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지방 전통주택 기둥상부 결구방식의 구성과 치수 : 안채/민도리식을 중심으로

        박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본고는 전라남도 지방의 전통주택의 안채를 대상으로 기둥상부 결구방식의 대다수를 점하는 민도리식에 대해서 구성형 식과 대표적인 치수(공통치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민도리식의 구성형식을 두 계통, 총8가지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즉 축부를 직접 구성하는 기본부재의 종류에 따라 서 [도리/보 계통]과 [장여/보 계통]으로 나누고, 이하의 형식을 기본부재의 구성에 추가되는 보조부재, 곧 장여(단장여 )와 보아지의 추가 정도에 의해서 나누었다. 곧 [도리/보 계통]에 속하는 [도리/보형], [도리/보-장여(추가)형], [도리/ 보-보아지(추가)형], [도리/보-장여/보아지(추가)형] 등과 [장혀/보 계통]에 속하는 [장여/보형], [장여/보-단장여(추 가)형], [장여/보-보아지(추가)형], [장여/보-단장여/보아지(추가)형] 등으로 세분하였다. 이와 같은 8가지 구성형식을 토대로 한 사례조사의 결과, 사례수의 차이는 있지만 [도리/보-보아지형]을 제외하고는 모두 해당하는 사례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형식의 실재가 확인된 것이다. 그 중에서 [보/도리-장여/보아지형]의 사례가 조사대상 48사례 중에서 31사 례를 점하고 있어서(17사례는 소수형식), 이 형식이 전남지방 전통주택(안채/전면)의 민도리식의 주류형식 또는 가장 일반적인 형식임을 알 수 있다. 계통별로는 [도리/보 계통]이 37사례, [장여/보 계통]이 11사례로서 전자가 주류를 점한 다. 이와 같은 구성형식과 건물의 기본요소와의 사이에 주목할 만한 사항은, 계통별로는 [장여/보 계통]에 비ㅡ자형평 면의 사례, 그리고 평면칸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규모가 큰 사례가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형식별로는 주류형식인 [도 리/보-장여/보아지형]의 사례가 ㅡ자형평면인 경향이 있다는 점이 비교적 뚜렷하게 부각되었다. 한편, 공통치수의 추출은 전사례를 통괄하여 추출한 것 이외에 구성 계통별로 추출하였다. 그러나 추출한 공통치수 중 에서 계통 별로 추출한 치수가 공통치수로서 실제적인 의미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양 계통은 구조적으로 다를 뿐만 아 니라(축부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부재가 서로 다르다), 치수적으로도 확연히 구분되기 때문이다. 전남지방 전통주택( 안채/전면)의 민도리식은 형식과 치수의 양면에서 볼 때, [도리/보 계통]과 [장여/보 계통]의 두 계통으로 나누어진다 고 할 수 있다. [도리/보 계통]과 [장여/보 계통] 의 공통치수는 별개의 표와 그림으로 정리하였는데, 양자를 비교하면, 일부의 부재/부위를 제외하고는, 부재의 굵기와 길이 모두 [장여/보 계통]이 뚜렷하게 큰 경향이 있다. 이는 전술한 바 있는, [장여/보 계통]이 평면칸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규모가 큰 사례가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한편 형식 별로는 추출을 생략하였다. 주류형식 이외에는 사례수가 작고, 주류형식도 한쪽의 계통([도리/보 계통]에 속하는 사례 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계통별 추출과 중복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내목도리의 발생과 시대적 변화에 관한 연구

