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고려시대 海東耆老會의 성립과 "耆老"의 의미 변화

        오치훈 ( Chi Hoon Oh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破閑集』의 저자 이인로가 참여했던 海東耆老會는 고려중엽 퇴직한 문신 관료들이 여가를 즐기고자 만든 詩會 모임이었다. 기로회는 중국 당·송에 있었던 것인데, 고려에서는 해동기로회가 최초의 기로회였다. 그런데 해동기로회를 전후하여 ‘耆老’라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해동기로회가 결성되기 이전인 고려전기에 耆老는 ‘나이 많은 늙은이’라는 의미였으며, 사회적 약자로서 휼양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耆老는 모든 노인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노인 중에서도 庶民을 뜻하였는데 관인 가운데 耆老에 해당하는 자들은 ‘國老’라고 하였다. 때문에 사료에서는 國老에 대비하여 庶民 耆老는 ‘庶老’라고 표기하였다. 해동기로회 이후로 耆英會, 耆舊會라는 명칭의 모임이 줄곧 결성되는데, 이는 고려후기 퇴직한 문인관료들의 사적 네트워크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耆老가 단순히 노인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라 國老와 유사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고려후기 사료에 등장하는 耆老는 고려전기의 庶老가 아니라 60세 이상의 宰相 또는 致仕한 사람을 뜻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耆老가 국정에 참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처음 결성되었을 때의 해동기로회는 단순한 여가모임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耆老가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해동기로회의 구성원이 퇴직한 고위 관료들이었던 것과 관련된다. 해동기로회는 무신정권의 비호아래 유지될 수 있었으며, 기로회 회원들은 지위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집정자와 관계를 지속하였다. 기로들은 비록 퇴직한 재상이지만 무신집정자와 연결되어 있었고, 이들이 문신관료로서 지니고 있던 권위와 지식인이라는 상징적 의미는 무신집정자 입장에서도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무신집정자의 퇴직관료 모임에 대한 후원은 이와 같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정자 및 국왕과 연로한 고위관료들의 관계가 고착되면서 형성된 것이 바로 고려후기 기로의 정치참여 형태로 계승되었을 것이다. 해동기로회의 역사적 의의는 바로 이 점에 있었으며, ‘耆老’의 의미가 ‘國老’로 변화하게 된 것도 이러한 결과에서 비롯한 것으로 생각한다. Haedong Gi``ro-hwe(海東耆老會) in which Yi Il-Lo(李仁老, 1152~1220), the author of P``ahanjip(『破閑集』), participated, was a poetry meeting of the mid Goryeo(高麗) era organized by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order to enjoy their pastime. Gi``ro-hwe originally existed in the Tang(唐) and Sung(宋) Dynasties of China and Haedong Gi``ro-hwe was the first Gi``ro-hwe in Goryeo era. Attention needs to be paid because around when Haedong Gi``ro-hwe was created, the meaning of Gi``ro(耆老) changed.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when Haedong Gi``ro-hwe was not organized yet, Gi``ro meant old people and were the subjects to relieve and nurture as the social weak. However, Gi``ro did not refer to all old people. Among old people it meant plebeians and among government officials those who were Gi``ro were called Gungro(國老). Therefore, historical records wrote plebian Gi``ro as Seoro(庶老) in contrast to Gungro. There were also meetings with the names Gi``young-hwe(耆英會) and Gi``gu-hwe(耆舊會), which were formed after Haedong Gi``ro-hwe was organized, and they were private networks of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Amid such atmosphere, Gi``ro naturally came to have a similar meaning to Gungro, not a word simply signifying old peopl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Gi``ro which emerged in historical records was not Seoro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era but 60-years-old or older prime ministers or those who resigned government posts. In addition, at this time Gi``ro often took part in state affairs. When it was first founded, Haedong Gi``ro-hwe was just a meeting for pastime. The reason why Gi``ro was able to partake in real politic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Haedong Gi``ro-hwe wer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retired. Haedong Gi``ro-hwe was able to be maintain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continued relationship with administers as a method to keep their position. Although Gi``ros were retired prime ministers but connected to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and the former``s authority as civil officials and symbolic meaning as intellectuals were helpful for government operation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Support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to the meeting of retired public officials may be understood from such perspectives. Moreover, relationship among such administers, the king, and elderl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ould have been handed down as th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Gi``ro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This was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dong Gi``ro-hwe and it is considered that such result led to the meaning of Gi``ro being changed into Gungro.

