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한국을 위한 파트너로서의 한국 교회

        주도홍 ( Do Hong Jou )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3 No.-

        본 글은 한국 교회의 세상에서의 긍정적 역할을 찾으려 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분단과 갈등으로 괴로워하는 한반도에 한국 교회를 허락하셨다. 곧이 땅에서 하나님은 한국 교회의 사명을 부여하신 것이다. 그렇다면 답답한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국 교회가 가야 할 길을 숙고하며 남북통일을 향한 국가의 파트너로서의 할 일을 생각해 보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정부를 향한 호불호의 입장을 제시하려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길에 서서 파트너로서 마땅히 할 일을 원리적으로 구체적으로 찾는 것이다. 과연 한국 교회가 답답하고 꽉 막힌 남북 관계에서 해야 할 일은 없는 것일까? 한국 교회가 비정치적으로 길을 열어 남북의 정치적 관계에 숨통을 터줄 수는 없을까? 한국 교회는 정부의 보다 지혜로운 파트너가 될 수는 없을까? 그렇다고 교회의 정치화 내지는 정치신학을 말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바라기는 성경적 관점에 서서 논의를 시도하려 하는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lay out the positive role that the Korean Church can play in today``s Korea. God gave Korea the gift of Church because of its history of division and conflict. God gave the Korean Church its mission by placing it in this land. Given the current state of North and South relations the Korean Church must have a strong perspective on its role and path ahead as a mediator. A partnership with the State is an area that can drive a watershed moment. This partnership should not be driven by political objectives, but rather by a practical and actionable set of objectives in line with the Church``s position within society. What should those objectives be? Can the Church act as a non-political mediator that can help open up the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Can the Church act as a wise partner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s it sets its policies? These questions will be considered from a biblical perspective.

      • KCI등재

        청교도의 설교 이해: 퍼킨스와 에임스를 중심으로

        주도홍 ( Do Hong Jou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7 No.-

        영국의 대표적 청교도들이며, 사제 간이기도 한 윌리엄 퍼킨스(W. Perkins)와 윌리엄 에임스(W. Ames)의 설교론을 일차 자료에 입각하여 인식하고, 비교하며 역사적 이해를 시도함이 이 글의 목적이다. 종교개혁시대의 끝자락에 해당되는 16세기 중후반 영국 국교회와 17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를 배경으로 제시되는 두 사람의 설교이해는 당시의 상황과 신학을 그대로 담고 있다. 물론 두 사람이 캠브리지대학교에서 선생과 제자 그리고 동역자의 위치에 있었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종교개혁의 역동적인 역사적 전개와 긴밀한 상관성이 있다. 두 사람은 18년이라는 길지 않은 나이차가 있음에도 격동의 시대 거기다 영국과 네덜란드의 종교개혁 신학, 특히 설교론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두사람의 설교이해는 21세기 한국교회 설교강단에도 도전이 될 것인데, 설교운동으로 일컬어지는 청교도의 생생한 음성을 들을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understand historically their perspective for preaching through W. Perkins and W. Ames` writings.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W. Perkins and W. Ames` sermons. W. Perkins and W. Ames were leading Puritan reformers of the latter 16th Century Church of England and 17th century Netherland reformed church. Their writings are accurate reflections of their time and their church. Although they were coworkers at Cambridge University, there were distinguishable differences, specifically in the area of Church history. The two men were separated in age by 18 years, and show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English and Netherland`s homiletics of their times. Therefore, the 21st century Korean church will find worthy applications, bringing forth a fresh Christian perspective.

      • KCI등재

        진리냐 사람이냐? 사람과 진리이냐? 웨슬리와 훳필드의 예정론 논쟁을 중심으로

        주도홍 ( Do Hong Jou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이 글에서 필자는 지금까지 해온 신학 중심의 일반적 연구를 벗어나 인간관계 중심의 연구를 통해 웨슬리와 휫필드의 논쟁을 이해하고자 했다. 웨슬리와 휫필드의 예정론을 향한 신학적 논쟁은 이미 상당 부분 연구되어 왔다. 그러면서도 연구자들의 성향에 따라 한편으로는 웨슬리에게, 다른 한 편으로는 휫필드에게 치우친 감이 없지 않았다. 그럴 수밖에 없는것은 차이를 보이는 교리 면에서 두 사람의 논쟁을 다루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필자는 본고에서 두 사람의 인간적 화해가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는지를 출발점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곧 하나 된 인간관계에 강조점을 두면서 두 사람의 논쟁을 풀어나갔다는 말이다. 다르게는 교회사적 연구에 무게중심을 두면서 조직신학적 연구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의 중요한 교회사적 물음은 어떻게 두 사람이 4반세기(25년) 동안 만날 수 없었는데, 비로소 서로를 이해하며 화해했고, 휫필드의 장례식에 웨슬리가 장례 설교에 초대되어 유종의 미를 걷을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결코 진리에 대해서는 하나 될 수 없었는데 그냥 둘은 하나 되었고, 이해했으며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고 하늘의 소망 가운데 다시 손을 잡았다고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 사이에는 분명 풀어야 할 교리적 오해가 있었으며, 4반세기 만에 그 오해를 다는 아닐지라도 서로에게 이해 가능한 수준에까지는 풀지 않았는가 하는 전제가 필자의 연구의 저변에 깔려 있는 생각이다. 사실 필자 역시 상당부분 웨슬리의 신학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오해를 풀었다. 그것은 웨슬리가 만인구원론, 행위구원론, 완전성화론을 주장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 사람의 화해가 결국 가능하지 않았는지 하는 결론에 본 연구는 이르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avoid the past streams of theology, focusing rather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ispute between Whitefield and Wesley. Wesley and Whitefield`s differing views of predestination has already acquired much attention. Nonetheless, each scholars` disposition has led each to choose one over the other. This was inevitable as the focal point of their dispute was doctrine. However, I want to begin my essay not on doctrine, but how reconciliationmwas possible in the midst of these differences. I want to suggest that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came to fruition as both men centered their attention on unity rather than dissention. Even in the midst of their differences in church history, they chose to stand side by side in their systematic theology. Therefore, an imperative question remains for the church: how were Whitefield and Wesley, who were unable to meet for 25 years, understand and forgive one another, even allowing Wesley to deliver the beautiful end at Whitefield`s funer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둘을 하나로 묶는 샬롬 예수