        허경도,정명섭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건축역사연구 Vol.29 No.1

        A dapo type bracket system which consists of chuganpo(柱間包) and chusangpo(柱上包) with afake-beam adopted a nemok-dori member to cope with oemok-dori member in order to obtainbalance between the outer-side and the inner-side of the bracket system. The middle part of thelongest rater in the dapo system is supported by three points made by oemok-dori, jusim-dori andnemok-dori members and the area between the rafer supporting points forms a supporting area. The increase of rafter supporting points and supporting area leads to heightening the structurals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load delivery. In the eave of dapo system the portion where the threesupporting points formed by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members shows as 33% inthe early period, 71% in the middle period and 78% in the later period. On the contrary theportion where more than one of the three dori members were omitted shows as 67% in the earlyperiod, 29% in the middle period and 22% in the later period. This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the number and the distance of steps in the dapo bracket system as time goes on. This is becausethe structural role of three supporting points becomes important as the increase of distancebetween the dori members leads to the increase of load which burdens on each dori member. 다포계 건축 주간포와 헛보를 가진 주상포에서는 공포의 내외균형을 위해 외목도리에 상응하는 내목도리가 필요하여 도입되었다. 다포계 건축 장연 중간부는 외목도리, 주심도리, 내목도리 3점이 지지하고, 지지점 사이는 지지영역이 되었다. 장연 중간부 지지점 증가와 지지영역 확대는 구조 안정성과 하중전달 효율성을 높였다. 다포계 건축 처마부에서 외목도리, 주심도리, 내목도리가 정위치에서 장연을 3점으로 지지하는 유형의 점유율은 초기 33%, 중기 71%, 후기 78%인 반면 하나 이상의 도리가 생략된 비율은 초기 67%, 중기 29%, 후기 22%이다. 이는 후대로 갈수록 출목수와 출목거리가 증가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처마부 도리간의 거리가 늘어날수록 개별 도리가 부담하는 상부하중이 증가하고 정위치에서 구조적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중 목조건축 도리 결합방식 변천(變遷)에 관한 비교연구

        차주환,Cha, Ju-hwa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4

        본 연구는 한중 고건축 내부 가구(架構) 중 소슬재의 위치와 도리와 보의 결합 형태를 분석하여 동아시아 목조구조 체계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과 중국의 고대 목조건축은 서까래와 도리, 그리고 보를 결합하여 건물의 윗부분을 구성하고 기둥과 결합하여 건물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목조 구조 체계의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세부적인 기법상의 차이가 지역성과 시대성, 국가성을 띠고 있다. 중국건축 내부 가구 중 도리와 보의 결합 형태와 차수(叉手), 탁각(托脚)의 지지점 위치가 시대에 따라 차이점을 보이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에 따라 세부 수법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15세기 이후 건축에서는 차수와 탁각이 없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특히, 탁각은 명대 관식건축에서는 완전히 없어졌으며 주된 이유는 도리와 보의 결합 방식의 차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5세기 이전에는 도리와 보가 서로 떨어져 결합되고 있었으나, 15세기 이후는 도리와 보가 서로 결합하고 보의 단면적이 비약적으로 커져 도리 좌굴을 방지하는 수법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탁각의 경우 당 오대 시기에는 탁각의 상부 위치를 봤을 때 도리와 직접적인 결합은 없으며, 도리의 좌굴을 방지하는 부재보다 내부 가구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부재라고 볼 수 있다. 송대 이후 원대까지도 송 "영조법식"의 기록과 다른 건축물이 많은 것으로 보아 탁각의 적용 여부는 지역, 혹은 장인의 수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원대 이전 우진각 지붕의 측면 도리 부근과 팔작 지붕 합각 아래 구조에서도 탁각이 있는 것 보아 종단면과 횡단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부재이며, 지지점의 위치를 보아 도리를 직접 지지하는 부재라기 보다 우진각 지붕의 측면 구조나 팔작 지붕의 측면 합각 구조의 안전성에 기여하는 부재로 보인다. 