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및 운영 비교분석

        장성화(Sung-Hwa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 No.2

        본 연구는 국내.외 대안학교의 사례를 통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운영을 비교분석함으로 대안학교 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국에 의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 교육과정의 구성은 공통필수와 과정필수, 특성화 교과로 되어 있으며, 앞의 둘은 보통교과이나 특성화 교과는 기존의 학교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대안학교의 교육운영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대안학교가 기숙사 생활을 추구하고 있는데, 공동체 생활교육과 인성교육 및 학교의 지리적인 위치 불가피성 때문이다. 이러한 기숙사 생활을 통하여 전인적 인간형성을 이루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과 책임감, 동료애 체득을 기대할 수 있다. 운영회의 구성은 일반학교와 차이점이 없지만, 학생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학생자치회의 권한과 영향이 일반학교보다 큼을 알 수 있다. 학생선발은 성적보다 학교설립 목적과 교육이념에 부학여부와 학생의 의지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education process and education management of each school by analyz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s. It also studies how much alternative education can improve on the current education’s problems, and it also suggests alternative education values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and how alternative education can be improved. Moreover, it tried to understand the curriculum by researching education purpose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systems, and also the education management by looking into education decisions,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selection of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see the curriculum is comprised of common courses, subject courses, and specialized courses, and though the first two are standard courses the specialized courses are comprised of diverse subjects that cannot be found in a standard school. Secondly, if we look into education management we find that although the small schools that alternative schools tend to be are educational in many ways, but have many difficulties on the school management side. The study discusses the suggestions and boundaries that these research results show.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정희(Jeong Hee Choi),홍창남(Chang 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교육실무원을 대상으로 어떤 직무를 경험하는지, 학교구성원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것들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혁신학교에서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교육실무원의 직무 특성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제시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로 지정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실무원 총 7명을 면담하였다. 첫째, 교육실무원의 직무는 고유 업무와 잡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고유 업무는 명시성과 수동성의 특성을 나타낸다. 잡무는 일시성, 즉시성, 비전문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은 일반학교에 근무 할 때와는 달라진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은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교육실무원은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변화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의 직무 경험과 타 구성원과의 관계에서의 경험은 긍정적 변화, 부정적 변화 두 가지 모두를 가져왔다. 부정적 변화는 업무에서의 피로감과 조직에서의 소외감이다. 긍정적 변화는 학교 문화를 바꾸는 능동성, 전문가로서의 자존감, 업무에서의 자발성이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이 학교운영에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단위학교에서의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문화, 구성원 상호간 존중, 복무에서의 편안함 등 혁신학교가 교육실무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주요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권한 부여 둘째, 교육실무원 간의 정보를 교류하고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공식화 된 장마련을 제안하였다. Examined the job characteristic and experience of changing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who is an important member of the innovation school. To invetigate the proposed reserch of problem six out of elementary schools designated as happiness schools. seven education working employe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irst, Unique task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larity and passivity. Miscellaneous tas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ity, immediacy, and nonspecificity.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of the innovation school was performing a different task from that of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office is not really helping them. Working employee were feeling a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rd, Third, experience in innovation school and experience with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s brought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to education working employees. Methods for the autonom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what an attractive element is for the innovation school to receive the choice of education working employe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s and preparing a formalized chapter to improve professionalism.

      • KCI등재

        학교 구성원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이해와 역할 : 초등학교 교사, 학생, 교장, 부장과 학부모 사례연구 Case Study of teachers, students, principle, leader teacher, and parents

