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으로서 하길종 영화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영상시대’ 동인으로 1970년대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하길종은 총 7편의 작품을 남기고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감독의 이른 죽음과 197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선험적 판단은 하길종 작품에 대한 신화화에 이바지했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는 1970년대 대학생들이 주인공이며, 당시 청년문화의 면모와 청년들의 삶을 보여준다. 특히, <바보들의 행진〉은 한국영화사에서 리얼리즘을 표방한 하길종이 동시대 청년을 재현한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속편 〈병태와 영자〉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그간의 하길종 연구에서 외면했던 〈병태와 영자〉를 전편인 〈바보들의 행진〉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이 논의의 중심에는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가 배경으로 하는 1975년과 1979년의 문화사적 차이가 있다. 1970년대 전체를 청년문화의 전성기로 읽을 수 없고, 1970년대 중후반의 정치적 변화는 청년문화를 포함한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촉구했다. 때문에 청년문화가 활기를 띄던 시기에 제작된 〈바보들의 행진〉과 청년문화에 대한 비판과 억압이 강화된 시기에 제작된 〈병태와 영자〉는 동일한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1970년대 청년문화에 대한 관점의 세분화와 이에 따른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기반으로 두 영화를 해석한다. ‘청년문화 전성기의 보고서’ 〈바보들의 행진〉은 유신의 억압에 저항했던 청년문화의 경험을 통해 시대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다. 〈병태와 영자〉는 1975년 이후 쇠퇴하고 변색된 청년문화와 저항의 힘을 잃은 젊음을 대학생 스스로 비판하며 각성을 요구하는 ‘청년문화의 좌절 이후 자기비판’이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이러한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은 세 가지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프리즈 프레임은 각 영화의 주제를 함축한다. 둘째, 〈바보들의 행진〉에서 보여 준 영철의 죽음이 본편과 속편의 서사연계를 통해 〈병태와 영자〉에서 병태와 영자의 심경과 태도변화에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두 영화는 젊음을 상징하는 달리기 장면에서 카메라 워크(익스트림 롱쇼트, 패닝, 트래킹)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의미구조를 생성한다. Ha Gil-jong directed seven feature films in mid to late 1970s, and died young.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as Korean University Cinema, show those days Korean Youth Culture and College-Life.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two films ought to be reread with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which relates segmented point of view of Korean Youth Culture in 1970s. I compare ‘The March of Fools’ and sequel ‘Byung-tae and Young-ja’ through cultural gap in 1975 and 1979, that each cinema covered. Mid to late 1970s’s political alteration raise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include Korean Youth Culture at the instigation of intellectuals. So that, ‘The March of Fools’, filmed in the heyday of Korean Youth Culture, and ‘Byung-tae and Young-ja’, filmed in the after of frustrate of Korean Youth Culture as Counter-Culture, do not share the sam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The March of Fools’ reveals criticism on society with experiences and symbols of Korean Youth Culture that resists oppression of Yushin Regime. ‘Byung-tae and Young-ja’, as self-criticism after frustrated Korean Youth Culture, strikes a note of awakening to youth about the same age and critics himself about faded Korean Youth Culture and youth itself which lost a power to will of resistance. Representation of 1970s Counter-Culture in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reveals especially in three specific points. First, in each film, freeze frame implies topic of the work. And secondly, Young-chul’s death in ‘The March of Fools’ affects Byung-tae and Young-ja´s change of attitude in ‘Byung-tae and Young-ja’ with narrative connection. Lastly, two film generate semantic structure through repetitions and variations of camera works —extreme long shot, panning and tracking shot— in Running scenes which are symbolizing youth and liberty.