한국건축 중 고려시대에 반 'ㅅ'자형 소슬재(중국명: 탁각[托脚])가 유행하지 않은 이유는 도리의 좌굴을 방지하는 기법(도리 받침재)이 널리 유행하여 반 'ㅅ'자형 소슬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도리가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선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도리는 도리+장혀+도리 받침재+보의 구성을 보여 도리가 직접 보와 결구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조선시대 이후 도리가 보의 단면적의 범위에 속해 도리가 좌굴 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5세기 이후 중국건축에서도 같은 모습을 보이며, 15세기 이후 도리 좌굴에 대한 세부 기법이 한중 양국의 지역성과 국가성을 뛰어 넘어 보편성을 가진 예라 생각된다. 조선중 후기 건축에서 지붕부의 하중을 줄여 주는 방법인 덧걸이 수법이나 덧서까래 사용은 도리에서 보로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주어 도리 좌굴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조선시대에 건물을 영조하는 장인들의 도리 좌굴을 방지하는 또 다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중 고건축 도리와 보의 결합 구조와 소슬재의 연구는 고려시대 이전 건축을 복원, 설계하는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East Asian wooden structure system research and analysis. The Korea and China ancient architecture internal structure research that the combination of girders and crossbeams position. The ancient wooden structures of eastern Asian countries, Korea and China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inciples of the wooden architecture structure, combining pillars, purlins and crossbeams. However, it seems that age-division, local-division, national-division differs in detail techniques. China ancient wooden structures combination of purlin and crossbeam, and So-seul Timber(Chinese name: Chashou叉手, Tuojiao 托脚) seems to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fulcrum position, detailed approach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historical dynasty. Before in the 15th century, Purlin and Crossbeam are coupled to each other, but since the 15th century, seems to have developed a technique combined with each other Girder and Crossbeam and to prevent buckling of the Crossbeam cross-sectional area increased dramatically. For Tuojiao in China Tang-Wudai dynasty(A.D. 618~979), can see that saw the top position Girder and Tuojiao no direct coupling, can be seen as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material than the material of the inner wooden structures prevent buckling of the purlin. Korea ancient wooden structures of Goryeo dynasty(A.D. 918~1391), So-seul Timber(Chinese name Tuojiao) why do not to use the fashion? To use Purlin Lower backing material techniques to prevent buckling is a popular trend to stable can be thought of as a preferred way to maintain. I think that with universality beyond the local-division, national-division and the two countries since the 15th century of Korea and China ancient wooden structures detailed mechanism for the purlin buckling. In middle-late Chosen dynasty, The effect of Deotgeolyi- techniques and fleeting beams reduce the purlin buckling that reduces the load transmitted from purlin and crossbeam of how to reduce the load on the roof portion of the architecture fleeting beams used, which of craftsmanship of the Chosen Dynasty building can be referred to as another technique for preventing buckling purlin. This Korea and China ancient architecture purlin beam structure and material So-seul Timber study. Seems to be able to provide a basic research study to restore and designed the old wooden architectures.

