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행정 활동의 요구수준 진단을 통한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김구 한국행정학회 2005 韓國行政學報 Vol.39 No.4

        This study is checked up the needs dimension with a needs level in knowledge administration activities and is classified and identified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about a variable could make a prediction about demand of knowledge administration activities. In order to draw research model, this study is based on an antecedent literature toward KM and the components and a foundation factor of knowledge administration. An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is constructed with and the components of knowledge administration activities in target variable and a foundation factor of knowledge administration, official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level executive agency in predictable variable.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the components of knowledge administration activities show up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a foundation factor of knowledge administration and officials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level executive agency are only knowledge organizing and knowledge storing up. And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implication that it would make sure of the level about a foundation factor of knowledge administration to forecast knowledge administration activities in public agency. 본 연구는 지식행정 활동의 요구수준을 필요성 차원에서 진단하고 지식행정 활동의 수요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구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Answer Tree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모델을 설정하기 위하여 지식행정 활동 구성요소와 기반요소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식행정 활동 구성요소를 목표변수로, 지식행정 기반요소와 공무원 개인별 특성 그리고 행정기관의 특성을 예측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지식행정 활동 구성요소들은 지식행정 기반요소에 따라서 그 필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공무원 개인별 특성과 행정기관의 특성은 지식조직화와 지식축적에 대해서만 예측변수로 분류,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행정기관에서 어떤 지식행정 활동이 요구되는가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지식기반 요인들 수준을 먼저 확인해야 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식의 개념과 형성 과정에 대한 검토

        윤재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68 No.-

        “지식은 무엇이고, 왜 그것을 지식으로 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까지 논란 속에 있는 물음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논란에 대해 새롭게 접근해보기 위해 지식을 관념적 사유의 결과물로 보기 보다 일반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의 결과물로 간주하고 접근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지식의 사전적 개념을 논의의 중심에 두고 지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어떤 방향에서 지식에 접근하더라도 지식의 개념 규정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지식의 진실성에 관한 것이다. 이 진실성을 절대적 진실 즉 진리로 간주한다면 지식은 성립될 수 없다. 하지만 이 진실을 현재적 진실, 상대적 진실로 본다면 지식은 “알고 있는 어떤 것 중에서 스스로 진실하다고 믿고 있으며 또 아직까지 그 진실함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알고 있는 어떤 것의 진실성에 대해 스스로 확신하지 못할 경우, 그것은 자신의 지식이 될 수 없다. 그리고 “학습과 경험 또 감각적 인지 작용 등을 통해 무엇인가에 대해 알게 되면서부터 알게 된 그 무엇인가에 대해 진실하다는 확신을 가지기 이전까지”는 배움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간은 지식을 만들어가는 시간이다. 이 글을 통해 분명하게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지식은 존재한다는 것이고, 움직인다는 것이고, 더 나은 지식을 찾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간은 지식의 발전을 돕기도 하지만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The question of “what is knowledge, and why should it be viewed as knowledge” is still a controversial question. In order to take a new approach to such a controversy, this article attempted to regard and approach knowledge as a result of general and everyday actions rather than as a result of ideological thinking. To this end, this article will examine knowledge with the dictionary concept of knowledg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No matter what direction you approach knowledge, the biggest problem in the conceptual regulation of knowledge is the authenticity of knowledge. Knowledge cannot be established if this authenticity is regarded as absolute authenticity, that is, truth. However, if you look at this authenticity as a present authenticity, a relative authenticity, knowledge can be defined as “I believe that I am authenticity among what I know, and that authenticity is still maintained.” Therefore, if you are not sure about the authenticity of something you know, it cannot be your own knowledge. And it is a time of learning “until you are convinced that you are authenticity to something you have learned since you learned something through learning, experience, and sensory cognitive function.” This time is the time to make knowledge. What I want to say clearly through this article is that knowledge exists, it moves, and it seeks better knowledge. And in the process, humans help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but they are also the biggest obstacle to development.

