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종교문화의 역동적 이해

        박종천 ( Jong-chun Park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2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본질주의적 한국종교론’과 ‘유형론적 한국종교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전자가 ‘한국종교’(Korean Religion)라는 추상적 개념에서 한국적 종교성의 원형적 구조를 탐색하여 한국종교문화의 개성을 설명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한국의 종교들’(religions in Korea)이라는 구체적 현상에서 출발하여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 유형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양자는, 비록 접근방식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만, 총체적/포용적 영성을 한국종교문화의 에토스로 서술한다는 점에서 수렴한다. 그러나 양자는 각각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에 따른 문화적 양상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문화접변에 따른 문화의 상호변용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한 채 선험적인 고유성 가정에 근거한 정태적인 이해와 일방적인 자문화중심주의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문화접변에 따른 상호문화적 변용의 역사적 전개양상, 공식종교와 민간종교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긴장관계, 한국적 영성의 중층적 다양성과 문화적 복합성을 주목할 것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면서 상호문화적 접근과 역사적 유형론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종교문화에 대한 역동적 이해를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ize the existing approaches of religious culture in Korea. The representative existing approaches are essentialistic discourses of Korean Religion and typological histories of religions in Korea. The former focuses the essence of Korean Religion and original structure of Korean religiosity, while the latter clarifies some typological ethoses of religions in Korea. Both approaches accentuate inclusive religiosity and holistic spirituality of Korean religions, but lead to the problems of ethnocentric nationalism and non-empirical oversimplifi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propose the necessity of new approach focussing intercultural influences, historical changes, and cultural dynamics of religions in Korea. The new approach i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historical changes of religious culture and cultural assimilation, the dynamic tension between official religion and popular religion, and the multi-layered diversity and cultural complexity of Korean spirituality.

      • KCI등재후보

        일본 내 대학교 교양 과정의 한국 문화 교재 개발 방안

        사이토 유우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5 한국어문화교육 Vol.9 No.1

        【벼리】일본 내 대학교 교양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에 관한 가장 큰 문제점은 대상자 요구를 반영한 한국 문화 교재가 없다는 점 이다. 현재 수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교양 목적 한국어 학습자 를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재도 개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 문에서는 교양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특징 및 요인을 고려하여 학습 자가 한국 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고 교수가 부담 없이 실제 교육에서 부교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문화 교재 개발 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本研究では日本の大学における教養課程韓国語教育のための韓国文化教材 開発方案の提示を目標に研究を行った。現在,日本の大学において第二外国語も しくは教養科目として実施されている韓国語の授業では文法学習を中心している ため、文化学習を取り入れている大学は少ない。その理由として、教養韓国語学 習者の水準または要求に合った韓国文化教材が多くないことが挙げられる。よっ て本研究では学習者の要求を反映した副教材としての韓国文化教材の方案を提示 した。 研究の方法としては、まず学習者の水準や要求にあった教材を開発するた め、日本の大学における教養韓国語の開設状況を調査した。また、現在日本の大 学で多く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教材を通して、どれほど韓国文化を学習できるの かを調べるため教材分析を行った。次に、教養課程韓国語教育を1年以上履修し ている学習者にアンケート調査を実施した。また、より具体的な要求を調査する ため、教養韓国語履修経験があり、韓国に1年以上居住したことのある日本人学 習者を対象にインタビュー調査を行った。教材分析、アンケート調査、インター ビュー調査の結果、教養課程韓国語学習者は韓国語習得と同様に韓国文化にも大 きな関心を持っており、授業での韓国文化教材の使用に肯定的な反応を見せた。 また、現在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の教材は韓国語文法学習を中心として構成され ているため、十分な文化学習をすることは難しく、既存の教材とは別途で学習者 の要求にあった副教材としての韓国文化教材が必要で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3章では整理した学習者の要求をもとに、教材構成の提示を行った。まず教材開発の原理を選定し教養韓国語学習者が学習すべき韓国文化項目および教 材構成シラバスを提示した。日本国内の韓国語学習者は韓国文化に接する機会が 少ないため、教材を通してできるだけ多くの情報を得られるよう、絵、写真、説 明文、文化学習では映像を活用し、教材を構成する必要がある。 本研究で提示した教材開発方案は、既存の文法を中心とした韓国語教材の副 教材であるが、教養課程韓国語教育での文化教育は学習者の韓国語学習を助ける だけではなく、今後さらに交流が深まるであろう日本と韓国間における相互理解 の一歩となるであろう。