      • KCI등재

        호류지(法隆寺) 헌납보물 아스카시대(飛鳥時代) 금동불상 재고 - 조형과 제작기법 측면에서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이재신 불교미술사학회 2023 불교미술사학 Vol.35 No.-

        Among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among the Hōryūji Treasures(法隆寺 獻納寶物), forty nine statues are from the Asuka(飛鳥) and Hakuhō(白鳳) periods. Twelve of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from the Asuka period are classified as Buddhist statues imported to Japan from Korea(渡來像); Tori-style statues(止利式像) similar to those produced by Tori(止利, ?-?), who is said to be Japan’s first busshi(佛師); and Non-Tori style statues(非止利式像)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y have been major subjects of interest in Korean and Japanese studies. The Korean academia mainly estimated the country of origin of Buddhist statues imported to Japan from Korea or paid attention to them in comparison with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in the Three Kingdoms. On the other hand, Japanese academics, who had been conducting research from the early ages, looked closely at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among the Hōryūji Treasures and each statue’s formative and cast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However, through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se three groups of statues classified as contemporary, there was little interest in how they were related or the meanings these statues had in the overall process of Buddhist statue production in 7th-century Japan. In this thesis, the study of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among the Hōryūji Treasures, which had not been introduced in detail in Korean studies before grasping it, was reviewed along with Korean academic research to synthesize the study results of both Korea and Japan. Afterward, the formative and casting tech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of the Asuka period among the Hōryū-ji Treasures and Japan’s local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in the 7th century were examined, leading to the reconsideration of their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Japanese Buddhist art history. Since early times, it has been known that the four Buddhist statues imported to Japan from Korea among the Hōryūji Treasures were formatively and technically different from Buddhist statues made in Japan in the 7th century. The body’s natural proportions, the Buddha statue’s clothing, and the thin shape of the Pensive bodhisattva were similar to those made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Technically, only some had hollow-casting types(中空式) or solid-casting types(通鑄式), and many air bubble holes can be found throughout the statue. In addition, the copper component was a copper-tin alloy with low lead content or pure copp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also similar to other Buddhist statues imported to Japan from Korea. In the case of the four Tori-style statues, the relatively short body proportions, the Buddha statue’s unnatural clothing, the rectangular face, the thick folds of the clothes, and the symmetrical shape were observed. Technically, the entire statue was hollow-casting type using a copper-tin alloy with a low tin content, and traces of removing the iron core were confirmed, and there were almost no air bubble holes throughout the statue. These characteristics were in common with the statues produced by Tori busshi or related to them. The four Non-Tori style statues were highly related to the Buddhist statues imported to Japan from Korea. In terms of formativeness, the body proportions and the Buddha statue’s clothing were natural, Pensive Bodhisattva’s body shape was slender, and an asymmetrical expression was observed. Technically, only some of them were made according to hollow or solid casting types, or there are many air bubble holes throughout the statues, and only copper-tin alloy with low tin content was not used. However, as an exception, in the case of <N-156 Pensive bodhisattva>, the characteristics of Tori-style statues were also confirmed to have traces of iron core removal or the use of a copper-tin alloy with low tin content. As such, ... 호류지 헌납보물에는 총 49점의 아스카시대(飛鳥時代) 및 하쿠호시대(白鳳時代) 금동불상이 있다. 그 중 아스카시대 금동불상 12점은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래된 도래상(渡來像), 일본 최초의 불사(佛師)라 칭해지는 도리(止利)가 제작한 불상과 양식이 유사한 도리식 상(止利式像) 그리고 이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비도리식 상(非止利式像)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한국과 일본 학계의 주요한 관심대상이었다. 한국 학계에서는 주로 도래상의 제작국을 추정하거나 삼국시대 금동불상의 비교 대상으로 주목했다. 일찍부터 연구를 진행했던 일본 학계는 호류지 헌납보물 금동불상의 분류 방법이나 각 상의 조형적, 주조기법적 특징을 상세히 살폈다. 그러나 동시대로 분류되는 이 세 그룹의 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통해 이 상들이 어떠한 상호 연관성이 있는지 혹은 이 상들이 7세기 일본의 불상 제작 흐름 속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파악하기에 앞서 한국 학계에 상세히 소개되지 않았던 호류지 헌납보물 금동불상 연구를 한국 학계 연구와 함께 살펴보아 한일 양국의 연구 성과를 종합했다. 이후, 호류지 헌납보물 중 아스카시대 금동불상의 조형적, 주조기법적 특징과 7세기 일본의 국내외적 상황을 조명하여 일본 불교 미술사라는 맥락에서 그들의 의미를 재고해보았다. 호류지 헌납보물 중 도래상 4점은 일찍부터 7세기 일본에서 제작된 불상과는 조형적으로나 기법적으로 다르다는 점이 알려져 있었다. 자연스러운 신체 비례나여래상의 복제, 반가사유상에 보이는 가는 체형 등이 6-7세기 한반도에서 제작된 상과 유사했다. 기법적으로는 일부만 중공식으로 주조하거나 통주식으로 주조했으며, 상 전체적으로 기포 구멍이 많다. 또한 동의 성분은 납 함량이 적은 구리-주석 합금이거나 순동이다. 더욱이 이러한 특징은 일본에 현전하는 다른 도래상과도 유사하다. 도리식 상 4점의 경우, 조형적으로 짧은 신체 비례, 부자연스러운여래상의 복제, 장방형 얼굴, 두꺼운 선각의 옷 주름. 좌우대칭적인 형태 등이 확인된다. 기법적으로는 주석 함량이 적은 구리-주석 합금을 사용해 상 전체를 중공식으로 주조했으며, 철심을 제거한 흔적이 확인되고, 상 전반에 걸쳐 기포 구멍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은 특징은 도리불사가 제작했거나 그와 관련이 있는 상들과 상통한다. 비도리식 상 4점은 도래상과의 관련성이 많았다. 조형적으로는 신체 비례와 여래상의 복제가 자연스럽고, 반가사유상의 체형이 세장하며, 좌우대칭에서 벗어난 표현이 확인된다. 기법적으로는 일부만 중공식 혹은 통주식으로 제작하거나 상 전반에 걸쳐 기포 구멍이 많고, 주석 함량이 적은 구리-주석 합금만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제156호 상>의 경우, 철심을 제거한 흔적이나 주석 함량이 적은 구리-주석 합금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도리식 상의 특징도 확인된다. 도래상과 도리식 상의 특징이 혼재된 비도리식 상은 7세기 중반 신라의 삼국통일과 일본 내에서 벌어졌던 을사의 변이라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을사의 변을 계기로 도리불사의 후원자였던 소가씨(蘇我氏)가 멸망하자 도리 양식이라고 지칭할 수 있는 상들이 제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삼국통일로 인해 고구려와 백제에서 많은 유민들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도리 양식의 불상이 유통되지 않 ...

