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리문답을 통한 개혁주의 교리 설교 연구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기초한 다양한 교리설교 형태를 중심으로

        박현신 總神大學校 2018 總神大論叢 Vol.38 No.-

        포스트모던 시대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개혁교회의 은혜의 방편의 역할을 해왔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전통을 오늘날 다시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핵심 목표는 개혁교회 설교지침서로서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간략한 배경과 목적,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기초한 다양한 교리 설교 형식들에 대한 비평, 현대 설교학의 이론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융합한 교리 설교 방식, 설교자를 위한 실천적 제언들에 대해서 논의함으로써 개혁교회 요리문답 설교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 전통적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의 기본 형식을 넘어 더욱 다양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형식을 추구하기 위해 젊은 개혁교회 설교자 중 하나인 케빈 드 영(Kevin De Young)의 모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비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자가 창안한 여섯 가지 교리(요리)문답 설교 유형들인 논리형 요리문답 설교(Logical Catechism Preaching), 토피컬 요리문답 설교 (Topical Catechism Preaching),테마틱 요리문답 설교(Thematic Catechism Preaching), 본문형 요리문답 설교(Textual Catechism Preaching), 구속사형 요리문답 설교(Redemptive Catechism Preaching), 변증형 교리문답 설교(Apologetic Catechism Preaching), 적용형 교리문답 설교(Applicational Catechism Preaching) 방식에 비추어 De Young의 설교들을 하나씩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 강해설교학에서 설교 형식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혼합한 창조적인 하이브리드 요리문답 설교 모델의 예로 강해적 단락형 요리문답 설교(Passage catechism preaching) 방식, 강해적 내러티브형 요리문답 설교(Narrative Catechism Preaching), 복음중심적 요리문답 설교(Gospel-centered Catechism Preaching)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다양한 요리문답형 교리 설교를 위한 일곱가지 실제적인 제안들을 진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박성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0 No.-

        개혁 교회의 역사를 살펴보면, 요리문답을 활용하여 목회자가 성도들을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다. 특히 프레드릭 3세, 우르시누스, 올리비안누스 세 사람의 중심으로 작성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개혁 교회 안에서 벨직, 도르트 신조와 함께 일치 신조라 명하며 표준문서로 받아드렸을 뿐 아니라, 직접 설교자가 설교단에서 성도들을 위하여 설교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의 회복에 그 목적을 두는 동시에 어떻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가지고 설교자가 설교할 수 있을까? 라는 설교 방법론에 주안점을 둔다. 많은 설교자들은 교리 또는 요리문답의 가르침이나 설교는 지루한 것을 인식하여, 자신의 성도들에게도 동일한 마음을 심어준다. 그러나 요리문답은 하나님의 백성을 올바르게 세우는 중추적 역할을 감당해 왔다. 그러므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가 목회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자는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얼마나 개혁 교회 안에 뿌리 깊은 전통이었는지 살필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설교할 수 있을지 전통적인 방법을 소개한 후, 신설교학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조합시켜 만든 새로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 방법들과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부분적으로 활용한 설교방법들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In church history, It is a fact that teaching and preaching catechism for God's people is important.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 has been accepted as the standard Catechism, and it has been preached from preacher in Reformed church. Heidelberg Catechism was mainly composed Frederick the Third, Ursinus, and Olevianus. The purpose of this paper not only is to briefly rediscover teaching preaching, that is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but also discuss how to preach Heidelberg Catechism. Many preachers seem to trick their congregation into thinking doctrinal preaching and studying catechism are too tedious, however, these are really important to build up their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I can create new preaching methods from Heidelberg Catechism, so I try to discuss how to do this preaching, how to harmony with The New Homiletic, and how to compose sermon by using some parts of Heidelberg Catechism, after introducing the history of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 그 윤리적 함의

