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신조직정체성과 삼투성이 정체성관리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영석,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합병기업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합병된 두 조직구성원의 갈등과 편견을 설명하기 위해 Tajfel(1978, 1982)이 제안한 사회정체성이론에 근거를 두고 지위, 삼투성 및 출신조직정체성 수준에 따라서 정체성관리전략이 달라진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818명의 합병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위, 삼투성, 출신조직정체성 및 정체성관리전략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합병상황에서 합병을 한 조직구성원은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개인전략 및 집합행동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그리고 합병 전 조직의 지위가 낮을 때에는 출신조직정체성이 높을수록 집합인지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또한 합병 전 지위가 높을 때에는 지위경계가 삼투적 일수록 합병 전 조직정체성이 높았으며, 지위가 낮을 때에는 삼투적일수록 합병 전 조직정체성이 더 낮았다. 또한 합병 전 지위가 낮을 때에는 지위 경계가 삼투적일 수록 집합인지전략을 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정체성이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는 데 있다. 지리학은 지표위에 새겨져 있는 인간의 흔적에 관심 갖는다. 누가 왜 그와 같은 흔적을 남겼는지 탐색한다. 인간이 지표위에 남긴 흔적을 통해 존재에 대해 설명한다. 인간은 내가 누구이고,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리기 위해 지표위에 흔적을 남긴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그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는다. 우리는 그 흔적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고, 인간을 이해한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나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그 흔적에 담겨있는 이야기는 나만의 것이다. 자신만의 이야기로 구성된 정체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변화하는 정체성’과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이다. 변화하는 정체성은 차이와 다름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은 동일시와 같음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한다. 하지만, 매일의 삶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나의 모습이 같은 듯 다른 모습이듯이 정체성 역시도 생성과 반복의 과정을 통해 변화한다. 그렇기에 정체성은 지금도 변화하고 있는 현재형이고, 진행형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identity’plays the crucial role of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space. Geography is preoccupied with footprints of humans which are engraved on the ground. It explores why such tokens are left over. It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s through footsteps of them. Men leaves traces of themselves to notify that who I was and who we were. The traces left behind by humans contain narratives of their own. Through those narratives, the very men who left the traces on the ground are to be grasped. A trace engraved by a person expresses its own identity of representing that person, so the narrative contained by one trace is the narrative of that individual. The identify which is composed of its own narrativ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two are ‘changing identity’and ‘unchanging identity’. ‘Changing identity’ shapes the identity of oneself by difference. ‘Unchanging identity’ constructs the identity by identifying itself with sameness. However, as one’s figure in everyday life becomes identical or different, identity also varies through processes of generation and repetition. Therefore, identity is currently changing and in progress.

      •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체성의 이주’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강채연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전 세계적인 이주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정체성의 이주’개념을 제기하고 그 패러다임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정체성은 공간과 경계를 타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본 논문에서 제기하는 ‘이주의 정체성’과 ‘정체성의 이주’는 북한이탈주민의 탈남을 포함하는 해외 이주현상의 특수한 이주 패러다임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주의 정체성’은 한 국가 내에서 다양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경계의 상호작용과 모국·타국의 문화적 경계에 따른 정체성의 변화이다. 이와 다르게 ‘정체성의 이주’는 주로 외적요인(타자화된 정체성, 외부정보의 혼란, 생존 등)에 의한 정체성의 변화가 다수의 국가경계와 공간을 넘나들며 생존을 위한 이주를 가능하게 하는 특유의 이주현상이다. 이 경우 합법이든 불법이든, 외적요인은 정체성의 혼란이나 변화를 유도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북한이탈주민 ‘정체성의 이주’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는 현재 북한이탈주민의 전 세계적 이주현상의 원인과 문제점을 정체성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한다. 나아가 남북 통합의 관점에서 새로운 갈등의 중심에 서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radigm of the concept of 'migration of identity'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global migration phenomenon of North Korean migrants. Identity constantly changes in space and boundaries. The 'identity of migration' and 'migration of identity'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 concept to analyze the special migration paradigm of the phenomenon of overseas mi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including the leaving South Korea. 'Identity of migration' is the change of identity due to the interactions of variou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oundaries within a country and the cultural boundaries of the mother country and other countries. In contrast, the 'migration of identity' is mainly a change of identity due to external factors (identity which has become the other, confusion of external information, survival, etc.), crossing many national boundaries and spaces, and a unique migration phenomenon to be enable migration for survival. In this case, whether legitimate or illegal, external factors are the only means of inducing confusion or change in identity. A study of the 'migration of identity' paradigm is a prospect that it can function as a measure to predict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global migr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migrants after unification.