      • KCI등재

        <도리화가(桃李花歌)> 읽기와 창작배경설(創作背景說) 비판

        김종철(Jong cheol Kim) 판소리학회 2022 판소리연구 Vol.53 No.-

        그러나 <도리화가> 사설의 정보는 창작배경설의 그것과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 작품 속 ‘채선’의 현재 상황은 서울 생활을 반영하지 않으며, 화자(話者)의 발화에는 ‘채선’에 대한 상사(想思)나 연정(戀情)의 발화가 없다. 또 작중에 허구적으로 설정된 노인도 ‘채선’에 대해 애정의식을 보이지 않고 그녀의 노래 연창을 갈구할 뿐이다. 오히려 ‘채선’이 애정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그 애정 대상이 누군지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도리화가>의 사설 차원에서 보면 창작배경설은 하나의 그럴 듯한 허구일 뿐이다. 신재효가 <도리화가>를 지은 것은 첫째, 자신의 제자 진채선에 대한 찬사와 과시 욕구의 발로이다. 작품 제목과 작중 인물 채선을 뛰어난 제자를 뜻하는 ‘도리(桃李)’라 하고 그녀의 미모(美貌)와 명창(名唱)으로서의 기량(技倆) 묘사에 사설의 대부분을 안배한 것이 그 근거이다. 둘째, 진채선을 격려하기 위해 지었다. 작품에서 벽항궁촌(僻巷窮村)에서 고적하게 지내는 채선에게 희망을 갖도록 하고 노래에 힘쓰라고 당부하는 것이 근거이다. 셋째, 진채선이 신분상 겪는 질곡으로부터의 해방을 간접적으로 희망하였다. 작품 전체에서 세 번에 걸쳐 채선이 처한 신분적 질곡을 암시하고, 노인의 발화를 통해 채선의 처지를 바꾸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 그 단서이다. <도리화가>의 창작배경설을 지지하는 자료는 없는 반면 창작배경설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리화가> 연구는 무엇보다도 사설 자체의 치밀한 읽기로 귀환해야 한다. Until now, the reading of “Doreewha-ga” has strongly been influenced by the story of its origin: (1812-1884) wrote it for one of his female disciples, Chae-Seon Jin, with whom he had fallen in love. This story states that she stayed in Seoul for a long time due to King Kojong’s father; Jae-Hyo Shin suffered from, and wrote this piece to send it to her. However, the events of the story do not correspond analogically with those of the text of “Doreewha-ga”. In the text, Chae-Seon Jin does not stay in Seoul but in the countryside, the narrator’s narration does not imply lovesickness, and an old man,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text, does not have affection for her. This makes this story of its origin an interesting piece of fiction devoid of truth. A rereading of the text suggests the intentions of its creation to be as follows. First, Jae-Hyo Shin intended to praise and flaunt Chae-Seon Jin’s beauty and her excellent talent as a female singer through “Doreewha-ga”. Second, he tried to encourage her to have hope and to cultivate her talent. Third, he wanted to change her low social status that restricted certain of her human rights.

      • KCI등재

        조선 초기 목조건축물 상부가구 도리열 구조의 공포 형상 적용 및 변형

        이우종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조선 초의 여러 건물의 실내 도리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결구할 때 도리 방향의 수평재들, 즉 도리장혀와 뜬창방을 주두, 소로, 첨차, 화반 등과 어떤 방식으로 조합하여 공포의 형상, 즉 공포의 결구 방식 및 장식성을 실내 상부가구에 도입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포계와 주심포계에서 각각 특징적인 기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다포계의 초기 건물들에서는 도리 하부에 간략하게 재현한 공포들을 수평재 사이의 주간에 늘어놓아 상부공포대를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주심포계에서는 수평재들 위아래와 사이사이에 주두, 소로, 또는 첨차 등을 추가하여 대공이나 내주 위의 지지점에 유사 공포조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부가구에 공포 형상을 구현하였다. 이들 두 방식은 조선 초의 가장 이른 시기인 15세기 초까지는 각각 상당히 독자적인 성격과 질서체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5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일부 건물들에서 질서가 흐트러지고 두 계통의 수법이 서로 뒤섞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1484년의 개심사 대웅전 상부가구에서는 상부공포대와 유사 공포조직이 서로 상당한 정도로 융합된 결과물이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ystems of purlin-row frameworks in roof structures which include horizontal wood parts under pulins(dori) such as dorijanghyeos(wood strips supporting purlins) and ddeunchangbangs(lintels crossing in the roof structures) in wood buildings of early Joseon period, and their conditions of adapting shapes of gongpo system for structural and ornamental solutions. In dapo type buildings of late 14th and early 15th century, sangbugongpodaes(upper layer of gongpo in roof structures) were structured between dorijanghyeos and ddeunchangbangs, with cheomchas(bracket arm), soros(small supporting wooden blocks) and bokhwabans(decorated wooden board of camel’s hump). In Jusimpo type buildings of early 15th century, horizontal parts under pulins were directly thrusted into the frames of cheomchas, soros and judus(capitals) to form analogues of gongpo systems. In late 15th century, the orders of both methods disturbed and they were fused and transformed drastically in the roof structure of Gaesimsa Daeungjeon.

