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r192 선원을 이용한 근접치료에서 물 흡수선량 1 Gy에 대한 광자에너지 플루언스와 질량에너지흡수계수 유도

        김종언,안일훈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hoton energy fluence and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 for 1 Gy of absorbed dose of water in brachytherapy using an Ir192 source. From the radiotherapy physics written by Khan, the half-value of lead for the gamma ray beam of the Ir192 source was obtained.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and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from the obtained half-value layer of lead. By matching the calculated lead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with the NIST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data, the photon energy of the matching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as the effective energy. By matching the determined effective energy with the photon energy of the NIST data on the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 of water, the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 of water was obtained as 0.03273 cm2/g(32.73 cm2/kg). The photon energy fluence was calculated as 0.03055 J/cm2 by dividing the obtained mass energy absorption coefficient (32.73 cm2/kg) by the absorbed dose of water 1 Gy. 이 연구의 목적은 Ir192 선원을 이용한 근접치료에서 물 흡수선량 1 Gy에 대한 광자 에너지플루언스와 질량에너지흡수계수를 유도하는데 있다. Khan이 저술한 방사선치료물리학으로부터 Ir192 선원의 감마선 선속에 대한 납의 반가층을 얻었다. 얻어진 납의 반가층으로부터 선감쇠계수와 질량감쇠계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납의 질량감쇠계수를 NIST의 납의 질량감쇠계수 자료에 대응시켜 일치하는 질량감쇠계수의 광자에너지를 유효에너지로 결정하였다. 결정된 유효에너지를 NIST의 물의 질량에너지흡수계수 자료의 광자에너지에 대응시켜서, 물의 질량에너지흡수계수는 0.03273 cm2/g(32.73 cm2/kg)으로 얻었다. 얻어진 물의 질량에너지흡수계수(32.73 cm2/kg)를 물 흡수선량 1 Gy에 나누어 광자에너지플루언스는 0.03055 J/cm2으로 산출하였다.

      • 제어기를 이용한 사각 박육부재의 에너지흡수 제어특성

        양용준,김정호,박준우,양인영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7 機械技術硏究 Vol.10 No.1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충돌시 발생하는 구조부재의 에너지홉수특성을 적절히 제어하여 자동차의 구조를 설계해야한다. 현재 차량구조부재의 에너지흡수 능력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 여러 가지 형상과 재질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충돌시 에너지 흡수를 적절히 제어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구조부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면충돌시 에너지 흡수량이 가장 큰 부재인 사이드 부재의 기본형상인 사각단면부재에 대하여 제어기의 유무 제어기의 두께와 높이에 따른 에너지흡수능력과 평균압궤응력 및 변형모드를 고찰하였다. 에너지 흡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에너지흡수량 및 평균압궤하중이 제어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15∼20%정도 증가하였으며, 제어기의 높이와 두께 또한 에너지 흡수에 영향을 미쳤다. The structural members must be designed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energy absorption for protecting passengers in a car accident. Study on collaps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member is currently conducted in parallel with other studies on effectiv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structural members with diverse cross-sectional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This study concerns the crashworthiness of the widely used vehicle structural members, square thin-walled tubes, which are excellent on the point of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The absorbed energy, mean collapse load and deformation mode were analyzed for side member which absorbs most of the collision energy. To predict and control the energy absorption, controller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to its influence such as height. thickness and width ration in this study. The absorbed energy and mean collapse load of square tubes was increased by 15∼20% in using the controller and energy absorbing capability of the specimen was slightly changed by change of the high controller's height.

      • KCI등재

        고속충격을 받는 Carbon/Epoxy 복합재 적층판의 충격체 질량손실을 고려한 흡수에너지 예측

        조현준 ( Hyun Jun Cho ),김인걸 ( In Gul Kim ),이석제 ( Seok Je Lee ),김영아 ( Young A Kim ),우경식 ( Kyeong Sik Woo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3 Composites research Vol.26 No.6