      • KCI등재

        영국에서 영역 정체성의 정치와 교육

        조철기(Chul Ki Cho) 한국사회이론학회 2010 사회이론 Vol.- No.38

        본 연구는 다양한 공간 스케일을 가진 영국을 대상으로 하여 영역 정체성의 정치 및 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검토하였다. 20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영역 정체성 교육은 한마디로 "훌륭한 구성원 또는 시민"을 만드는 데 있었다. 19세기 초반까지 주로 훌륭한 크리스챤을 만드는데 있었다면, 식민지 시기에는 식민지의 경계와 범위를 되새기게 함으로써 훌륭한 국가적·제국적인 시민을 만드는데 두었다. 그렇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이들과 충돌하는 정체성으로서 훌륭한 세계시민의 육성에 대한 목소리도 병존하였다. 포스트식민 시기에는 국가정체성을 위한 정치와 교육의 역할이 계속해서 줄어들었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신보수주의의 출현과 함께 다시 국가 정체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급기야 국가교육과정을 제정하면서 이를 더욱 공고화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식민주의 시기와 유사하게 이러한 신화화된 국가정체성의 정치와 교육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호의존적인 세계시민성과 다중정체성에 대한 요구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현재 영국에서는 외부적으로는 방어적 기제로서의 국가정체성과 열린 정체성으로서의 세계시민성이 충돌하고 있으며, 또한 내부적으로는 하위 국가의 결속과 다양한 이주자들의 다중정체성의 담보라는 두 과제가 함께 작동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politics and education of territorial identities in the British. Until the mid-20th century, the aim of identity education in the British was to produce good members or good citizens. In the early 19th century its aim was to produce good Christian citizens, but during colonialism period was changed to produce good national and imperial citizens through memorizing repeatedly the people their national and colonial borders. However there was another voice for good world citizens during inter-war years. Although the politics and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had been reduced in the post-colonialism period, it has been restrengthen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with appearance of neoconservatism after the mid-1980s. On the other hand similarly calls for world citizenship and multiple identities have been increased as reaction against strong national identity. In the end, in the current British externally both national identity as defence mechanism and global citizenship as opened identity, internally both integration of sub-countries and multiple identities for diverse immigrants is working together.

      • KCI등재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와 그 정치적 효과

        유성진(Sung-jin Yoo),손병권(Byoung Kwon Sohn),정한울(Han-Wool Jeong),박경미(Kyungmee Park) 한국정당학회 2018 한국정당학회보 Vol.17 No.2

        글은 세대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가 갖는 개념적인 그리고 이론적인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이 논문은 세대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때 유권자들을 단순히 연령대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이 개념적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집단에 대해 개인이 갖는 주관적인 정체성을 고려해야 할 경우에만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가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분석 결과, 집단에 대한 주관적 정체성에 기반하여 새롭게 측정된 세대는 생물학적 연령과 관련되어 있지만 이보다는 훨씬 더 복잡한 개념임이 확인되었다. 개인의 복수의 세대정체성을 동시에 가지는 경우가 빈번할 뿐 아니라 같은 연령대 집단이라도 다른 세대정체성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세대정체성의 형성에 있어서도 각 세대정체성이 차별화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어 세대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때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이 논문은 우리 사회에서 세대가 아직은 제한적인 집단정체성으로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관적 정체성을 고려한 세대는 연령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개인의 이념과 정치참여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세대구분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갈등에 대한 인식이 매개될 경우에만 내집단에 대한 선호와 외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 세대갈등에 대한 우려가 과장된 측면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claims that current research on ‘generation’ has both theoretical methodological problems mostly because it regards generation as age cohort. Theoretically, to measure a group identity, we need to take subjective identification to the group into account, and generation cannot be an exception. This paper proposes new measure for generation as group identity by taking subjective identification towards names of generation into account. Generation measured with new method is shown to be different from ‘age cohort.’ Not only is it possible to have multiple generational identifications, but individuals in same age can also have different generational identification. Furthermore, generation causes positive attitude toward in-group and negative one to outgroup only with saliently conflicting situati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wo important points. First, we should be cautious to deal with generation empirically. Simply, generation as group identity is not the same as age cohort. Second, generation plays as a group identity only in the condition of salience, which suggests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may be exaggerated.