        이상은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The Pneumat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Its Ethical Implication Sang-Eun Lee (Seoul Jangsin University, Systematic Theology) This paper purports to research the Pneumatology of Heidelberg Catechism and its ethical implication. It deals with the text of the Catechism and, to do this, it uses help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urrent theologians who study its implication in contemporary situation. When it comes to Pneumatology, this Catechism show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pirit more than any other documents of the Reformation. It deals with the works of spirit comprehensively, namely from the work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o the achievement of meaning of the shape of God (imago Dei) through performing good works of the renewed person.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describ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is catechism as following. First, it shows the criticizing attitude against the anthropocentricity with the ethics of the liberal theology, whereas it maintains that we can seek the ground of the ethics in the economical acting of the holy spirit who enables us to accomplish the ethics, as a person of the trinity. It also shows the position and the work of the spirit as the ethical subject who establishes the community before electing the human subject "I" as the redeemed one, and unifies the saints over the boundaries of the era and locations, namely as the subject of the unity in diversity. The spirit initiates to produce the peace and tolerance, as its sacraments doctrine shows. While the chrisotogical difference in the sacrament brought conflicts between various denominations, the emphasis on the role of the spirit could make it possible that the reconciliation between parties and ecumenical consensus could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pirit in the Catechism, like the christological-spirit, appears as the subject who makes it possible that the saints practicize the implication of the triple cure (munus triplex) in their own positions. Considering the description of the role and works of the spirit, we can evaluate value of this Catechism in the contemporary days. So we can see that this Catechism still has the echoes in current situation more actively than what the drafters planed originally, and it demonstrates us the way for the practice of the church confronting the challenge from its era.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 요리문답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의 분석과 더불어 이 요리문답을 연구하고 있는 현대 신학자들의 관찰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의 중요성은 여타의 다른 신앙고백전통이나 요리문답과 비교해볼때에도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성령의 사역에 있어서 이 요리문답은 구원과 칭의의 사역으로부터 선한행위를 통한 하나님의 형상의 완성에 이르는 포괄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성령론에 기반을 두고 본 요리문답이 지닌 윤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윤리의 주체가 인간 “나”가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에게 있다고 하는 인간중심성에 대한 비판과 우리를 향해 행동하시는 성령의 주체적 사역에 대한 고백이 드러나있다. 또한 “나” 이전에 공동체를 세우고 시대와 장소를 넘어 성도들을 연합하게 하는 공동체 윤리의 주체로서의 성령에 대해 요리문답은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요리문답은 성례전과 관련하여 화평과 관용의 정신을 잘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성례전의 주체로서 평화를 실현시키는 영으로서 성령의 역할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성례전에 있어서 기독론적 차이가 교파간의 분열을 귀결시킬 수 있었던데 반해서, 성령의 역할의 강조는 에큐메니칼 정신과 화합의 정신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와같은 화합의 의미는 오늘날 교회의 분열 가운데 일치의 정신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좋은 지침을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령은 요리문답에서 기독론적 성령론으로서 성도들을 향해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의미를 실현하게 하는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성령의 기름부음의 직분에 대한 해석을 통한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의 역동적 신앙의 삶을 중시하는 관점은 이 요리문답이 지닌 역사 속에서의 생동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이 요리문답은 450년 전 작성자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의 많은 반향을 오늘날에도 일으키고 있으며, 시대 속에서 교회의 길에 대한 숙고와 실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주고 있다.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 그 윤리적 함의

        이상은 ( Sang Eun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요리문답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함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의 분석과 더불어 이 요리문답을 연구하고 있는 현대 신학자들의 관찰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령론의 중요성은 여타의 다른 신앙고백전통이나 요리문답과 비교해볼때에도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성령의 사역에 있어서 이 요리문답은 구원과 칭의의 사역으로부터 선한행위를 통한 하나님의 형상의 완성에 이르는 포괄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성령론에 기반을 두고 본 요리문답이 지닌 윤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윤리의 주체가 인간 “나”가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에게 있다고 하는 인간중심성에 대한 비판과 우리를 향해 행동하시는 성령의 주체적 사역에 대한 고백이 드러나있다. 또한 “나” 이전에 공동체를 세우고 시대와 장소를 넘어 성도들을 연합하게 하는 공동체 윤리의 주체로서의 성령에 대해 요리문답은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요리문답은 성례전과 관련하여 화평과 관용의 정신을 잘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성례전의 주체로서 평화를 실현시키는 영으로서 성령의 역할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성례전에 있어서 기독론적 차이가 교파간의 분열을 귀결시킬 수 있었던데 반해서, 성령의 역할의 강조는 에큐메니칼 정신과 화합의 정신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와같은 화합의 의미는 오늘날 교회의 분열 가운데 일치의 정신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좋은 지침을 제공해준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령은 요리문답에서 기독론적 성령론으로서 성도들을 향해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의미를 실현하게 하는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성령의 기름부음의 직분에 대한 해석을 통한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의 역동적 신앙의 삶을 중시하는 관점은 이 요리문답이 지닌역사 속에서의 생동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이 요리문답은 450년 전 작성자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의 많은 반향을 오늘날에도 일으키고 있으며, 시대 속에서 교회의 길에 대한 숙고와 실천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주고 있다. This paper purports to research the Pneumatology of Heidelberg Catechism and its ethical implication. It deals with the text of the Catechism and, to do this, it uses help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urrent theologians who study its implication in contemporary situation. When it comes to Pneumatology, this Catechism show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spirit more than any other documents of the Reformation. It deals with the works of spirit comprehensively, namely from the work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o the achievement of meaning of the shape of God (imago Dei) through performing good works of the renewed person.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describ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is catechism as following. First, it shows the criticizing attitude against the anthropocentricity with the ethics of the liberal theology, whereas it maintains that we can seek the ground of the ethics in the economical acting of the holy spirit who enables us to accomplish the ethics, as a person of the trinity. It also shows the position and the work of the spirit as the ethical subject who establishes the community before electing the human subject "I" as the redeemed one, and unifies the saints over the boundaries of the era and locations, namely as the subject of the unity in diversity. The spirit initiates to produce the peace and tolerance, as its sacraments doctrine shows. While the chrisotogical difference in the sacrament brought conflicts between various denominations, the emphasis on the role of the spirit could make it possible that the reconciliation between parties and ecumenical consensus could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pirit in the Catechism, like the christological-spirit, appears as the subject who makes it possible that the saints practicize the implication of the triple cure (munus triplex) in their own positions. Considering the description of the role and works of the spirit, we can evaluate value of this Catechism in the contemporary days. So we can see that this Catechism still has the echoes in current situation more actively than what the drafters planed originally, and it demonstrates us the way for the practice of the church confronting the challenge from its era.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론: 75-82문답을 중심으로

