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전용(專用) 체제(體制)에서 한자어(漢字語) 표기(表記)의 문제(問題)

        김창진 ( Chang Jin Kim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국어기본법`에는 한국의 글자는 `한글` 하나이고 漢字는 외국 글자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런 한글專用 體制 아래서 漢字語 表記가 合理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로 적는 表記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이 방식에서는 세 가지 問題點이 드러났다. 첫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意味 把握이 어렵다. 1) 韓國語의 辨別力이 떨어진다. 2) 讀解 速度가 느려진다. 3) 意味를 전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곧 漢字語 固有名詞, 學術用語·專門用語·漢字語 略語 등이다. 둘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으면 發音을 正確히 할 수 없다. 1) 現行 `한글맞춤법`은 韓國語 發音 混亂의 主犯이다. 현행 `한글`이 한국어 발음을 정확히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2) 發音 混亂을 막을 수 있는 두 가지 表記 方式이 있다. 그 하나는 `한글`을 長短音 구별하여 적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漢字語는 漢字로 적게 하는 것인데, 最上의 방식이다. 셋째, 漢字語를 한글로 적어서 發生하는 그밖의 副作用들도 많다. 1) 英語 등 外國語를 飜譯 없이 韓國語 안에 불러들인다. 2) 韓國語를 英語로 풀이하는 精神倒錯症的 表記가 나타난다. 3) 소리 나는 대로 漢字語를 적는 엉터리 한글 표기가 나타난다. 제3장에서는 漢字語를 `한글(漢字)`로 적는 方式의 問題點을 살펴보았다. 첫째, 두 가지 문자를 竝用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한글專用이 不可能함을 스스로 인정하는 矛盾的 表記다. 둘째, `한글(漢字)`은 努力과 空間을 浪費하게 하는 非經濟的 二重 表記이다. 셋째, `한글(漢字)`은 正確한 意味와 發音을 적기에는 非效率的인 방식이다. 넷째, `한글(漢字)` 表記에서 빚어지는 副作用들이 많다. 1) 漢字의 象形性을 使用할 수 없다. 2) 漢字文化圈 `外來語 表記`의 歪曲이 벌어진다. 제4장에서는 결론으로 漢字語를 올바르게 적는 表記 方式을 살펴보았다. 漢字語 표기의 最善策은 漢字로 적는 것이다. 곧 國漢字混用이다. 次善策은 `漢字(한글)` 방식의 國漢字竝用 표기다. 따라서 現行 `國語基本法`은 `漢字`도 `한글`과 함께 韓國의 두 글자라고 규정하고 國漢字混用을 하도록 改正해야 한다. 最小限 筆者가 國漢字混用과 한글專用 중에서 自由롭게 表記 方法을 選擇하여 表記하도록 `文字 選擇權`이라도 許容해야 마땅할 것이다. Current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says `Hangul,` or native alphabet of the Korean language is the only Korean and `Hanja`, the Korean name for Chinese characters, is foreign language. The author studied this form of rendering Sino-Korean words under the Hangul-only system is appropriate. In chapter 2, this essay focused on the problems of rendering Sino-Korean words only in Hangul, and three problems turned out.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ord meaning. Specifically, 1) discrimination of the word is not easy, 2) reading speed becomes slower and 3) in some cases, word meaning cannot be caught at all: proper nouns of Sino-Korean words, scientific or technical terminology and Sino-Korean abbreviations etc. In addition, if Sino-Korean words are spelled only in Hangul, it tends to be mispronounced. 1) Current Korean orthographic system arouses confusion about pronunciation because only in Hangul could not represent proper pronunciation. 2) There are two ways to prevent confusion about pronunciation. One way is to distinguish long vowels from short ones in Hangul writing system, or it is best for Sino-Korean words to be written by means of Hanja. Thirdly, if Sino-Korean words are spelled only in Hangul, it is faced with several problems: 1) bringing about foreign words such as English without translation, 2) explaining Korean words by means of English, which is very awkward, and 3) rendering Chinese character into Hangul according to their pronunci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examined issues when Hanja is used in parenthesis after the Hangul spelling as a kind of gloss. First of all, it is contradictory that rendering Sino-Korean words into two different forms under the Hangul-only system. Second, it is a duplication which wastes writer`s efforts and space. Thirdly, it is inefficient to grasp exact meaning. Finally, it causes some problems: 1) it blurs pictographic meaning of Hanja, and 2) it leads to make a false representation of foreign words from Chinese cultural sphere. In chapter 4, in conclusion, it is studied how to render Sino-Korean words properly. It is best for Sino-Korean words written by means of Hanja, or writing as `Hanja (Hangul)` would be the second best. Therefore, current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revised to use both `Hangul` and `Hanja` as two official Korean characters. At least, a writer should have a right to choose between writing in mixed script, using both Hangul and Hanja, and only in Hangul.