      • KCI등재

        융합수업의 학습환경 설계와 ‘지식’의 의미에 관한 실천적 해석

        김선미(Kim, SeonMe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융합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과 지식 재구성에 관한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교사들이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업 설계에 적용해야 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식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 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지식의 유형들이 융합수업에서 갖는 의미들을 고찰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의 관점에서 볼 때, 다양한 유형의 지식들의 의미와 그 형성과정이 융합수업 설계에 반영되어야 하 며, 교사의 전통적인 지식관에 따른 관점의 변화가 아울러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융합수업 설계는 교과서의 명제적인 지식의 융합과 재구성을 넘어서, 실천적 지식과 내러티브 지식, 암묵적 지식, 절차적 지식, 근경적 지식 등의 다양한 지식의 유형들과 연계된 학습 경험이 수업의 전 과정 속에 분산, 배치, 형성될 수 있는 수업의 학습환경 설계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교사의 융합수업 설계는 교과 지식과 학습자의 교과 융합적인 경험의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학습 자에게서 융합적 사고의 경험이 일어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학습환경 설계이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of structuring knowledge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tried to figure out how teachers needed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 of knowledge. It is tried to comprehensively survey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m on the integrated classroom. From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it is discussed the types of knowledge should be reflected during the knowledge organization and a change of teacher’s traditional point of view on knowledge should be made. The teacher s integrated class design needs to go beyond the integration and reconstruc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The knowledge integration should be placed on the design of a classroom environment in that various types of knowledge can be dispersed, arranged, and formed in the entire process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uch as practical knowledge and narrative knowledge, tacit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rhizome knowledge. It is emphasized that designing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not be restricted in fusion and documentation, but rather in constructing a integrated class environment that supports learners to take place integrated thinking experiences.

      • 지식경영의 핵심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정상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6

        최근에 기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내고 이를 기업 구원성이 공유하는 것이 기업발전에 매우 중요한 자산이라는 인식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왜냐하면 진정한 부는 지식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과거처럼 단순한 전략으로는 기업의 성장은 불가능하며, 더 적은 노동력과 자본을 가지고 더 새롭고 더 많은 것은 생산할 수 있는 지적증력이 발휘될 때 기업의 성장과 발전이 가능하다.본 연구의 목적이 지식경영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핵심요인을 찾아내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 180개 기업의 최고경영자, 중간관리자, 일반사원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식경영시스템이 기업에서 꼭 필요하다는 응답이 68%, 필요하다는 응답이 21%로 많은 기업들이 그 필요성을 인정하였다.그러나 많은 기업들이 그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이를 도입한 기업은 18%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지식경영의 핵심성공요인은 CEO의 의지가 32%, 조직문화 26%, 구성원의 지식경영 인지도 17%, 부서간의 의사소통 8%, 평가보상체계가 16%로 나타났다.끝으로 지식경영의 장애요인으로는 CEO등 지식경영 추진 주체의 의지부족이 32%, 조직문화 등 조직의 분위기가 24%, 지식공유 시스템의 미비가 18%, 조직구성원의 인식부족이 17%, 부서이기주의 6%, 공정한 평가보상체계의 미흡이 3%로 나타났다.따라서 지식경영의 성공요인은 CEO의지, 조직문화, 구성원의 지식경영인지도, 부서간의 의사소통과 보상체계가 조직내에서 효율적으로 관리되면 지식경영은 성과를 올릴 수 있다.

      • KCI등재

        맞춤식 지식행정 구현을 위한 통합적 모형에 관한 개념적 연구

        김구(金求)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정부기관의 지식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틀을 회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각 정부기관의 맞춤식 지식행정활성화 계획 수립에 기여하는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지식행정, 지식유형, 조직유형 등에 관한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에서나 실제 정부기관의 운영 내용에서 지식행정의 활용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부기관의 지식행정 운영 실태는 기관수준과 업무특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지식행정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KMS나 GKMC와 같은 정보시스템 관점에서 명시지식의 공유와 활용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정부기관의 기관수준과 업무특성에 적합한 맞춤식 지식행정계획을 수립하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조직유형, 업무수준과 업무특성, 지식관리프로세스, 실행조건 등 다차원적 요인들을 조합하는 통합적 기본모형과 기관별 실행계획을 수립 시 고려해야 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grated model that contributes to establish the customized knowledge administration plan in each government agencies through was to look at the overall operating framework of the knowledge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ies in the retrospective perspective. Methods for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content of such knowledge administration, knowledge types, and organizational type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bout the use level of knowledge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ies have been identified as not high. In particular, an administrative knowledge relied on uniform approa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institutional level and work characteristics, and it was mainly identified focusing on utilizing and sharing of explicit knowledge based on information systems such as KMS and GKMC.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basic model that combines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such types of organization, work level, work characteristics,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and execution conditions of each government agencies.

