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Numinous emptiness (虛靈), wise-awakening (知覺), and divine beings (神明) in the Scripture of the Black Tortoise (Hyeonmu-gyeong) are often mentioned as characteristic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Accordingly, this research take up the ‘Che-Yong (substance, 體 and function, 用)’ of mind by classifying numinous emptiness as Origin-Substance (本體), wise-awaking as function, and divine beings as subjects. Numinous emptiness enables an individual to have been born with Li (理) of Taegeuk (太極), which is a mandate from Heaven and the nature of humanity; whereas one embodies spirit and brightness mind based on Origin-Substance. This numinous emptiness of mind is precisely the mind-spirit. Wise-awakening is a function of mind, which actually awakens numinous emptiness (理) and objects (氣). The mind which realizes the Li of Taegeuk as numinous emptiness is conscientiousness and can be taken as a Dao-Mind. The mind which desires objects refers to the Human Mind or a selfish motive. Such propensity in terms of wise-awakening determines the state of mind. One should reach the state of a quiet mind by wisely awakening through the scripture. Divine beings correspond to metaphysical Origin-Substance and physical objec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y comprehend all and preside over wise-awakening as subjects. The subject recognizes wise-awakening and responds to it. Mind is a path traveled upon by divine beings as they enter and exit. In this regard, the human mind refers to the organ used by immanent deities, which accumulates physical senses, innermost mental processes, and awakened activities. Furthermore, Transcendental deities also come in and out through mental correspondence, leading to changes in one’s physical constitution or personal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mind perceived in Daesoon Thought as follows: first, besides the existing spiritual perspective, the research takes a view on surveying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in Neo-Confucianism. Secondly, the Che-Yong of mind is closely looked into by means of innate numinous emptiness as Che and wise-awakening as Yong. Lastly, the essence, energy, and divinity as well as spiritual soul and physical soul are mentio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immanent deity. The paper also clarifies the fact that divine beings preside over the mind as subjects. 본 논문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대순사상의 마음을 살펴본 것이다. 『현무경』의 허령ㆍ지각ㆍ신명은 주자학에서 마음의 특질로 언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로서의 허령, 작용으로서의 지각, 주체로서의 신명으로 나누어 마음의 체용과 주재에 대해 논하였다. 허령은 태극의 리(太極之理)가 개인에게 품부된 것으로, 이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령이고, 사람에 있어 본성이며, 마음에 있어 본체로서 허령불매하다. 이 마음의 허령은 곧 심령이라고도 한다. 지각은 마음의 작용으로, 지각되는 것은 허령(理)과 사물(氣)이다. 허령인 태극지리를 지각하는 마음은 양심으로 천성인 도심을 말하며, 사물과 접하여 생기는 마음은 사심인 인심을 말한다. 이렇게 지각하는 방향성에 의해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경(敬)을 통해 천리를 지각하고 마음을 안심의 상태에 이를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신명은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사물에 각각 대응하여 그것을 총합하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사람의 주체로 지각을 주재한다. 마음은 신이 드나드는 길이라고 할 때, 사람의 마음은 정신혼백이 외부사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는 신체적인 감각과 내부의 정신적 사려와 지각활동이 총합되는 내재신의 용사기관을 말한다. 또한 마음에는 외재신이 감응하여 출입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체질이나 성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첫째, 기존의 유심론적 관점을 탈피하여 주자학의 허령ㆍ지각ㆍ신명으로 조망 할 것을 언급하였다. 둘째, 천지에서 품부 받은 허령을 체로하고 지각을 용으로 보아 마음의 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정기신과 혼백에 대한 내재신의 개념을 언급하고, 주체로서 신명의 주재함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왕양명의 良知論에서 ‘虛靈’의 위상과 작용