        안미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4

        7차교육과정과 함께 시작된 ICT 활용교육은 약 3년전 초등학교에서 처음 실시되면서 ICT 활용교육에 대한 가장 많은 시행착오와 파급효과를 경험하였다. 특히 정보화 시범 학교는 빠르게 ICT 활용교육을 도입하도록 외부의 지원과 압력을 받았고 내부적으로는 이에 저항하는 반응도 경험하였다. 성공적인 ICT 활용교육은 교실 수업방법의 질적 개선 및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와 효율성을 최고의 목표로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ICT 활용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현장의 주체자들의 생각과 그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이해가 앞서야 향후 효과적인 개선 방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ICT 활용교육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보화 시범초등학교의 구성원들을 통해 ICT 활용교육의 개념과 가치, 기대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경험한 갈등의 종류와 해소방안, 그리고 각자의 역할을 사례연구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구성원들은 ICT 활용교육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을 갖고 있었다. 교사는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환경 개선으로, 교장과 부장선생은 학교개혁과 수업의 질 확보로 이해하고 있었다. 효과에 대해서 교장 및 부장선생과 학부모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학생과 교사는 학업성취 결과에 대해서 불확실하다고 지적하였다. 모든 학교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부정적인 효과로 정보소외, 인터넷상에서의 어긋난 언행, 부적절한 정보에 접근 가능성이었다.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부장교사와 교장의 의지가 ICT 활용교육을 도입하고 학교개혁을 이루기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업의 질 향상은 교사의 관심과 역량에 달려있음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ICT 활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중등학교에서의 ICT 활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Implementation of ICT in school-based learning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driving force for changes in school community and its stakeholders' roles. Use of ICT is no longer an optional nor assistive tools, but it is an essential tool and method for all school-based activities. Previous researches, relating to ICT applications in schools, focused on the level of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teacher's ability to use ICT, student's ability to use ICT, and how these factors interrelate to create successful integration. For last several years, MOE of Korea required use ICT at the least 10% in classroom activities. These policies carried out without enough teacher training, teaching resources, nor ICT experts placed in schools to support the teachers. Such an external pressures, obviously, compound circumstantial problem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between the administrator, leaders, teachers, students, and the parent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use qualitative data to (1) understand the school community stakeholders' experiences and (2) identify the successful integration process of ICT to generalize to other schools. Result of the study identified stakeholders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ICT differently, unsure of its effects, and experienced different level of resistance, opposition, and conflicts. As for the roles, leading teacher and the principle's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seem to play most critical role for successful integration of ICT in school and the classrooms.

      • KCI등재후보

        전남 초등 혁신 울림학교 교육과정 분석

        김우년(Woo Nyeon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3

        학교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참여로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 혁신으로 창의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혁신의 모델 학교를 만들고자 전라남도 교육청에서는 2011년부터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무지개학교’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전라남도 혁신학교는 2019년부터 ‘전남혁신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혁신학교(교육지구)의 질적 도약을 통한 학교혁신 문화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전라남도에서 ‘전남혁신학교’라는 새로운 이름 아래 질적 성장을 꾀하고 있는 현재,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혁신학교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 도내 초등 혁신학교 중 운영성과가 뛰어나 울림학교로 지정된 5개교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해 전남 혁신학교가 본래 취지대로 잘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혁신학교 정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과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각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선행연구 및 국가 교육과정과 전라남도 교육청 혁신학교 중점 추진 과제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준거에 따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별로 각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실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은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나 혁신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혁신학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징 및 문제점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의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와 관련지어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앞으로의 혁신학교 발전에 더욱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rea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with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the school's education community, and to create a model school for public education innovation that enables creative education by innovating classes for capacity-based educatio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operating innovative schools since 2011. Starting with the name ‘Mujigae School’, Jeollanam-do Innovation School uses the name ‘innovation school’ from 2019 and is seeking to spread the school innovation culture by taking a leap in the quality of innovation schools.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at how innovation schools opera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at provides insight into the overall operation of schools, as "innovation schools" in Jeollanam-do are seeking qualitative growth.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five elementary innovation schools designated as Woolim schools in Jeonnam Province and operated them for more than eight years to find out if Jeonnam Innovation School has been operating as intended for the past nine years and to give implications to future innovation school policies. For this study, each component of the curriculum was extracted by analyz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ior stud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ask of promoting innovation schools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criteria, each school's curriculum was analyzed for each component of the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solely on educational curriculum documents of innovation schools and fail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ual curriculum operation. However,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developing future school curricula by identifying the various features and problems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in their curriculum. In relation to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curriculum could provide mo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School in the future.