      • KCI등재후보

        문화외교 정책과 해외박물관 한국실의 역할 고찰

        김수미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1

        본 논고의 목적은 한국 문화외교 정책의 흐름을 문화정책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대영박물관 (the British Museum) 상설 한국실 사례를 통해 문화외교에서의 해외박물관 한국실의 역할과 전시 방향을 고찰해 보는데 있다. 한국의 문화정책에서 문화외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제교류 분야의 흐름을 정부조직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문화정책 연구 성과들을 국제교류를 중심으 로 재정리 하였다. 그리고 세계 문화 컬렉션을 소장, 연구, 전시, 교육하며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문화외교와 깊은 관련이 있는 대영박물관 한국실의 사례를 현지답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90년대는 세계화와 함께 문화 다양성과 상대주의 개념이 구체화된 시기이다. 영국 문화학 (cultural studies)과 신박물관학(new museology)에서는 후기구조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텍스 트 재해석 등 실용적이고 비판적인 이론과 문화 재현 방법론이 전개되었다. 한국 박물관의 국제교 류 분야에서는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립박물관의 지원으로 해외 유수 박물관에 본격적으로 한국실을 설치하고 전시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상설 한국 전시실 중 대영박물관은 2000년 개관 이후 현대예술작품을 보완하여 2014년 11월 재개관 하였다. 이 사례가 시대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역할을 하는 문화기관인 박물관이 향후 문화외교에서 담당할 역할과 지속적인 해외한국실의 발전방안을 생각해보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 다문화 내용 요소분석

        이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이 논문은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 안의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지난 2012년 첫 도입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실렸으며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화 부분에는 다문화와 관련된 문화 내용과 문화교육을 통하여 다문화 이해능력을 향상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새롭게 출간된 표준한국어 교재의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바가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피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분석을 통한 개정방안 연구>에서 제시한 다문화 요소의 분석틀(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을 활용했다. 이 연구는 올해 출간되어 아직 한 번도 분석되지 않은 개정 표준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이전 표준한국어교재와 비교하여 다문화 내용 요소로 분석되는항목의 빈도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화 영역 마지막 부분이나 교사용 지도서를 통하여 문화 주제에 대한 수업이 끝나기 전에 마무리 활동으로 해당 주제와 연결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야기하는활동을 넣었다는 점에서 많은 발전이 이뤄졌다고 보인다. 하지만 문화를다루는 수준이 여전히 정보제공 수준에 머물고 있어서 앞으로도 계속 개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multiculturalism is covered in the revised standard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extbooks. Introduced in 2012, the KSL curriculum was integrated in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ater, its 2017 revision was officially announced. The culture section of the KSL curriculum aims to increase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cultural education. It’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examine how consistent with the goal the new standard KSL textbooks that are based on the 2017 revised KSL curriculum is. This study use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xamining multicultural elements (identity, diversity,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presented by a study entitled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vi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amining the revised standard KSL textbooks, which was published in 2019 and has never been analysed yet at the time of this research. The analysis found that a bigger part covers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revised KSL textbooks than its predecessor.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lso spotted in finishing the culture sections and teachers’-guide-led lectures on culture by talking about the cultures of relevant foreign countries. But their coverage of culture is still nothing more than informational, therefore it seems they need further and continuous revision to include more content that leads to positive values and attitudes.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교육 : 한국의 차 문화를 중심으로