      • KCI등재

        한자/한자어의 조선문학적 존재 방식 ― 이태준을 중심으로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한자/한자어는 한국 문장의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글쓰기의 주류적 형태가 한문체에서 국한문체로, 그리고 국문체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한자/한자어는 ‘외부의 것’으로 인식되어 배제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한글 전용’의 승리로 귀착된 문체의 흐름에서 한자/한자어는 여전히 삭제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한글 전용’을 주장하면서 국문체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담론이 범람하기도 했으나 그 순수성이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다. ‘외부의 것’인 한자/한자어는 한글 문장 안에서 근대적인 방식으로 재편되면서 국문체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문인들은 ‘한글 전용’을 주장하면서도 그 주장을 국한문체의 글로 드러내곤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모순에 담긴 의미를 해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태준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한글문학만이 조선문학’이라고 외쳤던 속문주의자 이태준은, 자신의 주장대로 소설에서는 한글 전용을 실현했지만 수필에서는 한자 노출을 허용하는 모순을 드러냈다. 이태준은, 식민지 시대의 많은 문인들이 그러했듯이, ‘한글로 글을 쓴다’는 표기 차원의 문제와 ‘조선어로 글을 쓴다’는 어휘 차원의 문제를 동일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는 당시의 문장이 한글/조선어의 통사구조로 이행했다는 점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한글 전용’에 대한 당위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한자어의 경우 한자를 노출하여 표기하는 모순이 나타났던 것은, ‘한글 전용’이 한글/조선어식 통사구조의 형성을 의미하는 것이지 한자/한자어의 배제까지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글 전용을 강조하면서도 한자어의 한자를 노출하는 것은, 한자어가 그것의 근원을 지우고 조선어화되어 가던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특히 이태준이 자신의 수필에서 한자의 노출을 허용했던 의식의 밑바탕에는, 한자/한자어를 심미적 차원으로 고양하여 조선어 문장 안에 편입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그가 소설에서 주장한 한글 전용은 묘사의 문제로 이어지는데, 이는 의성어와 의태어, 감각어 등의 형용사와 부사가 사실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생각과 맞닿는다. 반면 수필에서의 한자 노출 허용은 명사에 대한 강조였다. 그는 수필의 제목에 드러나는 대상, 만약 그것이 한자어라면 한자를 노출해서 표기되는 그 대상을 다루면서도 그것의 묘사에 집중하지 않는다. 보고 듣고 느끼는 것들을 형상화해 내는 방식이 아니라, 그 대상의 주위를 둘러싼 것들을 통해 그것의 윤곽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한자의 시각성을 통해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 듯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통해 공백을 만들어 버리는 이중의 방식이다. 한자를 통해 형성되는 꽉 찬, 그러나 텅 빈 공간에는 시간성(역사)이 부여된다. 이것이 이태준이 한자를 통해 시도했던 (상대적으로 그 역사가 짧다고 인식됐던) 조선어를 심미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방식이었다. Chinese characters/words raised a variety of controversy in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sentences. They were regarded as “something from outside” and thus excluded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ainstream writing format moved from Chinese writing through Chinese and Korean writing to Korean writing. In spite of the writing format flow that ended in the victory of “exclusive use of Hangeul,” however, Chinese characters/words remain alive.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nd discourse that emphasized the purity of Korean writing style based on the claim of “exclusive use of Hangeul,” but the purity was something that was not possible from the beginning. “Something from outside,” Chinese characters/words were reorganized in Hangeul sentences in a modern fashion and go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writing format. During the Japanese rule, many literary persons would insist on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Chinese and Korean writing format. This study set out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such a contradiction by examining the case of Lee Tae-jun. Maintaining that “Only Hangeul literature is the true Joseon literature,” Lee Tae-jun, a person who has the literal principle, only used Hangeul in his novels just like he maintained. However, he did allow for the appearance of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Like many literary persons during the colonial days, Lee identified the transcription matter of “writing in Hangeul” with the vocabulary matter of “writing in Joseon language,” which suggests that sentences were made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Hangeu/Joseon language those days. A contradiction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words despite the absolute recognition of “exclusive use of Hangeul” surfaced, for “exclusive use of Hangeul” meant not the exclusion of Chinese characters/words but the formation of Hangeul/Joseon language syntactic structure. The Chinese characters of Chinese words were exposed in spite of emphasis on exclusive use of Hangeul, which reveals a “process” of Chinese words erasing the origin and becoming Joseon words. Especially Lee tried to raise Chinese characters/words to an aesthetic level and include them in Joseon sentences by allowing for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His insistence on exclusive use of Hangeul in his novels is connected to the matter of depiction, which lies in line with the idea that adjectives and adverbs such as onomatopoeic, mimetic, and sense words can bring reality. Meanwhile, his allowance for Chinese characters in his essays was his emphasis on nouns. He would deal with the subject revealed in his essay titles by exposing Chinese characters in its Chinese word but not focus on its description. He would create a contour for the subject through the objects around it instead of an embodiment through what is seen, heard, and felt. That serves double purposes of enriching meanings through the visi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creating an empty space through it. Temporality(history) is granted to the space that is both filled and empty through Chinese characters, which is the way Lee tried to raise Joseon language(whose history seemed relatively short) to an aesthetic level through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한글專用論의 거짓된 實狀과 國漢混用 語文運動의 成功을 위한 몇 가지 反省