      • KCI등재

        융합인재(STEAM)교육의 특수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비교

        권미영 ( Mi Young Kwon ),변찬석 ( Chan Suk Byu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현재 일반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융합인재(STEAM)교육의 확대 실시를 위한 기초조사로서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69명과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 술통계의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과 관련된 정보의 인식과 연수경험에 있어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특수학교 초등교사들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와 연수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융합인재교육의 필요성과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초등학교와 특수학교 초등교사들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과 관련된 연수에 두 집단의 교사들 모두 높은 참여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연수의 교육내용에 관해서는 이론보다는 융합인재교육의 수업유형 및 사례와 교육자료 개발의 방향 및 실제를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와 특수학교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의 교육적 경험과 요구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특수학교에서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이와 관련해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연수실시와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STEAM education as the basic survey for the expansion of the STEAM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269 general teachers and 73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and special schools in D city an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analysis of the ratio,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information of STEAM education, the experience of actual application to class of STEAM education, and the training opportunities in STEAM education and the career working at research school. The teachers at the elementary schools had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an the teachers at the special schools. Second, two groups of teachers agreed to the need and the expected effects of STEAM education,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y thought the STEAM education provide a new way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crease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interest. Finally, the two groups of teachers expressed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related to STEAM education. And with regard to the educational content of training they thought the class types and cases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terials much more important than a educational theory. As a result, we propose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STEAM education in the special school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training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

        핀란드 종합학교(comprehensive school)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 고찰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이 연구는 복지국가와 사회적 평등성을 국가 건설의 비전으로 삼고 종합학교체제를 통해 모든 학생에게 ‘좋은 학습’과 ‘복지’라는 국가교육과정의 목표를 성취하고 있는 핀란드의 종합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성공적인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배경과 맥락이 되는 핀란드의 종합학교 체제를 고찰하였다. 교육과 복지를 하나의 체제로 보는 관점에서의 교육정책과 종합학교체제는 핀란드 교육을 성공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체제 및 관련 법령, 개발의 철학과 초점, 국가교육과정의 특징, 지역 및 학교 수준의 종합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국가, 지역, 학교(교장과 교사)는 상호협력을 하면서 자율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종합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학습’을 분명하게 개념화한 다음 모든 교육과정 구성요소에 이를 일관되는 방식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교과군/교과, 학년군의 아이디어를 도입하고 있고,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조건과 학습전략 등에 대하여 내용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군/교과의 수가 증가되지만, 지역과 학교수준에서 집중이수제, 학기제, 분기제 등을 활용하여 학기당 분기당 학생이 이수해야 할 교과의 수를 전 학년 수준에서 5개 이하로 편제할 수 있게 하고 있었다. 또한 복지지원단이 교사와 함께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학습과 복지의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특징이 우리나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about the basic features of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school system which explains the success of the Finnish education were discussed. Second,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were investigated to find how the three decision-making authorities(national, municipal, and school levels) are cooperated and interrelated in order to achieve the consistency and coherence of the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among the three decision-making levels. Third, the features of the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 were analyzed. The forms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the ideas of subject groups, grade clusters, intensive courses, flexible number of periods of a school year were studied to analyze how the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Finnish education and how individual schools exercised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school curriculum. Fourth,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which was found to be one major factor to affect successful learning outcomes was investigated.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본의 방과후 아동교실 운영에서 지역교육력 활용 사례의 특징 및 시사점