        박경자(Park Kyung-j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본고는 한국의 차 문화를 한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문화교육과 언어교육으로 연계하여 교육적가치가 있음을 제고하고자 한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직접 차를 빚어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가운데 정서 안정과 친화를 다지는 한편 생생한 한국의 문화와 언어문화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차 문화는 한국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살아있는 텍스트이자 주제, 수단, 보조 자료로 채택되고 응용된다. 심신을 안정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는 차의 효능은 오랜 세월에 걸쳐 동서가 두루 공유해 왔다. 특히 정신 건강에 좋은 차는 마음을 맑고 고요하게 정화시키고, 혼탁한 정신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 양가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사람들은 차를 혼자서 마실 때는 잡념과 번뇌를 제거하여 정신을 바로 잡아 왔다. 둘이서 혹은 여럿이 마실 때는 화합을 다지고 생산적인 의사소통을 이루었다. 한국에서 외국인 학습자는 언어, 문화, 생활환경, 교우관계, 생계 대책 등 다방면에서 정서불안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들이 직접 차를 빚어 함께 나누며 익히게 될 차 문화 교육은 현장 체험학습과 같이 살아있는 문화 교육에 해당된다.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장르로 기능할 뿐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참여해 문화의 실상을 직접 시연하는 실용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한국의 차 문화를 한국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해 외국인 학습자 한국문화교육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고, 외국인 학습자들은 함께 차를 마시는 시간적 여유 속에서 동료와의 화합을 다지고 자연스럽게 원활한 의사소통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차 문화를 이해하고 차를 상용함으로서 정서 순화뿐 아니라 한국의 우수한 정신문화를 자국에 전파해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Study intends to present tea culture as par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s because foreign learners can make their own tea and chat, strengthening emotional stability and friendship, while also learning vivi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Tea culture is adopted and applied as a living text, theme, means, and supplementary material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ffects of cars that stabilize the mind and body and boost energy have been shared by East and West for many years. In particular, tea, which is good for mental health, is known to have a ambivalent effect that purifies the mind in a clear and calm manner and awakens the chaotic spirit. When people drink tea alone, the old people have been able to straighten their minds by removing their thoughts and anguish. When two or several people drink, they re in harmony. In Korea, foreign learners are experiencing emotional instability and stress in many ways, including language, culture, living environment, friendship, and livelihood measures. Tea culture education, which they will make their own tea and share it with, is equivalent to living cultural education such as field experience learning. Practical effects of not only functioning as a genre that introduces Korean culture, but also teachers and learners participate in demonstrating the reality of culture directly.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문화 교육으로서의 한국 문학 교육 방안 연구 -비교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유현정 ( Hyun Jung Ryu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에서 한국 문학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해 논의한다. 최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의 생각과 행동, 생활양식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언어학습을 위한 문어(文語) 텍스트로서 그 활용 방안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한국어교육을 포함한 외국어교육 분야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문학을 문화 교육의 측면에서 다루어보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문학을 단순한 실용적 차원의 언어 교육을 위한 제재로서가 아니라 문화 교육 차원에서 필수적이며 적극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문화교육의 도구로 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재가 언어의 습득이라는 1차적 목표 아래 주로 대화문이나 설명문과 같은 실용적 텍스트 위주로 구성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의 선정 및 교수요목 상의 주제, 기능등을 고려한 구체적인 수업활동의 고안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 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 및 당위성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 및 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문학 교육의 위치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문화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한국어 교재의 문학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그 항목과수업 활동을 분석하고, 최근에 이루어진 ‘한국어 확산 문화프로그램 연구’ 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및 교육 내용 제시 방안을 고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문학을 문화 지식의 대상으로 학습함에 있어 비교문화적관점에서 문화 내용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통해 적극적인 문화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 as a 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nfin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tly. As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getting attention as the literal works contain many informations about Korean cultu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studies about 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nalyze the literal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to seek the way to use Korean literature as a method of teaching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a discriminatory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by using Korean literature in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 which can mak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e the cultural facts in Korean literature to their native cul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ttempts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literature from simply being the "additional fact" for language learning to the important subject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cultural education for proficient communi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ere will be many other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subjects such as how to set up the standard to select the Korean literal works which is useful for cultural education and how to use them in a Korean textbooks.