        황대우 ( Dae Woo Hw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론이 신학적으로 어디에 분류될 수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초판은 128개문답으로 작성되었으나, 2판과 3판에 하나가 더 첨가되어 지금의 129문답이 되었다. 첨가된 것은 80문답이며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성찬론의 신학적 성격을 분명하게 규정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찬론은 개혁파 교리에 속하는 것으로 모든 개혁파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의 가르침과 거의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특별히 그것은 칼빈과 불링거가 작성한 취리히 일치신조의 성찬 교리와 일치한다. 하지만 성찬론과 관련하여 칼빈과 불링거는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불링거 성찬 교리에서는 성령의 역할이나 그리스도와의 연합보다는 믿음의 필요와 역할이 더 강조된다. 반면에 칼빈의 성찬 교리에서는 믿음의 역할과 중요성이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믿음의 요소보다 성령의 역할과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훨씬 더 중요하게 취급된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기독론에서 ‘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을 가르친다는 점, 성찬론에서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 사이의 연합을 중시한다는 점, 에베소서 5장 30절의 인용을 인용한다는 점, 팔츠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가 ‘칼빈주의’라 비난 받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찬론에 칼빈의 성찬론에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칼빈적’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것은 정당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e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specially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t is sure that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belongs to the Reformed theology and is in substantial accord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Is it justified for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to be classified as the Reformed theology, especially as the sacramental theology of Calvin? In connection with the sacramental theology, the Heidelberg Catechism is best substantially the same with the Tigurinus Consensus (1549) drafted by Calvin in Geneva and Bullinger in Zurich. But the doctrine of two Reformers is not uniformed in a concrete explanation and stress. Acknowledging the role of the Holy Spririt in the Lord`s Supper, Bullinger accentuates the faith to be necessary for eating the bread. Unlike him, Calvin lay most stress on the union with Christ(unio cum Christo) through the Holy Spirit who is his own Spirit, though he highly regards the role of faith for receiving bread and wine. In this article, I emphasized that it is right to attach a Calvinistic label to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My argument is based on some points, namely Calvin`s opinion “extra Calvinisticum” in christ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mphasis on the union with Christ, quotation of Eph. 5:30, and criticism of Friedrich III`s Calvinist from the Lutheran theologians and politicians.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정신: 개혁교회 그 분명한 정신을 추구하며