      • KCI등재후보

        지식재산기본법의 의의 및 정책방향에 관한 소고

        윤원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2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FAIP) was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 plenary session on April 29, 2011 after having been enacted in consultation with all the governmental departments concerned. Recent trend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smart media innovation suggest new opportunity and big challenge for Korean economy. In order to achieve US$ 30,000 per capita income in coming future soon, Korea is in the moment to take innovative approach for strengthening the knowledge competitiveness of Koran economy. At the macro level, investment on R&D should be increased and industrial renovation is needed to develop and expand knowledge industry. Korea should set up national policy to strengthen knowledge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Above all, FAIP would play great role in strengthening social infrastructure to enhance the knowledge capac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nd of region. According to FAIP,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Steering Committee will be established comprising ministers concerned and opinion leaders of Korean society in July, 2011 in order to function as the control tower of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policies. If the Committee do its best in harmonizing all the voices from society and in executing various policies in order to reform Korean economy at regional level and also at national level, Korea will be the power house of the worl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near futu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enacting FAIP and legislation processes and clarifies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Act. It explains the overall structure of FAIP and individual articles of the Act. At the last part, it suggests some major policies to be implemented in the national framework envisaged in FAIP. 지난 4월 개최된 국회 본회의에서 지식재산기본법이 통과되었다. 17대 국회에서부터 법 제정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어 오랜 기간 동안 많은 논의를 거쳐 드디어 18대 국회에서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되어 곧 시행을 앞두고 있다. 최근의 글로벌 경제의 심화와 스마트 혁명의 진전은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소득 3만 불의 선진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거시적으로는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지식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과감하게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우리기업의 지식재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국가적 정책을 수립하여 정부, 기업, 연구소 등이 총체적으로 지식경쟁력을 높여나가야 한다. 금번에 제정된 지식재산기본법은 특히 우리 중소기업과 지역의 지식역량을 제고할 수 사회적 인프라를 강화하는데 큰 디딤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지식재산 기본법 시행에 따라 국가지식재산위원회가 설치되고, 민관이 함께 집단 지성을 발휘하여 우리 사회에서 지식재산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사회적 여건과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국가지식재산 기본계획에 따라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힘을 합쳐 지식재산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면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지식재산 강국으로 도약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은 지식재산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입법 절차를 소개하고, 지식재산기본법의 법적 성격 및 의미를 밝히고, 최종 공포된 지식재산기본법의 전체 구성과 조문별 내용을 설명하며 향후 정책방향 및 주요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범국가적으로 추진해 나갈 지식재산강국 실천전략이 지식재산기본법이라는 법적 테두리 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조문화되어 있으며 향후 구체적 정책으로 추진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재산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 법제사, 법경제학 및 법철학 논의를 중심으로 -

