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동료교사에 대한 갈등관리 유형의 실증적 분류 및 활용경향 연구

        이상철,주철안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동료교사에 대한 갈등관리유형을 실증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갈등관리유형 활용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동료교사에 대한 갈등관리유형은 실증적으로 통합형, 양보형, 지배형, 절충형, 회피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자가 외국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갈등관리유형을 종합하여 구안한 다섯 가지 갈등관리유형이 국내에서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동료교사에 대한 갈등관리유형 활용경향은 통합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절충형, 양보형, 지배형, 회피형 순이었다. 배경변인별활용경향에 있어서는,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통합형과 양보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40대 이상의 교사들이 30대 이하의 교사들보다 통합형을 많이 사용하였고,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통합형, 양보형, 그리고 절충형 갈등관리유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교총 교사들이 전교조교사와 무소속 교사들보다 통합형과 양보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지배형과 회피형의 활용경향에 있어서는 배경변인에 따라 어느 정도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찾아볼 수 없었다.

      • KCI등재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형 ( Ki-hyung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4

        정부는 그동안 공공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법·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였으나, 정부정책을 둘러싼 공공갈등은 오히려 증가하는 등 그 효과가 미흡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갈등관리 과정과 연계한 국민 참여 기반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공공갈등관리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갈등관리 과정을 갈등 인지, 갈등수준 판단, 갈등과제 선정, 갈등 조정·관리, 갈등 해결, 사후관리 등 6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법·제도적 측면에서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과정별 또는 과정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의 법·제도적 개선방안으로는 갈등관리기본법의 제정, 법이나 규정의 적용 대상 확대, 갈등관리전담기구의 설립, 갈등관리지원센터의 신설, 갈등영향분석의 의무규정화, 갈등관리심의위원회의 실질적 기능 강화, 공론화위원회의 활용과 법제화 방안, 이해관계인의 갈등조정협의회 구성 요청 허용 및 협의회 공개 원칙 규정, 공공갈등 유관 기관간 정보제공 의무규정, 공공갈등관리 정보화시스템의 구축, 합의사항 이행 점검, 갈등관리 평가의 환류, 지역사회 치유 등을 제안하였다. The government has prepared various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prevent and resolve public conflicts. However, public conflict related to government policy was rather increased, and the effect was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Korea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and propos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process. Specifically,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process is divided into six stages: conflict recognition, conflict level judgment, conflict task selection, conflict mediation and management, conflict resolution, and post-management. At each stage, the pres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were presented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that affect each process or the whole process includ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onflict management, expansion of institutions subject to law or regulation,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conflict management organization, establishment of a conflict management support center, mandatory provision of conflict impact analysis, reinforcement of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deliberation committee, ways to utilize and legislate of the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allowing stakeholders to request conflict mediation councils, council disclosure principles, mandatory provision of information provision between agencies related to public conflict, establishment of a public confli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of agreements, feedback of conflict management evaluation, and healing the community.

      • KCI등재

        국가갈등관리의 효율화 방안

        변성수(Sung-Soo Byun),이재은(Jae-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3

        이 논문의 목적은 갈등과정의 심화?확대 단계를 분석하여 국가갈등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국가갈등관리의 정책대상영역으로서 갈등 발생원인, 갈등피해영역, 갈등관리기구, 갈등관리전략, 갈등관리 장애요인을 다루고 있으며, 복합갈등으로서 화물연대 파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국가갈등관리의 효율화 방안으로 국가갈등관리 전담기구의 설치, 국가갈등관리 지표개발, 갈등단계와 외부환경에 따른 갈등관리 매뉴얼 개발, 갈등관리기구간 협조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derive problems of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from analyzing aggravation and spread stage in conflict process and to improve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article deals with sources of conflict, conflict damage, conflict management institutions,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obstacles of conflict management as the domain of policy target in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trucker's strike in 2003 as a complex conflict. Finall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needs to establish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conflict management, to develop indicators and manuals according to conflict stage and environment.