        박성호(朴成浩)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5

        본 논문은 왕양명의 양지론에서 ‘허령(虛靈)’의 위상과 그 작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맹자에 연원한 양지는 양명에 의해 순수지선한 천명지성(天命之性) 그 자체가 스스로의 밝은 빛을 드러내는 명각(明覺)으로서의 양지로 재규정된다. 허령불매(虛靈不昧)한 양지는 양명학이 양지를 중심으로 주체적이고 역동적인 철학을 만들어가는 위상을 갖게 하였다. 양지의 허령불매한 작용은 그의 저술인 「대학문(大學問)」에 특징적으로 드러나 있다. 「대학문(大學問)」에는 『대학』에서 제시한 ‘선을 행하고 악을 제거하는 공부’인 수신(修身)을 양지를 중심으로 격물 · 치지 · 성의 · 정심의 공부순서로 전개하고 있다. 이 같은 일련의 공부과정에서 양지는 의식구조 안에서 존재하면서 허(虛)라는 존재론적 본체와 령(靈)이라는 인식론적 작용을 통해 의념작용의 본체이면서 동시에 의념판단의 주체로서 의념의 선악을 감독하고 시비를 판단하며 나아가 악을 제거하고 선으로 나아가게 하는 주체적인 역할과 작용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status of Xuling(虛靈) and its operation in Wang Yangming’s Liangzhi(良知) Theory. Liang zhi, which is based in Mencius’s philosophy, is redefined by Yangming as Mingjue(明覺), which is the nature of the Heavenly Mandate(天命之性) of the pure supreme goodness that emits its own bright light. Liang zhi as being empty, numinous, and unobscured(虛靈不昧) made Yangmingism a status of creating a subjective and dynamic philosophy, based on Liang zhi. Liang zhi’s function as being empty, numinous, and unobscured is characteristic of his writing, Inquiry on the Great Learning(大學問). Inquiry on the Great Learning tells self-cultivation(修身), which is told ‘the study to do good and to remove evil’ in the Great Learning, the order of study: Investing into things(格物), attaining the utmost knowledge(致知), making the thoughts sincere(誠意), and rectifying the heart(正心). In this series of the studies, Liangzhi, which is existing in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supervises the good and evil of thoughts, judges the right and wrong, and plays a subjective role and function by removing the bad and doing the good through Xu(虛) of ontological essence and Ling(靈) of epistemological function.

      • KCI등재

        조선후기 유학에서 허령지각과 지의 논변 -송시열, 김창협, 한원진을 중심으로-

        조남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The academy of the latter Cho Sun Dynasty mainly discussed ‘li-qi in mind’, and debated on ‘four beginnings seven emotions’. Because of it the ‘spiritual consciousness’ and ‘wisdom’ were deeply argued. And then ‘spiritual consciousness’ was transformed to ‘wisdom’ which is one of the five natures. And this investigated the controversy whether the nature of man and the nature of things are the same or not and the cultivation of wei fa of spiritual bright consciousness. This is the one of the academic results of Cho Sun Dynasty. When Lo, Jin-Sun had studied the academic meaning of Kun zhi ji, Cho Sun academy denied that after Zhen, Xian-Chang, Wang Yang Ming, Mying Dynasty’s academy went to the philosophy of mind getting out of Zhu Xi scholar, and wanted to build more pure and complete it(Zhu Xi scholar). This is the process of academic differentiation between Cho Sun and Ming Dynasty. And in the debate of four beginnings seven emotions Lee Hwang persist ‘li qi two ways’, and Lee Yi presented one way of Xin Sing Qing. These two principles influenced the debate after this. Yul Kok scholar, namely, Song Shi Yol, Yun Zeung, Park Se Che, Lee Hi Zo, Kim Gan, Min Un Hyu, Han Yon Jin were on the side of Lee Yi and accepted spiritual consciousness. The independent Kim Chang Hyop from the school of Yul Gok insists that the wisdom of ‘right and wrong’ about five nature and four beginnings belongs to the original nature, they say ‘right and wrong’ is an action of wisdom, and they point out it is different from the spiritual consciousness which is an action of mind. It seems that this view of Kim Chang Hyop sustains the ‘li qi two ways’ of Lee Hwang. In the academy, it is called that Kim Chang Hyop compromised these two, Lee Hwang and Lee Yi. this is from his view of an action of wisdom. 조선후기의 학계는 주로 심성 리기문제를 논의하면서, 특히 사단 칠정의 문제에 천착하였는데, 이 주제로 말미암아 허령지각과 지의 문제로 깊이 들어가 토론하게 된다. 이후 다시 허령지각으로부터 오성 가운데 하 나인 지의 문제로 전화되어, 인물성 동이 문제와 허령불매의 미발공부를 탐구한다. 이것은 모두 조선학계의 성과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조 선학계는 나흠순이 지은 『곤지기』의 학문적 의의를 탐구하였는데, 명대 학 술이 진헌장과 왕양명 이래 주자학을 벗어나 심학화하는 것을 부정하고, 더욱 순수하고 완전한 주자학을 건립하고자 했다. 이것은 조선과 명, 두 나라 학술의 분화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더욱이 사단칠정 논변 가운데, 이황은 리기호발설을 주장하고, 이이는 심성 정의 일로설을 제시하였는데, 이 두 가지 종지는 모두 이후의 논변에 영향 을 끼쳤다. 율곡학파 예를 들면 송시열, 윤증, 박세채, 이희조, 김간, 민언 휘, 한원진 등등의 학자는 모두 이이의 이러한 종지에 서있고. 대체로 마 음의 작용인 허령지각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율곡학파에서 독립적인 김창 협 일파는 오성과 사단의 시비의 지는 본성에 속하고, 시비는 지의 작용이 라고 말하여, 마음의 작용인 허령지각과 다르다고 지적한다. 김창협의 이러 한 견해는 이황의 리발설을 지지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일반적 으로 김창협은 이황과 이이 둘을 절충하였다고 하는데, 이러한 모습도 그 의 이 같은 지의 작용이라는 견해에서 볼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湖論의 학풍과 사상의 전승