        한지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18 産業財産權 Vol.- No.55

        21세기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디지털 혁명은 우리 사회에 경제, 산업, 문화 등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지식재산 분야 역시 예외는 아니다. 디지털 시대에 누구든지 인터넷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타인의 지적산물을 아무 노력 없이 손쉽게 복제하여 사용하거나 편승하는 행위가 꾸준히 일어나고 있고, 이에 대하여 지식재산 선진국들은 법제 또는 정책적 변화를 통해 지식재산 보유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소위 Pro-IP 정책을 전개하여 왔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권리자들의 권리는 더욱 강화 또는 확대되어 왔으며, 지식재산 객체의 외연은 계속 팽창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재산 보유자에게 그 보호대상에 대한 보호범위나 보호기간의 최적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여, 지식재산의 정당성 논거에 관한 다양한 관점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의 정당성 문제를 자연법적, 공리주의, 신자유주의 경제이론, 민주주의 패러다임 및 배분적 정의이론에 대하여 법철학, 법제사 및 법경제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고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거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주장하고 있는데, 어느 하나의 논거가 지식재산의 정당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각 이론들이 실질적으로 병렬로 나란히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식재산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주로 권리자와 이용자 관점에서 바라보아 왔는데, 최근 서구에서 신자유주의 경제이론, 민주주의 패러다임 또는 배분적 정의라는 관점에서 지식재산의 정당성에 대한 논거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소개하고 분석 및 비판하였다. 향후 지식재산 연구자들이 지식재산권의 정당성의 논거에 관해 더욱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더욱 활발하게 후속 연구를 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In the 21th century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sulted in change from analog to the digital era, and digital innovation has brought a lot changes of economy, industry, culture and so on to our society. Such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rea of intellectual property as well. In the digital era anyone can, only if he wants, easily reproduce the intellectual products of others without any efforts with using digital technology.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area have made legal regulation and policy to strengthen or enlarg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e. pro-IP policy. Upon this pro-IP policy the rights of owners on their intellectual products have been more strengthen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however, still questionable on how further the scope as well as terms for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enlarged. On this account, the issue on justif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digital era till needs to be discussed.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nature law, utilitarianism, neoliberal economics, democratic paradigm and distributive justice from the viewpoint of legal philosophy, legal history and economics. These theories suggest any grounds for their arguments in their own ways, however, it seems to be difficult for one of them to clearly present grounds for arguments on justif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digital era. On the contrary, these grounds for arguments eventually could be applied in parallel. The study on justif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concerned with the issue on how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achieved, and how immaterial intellectual products should be justly dis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Hopefully this issue needs to be more actively discussed in the area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SCOPUS

        지식정보 가치평가 모형의 실증적 개발

        유승훈,허재용,안윤기,Yoo, Seung-Hoon,Heo, Jae-Yong,Ahn, Yoon-Gih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9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0 No.1

        지식정보산업은 한정된 물리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존 산업과는 달리 요소투입이 무한해 규모와 경험의 축적을 통한 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신산업이다. 새로운 기술적 지식을 근거로 세계 지식정보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면 경제발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는 계기가 될 것이다. 지식기반경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정보 관리정책 방향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지식정보의 지위와 역할이 규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정보의 가치 추정을 위한 체계적 연구의 기초작업으로써, 지식정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식정보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아울러 지식정보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각 요인별 측정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지식창출형 지식정보가 소비지향형 지식정보에 비해 더 큰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문가일수록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정보평가에 대한 틀이 잡히고 평가 결과가 시장으로부터 신뢰성을 획득하기까지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이는 지식정보 거래시장의 성숙과 새로운 성장동력의 확보로 이어질 것이다. Unlike existing other industries, the knowledge-based industry has the potential to grow increasingly with factor input unlimited. Importance of investig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evalua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in that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accepted as an engine of new economy. We attempt to define the scope and valu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develop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value model. The results help policy-makers to manage and evaluat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useful and responsible information.