      • KCI등재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

        문미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당면과제 중 하나가 한국 유아교육의 주체적인 정체성 확립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정체성 연구는, 타 학문파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학문적 정체성과 타 문화와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는 문화적 정체성의 두 범주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 중 문화적 정체성을 위한 논의에 보다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지금까지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각 분야 학자들의 논의는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 세계적 보편성과 특수한 개성의 조화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이루어졌다. 이중, 전통성과 변화성의 조화는 과거와 현재 및 미래 즉 시간적 관점의 개념이며 보편성과 특수성은 지구상의 지리적 공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보고, 현상계를 인식하는 기본 형식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으로 이루어진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체성 확립 구조모형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민족과 국가의 제반 분야야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구조모형"에 기초한 한국유아교육의 정체성 확립 실천방안과 유아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예를 제시하였다. A key challenge f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s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identity. According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establishing identity can be approached from two spheres: the first, academic identity emphasizes differentiation from other academic fields and the second, cultural identity, focuses on differentiation from other cultures. This paper mainly addresses the latter. Academic discussions on cultural identity are generally abou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and harmony between universality and uniqueness. Based on the view that harmony between traditions and change is a concept deriving from time differenc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whil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concern spatial differences of the earth, this paper suggests a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made up of both of these concepts for both comprise the basic structure that helps us to understand the world. The model this paper suggests is applicable to not only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Korea but also to all nations and peoples. This paper also suggests step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a developmental model for childhood education courses based upon a "Structural Model for Establishing Identity".

      • KCI등재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백승대(Baek, Seungdae),안태준(An, Taej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Korean adolescents’ national identity on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n adolescents was divided into ethnic identity and civic identity. Whi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aspects of thei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eir ethnic ident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nly two aspects of their consciousness. It was evident that the civic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ir civ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necessity of national unification, the peaceful unification, the unification costs,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On the other hand, their ethnic ident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pinion on the unification by South Korea’s system, and the expectation of a unified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t significantl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unification consciousness. Previous studies on unification consciousness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eople for national unification,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groups for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Secondly, it significantly highlighted the positive effects of having an interest in civic identity. The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with a strong civic identity tend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unification consciousness.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은 민족적 정체성과 시민적 정체성으로 나누어졌다. 시민적 정체성은 그들의 통일의식과 관련된 모든 조사 항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에 민족적 정체성은 통일의식과 관련된 2개의 조사 항목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게다가 시민적 정체성은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시민적 정체성은 통일의 필요성, 평화적 통일, 통일비용 부담,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민족적 정체성은 남한체제로의 통일, 통일한국에 대한 기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정체성과 통일의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평가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통일의식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기술하거나, 인구사회학적 집단 사이의 통일의식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둘째, 통일의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민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강한 시민적 정체성을 가진 청소년들이 통일의식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기독교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김희영(Hee You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본 글은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의 정체성형성에 관하여 연구를 한 것이다. 먼저 정체성의 용어에는 자아정체성과 자기정체성이 함께 사용되어 있기에 자아와 자기개념, 그리고 정체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아’는 주로 내적 욕구와 초자아를 조정하고 외부 환경과 조율하는 조직자의 능력을 지칭할 때 사용하고, ‘자기’는 ‘자아’의 개념을 포함하면서도 성찰과 자기비판적인 기능이 있다는 것을 보았다. 그리하여 본 글에서는 자기정체성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를 자기항상성, 자율성, 자존감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정체성은 지속적으로 자기 자신 속에서 같다는 것과 영속적으로 타인과 어떤 본질적인 성격을 공유하는 점에 있어서 자기항상성의 개념이 들어있다. 정체성을 형성하는 ‘나’는 주체적인 ‘나’로 스스로 사유하고 판단하기에 자율성과도 관계가 깊다. 그리고 정체성이라는 개념에는 가치와 선에 대한 지향성이 포함되어있기에 자기와 관련하여 자존감이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정체성과 자기항상성, 자율성, 자존감의 관계와 그 특징을 통해 정체성형성의 과정을 보았다. 이를 위한 기독교교육과정을 제안하면서, 교육의 목적을 신적 권위 안에서 기독교인의 자기정체성을 형성하기로 두었으며, 교육의 내용을 복음으로, 교육의 방법은 사유와 성찰로 하였다. 그리하여 기독교인이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자녀로서 자존감을 가지고 자기항상성과 자율성을 발휘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identity formation of Christians living in a changing society. Identity is used together with egoidentity and self-identity. So, first I looked at the concepts of ego, self, and identity. Through this, I have found that ego is mainly used to refer to function as an organizer when controlling inner desires and super ego, and controlling inner and outer environments. I have seen that ‘self’ includes reflection and selfcritical functions while including the concept of ego. Thus, in this article, identity is called self-identity, and it is related to selfconsistency, autonomy, and self-esteem. Identity includes the concept of self-consistency in that one is self-same and that he/she permanently shares some essential character with others. In forming identity, identity is deeply related to autonomy in that it is self-determined and selfconscious. And I realized that the concept of identity includes self - esteem because of its inclusion of value and directionality. Therefore,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istency, autonomy, self - esteem, and identity, and examined the process of individual identity formation through each characteristic. I proposed a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formation of a Christian identity. I set the purpose of education to form Christian identity in the divine authority, and put the content of education into the gospel, and suggested thinking and reflection as education method. Thus, even in a changing situation, Christians are able to have self-esteem as a child of God, and form identity with self-consistency and autonomy.