        권오영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3 No.-

        Han Won-jin(1682-1751), a representative Horon(湖論) scholar of the 18th century and the recognized successor to Yi Yi, Song Si-yeol, and Kwon Sang-ha, endeavored to transmit the doctrine of moral duty an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Joseon Neo-Confucianism. On nature, he thinks that the proposition of "nature as principle"(性卽理) is not satisfactory and hence interprets nature as "the principle which is immanent in material force(氣)." And on heart-mind(心), he insists on a new assumption of "heart-mind is temperament(氣質)"; this is based on Yi Yi's doctrine of "heart-mind is material force." Han's theory i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existing propositions, that of "heart-mind is a combination of the principle and the material force" or "heart-mind is clear and bright material force(精爽) which involves the capacity to think(靈明)." This is one aspect of Joseon Neo-Confucianism that clearly diverges from Chinese Neo-Confucianism. Han Won-jin and Yun Bong-gu who are both Horon scholars agree that heart-mind is temperament, which therefore means good and evil are inherent in the heart-mind. However, their opinions diverge on whether illustrious virtue(明德) is heart-mind or nature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t levels(分數) of vacuous spirit(虛靈) or not. Han Won-jin considers illustrious virtue as heart-mind; by contrast, Yun Bong-gu regards it as nature. Also, Han Won-jin thinks there aren't different levels of vacuous spirit. Yun Bong-gu, however, takes on a more conservative view based on Yi Yi's doctrine and insists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vacuous spirit, thereby emphasizing the difference between sages and ordinary people. But in early 19th century, Horon scholars are criticized by Nangnon(洛論) scholars and thus transmission of Han Won-jin's theory within the Horon school falls into a decline. But in late 19th century, Yi Seol, Kim Bok-han, and other scholars state their intent to succeed the theory of the Horon school and devoted themselves to the historical mission of fighting against foreign powers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 Represented by Han Won-jin and Yun Bong-gu, Horon scholars who pride themselves as orthodox successors to Yi Yi, Song Si-yeol, and Kwon Sang-ha clearly manifes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by ceaselessly advocating new theories on heart-mind and nature. 18세기 호론을 대표하는 한원진은 이이․송시열․권상하의 嫡傳을 이은 학자로 의리론의 계승과 조선주자학의 정립에 힘썼다. 그는 性에 대해, 우선 性卽理라는 명제를 미비하다고 보고, 性은 곧 ‘氣에 내재된 理’라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心에 대해서는 이이의 心은 氣라는 학설을 계승하여, ‘心은 곧 氣質이다’라는 새로운 설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설은 기존에 일반적으로 心을 ‘理와 氣가 합해 있는 것’이라거나 ‘氣의 精爽(靈明)’으로 본 견해와는 분명히 다른 이론으로, 중국 주자학과는 다른 이른바 조선주자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원진과 윤봉구는 같은 호론 학자로서, 心을 氣質로 보아 心에 善惡이 있다는 대전제는 서로 같았지만, 明德을 心으로 볼 것인가 性으로 볼 것인가, 虛靈에 分數가 있는가 없는가 라는 문제에 있어서는 의견을 달리하였다. 한원진은 명덕을 心으로 본 반면 윤봉구는 명덕을 性으로 보았고, 한원진은 허령에 분수가 없다고 본 반면, 윤봉구는 이이의 학설에 근거하여 허령에 분수가 있다고 보아 성인과 범인의 차이를 강조하는 보다 더 보수적인 성향을 지녔다. 허령에 분수가 없다는 한원진의 설은 그의 제자 김한록이 허령에서는 선악을 말할 수 없다는 주장으로 진전되었다. 그런데 호론 학자들은 한원진의 사상의 계승과정에서 낙론학자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고, 심지어 같은 충청 학계의 金正黙 등 일부 학자들로부터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론의 학맥과 학설에 대해서는 19세기 초엔 李度中 등이 후원을 하고 있었고, 19세기 말에는 李偰과 金福漢 등이 그 계승을 표명하고 나섰다. 한원진과 윤봉구를 대표로 하는 호론은 자신들이 송시열과 권상하를 잇는 학통의 정통 계승자임을 자부하면서, 부단히 心과 性에 대해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여 조선주자학의 특징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준 기호학맥이었다.