      • KCI등재

        템플스테이의 운영실태(運營實態)와 향상화방안(向上化方案)

        여태동 ( Tae Dong Ye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3 No.-

        2002년 한일 월드컵대회를 기점으로 한국에서 시작된 템플스테이가 해를 거듭 할수록 한국문화(韓國文化)를 알리는 중요한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처음 템플스테 이는 단순하게 월드컵 대회에서 부족한 숙박 난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렇지만 템플스테이 내용에는 1700여년의 한국문화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전통이 숨 쉬고 있어 외국인들에게 각광받기 시작했다. 템플스테이는 대한불교 조계종과 정부의 긴밀한 협조 하에 매년 시행하는 사찰이 늘어났고, 조계종 사찰뿐만 아니라 여러 불교종단이 참여해 전통사찰은 물론 한국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템플스테이의 활성화는 한국불교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문화사절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2007년 10월 현재 74개소에 달하는 전국의 사찰이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다양한 형태의 한국문화의 체험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들에게도 불교문화 속에 깃들어 있는 우리문화의 원형질을 발견하게 하고있다. 템플스테이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로 된 안내책자를 제작해 배포해 한국문화를 알리는 으뜸상품으로서의 템플스테이를 외국인들에게 알려야 하고 내국인들에게도 홍보해야 한다. 또한 템플스테이 운영사찰마다 특색 있는 브랜드를 개발해야 하고 참가자들이 편안하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확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만 불 시대를 넘어서고 있는 우리나라는 세계에 내놓을 대표적인 문화상품으로 템플스테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숙박체험을 넘어 한국문화의 원형이 숨 쉬는 템플스테이의 활성화는 우리 국민들에게는 자기정체성을 찾는 심성개 발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외국인들에게는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느끼게 해주는 문화상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Temple-Stay has played a great significant role in advertising Korean culture since 2002 Korea-Japan World Cup. At the beginning, Temple Stay was introduced to sort out lack of lodging at Word Cup. However, Temple-stay that contain Korean Buddhism tradition has been popular among foreigners. It started May 12th 2002 at Gikgisa at Kimcheon where most of foreign ambassadors and their family participated. They responded to it with great honor. Overseas mass media also call it excellent cultural good. Afterward Temple-Stay has spread out among temple over the country in cooperation of government. Not only Jogye Order but also other buddhist orders participated, and showed Korean culture. Popularity of Temple-Stay showed not only Korean Buddhism but also Korea culture abroad. Oct 2007 74 temples engage in managing Temple-Stay programme where a variety of Korea culture is experienced. A native as well as a foreigner have a good knowledge of essence of Korean culture in it. Therefore Temple-Stay is missionary work and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 programme for Protestant and Catholic followers as well as Buddhist. Temple-Stay should be advertised as the best tourist attraction by making leaflet among a native as well as a foreigner. Also temples managing Temple-Stay should invent typical brand, set up facilities where participant experience with easy. In addition, buddhist circle should invent buddhist social welfare programme for popularity of temple stay. Korea need make use of temple stay as typical cultural good abroad. In addition to lodging experience, the popularity of Temple-Stay should be the mind development programme so that a nation find national identity, should be the cultural good where a foreigner feel superiority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터키의 한국문화 교재에 대한 분석과 활용 및 개선 방안 - KORE’Yİ TANIYARAK KORECE ÖĞRENELİM(『한국을 알아가면서 한국어를 배웁시다』)를 대상으로-