      • KCI등재

        헝가리의 성탄극

        한경민(HAN, Kyeng 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헝가리의 성탄극은 기독교 전례와 민중의 축제가 결합된 독특한 민속극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기독교의 가장 큰 축제인 성탄절에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연하고 즐기던 행진과 공연은 헝가리 민중의 삶과 희망, 가치가 녹아있는 성탄극으로, 본문에서는 그 극의 갈래와 구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성탄극은 성 가정의 행진 - 낙원극 - 예수 탄생극 - 헤로데 극의 4 갈래로 분화되어 이어져 왔고, 각각 12월 15일에서 24일, 24일 오후, 24일 자정, 1월 6일에 공연되었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정점으로 모두 연결되어있다. 극은 사건의 전후 순서에 따라서 배열되며, 한 극은 한 사건에 집중되어 독립적 형태의 극으로 완결된다. 〈성 가정의 행진〉은 예수 탄생 전에 잠자리를 찾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공연되었다. 다음으로 〈낙원극〉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고 낙원에서 추방되어 슬픔에 빠지지만, 바로 그 순간 앞으로 구세주가 그들을 다시 낙원에 데리고 들어갈 것이라는 창조주의 구원 약속을 얻는다. 그 약속의 결과로 〈예수 탄생극〉에서 구세주 예수의 탄생이 구현된다. 천사가 목동에게 나타나 예수의 탄생을 알리자, 목동들이 아기 예수를 찾아 경배하기 때문에 이 극에는 목동이 중요한 등장인물이다. 마지막으로 구세주의 탄생이 별을 통해 알려지고, 동방의 세 왕이 예수를 찾아 경배하러 오자 헤로데 왕은 자신의 지배력을 빼앗길까 두려워 예수를 없애려고 하지만, 성공하지 못하는 〈헤로데 극〉이 대미를 장식한다. 헝가리에서 성탄은 새해를 맞는 전환점이며 한 해를 보내는 의미심장한 시기였다. 그래서 민간에서 행해오던 여러 풍속들이 종교와 함께 결합하여 특수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성탄극이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헝가리만의 독특한 특징과 결합하여 발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의 기쁜 소식에서 출발하여, 헝가리의 전통 의상, 특별한 분장과 도구, 전통 음식과 악을 쫓는 민간의 의식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의 성탄극은 단순한 종교적인 극이 아니며, 헝가리 민중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민속극으로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Bethlehem play had been the most popular Christmas Tradition in Hungarian speaking areas. It was divided in four dramas : Saint family"s march, Paradise drama, Bethlehem drama and Herod drama. The first one is the requesting the lodging facilities. From December 15. man brought the holy family"s pictures and sculptures to their neighbours. Man prayed and sang together, and left those there until the next morning. In a village man made a 9 family community and played this game. The most popular folk dramas in Hungary are Paradise Play and Bethlehem Play. The one performed on every Christmas Eve. It began as a tragic story that the mankind lost the paradise, but later turned out to be a happy story that Jesus was borne and he would save all the mankind. The other did on the very Christmas Day. These two types of dramas are performed in many places up to now because these dramas have something in the performance to appeal people"s feeling, life and long traditions. In this article, I layed great emphasis on the Christmas drama to find the hungarian folk drama"s speciality. In the past, Christmas was not only religious holiday, but also the new year"s d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a new year"s day there were many special rules and taboos. The Bethlehem Play"s performance embraced traditional and national elements as well as the religious ones. In the Bethlehem play has a shepherds" dance was performed by the actors. The Shepherds play a circle dance with the mask and the clothes turned out. They hang on their sticks and tap at the ground. They usually put the pebbles into the downside of the sticks, so the sticks rattled in the bumped pebbles. The scholar insisted that the shepherd"s dance showed an old hungarian magical cult. The last Christmas drama is the Herod drama that was shown at the Epiphany. Herod asked the three orient kings to adore Jesus and report him where Jesus was borne. The first step of the drama is to carry out a large star that wad made of tree. All of the village"s inhabitant celebrated together. 