      • KCI등재

        김재해의 지각론과 미발론

        최천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 Vol.53 No.-

        소론 철학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만큼 소론 철학의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저서를 발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金載海의 유고인 『雙湖草稿』는 소론 철학의 통일성과 흐름을 파악하는 데 더없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여기에 수록되어있는 글들은 한편 한편이 성리학의 핵심 주제에 대한 완성된 논문의 성격을 띠고 있고, 호론․낙론과의 논쟁을 거치며 소론의 견해를 집약해놓은 것이어서 소론 철학의 특징을 밝혀가는 기폭제가 되기에 충분하다. 외부의 자극을 인지하고 이에 대해 반응하는 기제를 知覺이라 하는데 이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학파를 형성한다. 이이․송시열을 계승한 호론에서는 그 사람의 기질이 그 사람의 지각을 결정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지각론에 따르면, 윤리 의식도 지각의 범주 안에 들어있는 것으로서 禮를 배우고 익혀야만 비로소 발현된다. 이에 반하여 김재해는 마음의 기인 神明과 육체의 기인 形氣를 엄밀히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심층의식과 감정을 체와 용으로 구분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결국 심층의식이 安定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어떤 사태를 만나도 적절한 지각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지, 심층의식이 안정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부적절한 지각 반응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어떤 학파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지각은 생존을 위한 반응이어서 이기적인 면모를 띠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러한 이기적인 면모가 개입되지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상정하게 되는데 이것을 未發이라고 한다. 호론에서는 기질이 아예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미발로 보고, 김재해는 심층의 순수의식을 미발로 본다. 김재해의 지각론과 미발론을 다른 소론 학자들의 견해에 견주어보면 주장하는 바가 대체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허령을 심층의 순수의식으로, 지각을 감정으로 구분한 뒤 허령을 실질적인 리로 보는 것이 소론 철학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소론학계의 知覺논변