      • KCI등재

        高麗時代 耆老會 硏究

        金乾坤(Kim, Kun-kon)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고에서는 唐 白樂天의 香山九老會, 宋 文彦博의 洛陽耆英會의 조직과 운영 등에 대하여 일별하고, 이를 推崇한 고려시대의 각종 기로회의 전개 및 변모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최초의 기로회는 唐 白樂天의 香山九老會이다. 백락천은 벼슬에서 물러난 후 70세 이상의 기로들과 모임을 갖고 한적생활을 즐겼는데, 모임에서는 벼슬보다도 나이를 우선으로 하였다. 그래서 尙齒會라고도 한다. 모임에는 70세 미만의 현직에 있는 狄兼謀 와 盧貞도 참여시켰던 바, 이는 후대의 기로회에 연소자가 참여하는 선례가 되었다. 宋代의 기로회는 文彦博의 洛陽耆英會와 司馬光의 眞率會가 대표적이다. 문언박은 백락천의 향산구로회를 사모하여 70세 이상의 기로 13인과 老英會를 열었으며, 그 말석에 64세의 사마광을 참석시켜 序文을 쓰게 하였다. 사마광의 참여는 적겸모의 노정의 전례에 따른 것이다. 또 모임을 보다 조직적이고 규모 있게 운영하기 위해 會約을 만들었는데, 후대에 열린 각종 기로회에 거의 준용되다시피 하였다. 낙양기영회의 말석에 참여하였던 司馬光도 기로 7인과 함께 眞率會를 열었는데, 여기에 문언박은 끼지 못하였다. 진솔회에서는 음식을 검소하게 준비하여 모임을 소략하게 운영한다는 취지에서 3개조의 회약을 만들었다. 사마광이 낙양기영회와 진솔회에 모두 참여한 것 때문에 두 모임을 혼용하는 예가 있으나, 이는 잘못이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백락천의 향산구로회와 문언박의 낙양기영회를 사모하여, 무신집권기에 崔讜에 의해 海東者老會가 처음으로 열렸다. 前現職 高 官者 9인이 최당의 집에 雙明齋에서 기로회를 열고, 해동기로도를 제작하고, 문언박의 낙양기영회 회칙에 따라 모임을 운영하였다. 李行老가 적겸모, 노정, 사마광의 예에 따라 그 말석에 참석하였으며, 기로회에서 지어진 시문들을 모아 『雙明齋集』을 편찬하고 그 서문을 썼다. 이후 庾資諒, 琴儀, 李瑱, 蔡洪哲 등이 기로회를 열었는데, 유자량의 기로회와 채홍철의 기영회는 부처를 섬기는 종교적인 성겨깅 강하였다. 특히 채홍철의 경우 집에 승려를 들여놓았으며, 그가 지은 <紫霞洞>은 기로들은 中和堂에 초치하여 즐기는 모습을 읊은 것으로 매우 향락적이고 퇴영적이다. 李瑱의 海東後者老會의 서문은 당시 34세의 崔瀣가 썼던 바, 이 또한 사마광과 이인로의 예에 따른 것이다. 元巖七老會는 홍건적의 난 때 恭愍王을 扈從한 國老 7인이 元巖驛에서 燕集唱和한 일을 말하는데, 그 시문을 엮어 책으로 낼 때 李穡이 서문을 썼다. 이후 元巖盛會에 참여했던 廉悌臣과 尹桓이 중심이 되어 國老와 現職의 高官들이 자주 기로회를 열어 風流를 즐기는 외에 國事를 논의하였으며, 이색이 연소자로서 그 말석에 참석하였다. 한문학 발전과 관련하여 기로회에 新進文士들을 참여시켜 文才를 발휘할 수 있게 한 것은 주목되는 점이다. 李仁老, 崔瀣, 李穡이 기로회의 말석에 참석하여 시문을 지음으로써 원로 문사들의 인정을 받고 일시에 文名이 높아질 수 있게 된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Bai, Juyi's "Xiangshanjiulaohui” in Tang dynasty and Wen Yanbo's "Luoyangqiyinghui” in Song dynasty and then diachronically the shaping and transformations of Girohoe in Goryeo period which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the above two Girohoes. The first Girohoe was "Xiangshanjiulaohui” of Tang dynasty. Bai Juyi made this Girohoe to have a social gatherings with the elders over the age of 70. Di, Jianmou and Lu, Zhen participated in ""Xiangshanjiulaohui” even though they were incumbents and the below age of 70. Wen Yanbo's “Luoyangqiyinghui” and Si, Maguang's “Zhenshuaihui” are representative Girohoes in Song dynasty era. Despite of his young age, Si Maguang was allowed to join “Qiyinghui”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Di,Jianmou and Lu, Zhen. To run this gathering systemically, he made the rules of “Luoyangqiyinghui”. Si , Maguang held “Zhenshuaihui” with 7 elders. Si, Maguang made three sets of rules to run this gathering in a small way. Meanwhile, “Haedonggirohoe” of Goryeo period was held by Choi, Dang. The current and former senior officials participated in “Haedonggirohoe”. Yi, Inro took the lowest position in "Haedonggirohoe” and wrote the introduction of “Ssangmyeongjejib”. After that Yu , Jaryang, Guem, Ui , Yi ,Jin and Chae, Hongcheol held Girohoe. Yu , Jaryang's and Chae, Hongcheol's Girohoes had strong buddhistic inclinations. Choi, Hae wrote the introduction of Yi Jin's "Haedonggirohoe”,according to the pr ecedent of Si,Maguang and Yi Inro. When the red turban rebellion happened, the seven elders who followed the King of Gongmin, held a Girohoe. It was called "Wonamchilrohoe" or "Wonamseonghoe". After then the members of "Wonamseonghoe" made a collection of their poem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llection was written by Yi ,Saek. He took part in "Wonamchilrohoe" as the youngest member. This shows that the elders not only indulged in poetic pursuit but also cared about the national affairs.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elders gave the new and young officials chances to participate in Girohoes and to show their literary talents and abilities. By doing so, they were recognized as outstanding literary men.