헝가리의 성탄극은 기독교 전례와 민중의 축제가 결합된 독특한 민속극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기독교의 가장 큰 축제인 성탄절에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연하고 즐기던 행진과 공연은 헝가리 민중의 삶과 희망, 가치가 녹아있는 성탄극으로, 본문에서는 그 극의 갈래와 구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성탄극은 성 가정의 행진 - 낙원극 - 예수 탄생극 - 헤로데 극의 4 갈래로 분화되어 이어져 왔고, 각각 12월 15일에서 24일, 24일 오후, 24일 자정, 1월 6일에 공연되었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정점으로 모두 연결되어있다. 극은 사건의 전후 순서에 따라서 배열되며, 한 극은 한 사건에 집중되어 독립적 형태의 극으로 완결된다. 〈성 가정의 행진〉은 예수 탄생 전에 잠자리를 찾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공연되었다. 다음으로 〈낙원극〉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고 낙원에서 추방되어 슬픔에 빠지지만, 바로 그 순간 앞으로 구세주가 그들을 다시 낙원에 데리고 들어갈 것이라는 창조주의 구원 약속을 얻는다. 그 약속의 결과로 〈예수 탄생극〉에서 구세주 예수의 탄생이 구현된다. 천사가 목동에게 나타나 예수의 탄생을 알리자, 목동들이 아기 예수를 찾아 경배하기 때문에 이 극에는 목동이 중요한 등장인물이다. 마지막으로 구세주의 탄생이 별을 통해 알려지고, 동방의 세 왕이 예수를 찾아 경배하러 오자 헤로데 왕은 자신의 지배력을 빼앗길까 두려워 예수를 없애려고 하지만, 성공하지 못하는 〈헤로데 극〉이 대미를 장식한다. 헝가리에서 성탄은 새해를 맞는 전환점이며 한 해를 보내는 의미심장한 시기였다. 그래서 민간에서 행해오던 여러 풍속들이 종교와 함께 결합하여 특수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성탄극이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헝가리만의 독특한 특징과 결합하여 발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의 기쁜 소식에서 출발하여, 헝가리의 전통 의상, 특별한 분장과 도구, 전통 음식과 악을 쫓는 민간의 의식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의 성탄극은 단순한 종교적인 극이 아니며, 헝가리 민중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민속극으로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Bethlehem play had been the most popular Christmas Tradition in Hungarian speaking areas. It was divided in four dramas : Saint family"s march, Paradise drama, Bethlehem drama and Herod drama. The first one is the requesting the lodging facilities. From December 15. man brought the holy family"s pictures and sculptures to their neighbours. Man prayed and sang together, and left those there until the next morning. In a village man made a 9 family community and played this game. The most popular folk dramas in Hungary are Paradise Play and Bethlehem Play. The one performed on every Christmas Eve. It began as a tragic story that the mankind lost the paradise, but later turned out to be a happy story that Jesus was borne and he would save all the mankind. The other did on the very Christmas Day. These two types of dramas are performed in many places up to now because these dramas have something in the performance to appeal people"s feeling, life and long traditions. In this article, I layed great emphasis on the Christmas drama to find the hungarian folk drama"s speciality. In the past, Christmas was not only religious holiday, but also the new year"s d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a new year"s day there were many special rules and taboos. The Bethlehem Play"s performance embraced traditional and national elements as well as the religious ones. In the Bethlehem play has a shepherds" dance was performed by the actors. The Shepherds play a circle dance with the mask and the clothes turned out. They hang on their sticks and tap at the ground. They usually put the pebbles into the downside of the sticks, so the sticks rattled in the bumped pebbles. The scholar insisted that the shepherd"s dance showed an old hungarian magical cult. The last Christmas drama is the Herod drama that was shown at the Epiphany. Herod asked the three orient kings to adore Jesus and report him where Jesus was borne. The first step of the drama is to carry out a large star that wad made of tree. All of the village"s inhabitant celebrated together.