        김윤경(Kim, Yun-Gyeong)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8

        본 논고는 조선후기 소론학계 知覺논변의 흐름을 고찰한 것이다. 당대의 많은 학자들 사이에 거론되는 민이승과 김창협 知覺논변은 이후 노론학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知覺논변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호락논쟁의 형성 및 노론학계의 지각론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본 논고에서는 知覺논변 당시 민이승의 견해가 이에 앞선 정제두와의 良知논변에서 재정립된 것이며 소론학계 내부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하고 당시 소론학계 知覺논변의 흐름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이세필, 최석정, 민이승, 정제두, 윤증, 박세채 등을 중심으로 하는 17-18세기 소론학계의 知覺논변은 연속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진행된 것은 아니었으나, 논변을 거듭할수록 知覺과 性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갔다. 당시 知覺논변은 1. 『心經釋疑』교본을 중심으로 한 虛靈논변, 2, 정제두와 민이승의 良知논변, 3. 민이승과 김창협의 知覺논변, 4, 심육의 논평과 知覺說. 이라는 네 가지 부분으로 정리될 수 있다. 虛靈논변은 이세필이 『心經釋疑』교본의 작성자인 송시열, 그리고 스승인 윤증과 박세채에게 虛靈知覺의 속성을 묻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정제두와 민이승의 良知논변은 민이승이 良知와 天理를 동일시하는 정제두를 비판한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민이승은 良知, 知覺의 근거인 性理의 속성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수정하여 이 내용을 김창협과의 知覺논변에 그대로 적용시켰다. 민이승은 김창협과의 知覺논쟁에서 心과 性, 知覺과 智를 분리하지 않는 정제두의 입장을 견지했던 것이다. 그러나 정제두의 문인인 심육은 김창협처럼 智,性,理와 心, 知覺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도 각각의 고유영역을 지니는 것으로서 절대 혼동해서 안 된다고 보았으나, 性을 단지 지각대상으로만 보는 것은 긍정하지 않았다. 그는 정제두처럼 ‘형세의 조리’와 ‘도덕 판단과 실천’이라는 두 층차에서 性을 구분하고 각각 지각 원리와 지각대상으로 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知覺논의는 근본적으로 理, 性의 개념 차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전제로 할 때 도덕적 주체, 주재성의 확보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다. 조선 후기 소론학계의 知覺논변은 이 두 가지 경향이 공존하며 학인들 간에 학문적 성향이 다르더라도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소통하는 일면을 보여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flow of argument on perception (知覺) in the Soron academic circl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the argument on perception between Min Yi?seung and Kim Chang?hyeop, which was well known among the scholars in those days,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later on the Noron academic circle, previous discussions on the argument on percep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formation of the Horak debate(湖洛論爭) and the perception theory in the Noron academic circle. This study, however, considered it necessary to confirm that Min Yi?seung’s view during the argument on perception was re?established in the earlier argument on intuitive knowledge with Jeong Jae?doo and that there had already been discussions on it within the Soron academic circle, and to review the flow of the argument on perception in the Soron academic circle in those days. The argument on perception in the Soron academic circle led by Lee Se?pil, Choi Seokjeong, Min Yi?seung, Jeong Jae?doo, Yoon Jeung, Park Se?chae, etc.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was not made systematically with continuity, but as debates were repeated, discussions on perception and nature (性) developed into depth. Argument on perception in those days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1. argument on vacuous spirit centering on textbook 『Simgyeongseokeui(心經釋疑)』 ; 2. argument on intuitive knowledge between Jeong Jae?doo and Min Yi?seung; 3. argument on perception between Min Yi?seung and Kim Chang?hyeop; and 4. junior scholar Shim Yook’s criticism and his perception theory. Discussions on perception basically take place due to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reason and nature, and depending on the definitions of the concepts, the moral subject and the placement of dominance go in a totally different direction. The argument on perception in the Soron academic circl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at the scholars shared the consciousness of philosophical problems and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although there were two tendencies and different scholastic inclinations.