      • KCI등재

        三流道里表와 淸代의 內地유배

        김한밝 한국법사학회 2022 法史學硏究 Vol.66 No.-

        In legal history of China, there were three turning points in ostracism and exile punishments. First, the disappearance of spatial ostracism and the rise of social ostracism through corporal punishments. The second is the abolition of corporal punishments, which changed to the method of forced labor and exile. Over time, exiles began to be sent to the frontier areas of the empire, or to the military garrisons. On the other hand, the phenomenon of “exile in China proper” established in the early Qing can be understood as the third point. Instead of locating criminals in specific groups and regions and excluding them from general society, new system settled and managed criminals in prefectures in China proper.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enacted in 1743, was a tool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xiles. The difference in penalties of 2,000 li, 2,500 li, and 3,000 li, which had been only nominal regulations after the Tang Code, was reflected in the actual exile administration, and the exile distance became to used as real criterion for designating the place of exile. I tri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and the cause of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exile in the Qing Dynasty, through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In this article, I first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and emphasized the expansion and coercion of the designation of criminals based on the objective index of distance. Then, I calculated the expected inflow of exiles in each province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As a result,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exiles, which had been concentrated in 7 provinces, were dispersed in 17 provinces.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was revised three times after 1743, but the stated purpose at the time of the revision were to reflect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 correct errors in exile distance. However, when statistically examine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it is clear that the revision of the Chart for the Five Military Exiles was actively reflected. In the end, the exile in the Qing era was greatly influenced by military exile, from the idea of ​​sending offenders separately to each prefecture through the chart, to the actual compilation of the Chart for the Three Exiles. 중국의 법제사에서 추방–유배를 내용으로 하는 일군의 형벌을 되돌아보면, 크게 세 가지의 분기점이 존재했다. 첫 번째 분기는 공간적 추방이 소멸하고 肉刑을 통한 사회적 추방이 우위를 점하게 된 것이다. 두 번째 분기는 肉刑의 폐지와 더불어 죄인을 노역, 유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화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유배형은 국토의 변경지역, 군대를 주된 配所로 삼게 되었다. 한편 淸初에 일어났던 ‘內地 州縣의 配所化’라는 현상은 세 번째 분기로 이해할 수 있다. 더 이상 죄인을 특정집단, 특정지역에 배치하여 일반사회로부터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內地의 州縣에 안치하고 관리하는 형태로 변화했던 것이다. 乾隆8년 제정된 「三流道里表」는 이러한 內地 유배범의 배치규정으로, 唐律 이후 명목상의 규정에 그치고 있었던 流二千里, 流二千五百里, 流三千里의 형량 차등을 실제 유배행정에 반영하여, 해당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죄인을 유배하기 위한 도구였다. 본고는 淸代 流刑의 집행, 특히 配所가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양상과 그 원인을 三流道里表를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三流道里表의 구조를 분석하고, 道里表를 통한 流刑의 집행이 이루어지게 된 원인으로 거리라는 객관적인 지표를 통한 配所 지정의 확대 및 강제를 강조하였다. 이후 各省별 ‘예상유입 流犯인구’를 산출하여 道里表 제정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곱 省에 집중되어 있었던 流犯이 17省으로 분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三流道里表는 乾隆8년 이후에도 세 차례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개정 당시 명시한 목적은 행정구역의 개편을 반영하고 거리의 오류를 바로잡는 것이었다. 그러나 개정의 내용을 통계적으로 살펴보면, 充軍의 道里表인 五軍道里表의 개정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淸代 流刑의 집행은 道里表를 통해 內地 各州縣에 죄인을 고루 나누어 보낸다라는 발상부터, 그 道里表의 실제적인 편찬에 이르기까지 充軍의 집행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 KCI등재