      • 갈등수준별 갈등관리 방안 연구

        김정운(Kim Jeong Un) 한국갈등관리학회 2015 한국갈등관리연구 Vol.2 No.1

        현대사회는 어느 조직이나 사회, 국가 간에도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가장 높은 수준의 갈등은 ‘전쟁’이 아닐 수 없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 리더십 갈등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갈등수준별 갈등관리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을 정치지도자인 선조와 군사지도자인 이순신, 원균으로 선정하고 리더십 갈등수준과 갈등관리 유형을 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당면한 각각의 갈등수준에서 적용된 갈등관리 유형을 분석하고, 각 갈등수준별 효과적인 리더십 갈등관리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갈등수준별 효과적 갈등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이것이 자칫 정형화 또는 획일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이나 조직 또는 사회, 그리고 국가 간 갈등에서 이를 해결하거나 적정한 수준으로 갈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우리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리더십은 상황에 따라 갈등관리를 위한 모험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In every modern society organization or society, even between countries, there is a conflict. The highest level of conflict is wa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flict management methods by analysing the case of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in the wartime. So,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a political leader King Seonjo and military leaders Yi Sun-sin, Won Gyun. And level of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are selected as variables. And we analyzed the type of applied conflict management in the face of conflict each level, and derived an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types suitable for each level of conflict. In this study, we present a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for each level of conflict. But this maybe a concern to be formalized or standardized. Nevertheless, there is meaningful to provide direction to take the preferentially application in order to resolve conflicts and manage the conflict at the appropriate level. We also must understand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do the adventurous choice for conflict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s that exert leadership in special circumstances of war.

      • 전환기 공공갈등관리의 제도화 기반구축에 관한 연구

        최병학(Choi Byoung Hahk)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1

        한국사회는 각종 사회갈등으로 인하여 연간 경제적 손실이 246조원, OECD 27개국 중 2위라는 불명예스러운 사회갈등 수준에 있으나, 아직껏 정부와 정치권에서는 공공갈등관리 기본법을 제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갈등관리의 실태와 대응양식을 분석하고, 공공갈등관리 차원에서 갈등예방? 해결 프로세스의 기본 틀과 제도화 기반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갈등예방 및 해결을 위한 법률(예시안)」을 총칙, 공공갈등관리의 기본원칙, 공공갈등의 예방 및 해결계획의 수립, 공공갈등의 예방 및 해결을 위한 기구?절차, 공공갈등의 예방?해결을 위한 연구 및 교육훈련기관 지정 및 전문인력의 양성 등으로 구분하여 예시적으로 검토,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공공갈등관리의 제도화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갈등관리심의위원회의 정보공유 및 집적기능 강화,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갈등조정 전문인력 육성 및 활용, 제도와 행위자에 관한 연구프로그램 활성화, 종합적 갈등관리를 위한 시스템 정비 등을 도출, 제안하였다. The Korean society suffers an annual economic loss of 24.6 trillion won due to various shameful social conflicts, which ranks Korea second among 27 OECD countries. Nevertheless,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circles have not yet established even basic laws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public conflict management and schemes to respond to the conflicts and sought basic frameworks and procedures to prevent and/or resolve the conflicts so as to know public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ions are made to establish general rules on (draft) laws to prevent/resolve public conflicts as well as basic principles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to formulate plans, systems and procedures for preventing/resolving public conflicts; to designate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s to prevent/resolve public conflicts; and to cultivate experts specializing in prevention/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construct an institutionalization basis for public conflict management, stress is placed on sharing th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conflict management and examination committee, and intensifying an accumulating function, constructing the cooperative governance, nurturing and utilizing conflict mediation experts, activating research programs for relevant systems and actors, and arranging relevant systems for comprehensive conflict management.

      • 공공갈등관리 시스템의 비교연구

        박홍엽 한국인사행정학회 200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5 No.1

        지난 2년 동안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갈등관리에 관한 법안을 성안하고 이를 국무조정실이 다듬어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핵폐기물처리장 입지선정 문제나 천성산 사태 등 그 동안 빈발했던 대규모 공공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만일 그렇게 하지 못하면 갈등조정회의를 통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보자는 취지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참여와 합의’라는 원칙하에 새로이 형성되고 있는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새로운 제도이기 때문에 아직 갈등관리법(안)의 특징이나 쟁점 그리고 선진국의 갈등관리제도에 비해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에 대해 전혀 연구된 바가 없는 상황에서 선진국 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갈등관리시스템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목적, 성격, 적용대상, 적용기법, 적용단계, 적용원칙, 참여범위, 지원기구 등 8가지 변수를 통해 우리나라와 갈등관리법(안)과 미국의 두 제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공공갈등관리시스템이 미국의 그것에 비해 훨씬 포괄적이고 체계적이며 공익지향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공공갈등관리 시스템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 갈등관리기구가 마련될 필요가 있고, 조정 및 중재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야 하며 공공갈등관리 인프라 확산을 위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 지방정부 갈등관리의 현황분석 및 정책과제