        본 논문에서는 Carbon/Epoxy 복합재 적층판에 대하여 실사격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복합재 적층판의 흡수에너지를 예측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속충격실험 과정에서 충격체의 질량손실을 고속카메라를 통하여 거시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복합재 적층판의 흡수에너지를 계산하였다. 고속충격을 받는 복합재 적층판의 흡수에너지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복합재 적층판의 흡수에너지는 크게 정적에너지와 동적에너지로 분류하였다. 정적에너지 계산은 섬유의 파손과 정적 탄성에너지와 관련 있는 준정적 관통실험식을 통해 구한 관통에너지를 사용하였다. 동적에너지는 변형되는 시편의 운동에너지와 손실된 파편 질량들의 운동에너지로 나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충격체 질량손실을 고려하여 예측된 흡수에너지와 실험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ducted high velocity impact test for Carbon/Epoxy composite laminates and proposed advanced method for predicting the absorbed energy of composite laminates. During high-velocity impact test, we discovered loss of projectile mass macroscopically using high speed camera, thus we calculated the absorbed energy of composite laminates by taking loss of projectile mass into account. We proposed a model for predicting the absorbed energy of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igh-velocity impact, the absorbed energy was classified into static energy and dynamic energy. The static energy was calculated by the quasi-static perforation equation that is related to the fiber breakage and static elastic energy. The dynamic energy can be divided by the kinetic energy of deformed specimen and fragment mass. Finally, the predicted absorbed energy considering loss of projectile mass w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후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관성과 마찰 에너지를 이용하는 충격흡수시설의 개발

        김동성,김기동,고만기,김광주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2

        Crash cushions are protective devices that prevent errant vehicles from impacting on fixed objects. This function is accomplished by gradually decelerating a vehicle to a safe stop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Commonly used crash cushions generally employ one of two concepts to accomplish this function. The first concept involves the absorption of the kinetic energy of a moving vehicle by crushable or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and the other one involves the transfer of the momentum of a moving vehicle to an expendable mass of material located in the vehicle's path. Crash cushions using the first concept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compression crash cushions and crash cushions using the other concept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inertial crash cush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a compression-type crash cushion by employing the two concepts simultaneously. To minimize the number of full-scale crash tes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ash cushion, preliminary design guide considering inertial and frictional energy absorption was constructed and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LS-DYNA program, which is most widely used to analyze roadside safety features, was used for the computer simulation. The developed crash cushion satisfied the safety evaluation criteria for various impact conditions of CC2 performance level in the Korean design guide. 충격흡수시설은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고정된 구조물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보호시설이다. 이러한 기능은 충돌차량이 안전하게 점진적으로 멈추도록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기존의 일반적인 충격흡수시설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의 두 가지 개념 중 하나가 적용된다. 첫 번째 개념은 파괴 또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충돌차량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고, 두 번째 개념은 충돌차량의 운동량을 차량의 이동경로에 놓인 소모성 재료의 질량체에 전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개념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은 압축(비관성) 충격흡수시설로 분류되고, 두 번째 개념을 이용한 충격흡수시설은 관성 충격흡수시설로 분류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적용한 압축형 충격흡수시설의 개발이다.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성 에너지와 마찰 에너지 소산을 고려한 예비설계 가이드를 수립하고 충격흡수시설 개발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도로안전시설물 해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LS-DYNA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충격흡수시설은 국내지침 CC2급의 다양한 충돌조건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을 만족하였다.

      • KCI등재

        고속 충격을 받는 Carbon/Epoxy 복합재 적층판의 흡수 에너지 예측에 대한 실험적 고찰

        조현준 ( Hyun Jun Cho ),김인걸 ( In Gul Kim ),이석제 ( Seok Je Lee ),우경식 ( Kyeong Sik Woo ),김종헌 ( Jong Heon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3 Composites research Vol.26 No.3