      • KCI등재

        고려시대 海東耆老會의 성립과 ‘耆老’의 의미 변화

        오치훈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Haedong Gi'ro-hwe(海東耆老會) in which Yi Il-Lo(李仁老,1152~1220), the author of P'ahanjip(『破閑集』), participated, was a poetry meeting of the mid Goryeo(高麗) era organized by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order to enjoy their pastime. Gi'ro-hwe originally existed in the Tang(唐) and Sung(宋) Dynasties of China and Haedong Gi'ro-hwe was the first Gi'ro-hwe in Goryeo era. Attention needs to be paid because around when Haedong Gi'ro-hwe was created, the meaning of Gi'ro(耆老) changed.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when Haedong Gi'ro-hwe was not organized yet, Gi'ro meant old people and were the subjects to relieve and nurture as the social weak. However, Gi'ro did not refer to all old people. Among old people it meant plebeians and among government officials those who were Gi'ro were called Gungro(國老). Therefore, historical records wrote plebian Gi'ro as Seoro(庶老) in contrast to Gungro. There were also meetings with the names Gi'young-hwe(耆英會) and Gi'gu-hwe(耆舊會), which were formed after Haedong Gi'ro-hwe was organized, and they were private networks of civil officials who retired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Amid such atmosphere, Gi'ro naturally came to have a similar meaning to Gungro, not a word simply signifying old people.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Gi'ro which emerged in historical records was not Seoro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era but 60-years-old or older prime ministers or those who resigned government posts. In addition, at this time Gi'ro often took part in state affairs. When it was first founded, Haedong Gi'ro-hwe was just a meeting for pastime. The reason why Gi'ro was able to partake in real politics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Haedong Gi'ro-hwe were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retired. Haedong Gi'ro-hwe was able to be maintained under the protect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continued relationship with administers as a method to keep their position. Although Gi'ros were retired prime ministers but connected to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and the former's authority as civil officials and symbolic meaning as intellectuals were helpful for government operation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Support by those with political authority to the meeting of retired public officials may be understood from such perspectives. Moreover, relationship among such administers, the king, and elderl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ould have been handed down as the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Gi'ro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era. This was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dong Gi'ro-hwe and it is considered that such result led to the meaning of Gi'ro being changed into Gungro 『破閑集』의 저자 이인로가 참여했던 海東耆老會는 고려중엽 퇴직한 문신 관료들이 여가를 즐기고자 만든 詩會 모임이었다. 기로회는 중국 당․송에 있었던 것인데, 고려에서는 해동기로회가 최초의 기로회였다. 그런데 해동기로회를 전후하여 ‘耆老’라는 단어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해동기로회가 결성되기 이전인 고려전기에 耆老는 ‘나이 많은 늙은이’라는 의미였으며, 사회적 약자로서 휼양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耆老는 모든 노인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었다. 노인 중에서도 庶民을 뜻하였는데 관인 가운데 耆老에 해당하는 자들은 ‘國老’라고 하였다. 때문에 사료에서는 國老에 대비하여 庶民 耆老는 ‘庶老’라고 표기하였다. 해동기로회 이후로 耆英會, 耆舊會라는 명칭의 모임이 줄곧 결성되는데, 이는 고려후기 퇴직한 문인관료들의 사적 네트워크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耆老가 단순히 노인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라 國老와 유사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고려후기 사료에 등장하는 耆老는 고려전기의 庶老가 아니라 60세 이상의 宰相 또는 致仕한 사람을 뜻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耆老가 국정에 참여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처음 결성되었을 때의 해동기로회는 단순한 여가모임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耆老가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은 해동기로회의 구성원이 퇴직한 고위 관료들이었던 것과 관련된다. 해동기로회는 무신정권의 비호아래 유지될 수 있었으며, 기로회 회원들은 지위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집정자와 관계를 지속하였다. 기로들은 비록 퇴직한 재상이지만 무신집정자와 연결되어 있었고, 이들이 문신관료로서 지니고 있던 권위와 지식인이라는 상징적 의미는 무신집정자 입장에서도 국정운영에 도움이 되었다. 무신집정자의 퇴직관료 모임에 대한 후원은 이와 같은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집정자 및 국왕과 연로한 고위관료들의 관계가 고착되면서 형성된 것이 바로 고려후기 기로의 정치참여 형태로 계승되었을 것이다. 해동기로회의 역사적 의의는 바로 이 점에 있었으며, ‘耆老’의 의미가 ‘國老’로 변화하게 된 것도 이러한 결과에서 비롯한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수회록(壽會錄) 고찰(考察)