        朴光敏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한글사랑 나라사랑" 이 말은 한글만 쓰자는 이들이 만들어낸 구호로서 語文政策의 本質을 巧妙하게 덮어 가리고, 語文政策의 實狀을 모르는 젊은이들을 誤導하는데 오렛동안 이용되어 왔다. '한글사랑'이라는 말 속에는 '한글專用(hagul-only ism)만이 至善'이라는 뜻이 교묘히 숨겨져 있어 이를 반대하는(國漢混用을 주장하는) 사람은 곧 '나라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等式을 젊은이들에게 强要하고 注入해 온 것이다. 정책 문제에 있어서 言衆은 대개 國家 將來나 公共의 利益보다는 表皮的이고 달콤한 甘言과 눈앞의 이익에 더 많이 기울어지게 마련이다. '한글사랑'이라는 그럴듯한 甘言도 多衆의 국민에게 국어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주며 한글전용론자들의 교묘한 二重的 行態를 덮어 가리는 역할을 해 왔다. 심지어 漢字敎育의 當爲性을 주장하는 분들조차도 '점진적 한글전용'이라는 異狀한 논리에 쉽게 同化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순 농경시대로 돌아가거나 얼마의 시간을 두고 영어를 公用語로 쓸 생각이 아니라면 한글전용은 불가능 한 것이다. '한글사랑'이라는 그럴듯한 巧言으로 덮어 가린 僞善은 국어를 망쳤을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意識을 荒廢化시켜 국가와 민족의 正體性마저 低落시켜 왔다. 本稿에서는 한글전용 주장의 虛構性을 다시 한 번 분석하고 國漢混用 語文運動의 反省을 통해 우리 語文運動이 指向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Love of Hangul is love of the nation" This slogan which was invented by Hangul-only-ist has been used for obscuring the essence of the language policy and leading young people astray for a long time. The motto covers subtly the meaning that Hangul-only-ism is the best. Therefore, it inculcates upon the youth the idea that people who advocate co-using of Hangul and Hanja don't love their country. It is natural for people to lean toward honeyed words and immediate gains than the national future or the public benefit. Implanting a mistaken notion about the Korean language, Hangul-only-ist serve to deceive people for some short lined flatteries. What is worse, even the scholars who lay stress on the necessity of Hanja education assimilate easily to the ridiculous logic, the gradual Hangul-only-ism. However, Hangul-only-ism is impossible unless we go back to the agricultural age or use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and not only did it ru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it altered the national identity by devastating young people's consciousness.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complete invention of Hangul-only-ism, and to explore the language movement by Introspection of co-using Hangul & Hanja.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한글 전용서체에 대한 조형성 고찰

        정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컴퓨터의 도입으로 인한 서체제작 환경의 개선과 전용서체 도입을 원하는 공공단체의 증가, 관련법 개정으로 인한 저작권 보호 등으로 인해 한글 전용서체의 개발이 확산되어지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은 전용서체를 개발, 활용하고 있으나 완성도의 미흡함과 차별성의 부족이라는 문제점 등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문자로서 출발점에 서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전용서체에 나타나는 자소의 형태적, 구조적 조형요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전용서체는 각 도시의 이미지 콘셉트를 가지고 진행되었으며, 그 콘셉트에 맞는 조형적 형태를 표현하고 있다. 분석대상인 서체는 서울서체와 부산체, 제주서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서체들의 자음과 모음의 각각의 모양과 결합에 의한 위치, 균형 등 구조에 관하여 비교하여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형태적 조형성 외에 지역자치단체의 전용서체들은 공공서체로서의 적용 가능한 전략과 시각적 고유성, 그리고 상징성 등에 관한 기능을 확장,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용서체의 한글 조형성 분석들이 향후 전용서체의 개발과 유지하는 과정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Improvement of font producing environme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increasing number of the public organizations that want to own their typeface and changing the copyright law about typeface, the era of Hangul special typeface is opening. Local Governments have adopted special typeface just after 2000 and have severe problems which are the quality and the distinguishing. This study is Local Governments special typeface research as Public font as a starting point. Analyzed th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elements of consonants and vowels of special typeface. Local Governments special typeface was conducted with the concept of each image of the city, and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form to fit that concept. Analysis of the subject is Seoul, Busan and Jeju typeface. About each typeface were compar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sonants and vowels of shape, combined, position, and combined etc., However,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the form of local governments special typeface morphological formative. Local Governments typefaces have challenges that need to extend the functionality of the Public typefaces as applicable strategy, visual identity, Uniqueness, and symbolism. The analysis of Morphologic Hangul typeface for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those of Korean font designers and developers.