      • KCI등재

        광주문화운동 초기 형성과정 연구: 〈님을 위한 행진곡〉을 중심으로

        한재섭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이 논문은 1982년 제작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중심으로 1980년 광주민중항쟁 전후 전개된 초기 광주문화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님을 위한 행진곡>은 노래굿《넋풀이-빛의 결혼식》앨범에 수록된 마지막 곡으로 황석영과 홍희윤의 집에서 광주문화운동가들에 의해 비밀리에 녹음되고 비합법 카세트테이프로 제작 복제되어 은밀하게 유통 확산된 노래이다. 논문의 목적은 먼저 기존 연구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정리해냄으로써 당시 광주문화운동가들이 노래 제작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목적 등을 바탕으로 광주문화운동의 성격을 일부 규명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이다. 이는 <님을 위한 행진곡>이 198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노래이자, 1997년 광주민중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고 공식적 의례곡으로 채택되면서, 노래제작을 둘러싼 역사적 사실관계가 한 두 사람의 주요 인물에만 집중되고 있지 않나 하는 문제의식에서이다. 둘째는 <님을 위한 행진곡>이 광주문화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성격을 조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선 1970년대 후반부터 발아되기 시작한 광주문화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지에 대한 사실관계들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님을 위한 행진곡>에 참여한 문화운동가들의 1970년대와 광주민중항쟁, 항쟁 이후 활동한 이력들에 대한 구술조사와 기존 텍스트 분석으로 광주문화운동의 초기 형성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간략하게 언급된 1977년《해남농민잔치》와 광주민중항쟁 이후 문화운동단체 ‘갈릴리’의 활동에 대한 새로운 자료와 진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님을 위한 행진곡>은 1978년부터 본격화된 광주문화운동 1세대의 역량이 집약된 작품이자 이후 1980년대 광주문화운동의 방향을 제시한 작품으로 상정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arly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1980 Gwang-ju People Uprising, focusing on the 1982 〈March for the Beloved〉. 〈March for the Beloved〉 is the last song included in the Songgut 《Nuckfulri》 album, which was secretly recorded by Gwang-ju cultural activists at the homes of Hwang Seok-young and Hong Hee-yoon, produced and copied with illegal cassette tapes, and distributed secretl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ccurately summarize the facts related to 〈March for the Beloved〉 in existing research, so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Gwang-ju cultural activists participating in the song production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March for the Beloved〉 is a monumental song symbolizing the Korean 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and as the 1997 Gwang-ju People Uprising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anniversary and adopted as an official ritual song,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the song production are focused on one or two major figures. The second is to shed light on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March for the Beloved〉 in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cts about how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began to germinate in the late 1970s, has developed. In this paper, oral surveys and analysis of the history of cultural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March for the Beloved〉 in the 1970s, the Gwang-ju People Uprising, and after the protest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initial formation process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Through this, new data and statements on the activities of the culture movement group “Galilee” after the 1977 “Haenam Farmers' Festival” and the Gwang-ju People Uprising, which have been briefly mentioned so far, were secured. In summary, 〈March for the Beloved〉 can be assumed to be a work that concentrates the capabiliti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 began in earnest in 1978, and later presents the direction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in the 1980s.

      • KCI등재

        바흐친으로 스페인 행진가 읽기: 카니발성과 대화성을 중심으로

        박소영,이강호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23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바흐친의 이론에 기초하여, 스페인 육군 종합군사학교(Academia General Militar)의 행진가에 나타난 카니발성과 대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2022-2023 군가집에 수록된 군가 총 36곡 가운데 비공식 군가와 병영 군가의 특징을 지닌 행진가 27곡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다. 본 연구 는 스페인 생도대 행진가에서 전복과 해방의 카니발성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대화 적 관계는 군가에서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 그 주체와 방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도대 행진가의 모든 부분, 즉 패러디 형식, 그로 테스크한 내용, 언어에서 카니발성이 확인된다. 둘째, 스페인 생도들은 행진가를 가 창하며 이상이 아닌 일상에서 카니발의 크로노토프를 향유하고, 고된 군대 생활을 극복하는 ‘웃음’을 노래한다. 셋째, 행진가의 주제는 나 혹은 상·하급자와의 대화로, 기존 군가의 단강세성을 극복하고 생도의 이야기를 다성적으로 풀어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rchas Militares for cadets at the Academia General Militar of the Spanish Army with a focus on the carnivaleque and dialogism as defined by Bakhtin. This research examines the 27 marching songs, drawn from a total of 36 military songs included in the 2022-2023 Cancionero Militar. The investigation centers on the portrayal of carnivaleque and dialogic nature including subversion, liberation, parody, grotesque within theses marching so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arnival permeate all facets of the marching songs: their parodic style, and grotesque contents and language. Second, Spanish cadets participate in the chronotope in their daily lives. This engagement entails subverting hierarchy, employing mockery, satire and ridicule directed at their superiors and their challenges of their demanding military life, all underscored by ‘laughter’. Third, the thematic content of the marching songs engages in a dialogue, both with oneself or one’s superiors and subordinates, which overcomes the uniaccentu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ilitary songs and presents the cadet’s narrative in a polyphonic manner.

