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이 참여하는 학교교육과정 개발·운영 실행연구: ‘학생교육과정위원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빈,김성수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3

        이 연구는 학생이 학교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참여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A중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외부 연구자와 내부 실행자가 협력적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A중학교는 ‘학생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생이 배우고 싶은 것을 제안하기, 교사와 함께 수업지도안을 만들기, 교사와 함께 수업을 운영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기,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교육과정평가회에 참여하기 등의활동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안내에 따른 학생 참여, 교사와 학생의 협업, 학생의 공적 권한과 책임 부여 등 다양한 수준의 참여 양상이 나타났으며, 학생과 교사의 공동 주도성이 성장해 갔다. 이러한 실행연구를 토대로 학생 교육과정 참여의 의미와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학생이 학교교육과정에참여하는 과정에서 학생주도성이 온전히 발휘되기 위해서는 학생에게 학생교육과정위원회와 같은 공적 역할이 부여되어야 한다. 그래야 소비자주의에 따른 자율권이나 선택권이 아닌 성찰과 책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등 일부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던 학생 참여의 폭을 확대하여 학교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참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주도성의 전제 조건인 교사주도성을 발휘하여 공동 주도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o find way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Middle School A has operated the Student Curriculum Committee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Students has suggested what they want to learn, made a instructional plan with teachers, conducted instruction with teachers and provided feedback about instruction, and participated in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meetings by collecting student's opinions. In this process, various levels of participation appeared, including student participation under the guidance of teachers,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public power and responsibility of students. Based on this action research, the meaning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for student initiative to be fully exercised in this process, students must be given a public role such as the Student Curriculum Committee. In doing so, reflection and responsibility can be given, not autonomy or choice according to consumerism. And the scope of student particip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overall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eacher initiative which is a prerequisite for student initiative should be exercised so that co-initiative can be formed.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심의회의 참여위원회 신설과 과제

        박창언(Park, changu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글은 교육과정심의회의 하부조직으로 참여위원회 신설에 대한 의미와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룬 내용은 참여위원회의 신설 배경과 운영의 개요, 참여위원회의 구체적인 추진계획, 참여위원회 운영의 과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신설의 배경과 운영의 개요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제․개정 과정에서 학생과 지역의 의견을 수렴해 이들 주체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교육과정심의회의 각 위원회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에서는 학생참여위원회는 사전준비와 참여지원을 통해 참여위원회를 개최하고, 사후지원을 하는 단계를 제시하고, 지역참여위원회는 지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의견을 제시하고, 학교별 및 운영위원회에서 이를 검토하여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한 내용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위원회의 운영의 과제에서는 성격과 위상의 정립, 국가적 공통성 외의 학생과 지역의 여백의 마련, 대표성 확보에 따른 전문성 취약의 근본적 한계, 피드백 체제의 정비, 국가교육위원회의 교육과정시행령 마련에 대비한 위상의 재정립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논의 결과 교육과정심의회에 참여위원회를 만든 것은 교육과정심의회의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입법예고된 「국가교육과정 제․개정 등에 관한 규정」 규정안에서는 교육과정심의회를 대체하는 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심의회가 국가교육과정 제․개정에서 견제와 균형을 원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였다면,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lower-level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it aims to present the purpose and tasks designat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contents dealt with to achieve this purpose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for participation committees, and the tasks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First, in the outline of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of the new establishment,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of regions were collected in the process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opinions of these subjects were officially delivered to each committee of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following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student participation committees held meetings with preliminary preparation and support for their participation, and regional participation committees presented opinions on improvements to local curriculum, which were reviewed by school and steering committees. Finally, the participation committees discussed setting forth the character and status for the committees to have and resolving the gaps in student and regional committee opinions (other than policies set nationally), fundamental limitations of vulnerability to expertise, maintenance of feedback systems, and the re-establishment of status in preparation for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s curriculum enforcement ordinance.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creation of participation committees under the Curriculum Council served to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Curriculum Council. However, the recently announced Regulations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uggest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replaces the Curriculum Council. If the Curriculum Council played a role in ensuring learners right to learn through checks and balances i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would need to be discussed how a new organization could properly play this role.