      • KCI등재

        1948년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검토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을 둘러싼 정부 네트워크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유경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6 No.-

        본 연구는 1948년의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의 제정 및 공포로부터 현행의 국어기본법에 이르기까지 1)한글전용과 한자혼용을 둘러싼 쟁점의 논의내용에 크게 변화가 없지 않은가, 2)무엇보다도 언어(문자) 사용자가 한글 혹은 한자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대한 관점이 결여되어 있지 않은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의문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대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을 둘러싼 쟁점의 시작점으로 판단되는 1948년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제정에 관여하였던 정부 네트워크의 인식을 언어관리이론에 근거하여 검토하였다. 언어관리이론은 언어사용자의 현실사용을 반영한 미시적 접근법으로서 언어정책(어문정책)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다. 구체적으로는 1948년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 이후부터 현행의 국어기본법에 이르기까지의 쟁점에 대한 변천과정을 통해 그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 한국사회에서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을 둘러싼 쟁점의 시작점이 되어온 1948년의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을 대상으로, 법률 제정에 관여한 정부 네트워크의 인식을 언어관리이론의 측면에서 검토함으로써 현실사용의 관점이 결여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실을 중시한 미시적 접근의 어문정책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of government networks based on Language Management Theory, who were involved to draft the 1948’s Hangeul(Korean alphabet) only usage law which have been starting point for th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Hangeul only usage and Chinese character mixed usage in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글전용 논쟁과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위상(位相)