        주도홍 ( Jou Do-hong ) 기독교통일학회 2020 기독교와 통일 Vol.11 No.2

        글은 독일통일 30주년을 맞아 분단 75주년을 맞는 한국교회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다룬다. 독일은 통일로 국제 사회에서 모범국가로 평가받는 나라가 되었다. 역으로 세계의 유일한 분단국 한국은 많은 점에서 힘들어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북한을 향한 두 시선으로 향방을 잃은 채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기는 고사하고 위기를 만나 표류하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한국교회는 남북통일을 위한 선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먼저 한국교회는 개혁신학(The Reformed Thology)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분단 시대 독일교회의 역사적 지혜 디아코니아를 가져오기를 소망한다. 아울러 남북의 끝없는 긴장과 갈등을 끝내기 위해 한국교회는 평화의 왕 예수님의 평화를 분명히 인식하고, 갈등의 땅 한반도에서 평화의 사도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겠다. The following essay aims to do for the next step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n church, in light of the 30th anniversary of Germany’s reunification. Germany is seen as a global model for reunification. On the contrary, the Koreas remain the only nations who continue to struggle. Instead of fulfilling its calling to be “salt and light” of the south Korean Church to its North Korean neighbor. How can the South Korean church play its integral part in seeing reunification? I suggest that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first firmly grab hold of Reformed Theology, and second, emulate the German church’s diakonia in its historical efforts in reunifying its country. Additionally, to bring an end to endless nervousness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Koreas,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recognize Jesus, who is the Prince of Peace, and the South Korean church must become the ambassador of peace for both nations.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와 정신: 개혁교회 그 분명한 정신을 추구하며

        주도홍 ( Do Hong Jou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는 시대와 장소에 따라 수많은 신앙고백들을 가지게 되었다. 곧 교회가 처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근거로해서 성경적 신앙고백을 늘 추구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개혁교회 역사에서 신앙고백의 선구자로서 위치하는 것이 1563년 독일에서 태어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der Heidelberger Catechismus)이다. 16세기 종교개혁 시대 루터의 나라 독일에서 스위스 종교개혁 신학을 받아들여 형성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21세기에 이르러서까지도 개혁교회의 중요한 신앙 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1618/19년 돌트 총회Dordt Synod 이후, 벨기에 신앙고백, 돌트 신경과 함께 개혁교회의 3대 신앙고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의심할 것 없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종교개혁 시대 가장 폭넓게 사랑을 받았고, 가장 따뜻한 평가를 받은 요리문답이었다. 그러기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향한 한국교회의 균형 잡힌 관심과 연구는 요구된다. 그렇지만 한국교회는『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향하여 교의신학적(dogmatic) 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대한 그 역사와 정신을 교회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한다. 그런 후 16세기 독일을 위시한 유럽 대륙에서 태어난 개혁신학의 실체를 정확히 이해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이해로부터 개혁신학을 표방하는 21세기 한국교회를 자리매 김할 수 있길 소망한다. The Reformed Church has had many confessions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Based on the issues the Church faced at that specific time, a biblical confession was made addressing those issues. In 1563, the first of these confession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written. During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Luther`s Germany received Swiss reformation theology which was core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long with the Dordt Synod 1618/19, the Belgic confession, the Heidelberg Catechism is considered one of the 3 core confessions of the Reformed church. Without doubt, the Heidelberg Confession is the most beloved confession and the most warmly reviewed of the three. For this reason it is imperative for the Korean Church to research deeply and fairly this topic. At the current time, the Korean Church lacks fair analysis and reviews of this important confessions. For this reason I wish to further research the history and spirit of the Heidelberg Catechism. Through this we stand to better understand the Reformed Church and its roots. Through thi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Heidelberg Catechism it is my hope the 21st century Korean Presbyterian Church can continue progressing in it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