      • KCI등재

        국가 및 시·도 교육청의 ‘학생 중심 교육과정’ 채택 시기 역사교육계의 쟁점화 양상에 관한 성찰

        백은진(Baek, Eunji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현행 국가 교육과정은 구성주의적 관점이나 아동 중심 관점을 표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제7차 교육과정에 학생 중심 교육과정이 도입된 것은 표면적으로는 수준별 교육, 학생 과목 선택권 제공, 과목 다변화 등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5·31 교육개혁안이 세계화 시대에 경쟁력 있고 ‘일터’에서 쓸모 있는 ‘인력’을 양성하고자, 교육 전반에 시장 원리를 도입한 것임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 시기 역사교육계의 주된 관심은 한국사 전 시대를 국민 공통 기본 과정으로 배울 수 없게 된 점, 역사수업 시수의 감축, 사회과 통합의 고착화 등에 있었다. 즉, 주로 역사교육의 축소를 우려하고 비판하였다. 이후 학생 중심 교육과정은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에서도 표방되었다. 이는 한편으로는 배움의 공동체 모델을 통한 학교 혁신과 수업 혁신에 대한 관심과 열의가 높아진 것을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교육과정이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진 결과이기도 하다. 그런 맥락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로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도 교과 역량이나 과정 중심 평가 등을 강조하였다. 이 시기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수업을 배움 중심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 등과 연결하는 수업 실행과 연구 활동이 늘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역사수업의 방법으로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 및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즉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의 교육과정이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채택한 시기와 그 강조점, 해당 시기 역사교육계의 쟁점을 돌아보았다. 이를 통해 국가나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이 학생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더라도 그것이 교사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 ― 가령 배움 중심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 등 ― 과는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dvocates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was adop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t this time, the May 31 education reform plan tried to apply the market principle to the overall education. In the history education field, the main interests were the fact that it was impossible to learn the entire period of Korean history as a common basic course,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hours of history classes. Since then,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has also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s was based on the background of increased interest and enthusiasm for school innovation and class innovation through ‘the model of learning community.’ Accordingly, there were times when the curriculum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emed to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at of the national curriculum.Even if the national 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hasizes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with students’ options and diversity, this is ultimately a top-down guideline according to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a bottom-up curriculum that is planned and implemented by teachers.