        고속충격을 받는 복합재 적층판의 충격거동 특성 중에서 관통 후 잔류속도, 시편에 의한 충격흡수에너지 그리고 충격손상영역에 대한 평가와 예측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충격을 받는 Carbon/Epoxy 복합재 적층판의 잔류속도와 흡수에너지를 준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고속충격에 의한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정적에너지와 동적에너지로 구분하였으며 정적에너지는 보강섬유의 파손과 정적 탄성에너지와 관련 있는 준정적압입실험을 통한 관통에너지를 사용하였다. 동적에너지는 고속충격 시 시편 일부의 움직임과 관련한 운동에너지에 대하여 몇 가지 모델을 제안하여 비교하였다. 공압을 이용한 고속충격실험을 수행하고 예측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시편의 손상영역은 C-scan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관통한계속도보다 큰 초기 속도인 경우, 정적에너지인 관통에너지 뿐 만 아니라 시편의 동적 에너지가 시편 전체 흡수에너지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valuation and prediction for the absorbed energy, residual velocity, and impact damage are the key things to characterize the impact behavior of composite laminated panel subjected to high-velocity impact. In this paper, the method to predict the residual velocity and the absorbed energy of Carbon/Epoxy laminated panel subjected to high velocity impact are proposed and examined by using quasi-static perforation test and high-velocity impact test. Total absorbed energy of specimen due to the high-velocity impact can be grouped with static energy and kinetic energy. The static energy are consisted of energy due to the failure of the fiber and matrix and static elastic energy, which are related to the quasi-static perforation energy. The kinetic energy are consisted of kinetic energy of moving part of specimen, which are modelled by three modified kinetic model. The high-velocity impact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air gun impact facility and compared with the predicted values. The damage area of specimen were examined by C-scan image. In the high initial impact velocity above the ballistic limit, both the static energy and the kinetic energy are known to be the major contribution of the total absorbed energy.

      • SCOPUSKCI등재

        정사각 모자형 박판튜브의 에너지흡수특성 및 최적 용접간격

        이형일,김범준,한병기,Lee, Hyung-Yil,Kim, Bum-Joon,Han, Byoung-Kee 대한기계학회 200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6 No.12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점용접된 정사각 모자형 박판튜브의 적정 용접간격을 제시해보았다. 적정 용접간격은 에너지흡수 측면에 기준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실제 압괴특성을 반영하는 유한요소 모델이 확립하였다. 실제 압괴 특성을 반영하는 유한요소 모델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1) 모자형 박판튜브의 압괴해석시 원활한 접힘을 유도하고 과도변형과 접촉에 의한 수치오류 및 비정상 압괴거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요소크기와 해석시간에 대한 예비연구가 필요하다. (2) 다양한 용접간격의 유한요소모델들에 대한 압괴해석을 거쳐 주어진 폭에 대해 최대 에너지 흡수 용접간격 [식 (1)]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적용접 간격의 모자형 박판튜브는 후폭비 (t/w)가 커질수록 에너지흡수능력 이 증가한다. (3) 다양한 두께와 폭을 갖는 사각튜브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사각튜브 흡수에너지 예측에 있어 평균압괴하중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후폭비항으로 표현되는 수정된 평균 압괴하중으로 최적용접간격을 갖는 모자형 박판튜브의 흡수에너지식 (5)를 제시하였다. 식 (5)의 적용시, 주어진 폭에 대해 (최적)용접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 (6)의 한계후폭비를 만족해야 한다. In this work,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al welding space of spot-welded square hat type tube are investigated via quasi-static crush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FE) analyses. A FE model reflecting the crush characteristics is established based on the experimentally observed crush mechanisms of specimens with welding spaces (20, 30 & 45 mm) and (25,40 & 55 mm) respectively for two specimen widths (60, 75 mm). The established FE model is then applied to other crush models of widths (50, 60 & 75 mm) with various welding spaces (20, 25, 30, 40, 45, 55, 75, 150, 300 mm) respectively. We examine the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welding space for each specimen width. The outcome suggests an optimal spot welding space of square hat type thin-walled tube. Energy absorption is also presented in terms of yield strength of base metal, specimen thickness, width, and mean crushing force of spot-welded square hat type thin-walled tube.