      • KCI등재

        생명 ‘너머의’ 행진: 코로나19 ‘리미널리티’ 속 죽음에 대한 걷기의례

        김관욱(Kim, Kwanwoo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27 No.2

        본고는 2020년 3월 18일 코로나19 감염이 급증했던 경북 경산시에서 폐렴으로 사망한 아들(정유엽, 만17세)의 죽음을 기리기 위한 아버지 J씨의 도보행진(24일간 375.4km)이 갖는 의례적 가치를 탐구한다. 팬데믹이라는 대규모 ‘리미널리티’ 상황 속에서 정군을 포함한 감염 관련 사망자들은 ‘익명의 죽음’으로 취급되고 있었다. 하지만, 정군의 경우 발열 초기 지역 선별진료소 및 응급실의 부적절하고 지연된 대응으로 인해 증상발생 6일 만에 사망에 이르렀으며, 그 과정 중 다수의 코로나19 검사(총 14회, 최종 음성)를 받게 되었다. 필자는 J씨 부부 및 정유엽사망대책위원회 활동을 추적하며 이들이 1주년을 맞아 장거리 도보행진을 기획하게 된 이유, 준비과정, 실행과정, 실행 이후의 상황을 탐색하였다. 정군은 입원치료 당시 병원에서 시간성이 결여된 생물학적 몸으로 취급받으며 죽음의 ‘원인’에만 관심이 집중됐다. 그에 반해, J씨의 도보행진은 일종의 걷기의례로서 참가자들과 함께 정동적 연결을 통해 정군의 죽음이 갖는 ‘의미’를 되새겼다. 본고는 이와 같은 걷기의례가 팬데믹 시기의 합리적, 탈주술적인 의료행위와 대비되는 가치를 조명하고 포스트 팬데믹 시기에 기여할 수 있는 성찰적 지점을 고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itual value of the 375.4km walk for 24 days of the father Mr. J to commemorate the death of his son (Jung Yoo-yeop, 17 years old) who died of pneumonia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where the number of Covid-19 infections surged on March 18, 2020. During the large-scale ‘limitality’ of the pandemic, infectionrelated deaths, including the son, were being treated as ‘anonymous deaths’. However, in the case of the son, due to the inappropriate and delayed response of the local screening clinic and emergency room in the early stage of fever, he died within 6 days of symptom onset. He also received multiple COVID-19 tests (14 times, final result=negative). I examined the activities of Mr. J and local NGOs and explored the reasons, the process, and afterward of the long-distance march walk while commemorating the first anniversary of their son. While the son was hospitalized, he was treated as a biological body lacking his identity in the hospital, and attention was focused only on the “cause” of his death. In contrast, Mr. J’s march walk was a kind of ritual practice, and he reminded of the ‘meaning’ of the son’s death through an affective connection with the march participants.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limits of medical practi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ationality and dis-enchantment in the pandemic period by contrast with the ritual walk.