      • KCI등재

        왕양명의 치양지와 소태산의 삼학 비교 연구 - 허령불매(虛靈不昧)와 정신수양을 중심으로 -

        박성호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3 한국종교 Vol.5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왕양명의 핵심사상인 ‘치양지’와 원불교 소태산의 수행강령인 ‘삼학’을 내용과 실천 방법 차원에서의 비교 연구를 통해 수행상 핵심개념 간의 내재적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연구범주를 삼학 중 정신수양으로 한정하고 이후 사리연구와 작업취사로 순차적인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내용상에서 양지의 ‘허령불매(虛靈不昧)’와 소태산의 ‘정신’을 비교하였다. 소태산은 정신을 마음이 두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경지라 이름하는데 여기서 고요하다는 것은 양지의 존재론적 속성인 허(虛)와 통하고, 두렷하다는 것은 양지의 인식론적 속성인 령(靈)과 통한다. 또한 불매(不昧)는 그 영지를가로막는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지와 정신이 모두 ‘텅 비어 고요한 가운데 영령한 인식작용을 갖추고 있는 내심의 본래 상태’를 의미한다는 점과 그것들이 성품과 둘이 아닌 통일적 구조에서 성 자체의 본래적 비춤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그 동질성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실천 방법상에서 살펴보면 양명의 ‘정좌(靜坐)’와 소태산의 ‘좌선(坐禪)’은 모두 정할 때 있어서는 내심의 집중을 통해 모든 번뇌와 망상을 제거함에 따라 정신이 항상 고요하고 맑은 상태를 갖도록 하였고 동할 때 있어서는 주어진 일마다 일심 집중하는 단련을 통하여 정신의 온전함을 확보함으로써 동정일여(動靜一如)의 공부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그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향후 양명의 수행 방법의 결론인 사상마련(事上磨鍊)과 소태산의 수행 방법의 결론인 무시선법(無時禪法)과의 비교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ntrinsic connections between the essential concepts of practice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Wang Yang-ming’s core idea, Zhiliangzhi(致良知), and The Threefold Study(三學), which represents the code of conduct advocated by Sotaesan in Won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methodology. However, this paper narrows its scope to concentrate on the notion of cultivating the spirit among the Threefold Study. Subsequent comparative studies and further analysis will be conducted in a sequential manner. Firstly, from a content perspective, the notion of “spirit” according to Sotaesan was analyzed alongside liangzhi(良知)’s “xuling bumei(虛靈不昧).” Sotaesan describes the mind as a state of clarity and tranquility, free from discernment and attachment. Herein, the tranquility is synonymous with “xu(虛),” an ontological attribute of liangzhi, while clarity resonates with ling(靈), liangzhi’s epistemological attribute. Moreover, “bumei(不昧)” can be understood as the absence of discernment and attachment that obstructs its spiritual wisdom. This comparison reveals that both “xuling bumei” and ”spirit“ signify ”the intrinsic essence of the heart, suffused with spiritual perception, amidst emptiness and tranquility.” Subsequently, when examining their practice methods, both Yang-ming’s “quiet sitting(靜坐)” and Sotaesan’s “sitting meditation(坐禪)” stress achieving a consistently calm and clear state of mind by eliminating all disturbances and delusions through deep inner concentration. When in action, they both encourage unwavering concentration on each given task, ensuring mental wholeness and mirroring the practice of One Suchness in Action and Rest(動靜一如). Such parallels hint at future comparative explorations between Yang-ming’s approach of cultivating liangzhi in eveyday life and Sotaesan’s Timeless Meditation technique.

      • KCI등재

        17세기 우암(尤庵)학단의 허령(虛靈)개념 논변

        이선열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8 No.-

        在朱子學中所謂的虛靈形容心所具有的本來之特征。直到17世紀, 朝鮮흔少有學者關注虛靈這一槪念, 而以李珥對陳淳與盧玉溪的批判爲契机, 在尤庵學派中開始正式地受重視。 陳淳的爭論焦点爲心之虛靈是源于理氣之合, 還是氣本身所內在的固有性格, 他視虛靈爲理氣之合。對此金幹批判說, 虛靈是心氣本身所具有的特征, 是非理氣之合的。相反, 鄭纘輝支持陳淳的觀点, 認爲虛靈是理氣之合的, 主張心之虛靈知覺有使之得以可行的理。兩人的觀点差異歸結爲對心之能動性是心氣本身所固有的屬性, 還是源于理的作用這一問題的立場差異, 這同時 反映着對心體之位相與作用的立場差異。宋時烈大體上支持金幹的觀点。 宋時烈對盧玉溪的觀点中明학反映着自己對虛靈的認識。盧玉溪把虛靈分爲兩個不同的槪念, 卽虛與靈, 幷規定爲未發與已發之狀態。鄭纘輝與 金幹接受李珥的觀点, 把虛靈視爲融合未發與已發的心之全體的特征。宋時烈區分虛與靈, 主張兩者均屬于未發的狀態中, 幷加以新的解釋。他解釋 虛與靈爲接受對象事物幷加以感應的知覺之根据。這충觀点刻畵了虛靈 之能動的一面, 幷規定爲心的未發之狀態, 與强化心體之地位的試圖有關。而這충虛靈論同知覺之淵源問題皆爲論爭之對象。 本文通過對圍繞虛靈這一槪念的論辯, 試圖揭示了17世紀尤庵學派把李珥的問題意識傳承到18世紀湖洛論爭之一過程的一個側面。