        이현일 ( Lee Hyun-i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올해는 1981년에 설립된 韓國漢文敎育學會가 創立 4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학회 설립의 기반인 각 대학의 漢文敎育科 중에는 조만간 학과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중등교육에서 漢文科의 位相은 상당히 嚴酷한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런 시점에 그 始源으로 돌아가 당시 한국 사회에서 우리 교과에 기대했던 바를 다시 되짚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근대전환기에 日帝의 식민지로 전락하여 급기야 말과 글을 빼앗겼던 우리 민족은 光復과 더불어 신속하게 일본어를 몰아내고 한국어를 부활시켰다. 한국과 북한이 재빨리 언어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체계화하고, 표준어를 査定하고, 맞춤법을 통일시키고,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말글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까지 바쳐가며 헌신한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주춧돌이 되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연원은 대체로 한힌샘 周時經(1876∼19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복 이후 남과 북에서 한글전용론을 앞장서 주장한 학자들은 대체로 周時經을 淵源으로 하며, 광복 이후 남한에서 모든 논쟁은 崔鉉培(1894∼1970)가 軍政廳 學務局의 編修局長에 취임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교과서의 한글 전용 및 가로쓰기와 풀어쓰기를 시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趙潤濟(1904∼1976)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뒤로도 漢字 폐지 여부를 두고 국어학자와 다른 분야의 지식인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지속적인 갈등이 벌어졌고, 정권에 따라서는 이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을 부각시키는 데 이용하려 하기도 하였다. 특히 1969년 三選改憲과 1972년 維新憲法을 관철시켰던 박정희 정부에서는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이라는 稀有의 정책을 강력하게 집행하면서도, 그 반대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漢文科를 국어과에서 독립시키고 중등 교육에서 필수 교과로 자리 잡게 하였고, 이에 따라 漢文敎育科가 창설되었다. 곧 한글전용과 중등학교에서의 漢文 교육은 애초부터 相補的 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또 중등교육에서 漢文科를 독립시키고, 대학에 漢文學科를 창설하고, 동양고전과 우리 한문학 유산을 전문적으로 번역시키고, 이런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漢學者를 우대해야 한다는 의론이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먼저 나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무리 부분에서는 한글전용이 돌이킬 수 없는 대세가 된 지금의 시점에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 漢文科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마지막으로 “한글=국어”라는 뿌리 깊고 폭 넓은 오해에 대해서 변증하였다. This year is the fortieth anniversary of Societ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foundation of this society were composed of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mong them some department will be their fiftieth anniversary in two years later. But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has been mediocr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society, Korea people were deprived of Korean speech and language by the colonialist, Japan. As soon as the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revived the language and derived out the Japanese. During the crucial Colonial days the Korean Scholars systematized the Korean grammar, screened standard language, unified spelling, edited the dictionary of Korean laguage, in spite of their prisoning. After liberation, the advocate of using Hangul exclusively was followers of Ju Si-keyung. Representative hangul advocate was Choi Hyun-bae who supervised editing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and Citizenship. At that time, he attempted to write using Hangul exclusively. This paper reviews Choi Hyun-bae’s assertion and the oppositionist Jo Yoon-jae’s assertion. Choi’s assertion is well described in his Revolution of Letters And opposition party, Jo Yoon-jae’s The Immidiate Problem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was representavie. Under the President Park Jeong-hee’s government, he announced 5 year plan of Hangul only use. And he make Chines Classics and Sion- Korean literature as compulsory subjec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let establish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ngul use only policy and Chines Classics and Sion-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re not hostile,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해방 후 김기림의 한글 전용 논의에 대하여(Ⅰ) -논의의 맥락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정영훈 ( Young Hoon Jeong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김기림은 1948년 10월 말부터 약 1년 동안 한글 전용 문제를 다룬 네 편의 글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두 달여가 지난 시점이었고, 그가 시분과위원장을 맡고 있었던 조선문학가동맹은 임화, 김남천, 이원조, 이태준 등 주요 인사들의 월북으로 사실상 조직이 와해된 상황이었다. 한글 전용 문제는 이 시기 김기림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김기림은 왜 이 문제에 답을 얻기 위해 시간을 들이고 노력을 아끼지 않은 것일까? 이 논문은 한글 전용을 위한 김기림의 논리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작업 이전에, 한글 전용 논의가 김기림에게 의미했던 바가 무엇이었고 이러한 글쓰기 행위가 놓인 현실적이고 정치적인 맥락이 무엇이었는지 살피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이를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1945년 겨울 이후 국어심의회 참석을 둘러싼 전후 상황과 국어심의회에 관한 의문들을 제기하고, 제1회 전조선문학자대회에서 계몽운동에 관한 의견이 제시된 맥락과 이 의견서의 의미와 의의를 살핀 다음, 1948년 10월 말부터 1년여 가까이 지속된 한글 전용 논의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라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그 속에 숨은 이면의 논리가 무엇인지 검토해 보았다. 김기림이 한글 전용 및 한글 위주 문체의 수립이라는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것은, 이것이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기초 공작이자 이를 공고하게 만들기 위한 후속 작업이 되리라는 인식 때문이었다. 김기림에게 한글 위주 문체의 수립은 학술적인 차원에서의 과제라기보다는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하기 위한 정치적인 차원에서의 과제였다고 할 수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에 소속되어 있었을 때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나라 만들기라는 과제가 완료가 된 이후에도 줄곧 김기림이 이 문제와 더불어 씨름했다는 사실은, 이 시기 김기림의 정치적 지향점이 특정한 이념의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라 광의의 민주주의,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요청되는 민주주의적 체제를 갖춘 국가였음을 알려주는 증거일 것이다. Kim Girim published four consecutive papers on Exclusive use of Hangeul from October 1948, when it had been two months since the Republic of Korea founded and Joseon Munhakga Dongmaeng fell to pieces with Im Hwa, Kim Namcheon, Lee Wonjo and Lee Taejun gone to North Korea. What did it mean to Kim to write on Exclusive use of Hangeul? Why did he spend his time on doing this? This paper dealt with these issues.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d what occurred in the Committee of Korean Language(or Korean Textbook) in the winter of 1945, the context in which Kim published a paper on Enlightenment Movement including establishment of plain style of Korean at the 1st Conference of Joseon(Korea) Writers, and the political context in which Kim published four papers on Exclusive use of Hangeul after October 1948. Kim thought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establishment of plain style of Korean as the keys to establishing a democratic country and solidifying it. They were not just academic tasks but also political tasks to Kim.

      • KCI등재

        해방 후 한글운동에서의 이극로의 위상

        박용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東洋學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 status of Lee Guk-ro in the Hangeul Movemen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Lee Guk-ro was a nationalist and a Hangeul scholar. He and his comrades(Choi Hyunpae, Chang Jiyoung) reestablished the Korean Language Society(朝鮮 語學會). They contribut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the language policy of the USA Military Government Office of South Korea(美軍政廳). He took an active part in the National Language Purification Committee(國語淨化委員會), and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Hangeul textbooks, and spreaded the Hangeul script. H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mpilation of Hangeul dictionary. For the purpose of the elimination of illiteracy and the recovery of the Korean language, he asserted firmly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He claimed that the present is most opportune for using of Hangeul exclusively. He launched a movement for spread of Hangeul, and simultaneously started a movement for elim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A progressive nationalist Lee Gukr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Hangeul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fter He stayed behind in North Korea, Choi Hyunpae led the Hangeul mo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in South Korea. 해방 후 이극로는 동지들과 조선어학회를 재건하고, 그 대표(간사장·상무이사)로 활동하였다. 초중등 교원을 양성하고자 사범 강습회를 열고, 국어 교과서 편찬에도 관여하였다. 또한 『조선말 큰사전』 1권 출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에게 말과 글은 민족의 정신과 생명이었다. 말과 글의 개선을 통해 통 일 민족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이를 관철하고자 한글전용운동과 한글보급운동을 전개하였 다. 한글전용을 위해 한자폐지회를 조직하였다. 여기서 초·중등 교과서의 국문전용을 주장하여 미군정 의 언어정책에 반영시켰다. 또한 일본말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국어정화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한글보급을 위해 한글문화보급회와 조선어학회 동학회를 결성하여 적극 활동하였다. 물론 한글운동이 순 조롭게 전개되는 배경에는 미군정에 참여한 최현배와 장지영의 활약도 작용하였다. 이들과 함께 이극로 가, 미군정이 조직한 조선교육심의회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해 방 후 3년 기간에 남한의 제도권 교육에 한글전용과 한자폐지가 실시되었다. 여기에는 주시경의 노선을 계승한 이 세 사람의 공적이 가장 컸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필자는 해방 후 한글운동의 전개 에서 이극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자사고의 학습효과에 관한 체험연구