        김성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1

        이 글은 터키에서 출판된 한국문화교재 ‘KORE’Yİ TANIYARAK KORECE ÖĞRENELİM(『한국을 알아가 면서 한국어를 배웁시다』)’에 대한 교재 분석과 활용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이 책은 2014년 2월 터키의 Lotus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저자는 터키 Erciyes대학 한국학과 교수인 S. Göksel Türközü, 터키 Erciyes대학 한국학과 교수인 Hatice Köroğlu Türközü, 동덕여대 교수인 오 은경 등이다. 책의 쪽수는 전체 196쪽이며 4ㆍ6배판 크기이다. 전체 15장으로 되어 있으며, 7개의 표와 144개의 사진이 제시되어 있다. 15장의 제목은 ‘한류, 한국의 상징, 한국 요리, 명절과 공휴일, 관혼상제, 가족 생활, 의학 및 건강, 한국의 주거, 스포츠와 민속놀이, 교육 제도, 정치 제도, 종교와 신앙, 교통 및 관광’ 등이다. 한국어 학습자 선호도를 고려하면 이 책에서 제시한 문화항목 중 ‘한국의 상징, 종교와 신앙’ 등은 축소되거나 다른 문화항목으로 대체되어야 하고 ‘ 교육 제도, 정치 제도’ 등은 하나의 장에 통합하여 간단하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를 Hammerly(1982/1986)에 따라서 행동문화, 정보문화, 성취문화로 나눌 때, 이 책은 의사소통과 좀 더 관련이 있는 행동문화를 거의 다루지 않고, 정보 문화와 성취 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사실 한국어교육의 문화교육 내용 중 행동문화는 통합교재를 통해 언어 표현과 함께 교수ㆍ학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밖에서는 한국어에 대한 노출이 거의 없는 터키와 같은 나라에서는 한국문화 교재에 행동문화가 많이 다루어져야 한다. 또 이 책의 문화항목 중에는 불필요한 내용들이 있다. 예를 들면, 이 책의 제4장 ‘한국의 의상’에는 ‘단 령, 사모, 조복, 활옷, 원삼, 유건, 타래버선, 운해, 목잠비녀, 첩지’ 등과 제6장의 ‘고유 명절과 공휴일’ 에는 ‘중화절, 중양절’ 등 필요하지 않은 문화어휘들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xtbook of Korean culture as Let’s learn Korean while tasting Korea(KORE’Yİ TANIYARAK KORECE ÖĞRENELİM) and to make a proposal for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it. This book was published in February 2014 from Lotus Press in Turkey. The writers of this book are S. Göksel Türközü, H. Köroğlu Türközü and Eun-kyeong, Oh. Mr. and Mrs. Türközü are professors in Erciyes University of Turkey and Mrs. Oh. is a professor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This book comprises 15 chapters, 7 tables and 144 photographs. The title of the chapters are Korean wave, Korean symbols, Korean food, Hollidays,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family life, medicine and health, dwelling in Korea, Sports and folk games, education system, political system, religion and belief, and transportation and tourism. The chapters of symbols of Korea and religion and belief must be reduced to one chapter or superceded by the other cultural items. And the educational and political systems are combined as in one chapter if we consider the preference of Korean learners. When we divide the culture in language education as the informational, achievement and behavioral culture according to Hammerly(1982/1986), the behavioral culture must be treated in this book excluding the informational and achievement cultures. And also many unnecessary cultural items were contained e.g. Tan’ryeong, Samo, etc. in chapter 4 and Jungwhajeol and Jungyangjeol in chapter 6.

      • KCI등재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엄나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1