        김미선 ( Mi Seo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논고에서는 『壽會錄』을 고찰하였다. 먼저 韓國漢文學史에서 차지하는 범위를 모색하기 위하여 『壽會錄』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역사적인 형성배경으로는 晉나라의 竹林七賢과 당나라의 白居易가 香山九老會에서 『壽會錄』의 耆老會가 結社된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기로회를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전기 최당이 致仕를 하고 耆老會 耆英會를 조직한 것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무신난을 맞아 죽림칠현을 모방한 해좌칠현이 구성되어 산림에 은둔하며 詩壇을 형성 한 것을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단은 조선시대로 와서 끊임없는 士禍를 겪으며 선비들이 落鄕하여 남도지역에서 면앙정을 중심으로 歌壇을 형성하여 삼월삼일 구월구일의 重陽節에 모여 시회를 하며 한적한 삶을 누린 흔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충주지역에서도 致仕한 선비들의 모임이 있어 중양절에 시회를 열고 벗들이 모여 詩酒를 함께한 기로회의 배경을 『壽會錄』을 토대로 고찰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기로회의 작품들을 통해 문장가들의 만년의 삶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연구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로회 시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는데 『壽會錄』을 필자가 연구 자료로 발굴하게 됨 점이 충주지역의 기로회의 풍류와 삶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壽會錄』에 수록된 작품에서는 풍부한 고사를 用事하여 전형적인 儒家的 선비의 인생관 및 학문세계를 고찰 할 수 있었다. 이에 『壽會錄』에 수록 되어 있는 작품의 내용적 특징으로는 經書 및 唐詩 등에서 풍부한 고사를 자유자재로 구사했다는 점이라 할 수 있겠다. 본고는 『壽會錄』을 통하여 우리나라 耆老會의 시문학 형성과정과 忠淸北道 忠州地域 耆老會의 漢詩文學의 형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In this study, I will consider Suhyoerok.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Chinese poetry is covering very vast scope. Among them, after KORYO dynasty official rank accomplished his work, a meeting was composed by membership of Girohyoe. Their school of poetry left Chinese poems covered a scope and came to arbor in Namdo district in CHOSUN dynasty. Suhyoerok was excavated by me with materials for my study and examined. In 1665(King Hyeonjong 6 years) Giro(Senior master) who was over 70 years old, they dwelt in Chungju area in Chungcheong-Do and they organized scholars related conference association and their membership name list and the members wrote Giro poems and contents of activity recorded volume 1 issue 1 manuscript of Suhyoerok. Right Now Chim, Jongseop is holding the personal old book who lives in Chungju in Chungcheongbuk-Do. I was close this old book when I searched cultural assets in Chungcheongbuk-Do and it was worthy of study that important materials for Chinese poetry especially Girohyoe in Chungju area in CHOSUN dynasty. Therefore I cosidered making this book as materials for my study at firs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our country Giro poetry as a preceding study for a consideration of Suhyoerok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Suhyoerok and contents of literary style of its.