      • KCI등재

        학생 참여 중심 평가의 의미와 방법 고찰: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장현주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한 학생 참여 중심 평가의 의미와 방법을 고찰하기 위하여 학생 참여 중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 관련 선행연구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2022 개정 교과 공통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생 참여 중심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함양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되면서 강조하게된 것으로 선행 연구자들은 이의 개념을 명료화하여 현장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게 했다. 학생 참여 중심 평가도 교육 정책에 의해 최근 등장한 개념으로 아직 기초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의 특징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학생 참여 중심 평가를 ‘수업과 평가 활동이 일관성을 갖도록 학습자와 교사가 평가 계획과 방법에 대해 협의한 후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근거로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실행하는 평가’로 정의했다. 그리고 미술과 과정 중심 평가 절차와 연계하여 학생 참여 중심 평가 방법을 ‘1. 수업 목표와 성취기준 공유, 2. 평가 수행 계획과 방법 협의, 3. 학생 스스로 평가 적용, 4. 학생 스스로 평가 결과 확인, 5. 평가 결과 분석 및 활용’의 다섯 단계로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and process-centered assessment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methods of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ssessment.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and process-centered assessment were emphasized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vised to a competency development-centered curriculum. Researchers clarified these concepts so that teachers could easily understand and apply them.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ssessment also emerged as a result of educational policy, but basic research is still lacking. This researcher defined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ssessment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es and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In addition, a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ssessment method was proposed in five stages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procedures in art education: 1. sharing class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2. discussing assessment implementation plans and methods, 3. students apply self-assessment, 4. check evaluation results and 5.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캐나다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양태: 중등학교 역사교사의 수업 및 평가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정종복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3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the history class of secondary school in BC, Canada and is intend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Korea's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BC were examined and the class and evaluation data of history teacher T of B Secondary School in Burnaby were analyzed. BC has identified three Core Competencies – Communication, Thinking and Personal and Social Competency as essential for all learners. The curriculum of all subjects is composed of the same pattern using the ‘Know-Do-Understand’ model of the concept-based competency-driven curriculum. Students develop Core Competencies when they are engaged in the “doing” – the Curricular Competencies – within a learning area. Learning can take place anywhere, not just in classrooms, so the curriculum sets what to teach, but presupposes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define how, when, where to te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C’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played a role as a criterion for the teacher’s lecture and evaluation plan. The teacher has decided learning content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n his own and rather than injecting many history knowledge to students. And he provides students the opportunity of deeper learning with lectures, discussion, and inquiry classes. He conducted quizzes almost every class and took unit tests after almost the end of the units. The paper-written evaluation was condu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mplete type, T/F, and essay type, and before taking the test, the learning contents as well as essay questions that would be important to the test were disclosed in advance so that students could focus on the essential content. In the analysi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BC and the teacher’s clas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succ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substance of competencies to be cultivated in curriculum documents. Second, the autonomy of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in relation to class reorganization and evaluation. Third, the enrichmen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he written and essay-type evaluation is required. Forth,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educational policy maker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egard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to form an understanding of the new policy and a social consensus. 본고는 캐나다 BC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역사 수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버나비 지역 B 중등학교 사회과(역사) T교사의 역사 수업 및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BC주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의사소통 역량, 사고력 역량, 개인적・사회적 역량) 함양을 목표로 모든 교과목의 교육과정은 개념기반 역량주도 교육과정(Concept-based competency-driven curriculum)의 ‘알기-행하기-이해하기(Know-Do-Understand)’ 모델을 사용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구성된다.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학습 영역 내에서 ‘하기(doing)’(교과 역량)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개발되며, 학습은 교실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기에 교육과정은 ‘무엇(what)’을 가르칠지 설정하지만 ‘어떻게(how)’ 가르칠지, 시간, 공간, 방법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는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전제한다. 이러한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사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교과역량이 교사의 강의계획이나 평가계획의 준거 역할을 하고 있었다. 교사는 학습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법을 스스로 결정하여 실행하고 있었는데 많은 내용을 나열식으로 제공하기보다 선택한 학습 내용을 강의를 포함한 토의토론, 탐구 수업 등 학생참여 수업으로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교사는 수시로 퀴즈를 실시하고 단원이 끝날 때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교과내용 이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지필평가는 완성형, T/F, 서・논술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고 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내용과 서・논술형 평가문항은 미리 공개하여 학생들이 필수내용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현장 교사의 수업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서 함양해야 할 ‘역량’의 실체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 재구성과 평가와 관련하여 교사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와 서술형 평가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교육정책 결정자, 교사, 학부모, 학생 간에 소통과 정보 공유가 이루어져 새로운 정책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탐구

        이지은,박진령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Recently, the policy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Recording emerged with the focus of the city education office, as a result, in schools, the attention is grow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However,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n a segmental way. Thus, this is a challenge in implementing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each component is explored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curriculum framework. The researcher analyzed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s record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standards, student-participated classes,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tudent growth processes. Based on this, a five-step curriculum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o implement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alignment will be strengthened if the curriculum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development framework in addition that the classes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and student records are recorded at the same time. 교육과정의 일치도는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각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라는 정책이 등장하였고 이를 계기로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분절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해 각 구성 요소를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참여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학생의 성장 과정 기록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5단계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과 평가를 실행, 학생부 기록을 한다면 엄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해져 교육과정 일치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가 중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길혜지,김주아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ey element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n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9th grade student data from 2017 KEDI Survey Research on Student Competencies, 55 middle school and 2,769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2-level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ompetencies extract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basic model indicates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 of students’ competencies can be explained by the student’s factor than school ’s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the final model shows that students’ differences (gend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chievement levels, peer relationship, an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amily related backgrounds (parental support) are positively effect on their competencies. Moreover, the school-level variables, which are the teacher-student ratio and teaching method(structured class, collaborative project-based learn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etencies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key elemen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like student-participatory activities, the meanings of learning, process-based assessment had aldo positively effects on competencies. The results implies that education needs to encourage their students to internalize the meanings of learning, take personal initiatives through curriculum so as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이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들, 즉, 학생참여형 수업, 교과내용의 의미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그리고 평가 및 피드백이 중학생의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7년에 수집한 KEDI 학생역량 조사 자료 중에서 전국의 55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2,7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6가지 핵심역량을 종합하여 산출한 역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형 분석결과, 중학생 역량은 학생수준의 특성들이 9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량중심 교육의 핵심적인 주체가 학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최종모형 분석결과, 학생과 학교수준의 배경변수 중에서는 여학생,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상태,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 부모의 지원적 양육태도, 교사의 1인당 학생 수가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학생과 학교수준의 과정변수 중에서는 친구와의 관계, 체험활동과 자치활동, 독서, 예술, 체육 활동, 수업방법(구조화된 수업, 협동학습)의 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과, 교과내용의 내면화, 과정중심평가 역시 중학생의 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학습의 의미를 스스로 찾고 주도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중학생의 역량을 증진하는 데 핵심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과정 중심 평가와 학생 참여형 수업을 중심으로

