency domain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aturated earthquak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