        근세 한국과 중국의 道里記체계 비교연구

        도도로키 히로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4 한국고지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조선왕조시대의 도리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중국의 도리기와의 비교 분석이라는 시각이 누락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비교를 통해 서로간의계보적 영향력 전파의 유무와, 내용에 나타나는 양자의 편찬목적과 이용실태의 차이, 아울러 내용에 투영된 양국의정치지리적 사회지리적 차이 등 세 가지를 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조선왕조에서는 주된 도리기류인 『도로고』, 『동국문헌비고』 여지고 도리조, 조선광문회본 『도리표』, 김정호의 『대동지지』 등이며, 중국 쪽에서는 선행연구가 풍부한 명대의 『일통노정도기』와 청대의 『흠정대청회전사례』 역로조 등 두 서지이다. 그 결과, 경유지명의 선택과 표기, 이정 표시, 노선 분류 등 양자 간에 상당한 유사점이 확인되어, 계보적인 교류의 존재가 확실해 보였다. 한편 조선왕조 쪽 도리기에는 중국 쪽과 달리 상업 등 민간을 겨냥한 잡다한 정보가 없는 대신, 산천 등 자연지리적 정보와의 융합을 기초로 하는 등, 실용성과 함께 국가적 지리인식 표출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xisting studies on Dorigi(道里記) Itinerary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missing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on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politically and culturally each other. Through comparison, I have analyzed three axes: the presence of genealogical influence spread each other, the differences in the purposes and usage, and the ge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subjects of analysis include major “Dorogo(道路考)”, Yeojigo Dorijo from “Dongguk Munheonbigo”(東国文献備考輿地考道里条), “Doripyo(道里表)”, and Kim Jeong-ho(金正浩)’s “Daedongjiji(大東地志)”, in Josen Korea, and two Chinese Dorigi Itineraries, one from Ming Dynasty and the other from Qing Dynasty. As a result,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nations were confirmed in the selection and notation of place names, marking of transit points, and classification of routes, making the existence of genealogical exchanges each other seem certain. Meanwhile, unlike the Chinese side, the Joseon Dynasty's Dorigi did not contain miscellaneous information targeting the private sector such as commerce, but instead was based on the fusion of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mountains and streams with reads, confirming a tendency to place more importance on expressing national geographical awareness than practicality.

      • 『다와레구사(たはれ草)』에 나타난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의 ‘도(道)’

        김금선 ( Jin Jin-sha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4 No.0

        『다와레구사』는 호슈가 만년에 남긴 수필집으로, 『깃소사와』와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본고는 『다와레구사』속에 나타난 ‘도(道)’를 통해, 저자가 이 작품 속에서 밝히고자 하는 정치·경제·문화·학문에 관한 도리나 방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정치에 나타난 ‘도(道)’는 남녀관계, 대비 대책, 정치 방법 등의 서술에서 보이는데, 이를 통하여 올바른 남녀관계의 도리가 강조되었고, 국가나 가정 모두 재앙에 대한 대비를 미리 해두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정치는 위정자의 현명한 판단이 중요하다는 도리가 깊이 있게 표현되어 있다. 둘째, 경제에 나타난 ‘도(道)’는 일본의 철은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에, 멋대로 채굴하여 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설명하였고, 또 재물을 모으는 방법과 재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리고 윗사람이나 아랫사람이 도리에 맞지 않게 재물을 모으면, 낭비하게 된다는 도리를 밝히며, 자원 보호, 근검절약, 사치 금지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문화에 관한 글에서는, 나라나 시대마다 사정이 다르기에, 그 나라나 그 시대의 추세(勢)를 잘 살펴야 한다는 도리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세상은 함께 사는 것, 고정관념을 가지고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것, 우열 관계가 없다는 것, 모든 이를 평등하게 대하면 인의(仁義)가 행해진다는 도리를 강조하여, 호슈의 상대주의 사상과 세계관이 선명하게 표출되고 있다. 넷째, 학문에 관한 글에서 호슈는 깨달음의 중요성, 정확한 판단의식의 중요성, 권선징악의 도리와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한편, 유불선 삼교(三敎)는 판단기준이 다를 뿐, 세상의 이치는 하나라는 도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는 주희의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waregusa”,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by Amenomori Hosyu in his later years, is his greatest work, together with “Gissosawa”. On the basis of the use of ‘Tao’ (道) in ‘Dawaregusa’, this article examines the optimal avenues of politics, economics, culture, and science which the author identifies in this work. Firstly, for Hosyu ‘Tao’ is evident in politic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exes, in political methods and countermeasures, and so on. He emphasizes the right way of pursuing a romantic relationship,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a country or a house for disaster in advance.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work is highlighted through his emphasis on the principle that the wise judgment of politicians is important. Secondly, in the essay on the economy, Hosyu explains that there should be a ban on the export of Japanese iron because it is a finite resource, and he also discusses how people should accumulate wealth and use it. The topics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rift and saving, and bans on excessive luxury are also effectively discussed, with Hosyu arguing that if older or younger people gain wealth beyond their needs, they eventually end up wasting money. Thirdly, in his essay on culture, Hosyu emphasizes tha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or era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because circumstances vary. And his ideas on relativism and diverse worldviews are clearly expressed through his focus on the principle of living together productively and not discriminating on the basis of stereotypes. He argues that there is no inherent superiority or inferiority among people, and that righteousness is achieved by treating everyone equally. Fourthly, in relation to science, Hosyu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enlightenment and accurate judgment, and also the principle of ensuring the fair administration of justice and of a productive mental attitude. Meanwhile, he argues that the three religions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have explained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r axioms of the world are constant, and this idea corresponds to Juhui’s saying that ‘The world’s logic is one’.