        김수동(Kim, Sood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교육력을 활용한 방과후 활동 중 방과후 아동교실 사업에 대한 출현 배경과 주요 내용 및 운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방과후 아동교실 운영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지역교육력을 활용한 방과후 아동교실 현장사례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서의 지역교육력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초등학교 현장사례 분석은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편찬한 방과후 아동교실 우수사례집에 수록된 4개의 학교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한 1개의 학교를 합하여 총 5개의 방과후 아동교실 사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사례는 지역교육력의 요소인 ① 지역 인재, ② 지역 시설, ③ 특색 있는 지역 문화 자원, ④ 지역의 자연적 환경, ⑤ 지역의 사회적 교류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일본에서의 방과후 아동교실과 연관된 지역교육력의 특징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7가지 일반적인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일본 지역교육력의 5가지 하위 요소에 따른 일본 방과후 아동교실 사례의 주요 특징과 이것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돌봄교실과 특기적성교육에 주는 구체적인 시사점 5가지를 제시하였다. 5가지 결론은 방과후학교법 제정, 지역사회 기관과 시설 활용, 지역사회 문화자원 활용, 지역사회 자연환경 활용, 지역사회에서 아동의 폭넓은 사고와 인간관계 개발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background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afterschool activities in Japan, especially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Also, the researcher wants to elicit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sage of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in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activities, especially in childcare classroom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by analyzing excellent afterschool child classrooms of the elementary schools which use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well in Japan. In analyzing th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cases of five elementary schools in Japan, the researcher selected four of them, which were graded as excellent afterschool child classroom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Japan. The fiv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cases are summarized by the five elements of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Community human resources, community material resources,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community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social interchange environment. The Japanese afterschool child classroom which uses community educational capabilities gives twelve implications for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especially in childcare classroom an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Seven implications are general and five implications are specific. In conclusion, this study is about the five implications, which are specific. That is, afterschool law institutionalization, community agencies and facilities usage, community cultural resources usage, the natural environment of community usage, and the wide thinking and human relations of community children usage.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과 가정교육의 필요성 연구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꿈과 열정,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은 그 자체만으로도 위대한 것이다. 그런데 학교폭력 때문에 힘들어 눈물을 흘리는 청소년들과 그의 가족이 점점 많아져 간다. 나날이 심각해져가는 학교폭력을 접하면서 청소년들이 안전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학교폭력은 학교생활의 부적응을 유발하여 학교공부에 흥미를 잃게 하고, 무단결석을 잦아지게 하면서 학교생활에서 점점 더 고립되게 할 수 있다. 즉 학교폭력은 일반적으로 학생피해자들의 불안, 우울, 고립, 학교기피, 대인관계문제, 사회부적응, 학습부진과 같은 치명적인 신체적, 심리적인 발달장애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부가 주도하는 기존의 해결책들과 달리 보다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학교폭력의 원인 규명과 해결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을 갖는다. 학교폭력문제의 해결은 예방과 치유 그리고 관계회복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역할은 가정과 교회에서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 가정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과 더불어 학교폭력을 해결하는 것은 기독교 부모들과 가정이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한 해답을 기독교 가정과 부모의 가정교육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그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분명히 있다. 그 대안은 먼저 학교폭력의 가정적인 요인을 현대가정의 문제점과 학교폭력의 요인으로서의 가정환경과 가정폭력에 대하여 조사해볼 것이다. 그리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과 부모교육을 통한 기독교가정교육의 기능회복을 고찰하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기독교 가정교육 필요성과 교육방법을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 둘째, 기독교 가정교육의 필요성, 셋째, 기독교 가정교육의 실행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본다. School life of is a very important time. The dreams, enthusiasm and infinite possibilities of youth are great in themselves. However, teenagers and their families are increasingly shedding tears because of school viol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ddress the increase in serious school violence and to propose alternatives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enable teenagers to safely attend school. School violence can lead to maladjustment in school life, causing students to lose interest in school work and become increasingly isolated from school life by making truancy more frequent. In other words, school violence generally causes se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al proble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isolation, school avoidance, interpersonal problems, social maladjustment, and poor learning. Unlike existing government-led initiatives i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school violence, it is necessary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for identifying and resolving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on a more fundamental level. The solution of the school violence problem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prevention, healing and relationship restoration. This role seems to be possible in the home and the church. What role can the family play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addition to the question of solving school violence, Christian parents and families have a primary responsibility. The answers to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should be found in the home education of the Christian family and parents, and there is a clear need for concrete alternatives. The alternative is to investigate the domestic factors of school violence against the problems of modern households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domestic violence as factors of school violence. The role of parent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recovery of the functioning of Christian home education through parent education will be examined.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Christian home education, and moreover, how to implement Christian family home education, will be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ave present meaningful results in proposing effective alternatives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 KCI등재