      • KCI등재

        壽會錄 考察

        김미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In this study, I will consider Suhyoerok.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Chinese poetry is covering very vast scope. Among them, after KORYO dynasty official rank accomplished his work, a meeting was composed by membership of Girohyoe. Their school of poetry left Chinese poems covered a scope and came to arbor in Namdo district in CHOSUN dynasty. Suhyoerok was excavated by me with materials for my study and examined. In 1665(King Hyeonjong 6 years) Giro(Senior master) who was over 70 years old, they dwelt in Chungju area in Chungcheong-Do and they organized scholars related conference association and their membership name list and the members wrote Giro poems and contents of activity recorded volume 1 issue 1 manuscript of Suhyoerok. Right Now Chim, Jongseop is holding the personal old book who lives in Chungju in Chungcheongbuk-Do. I was close this old book when I searched cultural assets in Chungcheongbuk-Do and it was worthy of study that important materials for Chinese poetry especially Girohyoe in Chungju area in CHOSUN dynasty. Therefore I cosidered making this book as materials for my study at firs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our country Giro poetry as a preceding study for a consideration of Suhyoerok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background of Suhyoerok and contents of literary style of its. 논고에서는 「壽會錄」을 고찰하였다. 먼저 韓國漢文學史에서 차지하는 범위를 모색하기 위하여 「壽會錄」의 형성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역사적인 형성배경으로는 晉나라의 竹林七賢과 당나라의 白居易가 香山九老會에서 「壽會錄」의 耆老會가 結社된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기로회를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전기 최당이 致仕를 하고 耆老會 耆英會를 조직한 것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무신난을 맞아 죽림칠현을 모방한 해좌칠현이 구성되어 산림에 은둔하며 詩壇을 형성 한 것을 거슬러 올라가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단은 조선시대로 와서 끊임없는 士禍를 겪으며 선비들이 落鄕하여 남도지역에서 면앙정을 중심으로 歌壇을 형성하여 삼월삼일 구월구일의 重陽節에 모여 시회를 하며 한적한 삶을 누린 흔적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충주지역에서도 致仕한 선비들의 모임이 있어 중양절에 시회를 열고 벗들이 모여 詩酒를 함께한 기로회의 배경을 「壽會錄」을 토대로 고찰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기로회의 작품들을 통해 문장가들의 만년의 삶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연구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로회 시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는데 「壽會錄」을 필자가 연구 자료로 발굴하게 됨 점이 충주지역의 기로회의 풍류와 삶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壽會錄」에 수록된 작품에서는 풍부한 고사를 用事하여 전형적인 儒家的 선비의 인생관 및 학문세계를 고찰 할 수 있었다. 이에 「壽會錄」에 수록 되어 있는 작품의 내용적 특징으로는 經書 및 唐詩 등에서 풍부한 고사를 자유자재로 구사했다는 점이라 할 수 있겠다. 본고는 「壽會錄」을 통하여 우리나라 耆老會의 시문학 형성과정과 忠淸北道 忠州地域 耆老會의 漢詩文學의 형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고려 중ㆍ후기 기로회(耆老會)와 개경(開京) 사대부(士大夫) 사회