        최병학(Choi Byoung Hahk) 한국갈등관리학회 2014 한국갈등관리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갈등관리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 충청남도의 갈등관리 현황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그리고 향후 정책과제라는 점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갈등관리 현황을 통해 분석ㆍ논의 될 수 있는 ‘현재 진단’과 ‘미래 대응’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조례 제ㆍ개정, 갈등관리심의위원회 구성ㆍ운영, 예산지원, 갈등영향분석, 주요 갈등관리 실적 등 전반적으로 충청남도의 갈등관리 수준은 제도화 단계에는 아직 못미치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충청남도 갈등관리의 정책과제는 관련 조례 및 위원회 운영의 내실화, 객관적 갈등영향분석과 갈등조정 전문인력 육성,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종합적 정비를 각각 제시하였다. 앞으로 지방정부에서는 지역에서 표출되거나 잠재된 공공갈등의 해결 및 협력의 촉진을 위하여 정책방안을 꾸준히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갈등해결 기제(메카니즘)를 도출하고 갈등관리 프로세스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s theoretical discussion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conflicts of the local government, Chungcheongnam-do Province of conflict management, with a status analysis, determination of policy suggestions, context of the policy objectives discussed of conflict management, analysis of the state of the local government. Situation an alnaysis of results through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cod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deliberation committee, budget support, significant analysis, an important conflict management overall, the institutionalization, fell short of the steps. Therefore, Chungcheongnam-do Province, conflict management in the future of the policy agenda is internal stability of relevant by laws and committee operations whose objective, a conflict impact analysis, arbitration,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he deployment of governance, management stream lining the system"s overall public conflict. At local government in front of area expressed in the public promotion of coopera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 or potential for steady and therefore need to navigate through policy measures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and extract, conflict management processes should be created.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갈등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배(Cho, S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2

        2013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밀양 송전탑 갈등을 계기로 중앙정부와 공공기관은 기존 갈등관리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대단위 개발 등 공공사업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는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과 대응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현행 갈등관리는 어디까지나 대통령령에 의해 사업을 추진하는 공공기관의 장의 자의적 판단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사업에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정치적인 상황, 결정권자, 사업진행단계, 사회적 상황 등이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공공갈등은 대부분 사업화 과정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산하기관이 갈등관리 역할을 수행하였고 그 수장의 판단으로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공공정책과 공공사업이라는 영역 속에 중앙정부와 산하기관으로 업무가 분리된 현행 시스템에서 공공갈등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예방과 해결이라는 차원에서의 갈등관리의 책임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하는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하기관 차원의 갈등관리는 진행 중인 공공갈등을 해소하게 하기도 하고 오히려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 산하기관의 갈등관리 상황을 조사?분석하여 효과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부처를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로 한정하도록 한다. 주로 갈등이 발생하는 사업으로는 도로, 철도, 수자원, 주택개발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사업의 설계 및 공사 실무를 수행하는 산하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겠다. 조사방법은 산하기관별 갈등관리 실태 조사와 갈등관리 대상 사업에 대한 조사로 분리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하기관별 갈등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갈등관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에 대한 종합적이며 전략적 대응 어려운 상황이다. 둘째, 갈등관리의 기능과 역할이 중복되어 그 대응에도 한계가 있다. 셋째, 갈등관리 총괄담당부서 혹은 담당자의 비전문성을 들 수 있다. 넷째, 산하기관 차원의 갈등관리는 사업추진에 주안점을 두어 실시하므로 역할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갈등관리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업절차별 갈등관리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담당자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업초기부터 이해당사자 대상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협의체는 실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conflicts of a transmission tower in Miryang city,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public institution finds an improved method about current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2013. After this, it proceeds to improv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MOLIT)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that are mainly working on a public enterprise like a major development. However current conflict management system is not for every development project because the head of public organizations who works their development projects by a Presidential decree does the projects by their arbitrary decisions. The reasons that various factors as political conditions, decision makers, level of projects proceeding and social conditions effect on their situations. Also, solving public conflicts in these days is made by the head of state agencies that manages the public conflicts by themselves because it mostly happens to process of that development projects. But now, it is an issue that the subject will be on management public conflicts with this situation that the public conflicts happen to current system which is separated from state agencies and central government in area between a public policy and a public enterprise. State agencies"s public conflict management likes this solving the conflicts or aggravating conflicts badly.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how to manage the public conflicts effectively as researching and analysing the management conflicts situation of state agencies. For this, this study limits an subject to the MOLIT. Especially, there are many public projects with highway, railway, water resources, housing development which mainly has a public conflicts. So this study has some state agencies as study subjects which design these public projects and do construction practice. This study surveys public conflicts management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and the subject projects of public conflicts management. This study makes a depth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onflicts management charge for each state agencies. After analyzing this, current conflicts management has a problem like below. Firstly, it has no condition for comprehensive and strategic dealing with the conflicts. Secondly, there are limitations to deal with the conflicts because of overlapping function and duties with conflicts management. Thirdly, there are nonprofessional of the person or the department in conflicts management charge. Fourthly, the conflict management by state agencies always focuses on pushing forward the projects so they have a their limited role. This study suggests next things for solving problem of conflict management. First of all, it has to consolidate a function of conflict management. The second, it has to consolidate a relation of conflicts management in each project process. The third, it has to consolidate a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Lastly, in the early stage of these projects, it does a fact-finding survey for all of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council will be formed by joining all of the persons concerned in that.