      • KCI등재

        다와레구사(たはれ草)에 나타난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의 ‘도(道)’

        金錦善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4 No.-

        “Dawaregusa”, a collection of essays written by Amenomori Hosyu in his later years, is his greatest work, together with “Gissosawa”. On the basis of the use of ‘Tao’ (道) in ‘Dawaregusa’, this article examines the optimal avenues of politics, economics, culture, and science which the author identifies in this work. Firstly, for Hosyu ‘Tao’ is evident in politic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exes, in political methods and countermeasures, and so on. He emphasizes the right way of pursuing a romantic relationship,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preparing a country or a house for disaster in advance.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work is highlighted through his emphasis on the principle that the wise judgment of politicians is important. Secondly, in the essay on the economy, Hosyu explains that there should be a ban on the export of Japanese iron because it is a finite resource, and he also discusses how people should accumulate wealth and use it. The topics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rift and saving, and bans on excessive luxury are also effectively discussed, with Hosyu arguing that if older or younger people gain wealth beyond their needs, they eventually end up wasting money. Thirdly, in his essay on culture, Hosyu emphasizes tha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or era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because circumstances vary. And his ideas on relativism and diverse worldviews are clearly expressed through his focus on the principle of living together productively and not discriminating on the basis of stereotypes. He argues that there is no inherent superiority or inferiority among people, and that righteousness is achieved by treating everyone equally. Fourthly, in relation to science, Hosyu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enlightenment and accurate judgment, and also the principle of ensuring the fair administration of justice and of a productive mental attitude. Meanwhile, he argues that the three religions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have explained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r axioms of the world are constant, and this idea corresponds to Juhui’s saying that ‘The world’s logic is one’. 다와레구사는 호슈가 만년에 남긴 수필집으로, 깃소사와와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본고는 다와레구사속에 나타난 ‘도(道)’를 통해, 저자가 이 작품 속에서 밝히고자 하는 정치·경제·문화·학문에 관한 도리나 방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정치에 나타난 ‘도(道)’는 남녀관계, 대비 대책, 정치 방법 등의 서술에서 보이는데, 이를 통하여 올바른 남녀관계의 도리가 강조되었고, 국가나 가정 모두 재앙에 대한 대비를 미리 해두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정치는 위정자의 현명한 판단이 중요하다는 도리가 깊이 있게 표현되어 있다. 둘째, 경제에 나타난 ‘도(道)’는 일본의 철은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에, 멋대로 채굴하여 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설명하였고, 또 재물을 모으는 방법과 재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리고 윗사람이나 아랫사람이 도리에 맞지 않게 재물을 모으면, 낭비하게 된다는 도리를 밝히며, 자원 보호, 근검절약, 사치 금지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문화에 관한 글에서는, 나라나 시대마다 사정이 다르기에, 그 나라나 그 시대의 추세(勢)를 잘 살펴야 한다는 도리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세상은 함께 사는 것, 고정관념을 가지고 차별해서는 안 된다는 것, 우열 관계가 없다는 것, 모든 이를 평등하게 대하면 인의(仁義)가 행해진다는 도리를 강조하여, 호슈의 상대주의 사상과 세계관이 선명하게 표출되고 있다. 넷째, 학문에 관한 글에서 호슈는 깨달음의 중요성, 정확한 판단의식의 중요성, 권선징악의 도리와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한편, 유불선 삼교(三敎)는 판단기준이 다를 뿐, 세상의 이치는 하나라는 도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는 주희의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다.’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