        박기철(Park, Kichul)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2

        지난 백여 년 동안 한글전용론이 주로 대세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한자의 기본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뜻으로 낱말의 뜻을 이해하는 한자사고를 터득하고 체험토록 한 학습효과는 컸다. 우선 한자의 원리를 부수와 육서로 이해하도록 했다. 그리고 한자사고를 자신의 국어생활에서 실천하도록 했다. 그 결과 기본적 국어실력은 물론 사고력-이해력-창의력이 증진되며 결과적으로 소통력이 증진될 수 있는 학습효과를 얻었다. 이제 한자를 폐지하여 한글만 전용하자고, 또한 한자를 더욱 폭넓게 혼용하자고 한 쪽으로만 고집하지 말자. 의미전달에 혼란을 주는 한글 단어 옆에만 한자를 병기하는 선에서 한글전용론과 한자혼용론의 타협점을 찾을 수 있다. 공론장보다 본성장에서 어울려야 문자전쟁으로 인한 극심한 분열을 봉합할 수 있는 심각한 실정이다. 서로 소통하며 의미없는 문자전쟁이 이제는 끝나길 바란다. 특히 오로지 우리 한글사용만 주장하는 순혈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한자를 병기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다문화사회라는 시대적 큰 흐름에도 어울린다. Hangeul has been exclusively used for the past 100 years. However, there is a noticeable learning effect of Chinese character thinking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word i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e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six ways in which Chinese characters are made and heard. Students were asked to practice Chinese character thinking in their Korean language usage. This study found improvements not only in basic Korean language ability but also in thinking, understanding, and creative abilities, which resulted in learning effects that could improve communication. This study neither advocates abolishing Chinese characters and using only Hangeul, nor does it insist on using Chinese characters more widely. Instead, a compromise betwee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found in writing Chinese characters next to Korean words in case of confusion in meaning. The bitter division caused by the current letters war may be healed on natural ground rather than in the public sphere. It is hoped that the meaningless letters war will end now. In particular, it is in line with the trend of a multicultural society to use Chinese characters properly and shift away from the pure-bloodism of only using Hangeul.