        학교장의 직무역량별 교육 요구 분석

        강대구,이병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In school situation, Principal is main person for school operation. So principal’s job competency is very important for best performing schoo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many competency was found and made to questionnaire for needs assessmen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educational needs for principal competency and to find the needs difference along with principals’ traits as gender, age group, job career, supervisor experience, school level, school category as private school or public school.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needs for principal was school culture improvement centered on student autonomy, committee or self-sustaining organization activation in school, making the fair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ward system, parents involvement enlargement through various school program, school activities open and promotion, school budget involvement by school community and the impartial enforcement, frequent situation review and feedback for attaining the goal, obeying the principal ethics and law. Second, the educational needs for school principal had in woman, under 53age group and 54 and 55age group, under 29years career group and over 34years career group, public school principal group, primary school member and county administration office member group. But supervisor experience group had no difference. 이 연구는 학교장의 직무역량을 구분하고 각 역량에 따른 교육 요구 분석을 목적으로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장 자격연수 수료생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교직 경력별, 소속기관 유형별, 소속기관별, 교육연수원 참여과정별 차이를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19년 12월 4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에서 학교장 자격연수를 받은 수료자 중에서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465명이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육 요구가 있는 역량은 학생자치 중심의 학교생활문화 개선,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각종위원회 및 자생단체 활성화, 공정한 근무평가 및보상체계 마련, 다양한 학부모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부모 참여 확대, 학교교육활동의 대외적인 공개와 홍보, 교육공동체의 학교예산수립 참여 및 투명한 집행, 목표 도달을 위한수시 상황 파악 및 환류, 교육지도자로서 윤리 강령 및 관련 법규 준수의 영역이었다. 교장의 특성별로는 여성교장이, 53세이하 집단과 54-55세 집단이, 교육경력 29년이하 집단과 34년이상 집단이, 국공립학교 교장이, 초등학교와 교육행정기관 소속자가 교장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가 있었고, 교육전문직 경험은 유의차가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장의 특성별 역량제고 연수프로그램이 성별, 연령별, 학교설립주체별로 차별화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

        칼빈에게 있어서 학교교육

        조성국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칼빈의 인성과 능력은 학교에 의해 주로 형성되었다. 칼빈은 제네바종교개혁에 참여한이후 줄곧 제네바학교 재조직을 위해 노력하였고, 생애 말기에 마침내 제네바학교를 설립하여 성공적으로 발전시켰고, 그 학교는 개혁교회와 장로교회 학교설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칼빈의 학교교육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추구와 경건형성과 지도자양성이었고, 교육내용은 기독교신앙과 교양교육과 신학이었으며, 교육방법과 행정에서 주요특징은 명료한 이해, 단계 진행적 학급, 교사의 탁월성, 그리고 교회와 정부의 협력이었다. 비록 교육이론에 있어 칼빈의 학교교육은 독창적, 혁신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영향은 대단히 컸다. 교육의 기초문제와 효율성에 있어 칼빈의 학교교육통찰은 오늘날의기독교학교에도 몇 가지 의미 있는 통찰을 던져준다. 그 통찰은, 학교교육은 세계관에 따라 구별될 수밖에 없다는 것, 학교교육은 교회와 국가의 지원과 협력관계의 수준만큼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서는 교육의 탁월성이 곧 영향력과 직결된다는 것, 교육내용은 신앙교육과 창조세계의 모든 것을 포함해야 하고 이 모두는 성경적 관점에서 조절되고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Calvin’s personality and intellectual capability were chiefly formed in school education. He attempted to reform schools since he had participated in the Genevan reformational activity. Finally, he planned and substantiated a new school, the Geneva Academy, which had great influence on school establishment in the regions where the Reformed churches and Presbyterian churches prevailed.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Calvin, was the glorification of God, the formation of piety, and the upbringing of future leaders for church and society.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Christian faith, liberal arts and theology. The prominent features of methods and administration were clear understanding, graded small sized classes, excellence of teachers, and cooperation with church and government. Calvin’s school, as a whole, was not innovative and not cre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eories, but it was so effective that it was really influential. Some insights may be available to apply to contemporary Christian schools. The conspicuous insights are (1) that schooling has to be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world view, (2) that schooling may be effective in the level of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school, church and government,(3) that excellence pursuit in the case of secondary and tertiary schooling can guarantee being influential, (4) that curriculum has to include world,society as well as religion, and that all the content of education has to be controlled by and integrated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