      • KCI등재

        퇴계사상의 종교성에 관하여

        황상희 ( Hwang Sang-hee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1 No.-

        주자에게 있어 理란 情意도 없고, 計度도 없으며, 造作도 없다고 했는데 퇴계는 이를 `發`ㆍ`動`으로 정의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到`라고 말하였다. 理를 이법적으로 해석할 때 `發`과 `動`은 體用論으로 가능하지만 `到`의 영역은 이법을 넘어서 주재적 理로 해석할 수 있다. 이 한반도는 고대로부터 조선시대 말기까지 上帝가 민족의 언어와 의식 속에 살아 있었다. 이 논문은 주재적 理의 표현인 理到說을 上帝와 연결해서 풀어낸 흔적이다. 上帝란 최고의 조상신이다. 퇴계는 제사를 흠향하는 鬼神에 있어서도 화롯불이 꺼졌지만 온기가 그대로 남아 있듯이 사람이 죽어서도 그 영혼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퇴계는 조상님이 실제로 살아서 제사를 흠향한다고 말한다. 제사의식의 집중이란 내 밖에 존재하고 있는 성스러운 대상이 나에게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지만 사실적인 감각으로 느낄 수 있으며 즉 두려움과 같은 것이다. 퇴계에게 있어 敬의 방법으로서 戒懼는 上帝에 대한 경건한 태도로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집중이다. 경건한 집중은 格物의 행위와 연관된다. “나의 格物이 지극하지 못함을 두려워할 뿐이요, 理가 스스로 이르지 못할 것을 걱정할 것이 없다”는 퇴계의 말은 格物을 통해 理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단서를 심의 虛靈으로 말하고 있다. 虛靈(텅빈 실존)은 『聖學十圖』에서 「心統性情圖」 안에 下圖의 동그라미에서 本性과 氣質을 구분하는 매개이다. 本性인 仁義禮智는 위에, 氣質인 淸濁粹駁은 밑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분의 가운데에는 虛靈知覺이 자기 노릇을 하고 있다. 구분한 의도는 格物을 통해 下圖의 동그라미를 실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인식의 바탕에서 七情을 넘어서 四端에 기반한 선택의 경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퇴계는 上帝의 실존을 느끼는 경지는 理가 없는 사물이 없고, 理가 없는 때가 없음을 알 수 있어야 가능하다고 한다. 이 理는 七情을 삼켜버리는 아득한 실존의 빈 곳에 있으며 格物은 七情을 대상으로 하여 기미를 바로 알아채는 고도한 집중을 필요로 하는 방법이다. 내가 극진히 격물하면 理는 스스로 이를 것이라는 퇴계의 말에서 극진한 종교성을 알 수 있다. Zhu Xi said that regarding Li(理), there is no affection(情意), judgement(計度) or manipulation(造作), Toegye defined it as `Bal(發)` abd `Dong(動)`, and mentioned it as `Do(到)` going one step forward. When Li(理) is interpreted according to Li theory, `Bal` and `Dong` are possible as Cheyong theory, but the area of `Do` can be interpreted as presiding Li(理) going beyond Li theory. In Korean peninsula, Sangje has been alive in the national language and consciousnes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This thesis is the trace of connecting Lido theory as the expression of presiding Li with Sangje and figuring it out. Sangje is the highest ancestor god. As for ghosts taking offerings in an ancestral ritual, Toegye said that as if warmth still remains even after brazier`s fire goes out, a spirit remains even after a person dies. He also said that ancestors were actually alive and took the offerings of the ritual. Concentration in the ancestral rites is that a holy being that exists outside of myself is neither visible nor audible to me, but can be felt through real senses, that is, it`s like fear. To Toegye, Gyegu as the method of Gyeong is concentration of not releasing the tension as a devout attitude toward Sangje. Reverent concentration is related to the action of Gyeokmul. Toegye`s words, “I`m only afraid of that my Gyeokmul(格物) is not utmost, and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that Li(理) couldn`t reach itself.”, mean that Lido becomes possible through Gyeokmul. He also said that its clue was Simeui Heoryeong. Heoryeong(empty existence) is the intermediation that separates nature and temperament in the circle of Hado in < Simtongseongjeongdo > of Seonghaksipdo. Ineuiyeji(仁義禮智) as the human nature is above, and Cheongtaksubak(淸濁粹駁) as human temperament is below separately. And among the division does Heoryeongjigak(虛靈知覺) play its own roles. The intention of division is to practice the circle of Hado through Gyeokmul. It`s also to show the level of choice based on Saman going beyond Chiljeong on the foundation of the perception. Toegye told that the stage of feeling the existence of Sangje is possible only when one knows that there are no objects without Li(理) and there`s no time without Li(理). Li(理) exists in the emptiness of distant existence that swallows Chiljeong, and Gyeokmul is the method targeting Chiljeong and demanding intensive concentration to notice signs right away. When I practice Gyeokmul hard, Li(理) will be accomplished by itself.