      • KCI등재

        現場 敎育에서의 漢字 倂用 學習 方法

        卞敬愛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최근 우리나라 言語 환경은 매우 심각한 상태에 있다. '안냐세여(안녕하세요.)' '캄싸(감사합니다.)' '중딩(중학생)' '셤(시험)'과 같이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한 그릇된 言語의 濫用은 날로 더해 가고 있으며, 專門 用語나 學術 用語의 한글만의 표기로 인해 정확한 용어의 理解와 使用에도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나아가 동아시아 國家間의 經濟的·人的·文化的 交流의 증대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국제 환경에서 우리 나라가 그 중심에 서고 자리잡으려면 漢字 文化圈에 대한 폭넓은 理解와 認識이 있어야 한다. 이런 현실의 요청에 부응하자면 漢字 倂用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時代的 要求가 아닐 수 없다. 지금과 같이 敎科書에서는 한글 專用이 되고 있고, 漢字 교육이 漢文 敎科書만으로 이루어지므로 漢字 倂用 時代에 漢字 漢文 敎育은 시간이 지날수록 어려움은 더해 가고 있다. 막연히 漢字 倂用이 必要性만 論하고 점진적인 擴大 使用만을 기대한다면 그 效果나 實效性은 激減되고 말 것이다. 보다 더 적극적인 방책으로 온 國民이 漢字를 익혀서 언어 생활을 바르게 하기 위한 漢字 漢文 敎材의 개발은 절실하며 시급히 해결할 과제이다. 敎科書 敎育을 통하여 漢字, 漢字語 敎育을 하지만 實生活과의 聯關性있는 敎育을 위해서는 多樣한 敎授 方法을 찾아야 할 것이다. 例로써 放課後活動이나 클럽 活動 시간을 活用하여 新聞에서 常用하는 漢字語를 새로 공부하게 한다든지 혹은 新造語의 뜻과 음을 찾아서 새롭게 익히게 하는 방법도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학습 방법에는 部首 指導의 强化가 스스로 字典을 찾는데 대단히 效果的인데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첫째, 학습의 효과를 倍加시키기 위해서 他 敎科書에서 쓰이는 漢字語를 학습시키는 방법이 있다. 科學 敎科書를 비롯한 他 교과에 등장하는 漢字語를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것이 그 책임을 누가 맡느냐의 문제이다. 한 가지 제안하자면, 따로 時數를 배정하거나 漢文 敎科에서 달리 補講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현재의 敎育課程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는 모든 他 敎科 敎科書 안의 漢字語에 漢字를 倂用하고, 아울러 漢字 倂用이 된 교과서의 各 쪽 아래의 脚註 다는 형태로 餘白을 배정하여 그 漢字語의 뜻과 음을 表記해 놓으면 敎科書를 가르치는 교사나 배우는 학생들이 보다 쉽게 가르치고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과 지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학습 현장에서 漢文 科目을 가르칠 때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습 방법의 시도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① 수업에서의 교사가 시도할 수 있는 실천 사례로는 가족 이름을 써오게 하여 지도한다. ② 주변 유적지에서 쓰이는 漢字語를 조사하게 한다.(먼저 漢字 표기로 된 유적지 이름을 조사하고 직접 찾아가서 관람하고 사진을 찍어오게 하는 방법도 있다. 현판 비문도 좋을 것이다.) ③ 신문의 사설을 읽고 한글을 漢字語로 바꾸게 하거나 아니면 주요 시사 용어의 漢字를 한글로 음을 달고 낱말의 뜻을 찾아오게 하는 방법이 있다. ④ 관공서에서 쓰이는 漢字를 찾아서 기록해 오게 한다.(경찰서, 동사무소, 도서관 등) ⑤ 거리의 간판 가운데 漢字로 쓰여져 있거나 漢字語로 된 것을 찾아서 뜻을 알아 오게 하거나 혹은 고교 수준에서는 직접 촬영해 오게 하는 방법도 있다. ⑥ 학생들의 이름 漢字 뜻풀이가 있다. ⑦ 漢詩를 4단 컷의 만화로 그려보게 하는 방법도 있다. 평가는 정기고사와 수업중 평가인 形成評價와 遂行評價가 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ICT 활용 수업을 적극 권장하는 추세이지만 漢字 漢文 敎育에서는 무엇보다도 漢字 쓰기 지도가 우선 과제이다. 그런 점에서 形成評價를 통한 쓰기 지도는 대단히 효과적이다. 그리고 遂行評價를 통하여서는 위에 든 例 외에도 각종 다양한 방법으로의 학습 의욕 고취를 위한 평가 방법이 있다. 漢字 倂用을 하기 위해서는 漢字 漢文 敎育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는 한글 專用의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것이다. 漢字 漢文 敎育이 활성화되지 않으며, 외국어의 유입으로 인한 언어 생활에 큰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漢字 漢文 敎育의 활성화를 위하여 敎授 學習 방법의 다양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措處가 따라야 할 것인가? 문제 해결의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漢文을 알고자 하려는 의욕이다. 즉 학생들에게 漢字 漢文의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동기가 부여되어야 만이 계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스스로 重要性과 必要性을 認識할 수 있는 것이다. 가장 效果的인 學習 動機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가능하다. 첫째,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여야 한다. 둘째, 많이 보고 들어서 잘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국가 정책이 적극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나아가 중·고등학교의 漢字漢文교육 位階性 붕괴를 조금이라도 해소하려면, 최소한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첫째, 7次 敎育課程에서는 選擇科目의 수가 擴大된다. 따라서 必須的으로 漢文 科目이 選擇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대로 된 漢文 敎育을 위해서 7차 교육과정에서 漢文科의 選擇科目化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중요한 道具 敎科目으로서의 正體性을 回復하여 國民共通科目에 넣어서 교육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漢字漢文 學習이 될 것이다. 둘째, 漢字 漢文의 학습의욕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大學修學能力試驗에 반영해야 한다. 수학능력 시험이 실시되기 이전 大學入學學力考査 제도가 실시될 때에는 漢文이 5∼10문제 출제되었다. 이 때 학생들은 漢字 漢文에 대한 관심이 지금보다 훨씬 높았다. 셋째, 初·中·高等學校의 位階的 교육이 바로잡혀야 한다. 2000년 6월 14일 교육부 주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조정을 위한 공청회' 때 발표된 논문에서도 이와 같은 주장이 있었으나, 결국 채택되지는 않았다. 漢字 漢文 敎育은 初等學校에서부터 통일된 하나의 初等學校用 敎材를 定規 敎科目으로 採擇하여 敎育시킴으로써 中等 漢文 敎育과의 連續性과 連繫性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倂用 政策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모든 敎科目에 漢字를 倂用하여야 한다. 이는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나아가 우리말 속의 漢字語를 심도있게 학습하자는 敎育的인 目的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상에서 漢字 倂用 政策과 敎育現場에서의 適用 方法을 논의해보았다. 올바른 漢字 倂用 정책을 위해서는 먼저 學校 漢文 敎材의 현실적인 개발의 필요성을 촉구하였고, 교육적 방법의 摸索으로 敎授 學習 방법의 다양한 개발 및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漢字 漢文 敎育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漢文科의 位相이 재조정되어야 함을 밝혔다.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選擇科目化 함으로써 漢字 漢文 敎育의 位階性이 무너져 학습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7차 교육과정에서 漢文科를 必須科目化하는 것이 문제 해결에 가장 좋은 방법이며,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漢文 문제가 출제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혔다. 漢字 倂用을 추진하는 과정 속에서 한글 專用의 기조는 가급적 깨지 말아야 한다. 이는 일반 대중들의 言語의 편리성을 위해서이다. 