      • KCI등재

        기후의 물질성과 ‘우리’의 유동성: 924 기후정의행진과 류대(fluidarity)의 감각

        김지혜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limate Justice March that took place in Seoul on September 24, 2022, which was the largest march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limate movement. It analyzes the meaning of “we” in the march and the role of the climate in enabling this collective action. While the term “solidarity” is often used in social movements to go beyond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the “we” of the Climate Justice March cannot be interpreted solely through solidar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concept called “fluidarity” that involves a fluid encounter of different beings. In terms of fluidarity, the Climate Justice March can be seen as a process of creating a new “we” in the midst of bifurcation and joining of different beings. The climate, as an atmospheric thing that connects beings, h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holds different beings together in one space-time. The climate’s instability, however, obscures the politics of the movement. By exploring the concept of “we” and the materiality of the climate, this study hopes to provide insights into elevating the politics of the movement and creating differences among climate practices, moving away from standardizing them. 이 연구는 2023년 현재 한국 기후 운동 사상 가장 대규모의 행진이었던 924 기후정의행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이 행진에서 나타나는 ‘우리’의 의미와‘우리’를 만나게 하는 기후의 물질성을 분석한다. 사회운동에서 ‘우리’는 보통 개별주의와 집단주의의 한계를 넘어선다는 의미에서 연대(solidarity)라는 용어를 통해의미화되었다. 하지만 연구자는 연대만으로 924 기후정의행진의 ‘우리’를 해석할 수없다고 보았고, 따라서 류대(fluidarity)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우리’를다른 방식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대가 동질성에 기반을 두고 동일화하는 작업을수반한다면 류대는 차이 나는 존재들의 유동적인 만남을 의미한다. 이때 924 기후정의행진은 ‘우리’의 분기와 합류 속에서 새로운 ‘우리’를 만드는 류대의 과정으로 해석된다. 차이 나는 ‘우리’를 하나의 시공간 속에 붙들어 놓는 기후는 독특한 물질성을지니고 있다. 그 독특한 물질성이란 기후 그 자체가 대기/분위기적인 것이라는 점이며, 존재들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분위기적인 것으로서 기후는 취약성과개방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불안정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거리의 정치를 연결시키지만, 동시에 모호하게도 만든다. 이 연구는 기후 실천을 정형화하는 논의에서벗어나 ‘우리’와 기후의 물질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차이를 생성하는 움직임(movement)의 정치를 고양하는 흐름으로서 해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최인호 원작 영화에 나타난 ‘고래’의 의미와 검열 양상 - <바보들의 행진>, <고래사냥>을 중심으로

        강숙영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70

        The novel and movie based on Choi In-ho often feature a motifcalled 'the whal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have focused on the meaning of "whales" in Choi's work. Thisstudy captures the meaning of the "whales" in 『March of the fools』 and 『The whale hunt』, and aims to track how the censorship ofthe nation and the writer influenced the symbolism of the "whale." The Constitution in 1972 and the Emergency Action 9 in 1975brought to the decline of the overall arts. During this time, ChoiIn-ho produced many popular newspaper novels that avoid the eyesof censorship. And they were popularly successful. A considerablenumber of his newspaper novels are made into movies. Choi In-ho's novel, 『March of the fools』 and 『The Whale hunt』 share an important motif, ‘Whale.’ ‘The whale’ of both works isreminiscent of the whale in the novel 『Moby Dick』 by HermanMelville. According to their perspective of seeing the whale, Ahaband Starbuck became the prototype character of idealist and realist. Like this, there are two characters who leave for finding ‘whale’ inChoi In-ho’s works. Also the two young characters have differentview about that. The sign of "Resistance," which is symbolized by the "whale," isreinforced by the screen adaptation in case of 『The March of thefools』. However, the film's vivacious subversive power is damagedby pre-censorship by authority and its meaning of 'whaling' is also ambiguous. Also in the movie, 『The Whale Hunt』, the commercialand pre-checked author's own self-censorship weakens thesymbolism of the whale. 최인호 원작의 소설과 영화에 ‘고래’라는 모티프가 빈번하게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최인호의 작품에서 그 의미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 글은 『바보들의 행진』과 『고래사냥』을 중심으로 최인호의 작품 속 ‘고래’의 의미를 파악하고,이 작품들이 영화화되는 과정에서 권력의 사전검열과 작가의 자기검열이 ‘고래’의상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2년의 유신과 1975년의 긴급조치 9호의 강화된 검열의 시선은 문화 예술의 자율성을 통제함으로써, 예술 전반의 질적 하락이라는 결과를 낳는다. 이런 상황에서 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의 생산은 꺼져가는 한국영화의 예술성을사수하는 마지막 보루와 같았다. 특히 최인호의 소설이 담지하고 있는 대중성과 시대 의식은 영화의 소재로 적당했을 뿐 아니라 감독의 사회 비판적 시선이 침투할여지를 마련하고 있었다. 이 작품들 중 『바보들의 행진』과 『고래사냥』은 ‘고래’라는 모티프를 공유한다. 최인호의 ‘고래’는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의 소설 『모비딕』의 상징성과 유사하다. 『모비딕』에서 고래를 향한 시선에 따라 ‘에이허브’와 ‘스타벅’이 각각 이상주의자와 현실주의자의 전형이 되었듯이, 『바보들의 행진』과 『고래사냥』에도 상반되는 시선을 가진 두 명의 젊은이들이 등장하는 것이다. 이 두 작품에서 거대한 기성의 가치와 권력에 저항하는 젊은이들의 이상은 ‘고래사냥’ 이라는 상징으로 표상되고 있다. ‘고래’가 상징하는 ‘저항’의 기표는 <바보들의 행진>의 경우 영화로 각색되면서 강화된다. 그러나 이 영화의 발랄한 전복성은 권력기관의 사전 검열로 인해 손상되고 ‘고래 사냥’의 의미는 모호해진다. 또한 영화 <고래사냥>에서는 상업성과사전검열을 의식한 작가의 자기검열이 각색 과정에 간여하면서 ‘고래’의 상징성이약화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 KCI등재