      • KCI등재

        錢德洪의 역동적 良知本體論

        김세정(金世?)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7

        본 논문은 ‘工夫派’, ‘修證派’, ‘主有派’, ‘主事派’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는 전덕홍의 본체론의 특성과 그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덕홍은 ‘心無體’를 주장한다. 心無體는 마음이 一定不變하는 실체로 존재하지도 않으며 또한 고정불변한 定理를 내재하지도 않는다는 것과 만물과 感應할 수 있는 마음의 靈明함이 곧 心本體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덕홍은 心本體를 ‘無善無惡’뿐만 아니라 ‘至善’ 또는 ‘至善無惡’한 것으로 정의한다. 無善無惡은 심본체가 어떠한 고정불변한 定理도 내재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로서 ‘虛’로 대체될 수 있고, 虛하기 때문에 定理에 얽매임 없이 만물과 영명하게 감응 작용을 할 수 있는 바, 이는 심본체의 ‘靈’한 속성이다. 심본체의 虛靈한 속성이 바로 至善으로서, 無善無惡이 곧 至善이다. 至善, 虛靈, 本無善惡 등으로 정의되는 良知가 곧 心本體이다. ‘良知本體’는 ‘至善’, ‘完全具足性’, ‘보편성’, ‘生生不息’, ‘무집착’과 같은 다양한 속성을 내포한다. 至善한 양지본체는 體用一源이요 寂感一如로서 감응을 떠난 양지, 양지를 떠난 감응은 존재하지 않는다. 양지의 감응 능력은 후천적인 배움과 사려를 통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완전하게 타고나는 능력이다. 사람은 누구나 감응할 수 있는 속성과 능력으로서의 양지를 동일하게 지닌다는 보편성이 있다. 나와 同體이자 感應 대상인 萬物은 한 순간도 쉼 없이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감응 주체인 양지 또한 生生不息, 즉 쉼 없이 항상 새롭게 감응할 수 있는 역동적인 생명력과 창조성을 지닌다. 양지는 어떠한 定理도 미리 설정해 두지 않으며, 감응이 종료되면 다시 새로운 定理를 설정해 두지 않는 무집착의 특성을 지닌다. 전덕홍은 본체론 차원에서 有나 無 어느 한쪽에만 지나치게 경도될 때 나타나는 폐단을 우려하여 有와 無를 균형 있게 다루고 양자를 조화시키고자 노력함으로써 양명의 양지본체론을 잘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특히 心無體 등을 주장하여 양명의 天地萬物一體說과 良知說을 보다 실천적이고 역동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섭표의 歸寂說이 가져오는 폐단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