舊態依然한 主張을 버리고 우리 國民이 올바른 言語 생활을 하는데 必要한 교육 중의 하나가 漢字 漢文 敎育이라는 것을 認識해야 한다. 아울러 앞서 例를 든 것과 같이 우리말의 그릇된 使用이 더 이상 擴散되는 것을 막고 원래의 바른 말을 찾아 교육하는 일과, 漢字漢文 敎育의 專門家와 協力하여 우리 言語 類型에 맞도록 外來語를 고쳐 쓰는 일을 함께 推進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漢字 使用이 곧 우리말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漢字는 우리 言語의 올바른 使用을 위하여 꼭 必要하다는 點을 再認定하고 協力하여 國民 全體의 올바른 言語 생활에 寄與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一線學校에서 漢字漢文 교육을 담당하면서 느낀 바는 漢字 倂用의 최선책은 必要에 의한 被敎育者의 學習 慾求에 부응하여 지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사회전반에서의 자연스런 要請에 應하여 國語敎育과의 相補的인 關係를 維持하면서 漢字 漢文 敎育의 正體性을 確立할 것인가 하는 것이 교육을 담당하는 이로서의 熱望이자 課題이다. 시대 변화에 따른 漢字 倂用 정책이 요구되면서 그 조짐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이를 뒷받침할만한 교육인적자원부와 문화관광부의 有機的인 협력이 또한 절실한 때이다. 지금은 대중들의 意識 변화와 함께 漢文敎師로서의 正體性을 찾기 위한 노력도 절실히 요구된다. 나아가 초·중·고 교육현장의 漢字 漢文 敎育에 대한 새로운 정책의 摸索을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漢字文化圈에 기반한 민족문화의 창조와 이를 통한 21세기 문화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그리고 민족의 同質性 회복과 正體性을 재인식하는데까지 영향을 미치게 하려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인가가 앞으로의 과제이다. The joint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writing Korean has steered the policy that had in the past persisted in the exclusive use of the Korean alphabet in a new direction. Not only has the new policy rectified problems inherent in our language teaching, but it also has adapted our language education to the changing conditions of our times. Whatever is causes, it may be said that this change in language education has shown us a new direction and objectives toward which we should move. The shift from the exclusive use of the Korean alphabet to the joint use of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Korean alphabet, is an epoch-making decision in language education. As one working in the field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e present writer, focussing attention on this change, endeavors to examine how our government policy in language education has changed and what has been hehind the shift from the exclusive use of Korean alphabet to the joint use of the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s. Reviewing how and to what extent the shift has so far been effected, the writer also has seeks to find out in what direction the teaching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actual teaching. With regard to the changes our language education policy has undergone since the National Restoration, Chapter Ⅱ examines the policy backgrounds behind the changes and the course they have taken. Chapter Ⅲ explores the backdrop against which our language education policy has shifted to the joint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extend to which the new policy has so far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 of teaching. In Chapter Ⅳ, an effort is made,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engaged in teaching students in the field, to find out whether teaching materials currently in use are appropriate and relevant and how the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endeavor to achieve the goal sought by the joint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final analysis, if the joint or mixed use of the Korean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s is to achieve its goal effectively, research for various teaching methods must be accompanied by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by change in the public consciousness of the citizenry. Today, in a world situation in which different languages are used freely in disregard of national boundaries, not only the Chinese characters, but also the Korean alphabet face a serious threat. We have no choice but to consider seriously the use of English and other foreign languages. Is it indeed not the time when we must earnestly study how the use of both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Korean alphabet should be adapted to the changing situation? The trend toward the joint use of Chinese characters has developed in writing our language in response to changing times and circumstances. The situation today urgently demands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support for i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Now is a time that calls for change in public consciousness toward language education and a new effort on the part of the teachers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o establish a proper and firm professional identity. How are we going to find an appropriate direction in teach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t elementary and high schools? How are we going to develop further our national culture within in the Chinese-character civilization zone of East Asia and thereby cope with the new cultural paradigm of the twenty-first century? How are we going to restore our national homogeneity and reestablish our own professional identity? These remain the new important tasks we will fa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