        외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 ‘의사소통 능력’이다. 그러나 국내 학습자에 비해 국외 학습 자의 경우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실제 의사소통 상 황과 비슷한 유사-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게 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역할극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이 스스로 대화를 만들고 만든 대화를 이용하여 실제 역할극을 하면서 대화 상황과 문화적 요소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졸업 후에 대부분 한국 기업이나 한국과 관련된 직종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무역 한국어’ 수업을 통해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이 한국계 회사에 취업을 했을 경우를 대비해 한국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한국 문화는 물론 직장 내 문화나 비즈니스 매너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4단계(이해-계획-실행-평가의)를 설정하여 한 학기 동안 실제 수 업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다섯 가지 의의가 기대된다. 첫째, 학습자들 이 역할극을 통해 정확한 상황 이해 및 인간관계에 맞는 언어문화를 이 해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 이 스스로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매너를 익혀 올바른 한국 언어문화를 습득할 수 있다. 셋째, 향후 학습자가 한국계 회사에 취직을 했을 때 회사 내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학습자의 능동적 이고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이끌어 내어 교사 중심이 아닌 학습자 주도적 수업을 할 수 있다. 다섯째, 역할극을 통해 학습자들의 실제적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역할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한 학기 수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교수-학습 방안이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신장 및 한국 문화와 비즈니스 매너를 익히 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 학기 동안 실시한 역할극을 활용한 무역 한국어 수업을 통해 본 연구는 위의 다섯 가지 의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할극을 활용한 무 역 한국어 수업’이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언어문화 학습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 었으며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어떤 단계의 학습자에게 더 유용할 것인지, 언어문화와 말하기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는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Communication competence' i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language learning. However, it is less comm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than Korean native learners to experience real communication situation. For this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poster and experience real-like communication situation for language learne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romotes learners to understand conversational situations and cultural elements by learners making their own dialogues and doing role-play with that dialogue. The Korean learners of Chinese participated in the study mostly tend to get a job at Korean companies or companies related to Korea after their graduation. Through 'Business Korean' class, this study aims for learners to raise the knowledge of overall Korean culture including workplace culture and business manners in Korea as well as Korean language. For this study, four steps for 'Business Korean Teaching-Learning Strategy' (understanding - planning - implementing - assessing) are established and used in real classes for one semester. The following five results are expected through this study. Frist, learners are able to understand exact conversational situation and language culture with regard to the human relationship through role-play. Second, learners are able to acquire proper Korean language culture by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business manners as well as Korean culture. Third, learners are able to easily accustom themselves in Korean companies afterwards. Forth, by promoting learners active and positive class participation, learner-centered class rather than teacher-centered class can be done. Fifth, through role-play leaners genuine speaking proficiency can be improved. After a semester of the study of Business Korean using role-play based on above-mentioned strategy, these five significant results are drawn. With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Business Korean class using role-play' has a great potential in Korean language learning as one of the way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nd helps learners improve their Korean speaking proficiency. However, this study fails to examine which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and other language skills except for speaking and language culture that this study promotes. The further study is to examin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조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모두 자각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문화 교육이 뒷전에 밀려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문화 교육에 적합한 교재를 찾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어학에 집중되어 있는 교육 과정과 한국어 교육의 현실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행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과 한국어 문화 교재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가장 시급한 문제지만 아직 그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은 ‘어떤 문화를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을 모색해보고 그 문화를 가르치기에 적합한 매체를 선정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것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여 매체를 이용한 문화 수업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in that of Korean language now needs a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started with curiosity aroused by the Korean wave, is now carried out for such various reasons as academic purpose, employment, immigrant and others. Therefore, the content of culture education needs to deepen more. Most studies agreed that culture education is important. But there are not many specific studies about how to teach culture depending on its type. On this, this paper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 using a movie ,among various media, in dealing with funeral culture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 funeral includes such various cultures that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figuring out spiritual and social life of people of the time. Formed based on a long history and changes, the present funeral custom is worth looking out for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such funeral culture, I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 using a movie, which showed effects in many parts when I analyzed disposition of learners who live in the media age. It is said that a movie 'Festival', which was selected for this paper, showed Korean awareness of death like a documentary, with the main awareness that a funeral service is not just burying a body but meeting among the living, the dead and the left. In addition, 'Festival' makes it possible for us to take a look at a large family, a rare family type in modern society and look at three generations through an extended family.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movie as the media. Above all, classroom environment for showing a movie is needed and also about two hours-running time is a problem. Accordingly, film cutting is inevitable, but teachers cannot help but do the work and it requires skills. For film cutting, the storyline of a movie should be considered, so the work is not easy. It is a task to do in future presenting continuously methods of teaching about other specific cultural items in addition to funeral culture. The study about teaching specific cultural items so far is inadequate, so starting with funeral culture,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cultural items will have to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