        정율성의 항일 가요 ‘팔로군 행진곡’(八路軍進行曲)의 사회적 역할

        허영춘,허홍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2 No.-

        ‘March of the Balujun Army’ was composed at Yanan, then anti-Japanese base, by Jeong Yulseong and another lyricist Gongmu in 1939. This song was one part of ‘the Balujun chorus’ which aimed to encourage the brave soldiers who fight the Japanese invaders regardless of their lives. After liberation, the song was put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was taught to many students, more importantly, later it became the military song of the PLA. Viewing from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March of the Balujun Army’ has great value since it reflect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paper illustrates Jeong Yulseong’s life experience and the background of his great work ‘March of the Balujun Army’, furthermore the paper also tries to analyze the social role the work plays. 정율성(鄭律成)에 의해 창작된 ‘팔로군 행진곡’(八路軍進行曲)은 1939년 작사가 공목(公木)과 함께 중국의 항일 근거지인 연안(延安)에서 당시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는 팔로군들의 기세를 북돋아주기 위하여 창작되었다. ‘팔로군행진곡’은 ‘팔로군대합창’(八路軍大合唱) 모음곡 중 하나의 속곡(屬曲)으로서 해방 이후, 중국 정부에서 ‘중국인민해방군 군가(中國人民解放軍軍歌)’로 채택될 만큼 영향력 있는 항일 음악작품으로 간주되었으며, 현재 중국의 초·중학교 음악교과서에도 수록되어 학생들의 역사의식 제고를 위하여 가르치고 있다. ‘팔로군행진곡’은 역사적·사회적·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한·중 양국 간의 문화예술 교류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있어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항일 전쟁 시기 한인 음악가 정율성에 의해 작곡된 ‘팔로군행진곡’의 창작 배경과 음악작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바보들의 행진>의 탈구심적 미학