      • 지식재산권 증권화(Securitization)를 위한 탐색연구

        손수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R&D투자의 성과가 시장에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발된 기술이 상품화되어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기술 이전 및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금의 확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지식기반경제사회에 있어서 지식자산이 갖는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유체재산에 대한 유동화방안으로 활용되던 금융기법이 최근에는 무체재산인 지식재산에도 적용되고 있다. 지식재산 유동화는 유동성이 부족한 지식재산을 증권화하여 자본시장에서 투자대상으로 가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로 저작권 분야에서 이용되면서 자금동원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나 그 범위가 산업재산권에 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지식재산의 증권화는 기업의 자금확보라는 기술금융측면만이 강조되는 것이 아니라 개발 후 휴면특허로 남는 기술들에 대한 활용 방안 모색이라는 측면도 강조되는 것이다. 1990년 중반 지식재산권의 유동화 출현 후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는 이를 통해 재무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바이오 및 IT산업 특허와 관련된 증권화 성과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 일본 등 주요 기술선진국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식재산의 증권화 방안은 기술과 금융시장을 연계한 기법으로 기술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에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지식재산의 증권화의 개념이해 및 특징, 관련 인프라 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지식재산권 증권화를 위한 탐색연구로서 우선 자산증권화의 기본적 특성 및 내용 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그리고 부동산 등의 유체자산의 증권화가 아닌 특허와 같은 무체자산의 증권화를 위한 개념, 과정, 관련 인프라 등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식재산의 증권화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인 자금확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금융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제시하고 이들과 증권화 간의 차별성을 집어보고자 한다. 다음은 실제로 이러한 지식재산권의 증권화를 실행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 등 기술선진국의 지식재산권 증권화의 주요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등을 벤치마킹 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기된 우리의 시장환경에서의 어려움을 찾고 이들이 갖는 문제점과 해결 필요성 등을 제시하는 것을 전체 내용으로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지식재산권 증권화를 위한 탐색연구’로서 개념 및 시행과정을 이해시키고, 과정 중에 발생하는 한계점 등을 미리 제시함에 따라 향후 이에 대한 보완 등을 유도하기 위한 과제이다. 지식재산권의 증권화는 보유 기술을 사업화 또는 개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본을 민간 금융시장을 통해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보유자와 자금 투자자 사이에 SPC(특수목적회사)가 개입하여 기술보유자로부터 양도받은 기술을 투자자산으로 가공하여 증권을 발행하고 이를 일반 투자자들에게 매각하는 것이다. 투자자들로부터 확보한 자본은 중간 수수료나 기타 비용을 제외하고 기술보유자에게 기술사업화 또는 개량 자본으로 지원한 후 향후 이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해당 지식재산의 가치가 시장가치와 함께 정확하게 예측되어야 하며, 이들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관련 주체들의 기술과 금융에 대한 이해가 깊어야 한다. 그러나 기술이라는 것이 갖는 시장가치 예측의 어려움, 미래시장의 불확실성, 모방의 위협 등의 한계점으로 인해 기본적인 인프라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행은 기존의 기술금융지원제도와 차별성 없이 중복된 사업시행에 불과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기술이 경제성장의 주요 견인 요인이라고 한다면, 기술의 활성화를 위한 자본 동원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지식재산의 증권화는 기술금융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정책제언 지식재산권 증권화의 과정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술가치와 시장가치를 평가하고 관련 주체들의 기술 및 금융관련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가치 평가모형의 개발 및 지속적인 개선 보완 절차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 및 금융관련 이해도 증진은 단기적으로 해결가능하기 보다는 중등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하여 기초 학습이 필요하며, 관련 전문가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등도 제공되어야 한다. ▷ 적정한 지식재산 가치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식재산권의 투자자산화 ▷ 지식재산권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한 지식재산권의 투자자산화

      • KCI등재

        지식의 유형과 국어과의 지식 범주

        김경남(Kim Kyung n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지식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개념적 접근으로부터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식 유형과 구조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 교육의 가치와 한계를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지식은 철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모든 학문 분야로 확산된 개념인데,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지 또는 그 결과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지식의 유형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성을 띠나 국어과에서 사용하는 지식 유형은 ‘명제적(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다. 이 유형에 따른 지식이 체계화된 것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로 볼 수 있는데, 이 교육과정에서는 영역별 ‘본질 - 원리 - 태도’를 범주화하여 ‘실제’에 적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 범주에 나타난 ‘본질’과 ‘원리’는 지식 범주에 해당한다. 2007 교육과정의 ‘실제’ 범주에 대한 ‘지식- 기능- 맥락’의 구조화를 비롯하여 2015 교육과정까지 지식이 국어과의 범주에서 배제된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지식 교육 무용론이자 지식 교육의 한계를 비판하는 지적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데, 2015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 일반화된 지식 – 내용 요소 – 기능’의 재구조화가 기존의 지식 담론과 이론상 일치하지 않는 점과 같이, 국어과에서의 지식 교육은 그 나름대로 가치를 갖고 있으면서도 적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는 분야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 유형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knowledge and to divide these knowledge into several types. These works contribute to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ategories theories. The concept of knowledge originated from philosophy that spread all the academic arena. In the field of education, curriculum is called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category of knowledge appeared in the 7th curriculum. This curriculum structured three categories; essential, principal and attitude. These three categories act practical category. The 2007 curriculum structured Knowledge, function and context categories find out practical category inductively. The type of knowledge are classed as various criteria. The categories of educational knowledge divided into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2015 curriculum emphasized on conceptional knowledge. The typology of knowledge is contribute on the value of knowled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