      • KCI등재

        이봉창 전기를 활용한 자아정체성 탐구 학습

        박찬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역사교육에서 정체성을 다루는 것은 민감한 사안이지만, 그것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 학교 역사교육에서 정체성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고 해도, 정체성은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기반으로 작동한다. 역사교육은 국가・민족・종교 등 거대 집단의 정체성을 함양하는데서 벗어나, 갈등 속의 다른 집단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서로를 연결시켜 주는 정체성들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종교라는 하나의 기준으로 세계를 분할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테러와 전쟁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듯이, 특정 집단의 단일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것은 갈등과 폭력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이다. 집단 정체성의 함양에서 벗어나 개인의 정체성 변화・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학습은 세 가지 목표가 있다. 먼저 학생들이 과거의 사람들이 동일한 가치와 사고방식을 가졌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지 않고, 특정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각기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이는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개인이라는 작은 대상에 대한 세밀한 탐구를 통해 거시적 주제의 맥락과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공식적 역사’의 권위와 학습 내용의 ‘단순화・축소’로 인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주제에서 배제되거나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게 해 줄 것이다. 이 학습의 마지막 목표는 학생들이 학습의 대상이 되는 인물과 공감하는 동시에 개인과 집단・구조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현재 자신들의 삶과 사회적 변화가 무관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우리가 소속한 집단으로 인해 생겨난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이 갈등과 폭력을 조장한다고 해도, 그것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리는 문제가 되는 정체성과 경쟁하는 ‘대안적 정체성’을 인식하고 강화함으로써, 문제를 완화할 수는 있다. 역사교육에서도 우리와 그들을 구별하는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서 벗어나, 우리와 그들을 연결시켜주는 ‘가교(架橋)’ 역할을 할 정체성을 발굴하고 형성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타인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들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타인과 자신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가는 경험을 해나갈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정체성을 협소화시키려는 시도에 비해서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것이며, 조금 더 사회를 평화롭게 만들 것이다. 이 글에서 사례로 제시한 독립운동사 학습의 경우, 학생들의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독립운동가들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독립운동가들과 현재 학생들의 공유점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오히려 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 Discussing identity in history education is a sensitive issue, but it should not be avoided. Although history classes do not address identity issues, identity serves as a basi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history.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that reduce bias among conflict groups and connect one another, beyond its conventional role, cultivating the identity of large groups such as nations, ethnic groups, and religions. Recognizing the world with the eyes of a single identity of one certain group is a fundamental cause of conflict and violence, as can be seen through terrorism and war that arises from one religious standard that divides the world. There are three goals in the inquiry-based learning that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ing and shaping an individual's identity, beyond the development of group identity. First, students should be aware that individuals in a community have diversity, without thinking that people in the past had the same values ​​and mindset. It will help cultivate the citizenship in a pluralistic and democratic society. Next, students should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macroscopic theme based on a detailed inquiry into the smaller subject of individuals. It will allow them to identify historical facts that are excluded or distorted from historically important themes due to the authority of “official history” and “simplification and reduction” of learning. The final goal of this learning is to let the students empathize with the individuals they meet in the learning and further acknowledg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structures. Consequently, students will realize that their lives and social changes are not irrelevant,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tudents' social involvement. Even if a particular social identity created by the group to which we belong promotes conflict and violenc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liminate them. However, we can mitigate the problem by recognizing and reinforcing “alternative identities” that compete with the problematic identities. In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find and form an identity that plays a role of ‘bridge’ that connects them and us, not to emphasize th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us from them.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iverse identities in the past, students can find themselves experiencing the connection with others. This effort will promote understanding of others as well as oneself, as opposed to attempting to narrow the identity, and will make the society a little more peaceful. In the case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resented above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from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hat instead of highlighting the greatnes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finding shared points between the activists and the students can rather encourage their contribution and engagement in a community.

      • KCI등재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과 한국 다문화시민교육에의 함의

        박선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9 다문화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troduces theories of racial,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and explores their applications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Three theoretical models—Gay’s ethnic identity development, Phinney’s multi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Banks’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model—are discussed.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ies consider identity development a dynamic process,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or contexts, and view students from ethnic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families in positive way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to understand theories of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theorie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research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in three main ways. These approaches includes: 1) developing and revis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nsidering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al stages, 2) providing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and to study that of their students, and 3) developing measures to study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발달되어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인종 정체성, 민족 정체성, 문화 정체성의 개념 및 이들의 발달이론들을 소개하고, 이것이 한국의 다문화시민교육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Gay, Phinney, Banks가 제시하였던 세 가지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 모델들을 검토한 후, 이들이 1) 정체성을 역동적으로 바라보며, 2) 정체성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3) 소수 민족 및 문화집단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민족․문화 정체성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다문화 수용성, 시민으로서의 참여와 밀접히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다문화시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수정, 현직 및 예비 교사 교육, 학생 및 공동체 이해를 위한 연구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들을 탐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