      • KCI등재

        충격흡수시설의 실물차량 충돌시험 데이터를 이용한 탑승자 안전도 및 충돌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주재웅(Joo Jae Woong),금기정(Kum Ki Jung),장대영(Jang Dae Young),김범진(Kim Bum Ji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2D

        본 연구에서는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에서 수행한 충격흡수시설의 충돌시험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충격흡수시설 설계법 개발을 위한 유용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CC1등급 충격흡수시설 10회, CC2등급 충격흡수시설 24회 총34회의 충돌시험 결과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국내 지침에 따라 탑승자 충돌속도(THIV)와 탑승자 가속도(PHD)를 계산하였고 총34회의 충돌시험데이터에서 Y축 가속도와 Yaw 각속도를 무시하고 X축 가속도 충돌시험데이터만을 이용해 탑승자 충돌속도(THIV)와 탑승자 가속도(PHD)를 계산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충격흡수시설의 탑승자 안전도가 오차율 2% 미만으로 나타나 X축 기속도 충돌시험데이터만을 이용한 탑승자 안전도 계산의 유효성이 증명되었다. 충돌시험 데이터 중 X축 가속도를 적분하여 얻은 흡수에너지와 초기 충돌차량의 충돌에너지를 비교분석한 결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여 X축 가속도만을 사용한 충격흡수시설의 충돌거동 분석이 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충격흡수시설의 실물차량 충돌시험데이터를 이용해 탑승자의 안전도 및 충돌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일차원을 적용한 충격흡수시설의 설계법 개발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According to the rules, a crash cushion is supposed to set up products that i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of a performance test after performing the car crash test by road safety facilities and management guide. For development of crash cushion, performance sh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car crash test eventually. However, there is no reasonable design method which considers passenger's safety and only depend on crash test without an alternative plan. Therefore it incurs a loss materially and takes a lot. Therefore, we are asked to create a systematic design of the crash cushion. This study shows that a scientific basis of applying single degree of freedom when it designs the crash cushion after analyzing vehicle crash test data of crash cushion and also represents design of crash cushion through single degree of freedom response spectrum using calculated by crash test data on crash cushion.

      • KCI등재

        골밀도 장치의 교차분석 ; 국내 제조사와 해외 제조사 비교

        김정수 ( Jung-su Kim )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골다공증의 진단에서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수법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검사이다. 외국의 골밀도 장치 제조사인 지이나 홀로직 장치에 대한 교차분석 연구는 다양하나 국내 제조사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골밀도 장치에 대한 비교 분석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사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골밀도 장치와 해외 제조사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골밀도 장치의 교차분석을 시행하여 교차식을 수립하였다. 유럽인 척추 팬텀을 이용한 검사에서 가장 높은 표준 편차를 보인 Dexxum T 장치의 경우 상. 중. 하부 척추에서0.030, 0.029, 0.037를 보였고, 홀로직의 Horizon Ci에서는 0.005와 0.004로 하부와 중간 척추에서 가장 낮은 표준편차를 나타냈다. 오스테오 프로맥스 장치의 경우 상부 척추에서 0.005의 표준편자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외 이중에너지 흡수 골밀도 장치의 교차식은 임상환경에서 골밀도 검사의 추척 검사에 유용한 사례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산 이중에너지 X선골밀도 장치에 대해 설정된 교차 방정식에 기초로 임상환경에서 보다 정확한 골밀도 추적 관찰을 위해 보다 다양한 국산 이중에너지 X선 골밀도 장치의 교차 보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s mainly used as an X-ray test method. For equipment manufactured GE and Hologic, cross-calibration analyses (CCA) of machines from the same manufacturer and between uni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have been conducted, but the CCA of equipment manufactured in Korea are inadequate. Through CCA, we present a formula of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Korean medical equipment company (KEC) with GE and Hologic manufactured DXA, and among the KEC DXA. The CCA was conducted for the European Spine Phantom on DXA from four KEC and three global medical equipment company (GEC) manufacturers. We compared bone mineral density (BMD) values and calculated the CCA equation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andard-deviations (SD) of the BMD values were highest for the Dexxum T for the low, medium, and high spine, which were 0.030, 0.029, and 0.037, respectively. The smallest SD in the low and medium vertebrae were 0.005 and 0.004 for the Horizon Ci, respectively, and 0.005 for the Osteo Pro Max in the high vertebrae. Based on the intersection equations of the KEC DXA established in this study, CCA of various KEC DXA should be established for more accurate follow-up of BMD tests in clinical environments.