        주도홍 ( Do Hong Jou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수많은 신앙고백들을 가지게 되었다. 곧 교회가 처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근거로해서 성경적 신앙고백을 늘 추구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개혁교회 역사에서 신앙고백의 선구자로서 위치하는 것이 1563년 독일에서 태어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der Heidelberger Catechismus)이다. 16세기 종교개혁 시대 루터의 나라 독일에서 스위스 종교개혁 신학을 받아들여 형성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21세기에 이르러서까지도 개혁교회의 중요한 신앙 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1618/19년 돌트 총회Dordt Synod 이후, 벨기에 신앙고백, 돌트 신경과 함께 개혁교회의 3대 신앙고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의심할 것 없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종교개혁 시대 가장 폭넓게 사랑을 받았고, 가장 따뜻한 평가를 받은 요리문답이었다. 그러기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향한 한국교회의 균형 잡힌 관심과 연구는 요구된다. 그렇지만 한국교회는『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향하여 교의신학적(dogmatic) 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대한 그 역사와 정신을 교회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그런 후 16세기 독일을 위시한 유럽 대륙에서 태어난 개혁신학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이해로부터 개혁신학을 표방하는 21세기 한국교회를 자리매 김할 수 있길 소망한다. The Reformed Church has had many confessions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Based on the issues the Church faced at that specific time, a biblical confession was made addressing those issues. In 1563, the first of these confession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written. During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Luther`s Germany received Swiss reformation theology which was core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long with the Dordt Synod 1618/19, the Belgic confession, the Heidelberg Catechism is considered one of the 3 core confessions of the Reformed church. Without doubt, the Heidelberg Confession is the most beloved confession and the most warmly reviewed of the three. For this reason it is imperative for the Korean Church to research deeply and fairly this topic. At the current time, the Korean Church lacks fair analysis and reviews of this important confessions. For this reason I wish to further research the history and spirit of the Heidelberg Catechism. Through this we stand to better understand the Reformed Church and its roots. Through thi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Heidelberg Catechism it is my hope the 21st century Korean Presbyterian Church can continue progressing in its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교육을 통한 개혁주의 종말신앙 형성

        강미랑 ( Mi Rang K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본고는 한국교회 성도들이 어떠한 이단들의 미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참된 믿음을 지켜갈 수 있도록 성경적 종말신앙을 교육함을 목적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451년의 전통을 지닌 개혁교회의 유산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를 그중요한 교육적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먼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작성 당시의 교육의도와 전 유럽에 가장 활발하게 영향을 미쳤던 시대의 교육상황을 집중 조명하여 봄으로써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신앙 교육적 의미를 살피고 오늘에 적용할 교육적 통찰을 끌어내었다. 계속해서 그 구조가 가지고 있는 유용성과 그리스도 중심의 하나님 나라 사상을 연구함으로써 오늘날 성도들의 종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종말신앙의 토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교육의 본래적 목적은 지정의의 통합된 교육이었고, 가정, 교회, 학교의 교육의 장의 연합을 통한 삶의 전 영역에 걸친 신앙의 삶의 교육이었고,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성도 전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이었다. 즉 믿음이 지식으로 만이 아니라 의지로, 삶의 행동으로, 그의 깊은 고백으로 통합되어 그들이 만나는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그 믿음의 내용을 붙잡고그리스도인답게 이겨나갈 수 있는 힘이 되도록 교육하였고, 그 궁극적 힘은 부활과 영생을 믿는 종말론적 신앙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실천신학적 논문으로서 본고는 한국교회 상황에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교육을 위한 교육의 기회들을 탐색하고, 소그룹인도의 실제를 위한 간단한 교안을 첨부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교회가 이 요리문답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잘 실천하여 성도들을 참된 믿음을 훈련하고, 성화의 삶으로 이끌고, 현세에서의 삶 뿐 만아니라 죽음 이후의 영생을 소망하는 견고한 믿음으로 교육하는 신앙 공동체가 될 것을 제안한다. This paper aims to educate Korean Christians in order that they form reformed eschatological faith from the Bible. Then they will not be infatuated by any kinds of heresies with false eschatology. On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use Heidelberg Catechism as a catechetical tool. It will give us very important insights for our christian education from it``s long reformed heritage of a faith worth teaching. This Catechism have been endured for 451 years by the world reformed churches. Heidelberg Catechism as a textbook has functioned the students to learn not only with their mind but also with their heart. The whole person is involved in this learning proces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catechesis (christian education) is living as a Christian. By a lifelong learning process Christians realize that Jesus Christ is their only comfort in their life and their death, and they are equipped with true faith. Heidelberg Catechism introduces great benefits that Christians receive from the sacrifice and death of Christ on the cross, Resurrection and Ascension and so on. This effectiveness of Christian faith is apply to Christian daily life in this world and as well as life after death, to eternal life. Christian life seeks sanctification with gratitude in this world, at the same time Christians wait for eagerly coming Kingdom of God. As a practical theological thesis, this article tried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setting for education of Heidelberg Catechism. Then I add a simple example for lesson in a small group in order to form the eschatological view with the Heidelberg Catechism as a textbook.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eschatological education of Korean churches as follows: education for true faith with knowledge and commitment, emphasis on life of sanctification as fruits of gratitude, and learning from historical persons of faith with hope of resurrection.