      • KCI등재

        한국형 통합갈등관리체계

        원창희(Chang Hee Wo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1 産業關係硏究 Vol.21 No.4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효과적인 해결과 예방은 작업환경의 안정과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므로 갈등관리가 중요한 인적자원관리이지만 법적의 무사항인 고충처리제도를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갈등관리 프로그램이 극히 일부 기업에서 존재하고 그것도 전혀 체계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이다. 미국·영국·일본 등 해외 선진국이 작업장에서 대안적 분쟁해결(ADR)을 상당한 정도로 활용하고 있으며 점차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학계에서도 기업 내부와 기업 외부 갈등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갈등의 원천적 해결과 예방까지 포괄하는 통합갈등관리체계(ICMS)의 이론을 정립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근참법과 노조법에 따라 고충처리와 심판제도가 존재하고 있어 이를 포함하는 한국형 통합갈등관리체계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개인갈등해결과 노사갈등해결의 two track 시스템을 만들고 내부 옵션과 외부 옵션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며, 갈등 경험을 토대로 갈등예방관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매우 효율적인 갈등관리체계다. 한국형 갈등관리체계를 도입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실무자, 기업 및 정부의 실천 방안과 지원정책을 제시하고 향후 구체화 작업에 필요한 추후 연구과제도 제안하였다. Although effective resolution and prevention of workplace conflict is contributed as an important HRM to higher worklife quality and productivity, there are only a few haphazard and piecemeal conflict management programs at workplaces except for grievance procedures.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U.K. and Japan have used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n conflict resolution at workplaces which has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syntagmatically. For this reason, scholars established a theory of ICMS(Integrat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not only internal and external CMS but also root re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flict. The paper suggests KICMS(Korea Integrat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which covers grievance procedures and adjudication regulated by labor laws as well as individual conflict management. KICMS consists of two track systems of individual and labor-management conflict management, internal and external options by step, and conflict prevention management based on conflict experiences. The paper suggests action plan for HRM managers, support policy for CEO and policy makers, and future research for scholars.

      • KCI등재

        갈등관리시스템 진단 및 처방 모형의 탐색: 한국전력의 송전선로 건설 갈등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김동영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0 분쟁해결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plores a framework for conflict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by focusing on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s system to manage conflict related to high-voltage transmission power line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Dispute System Design (DSD) theory, the framework defines conflict management system as a organic network of various factors inside the system, such as availabe procedures, motivation (of disputants), skills, and resources. This study provides innovative ways to understand the system dynamics by connecting the system outputs with observed conflict behaviors and identifying how other factors are linked to behavioral motivations of various actors. In order to improve a conflict management system of a public institution, compreh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to adjust each factor to work together effectively. As a foundation for system upgrade, systematic and periodic diagnosis of system outputs, such as transaction costs(efficiency),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necessary database. Diagnosing KEPCO’s confli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limited data, this study suggests innovative solutions to upgrade each factor to improv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of KEPCO.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갈등관리시스템을 이해하고 진단하며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전력의 송전선로 건설 갈등관리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Dispute System Design(DSD) 이론에 기초하여 갈등관리시스템의 산출결과를 갈등의 전개양태와 연계시킨 뒤, 갈등전개양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제도, 절차, 동기, 역량, 자원)들을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설정한 뒤 각각의 요소들에서의 개선점을 도출하려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형의 중요한 시사점은 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은 특정 구성 요소의 단편적 개선만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제도, 절차, 동기, 역량, 자원 등이 유기적으로 개선이 될 때 갈등관리시스템의 산출결과 측면의 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선점을 마련하기 위한 필수 조건은 갈등관리시스템을 횡단(cross-sectional)과 종단(longitudinal)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평가 모형과 그를 위한 자료이다. 이 체계가 없으면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어렵게 된다. 한전의 송전선로 건설 갈등관리시스템을 진단하기 위해, 제한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례 연구와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성 요소들과 산출 결과들을 진단하였다. 한전의 송전선로 건설 갈등관리시스템의 경우 과거 10년 전과 비교할 때 많은 부분에서 갈등관리시스템의 요소들이 개선되고 산출결과가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도 여러 요소들에서 개선의 여지가 보이고 창조적인 개선방안을 실험적으로 도입하여 시도할 수 있는 리더쉽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