        채웅석(Chai Oong-seok)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79

        “Gi'ro-hwe”(the Club of Retired, Elderly officials, 耆老會) was a private human network, organized by some retired governmental officials who wished to enjoy the last days of their lives together. This network started to appear in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fact that a new type of Sa-Daebu figures(士大夫, the “literati” [Scholar-Officials]) also appeared in the same period. In order to ascertain why the Gi'ro-hwe club and the new type of Sa-Daebu figures emerged at the same time, the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and cultural meaning, and the political character of the Gi'ro-hwe’s activities, will all be analyzed. We can confirm eight cases of Gi'ro-hwe clubs that existed in Goryeo during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t the time, the clubs were emerging as the status of the Munbeol(門閥) Nobility class deteriorated, and a certain type of “Sa-Daebu” Scholar-Officials(學者的官僚) was formed. They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officials who came from humble origins or advanced their careers in an illegitimate way. They had exceptional pride in themselves, and considered themselves as people who achieved the status of Sam'dal'jon(三達尊). They stayed in the capital even after their retirement, and continued to gather in parties and through literary activities. The Hwe’eum-A'jib(會飮雅集) event shows us what kind of literary and artistic activities they shared with their fellows, and the participants to those events continued to maintain such culture among themselves for a very long time. The Gi’ro-hwe members claimed that they were done being involved in worldly affairs. Yet those members were still very much involved in a variety of social networks, founded upon human relationships formed among family or kindred members, or among certain people together involved in the Governmental Examin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y were influential former high-ranking officials, whose voices still carried a significant weight, and whose activities remained inside the capital. So, the implication of the activities occurred in and out of the Gi’ro-hwe clubs could not possibly remain uninvolved with the affairs of the society. Furthermor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the opinions of the “Elders”(the “Gi’ro” figures) were deemed very important, in light of the actions and deeds committed by the “Reckless newcomers”(the “Akso/惡少” figures, young and uncultured officials).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the Gi'ro-hwe members had indeed huge poli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고려후기 致仕制 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李貞薰(Lee, Joung-Hoon)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본 논문은 고려후기의 치사제를 다룬 것으로, 고려후기에 치사제의 다양한 양상 및 변화되는 원인을 고찰하고, 치사제의 변화로 耆老會와 封君制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검토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관료의 요청을 전제로 70세 치사가 원칙이었다. 또한 오랫동안 복무를 한 관료를 우대하는 차원에서 질병으로 인해 관직생활을 유지할 수 없을 경우 引年致仕토록 하였다. 그러나 무신집권기부터 관료의 요청 없이 치사가 되거나, 질병이 없는데도 7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원간섭기에는 인년치사가 보편화되어 60세 이전에 치사하는 관료도 있었다. 반면 几杖을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70세를 넘어서까지 관료생활을 이어가는 관료들도 등장하였다. 심지어는 치사한 관료가 재기용되거나 재치사하는 경우(2차 치사)도 있었다. 무신집권기에는 무신 및 무신집정자, 원간섭기 및 고려말기에는 국왕의 측근들이 국정 운영을 주도하였다. 관료들의 인사도 특정인 또는 정방에서 담당하였다. 그 결과 무신집정자 또는 국왕 측근들의 자의에 의해 관료들의 치사가 이뤄지게 됨에 따라, 나이와 질병, 관료의 自請, 궤장하사와 관료생활 연장이라는 치사제의 기본 원칙들이 무너지게 되었다. 고려후기에 인년치사가 보편화되면서, 빨리 치사한 관료들은 기로회를 조직하여 친목을 다지며 여가생활을 즐겼다. 원간섭기에는 重祚, 親朝, 국왕의 억류 등 이전과 다른 정치적 양태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치사 관료들이 都評議使司회의에 참여하거나 국왕의 자문에 응대하는 등 국정 운영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70세 이전에 치사한 관료들이 증가함에 따라, 고려 정부는 치사 관료들의 정치적 참여를 유도하고 더 많은 경제적 혜택을 주기 위하여 치사 관료들을 封君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which deals with the resignment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Goryeo, considers its diverse aspects and causes of changes and reviews how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and the post appointment system(封君制)varied as the resignment system varied. In the period of Goryeo, it was a principle to allow to resign in 70 years old upon the request of the officials. In addition, when it was impossible for an official to maintain his official position due to illness, it was allowed to retire in advance in order to give special treatment to officials who had work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often did appear the official who retired without their request or before 70 years without illness. In particular, the advance resignation(引年致仕) was generalized in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and there were the officials who retired before 60 years old. On the other hand, did appear the officials who continued their official positions beyond 70 years old, although they were not granted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 Further, there were some cases in which resigned officials were employed again or resigned again(2nd resignment).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military officials and military politicians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nd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nd in the end of Goreyo, people close to the King led the administration of stat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s was exercised by some certain people or Jeongbang(the political office, 政房). As a result, the resignment system on the officials was arbitrarily operated by military politicians or persons close to the King, which collapsed the principles such as age, illness, request of the official, grant of the hutch and stick from the King(几杖下賜), and extension of the official position. While the advance resignation was generalized at the latter period of Goryeo, the officials who resigned at the earlier age, organized the club of resigned and elderly officials(耆老會) to promote friendship and enjoy leisure. In the period of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ilitary officials, as the different political aspects such as Kingship(重祚), governing by the King(親朝) and , detainment of the King appeared, the resigned officials participated in the meeting of the Dopyeongwisasa(都評議使司) or in the political operation including response to the consultation for the King.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officials who retired earlier than 70 years old increase, the Goryeo government was used to appoint them for posts(封君) in order to induce political participation of officials and to give more economic benefits.

      • KCI등재

        일반논문 : 14세기 한시(漢詩)의 전변양상(轉變樣相)과 정신사적의미(精神史的意味) -시단(詩壇)의 동향(動向)과 식물 이미지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류호진 ( Ho Jin Ryu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3