      • KCI등재후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한 개혁주의 신앙교육

        권호 ( Ho Kwon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8 No.-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Heidelberg Catechism) 450주년을 기념하며 어떻게 이 요리문답의 설교를 통해 개혁주의 신앙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 기술한다. 우리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해 신앙 교육을 하기 원한다면 두 가지 질문을 먼저 던져야한다. 첫째, 왜 우리는 이 고전적 요리문답서를 4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설교를 통해 교육해야 하는가? 둘째, 설교를 통해 신앙교육을 해야 한다면 효과적이면서도 구체적인 설교방법은 무엇인가? 첫 번째 질문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설교를 통한 신앙교육의 원론적 이유를 묻는 질문이라면, 두 번째 질문은 그것을 가능케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한 실제적 질문이 될 것이다. 현재 한국교회 내에서 교리설교에 대한 논의가 많지 않고, 있더라도 교리설교의 실제적 방법들이 충분히 제시되지 않고 있는 현실이며, 그 결과로 한국교회 내에서 교리설교는 드문 것이 되어버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앞에서 제기 했던 두 질문에 대해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론에서 기초적 작업으로 1) 교리설교에 대한 오해들을 다룸으로써 왜 교리설교를 통한 신앙교육이 한국교회 안에 활성화되지 않는가를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그 후 2) 왜 한국교회가 교리설교의 가치를 다시 인식하고, 강단에서 교리설교를 통해 신앙교육을 해야 하는지 잠시 살펴볼 것이다. 3) 마지막으로 세 가지 교리설교법에 대해 논하면서 본 논문의 핵심주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설교함으로 신앙교육에 기여 할 것인가를 제시할 것이다. This thesis describes, celebrating 450th anniversar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 Korean churches educate their members the reformed faith with the catechism. Before employing the catechism for the church education, one needs to ask two preliminary questions: First, why we should preach this catechism that was written in 450 years ago for current church education? Second, if we educate our churches with it, what types of detailed and practical sermon methods should we utilize for effective preaching of it? If the former question is asking for the groundwork of the education with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latter one is for the specific homiletical methods. Nowadays Korean church rarely discuss on the catechetical preaching and have no practical sermon methods for it. Recognizing this circumstance that Korean churches abate the catechism sermon, this thesis tries to provide homiletical suggestions for effective way of preaching the catechism for reformed faith. First part of the thesis, as a preparatory step, briefly researches on the misconceptions resulted in many pastors` hesitating to preach the catechism in theirs pulpits. Second part presents essential reasons for why Korean churche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techetical preaching and actively delivery it for the church education. Third part, as the main subject of the thesis, provides practical and specific homiletical methods for preaching Heidelberg Catechism for the contribution to church education.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행 이해 -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

        김성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7 신앙과 학문 Vol.22 No.3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on the significances of the Good Works in Heidelberg Catechism, and then suggesting the significance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More detailed objectives and related content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significants of ‘Good Work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From here the histor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escribed, and the concepts of the Good Works is mentioned as well. And relation to the Good Works, the meaning of gratitude, belief, holy spirit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iscussed. Lastly, the Good Work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ocially poor and weak in the Heidelberg Catechism. Ursinus has mentioned that the Good Works comes out the true beliefs, follows God's Laws, and they are all about the glory of God. Therefore, the Good Works for the socially poor and weak should be what Christian is to obey God's command of serving the poor and weak. Lastly, the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regarding the Good Work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Korean society in the super individualism neglects the socially weak, and churches in the society passes over those individualism in silence.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the awareness of community would be buried under the capitalistic economy. In such a phase, necessity of Christianity Role should be strongly come to the fire, which could recover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So it should be necessary to the ethical works for the poor and weak, as a code of conduct for Korean Christianity. Therefore the Korean Christianity should look for new significants in Jesus' Commands, that you shall love your Go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가진 선행의 의미를 논의하고, 그것이 한국 기독교의 선행에 주는 과제를 시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과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행의 의미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 성격 및 구조가 다루어진다. 또한, 선행의 개념과 감사, 믿음, 성령에서의 선행 의미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선행을 논한다. 우르시누스는 선행은 참된 믿음에서 나오고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 중심의 선행은 중생한 인간이 사회적 약자를 섬기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행이 한국 기독교에 시사해 주는 과제를 논한다. 초개인주의 시대 속에 있는 지금의 사회는 점차 소외되는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고 있고, 그 안에서 교회는 신앙 공동체적인 사명보다는 구성원 개개인의 이기심에 따른 계약 관계의 형성을 묵과하고 있다. 이렇게 점차 경제적 자본주의 논리 속에 매몰되어 공동체 의식과 이웃이 상실된 우리의 사회와 교회에서, 공동체와 이웃의 회복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윤리적 행위가 이 시대의 한국 기독교의 행동 강령으로 자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새 계명이 가지는 의미를 새롭게 찾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