      • KCI등재

        Cross Calibration of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Equipment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between Domestic Manufacturers and Global Manufacturers

        Jung-Su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7

        골다공증의 진단에서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수법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검사이다. 외국의 골밀도 장치 제조사인 지이나 홀로직 장치에 대한 교차분석 연구는 다양하나 국내 제조사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골밀도 장치에 대한 비교 분석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사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골밀도 장치와 해외 제조사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골밀도 장치의 교차분석을 시행하여 교차식을 수립하였다. 유럽인 척추 팬텀을 이용한 검사에서 가장 높은 표준 편차를 보인 Dexxum T 장치의 경우 상. 중. 하부 척추에서0.030, 0.029, 0.037를 보였고, 홀로직의 Horizon Ci에서는 0.005와 0.004로 하부와 중간 척추에서 가장 낮은 표준편차를 나타냈다. 오스테오 프로맥스 장치의 경우 상부 척추에서 0.005의 표준편자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외 이중에너지 흡수 골밀도 장치의 교차식은 임상환경에서 골밀도 검사의 추척 검사에 유용한 사례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산 이중에너지 X선골밀도 장치에 대해 설정된 교차 방정식에 기초로 임상환경에서 보다 정확한 골밀도 추적 관찰을 위해 보다 다양한 국산 이중에너지 X선 골밀도 장치의 교차 보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s mainly used as an X-ray test method. For equipment manufactured GE and Hologic, cross-calibration analyses (CCA) of machines from the same manufacturer and between uni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have been conducted, but the CCA of equipment manufactured in Korea are inadequate. Through CCA, we present a formula of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Korean medical equipment company (KEC) with GE and Hologic manufactured DXA, and among the KEC DXA. The CCA was conducted for the European Spine Phantom on DXA from four KEC and three global medical equipment company (GEC) manufacturers. We compared bone mineral density (BMD) values and calculated the CCA equation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standard-deviations (SD) of the BMD values were highest for the Dexxum T for the low, medium, and high spine, which were 0.030, 0.029, and 0.037, respectively. The smallest SD in the low and medium vertebrae were 0.005 and 0.004 for the Horizon Ci, respectively, and 0.005 for the Osteo Pro Max in the high vertebrae. Based on the intersection equations of the KEC DXA established in this study, CCA of various KEC DXA should be established for more accurate follow-up of BMD tests in clinical environments.

      • KCI등재

        CO2 흡수용 100 Nm3/hr급 Vortex Tube의 에너지분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성영,김창수,한근희 한국청정기술학회 2010 청정기술 Vol.16 No.3

        Vortex tube is the device that can separate small particles from the compressed gas, as well as compressed gas into hot and cold gas. Due to energy and particle separation ability, a vortex tube can be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O2 absorption device. In this study, experimental approach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energy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rtex tube. To obtain the preliminary design data, energy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rtex tube has been tested for orifice diameter, nozzle area ratio, and tube length. As a result, the orifice diameter is the major factor of the vortex tube design. The nozzle area ratio and tube length have a minor effect on the energy separation performance. For Dc=0.6D, AR=0.14∼0.16, and L=16D, maximum energy separation has been occurred.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esign data of the 100 Nm3/hr class vortex tube applied to the CO2 absorption device. Compared with the CO2 absorption process containing an absorption tower, the process with a vortex tube is expected to have a huge advantage of sav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operating cost. 볼텍스튜브는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고온 가스와 저온 가스를 분리하거나 입자상 물질의 분리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볼텍스튜브의 에너지분리 특성과 물질분리 특성을 활용하여, 연소가스로부터 CO2를 흡수하는 장치의 핵심부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2 흡수용 볼텍스튜브의 기본설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에너지분리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볼텍스 발생기의 오리피스 직경, 노즐면적비 및 튜브의 길이가 에너지분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오리피스 직경이 볼텍스튜브의 성능에 지배적인 설계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노즐면적비와 튜브길이의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오리피스 직경이 작고(Dc=0.6D), 노즐면적비가 중간 이상(AR=0.14∼0.16)이며, 튜브 길이가 긴 모델(L=16D)이 저온 출구 측과 고온 출구 측의 열전달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2흡수용 100 Nm3/hr급 볼텍스튜브의 기본설계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볼텍스튜브를 적용한 CO2흡수 공정을 적용하면 기존의 대형 흡수탑 대비 상당한 공간과 에너지의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