        이효인 ( Yi Hyo I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1

        하길종의 감독의 <바보들의 행진>(1975)은 흥행에 크게 성공하면서 `병태 신드롬`을 일으켰을 정도였으며 비평적으로도 큰 찬사를 받았지만, 회의적인 비판 또한 없지 않았다. 또한 구체적인 미학적 검토는 물론 당대 혹은 후대의 영화인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못했다. 또한 이 영화가 당대 관객들과 만난 구체적인 미적 요소 즉 파토스(pathos)를 불러일으킨 인물과 행위, 공간, 이미지, 서사전략 등은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런 맥락에서, 단절적인 서사와 파편적 이미지들로 가득 찬 <바보들의 행진>을 억압에 대응하는 미적 양식의 차원에서 보고자 한다. 미하일 바흐찐(Mikhail Bakhtin, 1895∼1975)은 억압적인 공식문화 혹은 벗어나기가 요원한 지극히 관습적인 문화가 지배적일 때는 웃음과 풍자(인물과 행위), 밀실에서 광장으로(공간), 그로테스크한 물질 혹은 육체성(이미지), 거리낌 없는 말투와 에피소드들의 혼잡한 결집(서사) 등으로 드러난다고 보았다. 즉 구심적 문화에 대항하는 탈구심적 문화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것을 공식문화에 대응하는 민중문화의 특징 그 중에서도 카니발레스크(carnivalesque, 카니발적 양식) 성향으로 보았다. 이 글은 이런 맥락에서 바흐찐의 카니발적 미학 등을 중심으로, 단절된 서사와 분산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바보들의 행진>이 어떤 통일된 미적 지향을 갖는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The March of Fools (Babodeul-ui haengjin, 1975) directed by Ha Gil-chong, had a great success in the box office and caused a `syndrome of Beongtae`. It was critically acclaimed but also criticised skeptically. In addition, detailed aesthetic review as well as how it was received by contemporary or later filmmakers was not specifically presented. In other words, the specific aesthetic elements example for characters, actions, space, images, and narrative strategies that caused pathos to audience has not been fully explained. Mikhail Bakhtin(1895-1975) advocated that when a very conventional culture dominated by oppressive formal cultures laughter and satire (character and act), the grotesque material or the body (Image), a crowded tone of voice and episodes (narrative) and the square (space) appeared in the people culture. The centrifugal culture against the centripetal culture appears, which is called as the carnivalesque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culture.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March of Fools composed of disjointed narratives and decentralized images centered on Bakhtin`s carnival aesthetics has a unified aesthetic point.

      • KCI등재

        “러시아인의 행진”,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의 한 단면

        문준일 ( Moon Joonil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2

        소비에트 체제 붕괴 후의 이념의 공백 상태를 파고든 것은 민족주의였다. 1990년대 대두된 러시아 민족주의와 민족 문제는 러시아 사회에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어 사회 담론의 많은 부분을 규정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초 러시아 민족주의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 경제는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점차 안정되어갔고, 정치는 푸틴 대통령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정치 환경에서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립할 어떤 것이 요구되었다. 2004년 러시아 정부에 의해 11월 4일이 “국민단결의 날”로 지정되자 우파민족주의자들은 이날을 기념하기 위한 방법으로 행진을 기획하게 되는데 이것이 “러시아인의 행진”의 시작이다. 이 행사는 정부로부터 허가 받은 최초의 우파민족주의자들의 행사였으며, 다양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가진 우파민족주의 단체들이 처음으로 함께 모여서 자신의 이념적 선전을 대중을 향해 펼쳤던 기회이기도 했다. 본 논문은 현대 러시아 민족주의와 연관된 흥미로운 사회현상들 중 하나인 “러시아인의 행진” 발생 배경과 전개과정 그리고 쇠퇴의 원인을 살펴봄으로서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러시아 우파민족주의의 모습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It was nationalism that penetrated the ideological vacuum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regime. Russian nationalism and ethnic problems that emerged in the 1990s spread rapidly in Russian society and defined many aspects of social discourse. However, in the early 2000s, Russian nationalism faced a serious crisis. The economy gradually stabilized due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in politics, president Putin’s power was strengthened. In this new political environment, something was required to form and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2004, when November 4 was designated as “National Unity Day” by the Russian government, right-wing nationalists organized a march to commemorate the day, and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Russian March”. This event was the first right-wing nationalist event licensed by the government, and it was also an opportunity for right-wing nationalist groups with diverse ideological spectrums to gather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spread their ideological propaganda to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status of right-wing nationalism in Russia during the Post-Soviet period by examining the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and cause of the decline of the “Russian March”, one of the interesting social phenomena related to modern Russian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