        이 논문은 14세기 시단의 동향과 이 시기 한시의 특징을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13, 14세기 시단에서 활동했던 詩會의 성격, 詩風의 양상, 그리고 시에 새롭게 등장한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13세기 高麗詩壇의 중심에는 王, 武人執政者가 주재하거나 座主와 門生이 연 詩會가 있었다. 이러한 시회들에서는 문인들이 시로 막강한 권력과 권위를 지닌 이를 찬미하고 그들의 호화스러운 삶을 칭송하였기에 이 시기 시는 자연히 유미적이고 기교적인 면이 두드러졌다. 13세기 시에 화려하고 부섬한 꽃들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하는 것은 이를 드러내는 단서이다. 이 繁華한 꽃들의 이미지는 문인들이 무인 집권기와 원간섭기에 걸쳐 있는 이 시기에 개인적 安危와 榮達에 매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14세기 전반에 이르러서는 조정 원로들이 결성한 耆老會에서 詩作活動이 활발하였고 좌주와 문생들이 연 시회도 여전히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李齊賢이 결성한 기로회는 당대 시단의 중심에 있었다. 이 시기 시인들은 원로나 좌주가 이끄는 시회에서의 활동을 통해 權力과 富보다는 人格性을 중시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그들은 전대의 유미적인 시풍에서 벗어나 주로 雅正한 시를 창작하였고, 그들의 시에서는 매화·국화·대나무 등의 이미지가 새롭게 부상하였다. 이처럼 강인한 꽃과 나무의 이미지가 나타난 것은 당대 문인들이 元支配下관료들의 염량세태를 직시하고 성리학의 節義精神을 수용하여 이상적인 인격을 제시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지식인들 사이에 절의 정신이 부각되었다는 점은 우리 정신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이다. 14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좌주 문생들이 연 시회나 기로회가 점차 퇴조하고 成均館學官들이 결성한 시회가 시단의 중심에 자리 잡았다. 이 모임에는 李穡을 비롯한 당대의 대표적인 시인들이 포진해 있었다. 그들의 濂洛風詩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미소하고 이름 없는 꽃과 풀이 새로운 이미지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는 시인들이 그를 통해 우주의 이법과 그 작용을 암시하려 했기 때문이다. 소위 ‘天理’에 대한 관심은 그들의 세계인식이 낙관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바, 여말에 호방하고 웅심한 시풍이 유행한 것은 이 낙관적 태도에 기반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14세기에 문화 권력이 최고 통치자로부터 사대부의 원로 또는 핵심인사로 이동함에 따라 고려 한시의 시풍 및 이미지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13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일어난 문화 권력의 이동은 한편으로 당대 사회가 차츰 사대부 중심의 사회로 나아가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 문인들이 주목한 식물 이미지가 繁華한 꽃의 이미지에서 강인한 꽃과 나무의 이미지로, 다시 미소한 꽃과 풀의 이미지로 변모한다는 점은 고려후기 사대부들이 개인적 영달을 추구하는 데서 벗어나 차츰 시대적 요구를 각성하여 도덕적 인격을 지향하고, 더 나아가 우주의 理法을 탐구하여 세계를 새롭게 인식하려 하였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들은 시대적 요구에 치열하게 대응하여 자신들의 정신세계를 확장해 나감으로써 우리의 정신사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Gatherings pivotal to the activities of the poetical circles in the second half of Goryeo were the poetry clubs presided by the kings, military administrators, or abbots in the 13th century, those by Girohoi, abbots or pupils in the former half of the 14th century, and those by the Hakgwans of Seonggyungwan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Those changes signify a shift of focus in literary activities from the highest rulers with the mighty power through the few noblemen with authority and moral influence to the many noblemen with the academic and literary talent. It is also one of the clues to show that the royal authority-based society was gradually replaced by the nobility-based society. The images of gorgeous flowers were often manifested in Chinese poems in the 13th century, whereas those of powerful flowers and trees emerged anew in the former half of the 14th century and those of little flowers and grass appeared in the front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Those changes to the image of plant mean that the literary men of Goryeo altered their goal of life from personal advancement in life through the spirit of integrity required by the times to the recognition of the universal laws, thus gradually expanding their spiritual world. In the 14th century, the men of letters accepted Sung-Confucianism and made fierce responses to the harsh reality of the times, enhancing their spiritual stage.

      • KCI등재

        조선시대 耆英會圖의 일례: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본 〈宣祖朝耆英會圖〉를 중심으로