        이제영,백광호,백민경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integrated humanities and sciences. In order to do so, 102 high school teachers and 68 high school parents were survey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core competence,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ad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contents, and major revis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n the parents. Second, among th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both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ed communication, communi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ortant. Third, both groups said that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has increa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ions for successful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재직 교사 102명과 고등학교 학부모 68명을 대상으로 핵심 역량, 학생 참여형 수업, 과정 중심 평가 등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집단은 학부모 집단에 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 주요 개정 방향 등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갖고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핵심 역량 중, 교사와 학부모 집단 모두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자기관리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 이후 학생 참여형 수업과 과정 중심 평가의 비중이 늘었다고 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운영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곽영순 ( Youngsun Kwak ),이일 ( Il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Ⅰ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Ⅱ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s part of the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elective courses to derive measures to settle and improve the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244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9 teachers participated in interviews. In survey results, science teachers are contemplating ways to increase students’ science competenci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but still, lecture-oriented classes are most often used in their teaching. Regarding assessment, teachers respond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of the questions related to process-based assessment (PBA). Regarding the difficulty of managing science elective courses, teachers most often selected increased numbers of subjects being covered, overload of work, and the burden of restructuring classes considering various ways of teaching and assess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achers argued the difficulty for Science I courses to emphasize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compared to integrated science, and the difficulty to implement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for Science Ⅱ courses, which are mainly placed in the third grade. Teachers also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time to implement PBA in science elective courses,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implement PBA for the science experiment since there are no tests on the S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support plans for the settlement of PBA in elective courses, and the ne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and cause of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and PBA at the school.

      • KCI등재

        웹툰으로 상상하기

        박유신(Park,Yoo-shin),임세희(Yim, Se-hee),정현선(Jeong, Hyeon-Seo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21세기의 학교교육담론에서 융합적인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는 교육개혁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미디어의 변화에 따른 지식의 형성 및 전달 방식의 변화가 지식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교과중심의 교육을 점차 융합교육의 형태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콘텐츠를 중심으로한 초학문적 교육과정들이 학교교육의 현장에서 자생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은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진행한 일련의 융합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웹툰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 프로젝트가 창의적 체험 활동(동아리)을 중심으로 한 교과 교육과정의 융합, 학교와 학교 밖 공간을 넘나드는 학습공간의 융합, 대중문화, 예술, 현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상상적 세계의 융합을 (어떻게) 이루어 내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였으며, 연구자들은 학교 방문을 통한 주요행사의 참여 관찰, 교사 인터뷰, 수업 자료 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사례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주제(텍스트)로서의 웹툰은 자연스럽게 초학문적 교육과정을 이끌어내며, 학교 안과 학교 밖의 공간을 넘나드는 학생 참여 중심의 학습 공간을 형성하였고, 학생의 삶과 문화예술을 연결하는 교육을 만들어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 독자의 목소리를 매개하고 중재하여 교육과정으로 구성하는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발견한 것 또한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have impacted on the ways in which knowledges are formed and transmitted and therefore the relevance of the traditional school subjects have been increasingly questioned. In this context, the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of the 21st century schooling have focused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ractices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focusing on digital media content are grown voluntarily in school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 convergence educational project that was initiated by a middle school teacher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a unique program of the transdisciplinary class of Korean focusing on reading webtoons with the linked program of a ‘Book Club Activity’ that was a par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cuments,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a main event and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webtoon-focused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might have achieved meaningful connections between a subject-focused learning and a creative experiences-focused learning; between in and out of school learning spaces; between the real and imaginative worlds; and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The main finding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bto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can be an effective medium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ly, the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webtoons can create meaningful learning spaces in and out of school environments in terms of creating more learner-participatory learning culture as well as connecting students’ everyday lives, popular arts and their learning about culture.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e rediscovery of the teacher’s role in terms of mediating the voices of students as reade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