        崔卿賢(Choi Kyounghyun)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0

        Giyeonghoe (耆英會) and girohoe (耆老會), both loosely translated in English as a gathering of elders, refer to state events held under the Joseon Dynasty policy of making special provisions for officials aged over seventy.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giyeonghoe were private gatherings where current and former high-ranking officials around the age of seventy enjoyed drinking and dancing or discussed state affairs. Girohoe were administered by the Giroso (耆老所, Hall of Senior Officials) and were attended by former civil officials over the age of seventy. However, giyeonghoe were abolish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Currently-serving civil officials holding the second or higher senior rank over seventy attended girohoe from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through the Korean Empire period. There are currently five surviving examples the commemorative painting of giyeongho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that depict the giyeonghoe held in the early autumn of 1585. They include the gelatin dry-plate photograph ver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 hanging scroll that entered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September 1945, a hanging scroll don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y Yi Hong-geun (sobriquet: Dongwon) in 1980, the version from the painting album of giyeongho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a hanging scroll at the Bongsan Seowon Confucian Academy. Although all of these works illustrate the giyeonghoe held in 1585, their production dates differ since they are copies made by later generations after the original painting was damag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ks has revealed that the painting in the gelatin dryplate photograph is identical to the hanging scroll that entered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September 1945. Therefore, the latter is believed to be the earliest copy among the surviving examples modeled after the original painting. The other three example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order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version, the Dongwon version, and the Bongsan Seowon version.

      • KCI등재

        유교의 효제윤리와 경로사상, 그리고 노인복지

        김영미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7 No.-

        This paper is to inquiry into welfare of the aged shown on the Confucian concepts of HyoJe and GyeongRoHyoChin (敬老孝親: respect for the elderly and good to parents). As many know, HyoJe comes from the words HyoJeChungShin (孝悌忠信: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 to king and faithful to friends), which are the root for practice of Rén (仁: benevolence). That is, Confucian ethics is thought to start with HyoJe. It is often said that Hyo means the underlying continuity of ChinChin (親親: close and friendly in relation), whereas Je (悌: polite) is a moral principle that covers every human relationship through the solidarity of JongHyeong (從兄: cousins and brothers). Therefore, Confucius said that practice of Hyo and Je was the base to go for Rén. That is, HyoJe is the moral source of Confucianism, which covers not only family but also neighbors, society and nation in relation with the order for duties of human. Especially Hyo is not based on one-sided absolute obedience or magnificent materialistic devotion. It is based on the truth where you go toward love for mankind with pure emotion and sense. This kind of HyoJe ethics i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period in Korea.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e ethics of HyoJe had evolved up to the ideas of HyoChin and GyeongRo, which played the moral root of Joseon dynasty and was practiced by every king by themselves. In particular, such idea of GyeongRo was realized into such systems as GiYeon (耆宴: party for the elderly), YangRo (養老: serving the aged with food and by appointing the elderly to government official positions), GiYeongHoi (耆英會: party for the elderly retired as high government officials), GiRoHoi (耆老會: group of retired elderly Confucian scholars), GiRoSo (耆老所: office serving for elderly government officials) and etc. Especially through GaJaJe (加資制), ordinary class people who were 80 years old or older were appointed to the officials of the semi 8th class, and 100 years old or older to the officials of the 6th class. For the slaves, furthermore, SiJeongje (侍丁制) was established so that they could serve their parents. As indicated above, in Joseon dynasty, the Confucian ethics of HyoJe was extended to the idea of GyeongRo to give practical benefits to the aged. 이 논문은 유교의 효제(孝悌)의 개념과 경로효친(敬老孝親)에 보이는 노인복지를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효제는 효⋅제⋅충⋅신(孝悌忠信)으로 유교 윤리의 출발은 ‘효제(孝悌)’에 비롯된다. 흔히 효가 친친(親親)의 근원적 연속성을 의미한다면, 제(悌)는 종형(從兄)의 연대성으로 모든 인간관계를 망라하는 도덕 원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자는 효와 제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인(仁)을 실천하는 근본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효제는 유교에 있어서 도덕의 근원으로서, 가족은 물론 이웃, 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어 인간 도리에 관한 질서와 연관되어 있다. 특히 효는 일방적인 절대복종이나 성대한 물질 봉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연스러운 정서에서 우러나오는 충심(衷心)과 성심(誠心)으로, 순수한 감정과 정서에 근본 하되 생명을 사랑하고 인류애로 나아가는 진리(道理)에 근거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효제의 윤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상고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조선조 개국과 더불어 효제의 윤리는 효친과 경로사상으로 발전하여 조선조 윤리의 근간으로, 역대 임금들은 경로사상을 몸소 실천하였으며, 경로사상이 구체적으로 들어난 것이 노인들에게 잔치[耆宴]를 베풀고 양로(養老), 기영회(耆英會), 기로회(耆老會), 기로소(耆老所) 등을 설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자제(加資制)를 설치하여 벼슬이 없는 80세 이상의 양인에게 종 8품에 제수하였으며, 100세 이상인 자에게는 정 6품에 제수하기도 했다. 아울러 노비에게도 시정제(侍丁制)를 두어 연로한 부모를 봉양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조선조에서는 유교의 효제윤리가 경로사상으로 확대되어 실질적인 혜택을 부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