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담론 1988~1992

        유진숙(Ju Jinso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논문은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관련 저술의 번역·수용 과정과 논쟁 과정에서 이루어진 담론구조의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담론분석은 구성주의적 맥락 하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비판적 담론분석의 이론틀에 근거하여 크게 상황, 가치와 목표, 수단과 목표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의 변혁운동은 1980년대 중·후반 전통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민중민주파(PD)와 주체사상을 추종하는 민족해방파(NL)로 나뉘어 치열한 한국사회성격 논쟁을 전개한 바 있다.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사회주의체제의 붕괴라는 외적 충격에 당면하여 이 두 가지 분파의 전략적 노선과 두 분파 간의 담론적 역학관계는 근본적인 변화를 거치게 된다. 첫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1980년대 후반 NL -PD 논쟁구도의 종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PD가 주도하였던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단절되었으며 마르크스주의적 패러다임은 결정적으로 이론적·실천적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두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한국 변혁운동의 전략노선 수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그 방향성과 강도는 진영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PD 진영은 전반적으로 이념적 온건화가 이루어진 가운데 수정주의·사회민주주의·중진자본주의 등의 대안적 노선들로 분화·해체되어갔다. 반면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에 소극적으로 참여하였던 NL 진영은 주체사상을 대안으로 내세움으로써 비교적 장기적으로 이념적·조직적 통일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는 페레스트로이카라는 외적 변수가 어떻게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취약성과 민주화라는 내적 변수와 맞물리면서 한국 변혁운동 담론구조의 변화와 상이한 전략적·실천적 노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이 결과는 또한 구성주의와 담론분석의 이론적 유효성을 검증해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litical discourse of Korean radical social movements regarding Perestroika. It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among external factors, discourse, and political practice,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action and revision of the strategic line of the social movement. Based upon the theoretical fram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analysis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value and goals, circumstances, and means-goal. The radical social movement in Korea in the mid-1980s was divided into two factions, the PD (people’s democracy), which supported the orthodox Marx-Leninism and the NL (National Liberation), which advertised Juche ideology from North Korea. Faced with the major crisis caused by the external factors of Perestroika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system, these factions reacted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Meanwhile, one of the main issues was the revision of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the social movement. The debate regarding the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was stopped abruptly, and the Marxist paradigm has lost political effect. In contrast, the Juche ideology, representing itself as an alternative to Marxism, continuously gained influence in the social movement. The Juche faction could initiate the building of the Tongjin Party in 2010 as well as the Minjung Party in 2017.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how the external factor, Perestroika, was differently interpreted, and how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has caused the different change of the strategic line.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공연 텍스트로서의 안톤 체호프 < 벚나무 동산 > 무대화 연구 :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연극무대를 중심으로

        김원석 ( Weon Cuk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8

        Perestroika brought a big change to the Russian society, bringing new movements in economy, society, religion, art and culture. Restricted artists and their works found their rights, and the theatres gained their authority to make productions. Perestroika had let the streams flow again. This era of change and Chekhov`s The Cherry Orchard has a close relationship. The masterpiece was produced through the labor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Cherry Orchard, the conflict between the new and the old generation is shown - those who attempt to rebuild the society through the revolution, and who tries to keep the old. But this kind of conflict is not portrayed as tragedy in the script. In fact, he insisted that the script is ``comedy``. The ``comedy`` Chekhov mentioned is, so called ``the comedy of situations``. The humour in The Cherry Orchard can be summarized as ``absurd situations`` that comes to the ``less grown adults``. The characters who have childlike innocence confront the harsh reality. They think they should solve the problems but cannot decide which way to solve them. The family of Ranevska hesitate to make a decision and waits for the auction. They would look like children who don`t know much about the world from the point of view of Lopakhin. This contrast has similarities with the situations of the time when The Cherry Orchard was written, as well as that of post Perestroika. And stage directors had presented such Chekhov`s scripts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 on the stage as a human being, a member of a nation and the society, and an individual artist. They present unique productions due to their different identities and tastes for art. In the Russian theatrical scene of 80`s and 90`s, major concern for the directors was to find a way to conclude a century and open a new era in the changes of Perestroika. With deep concerns they tried to gaze the age by recreating The Cherry Orchard. They wanted to reflect the reality from the hidden messages in Chekhov`s text about fate of a man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age. In this progress, rather than succeeding the classics and the authority, the directors tried to find an efficient theatrical way to express their original interpretation. For that reason, each productions had unique interpretations and presentations.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script, stage, and director had become clearer, which makes the modern theatre peculiar. The new belief, theatrical form, and the effort to find more assertive way of expression could be defined as the trend of the times. 현대연극에서 체호프는 다양한 무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선보여져왔다. 20세기 초반 ``연출가``가라는 새로운 권력의 등장으로 기존 연극에서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시각이 작품 안에 새롭게 배열되면서 체호프의 무대는 그야말로 현대연극 무대에서 새로운 연극언어의 발생지가 되어왔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체호프 작품의 무대화는 체호프의 명성에 비례하듯 빈번하지만 그중에서도 < 벚나무 동산 >의 무대화는 그의 여타 작품들에 비해서도 압도적이다. 특히나 러시아 연극사에 있어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 수많은 < 벚나무 동산 >은 연극사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벚나무 동산 >의 사회적 배경은 19세기 말 러시아에 몰아닥친 금융 자본주의와 그런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미성숙한 귀족들의 행태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체호프가 < 벚나무 동산 >을 집필할 당시의 상황이었는데, 이는 사회 격변기 속에서의 세대 간의 갈등과 같은 면모에서 1980년대 페레스트로이카의 상황과도 비슷하게 맞아떨어진다. 이에 당대의 연출가들은 < 벚나무 동산 >에 자신의 사회적 시각을 녹이고 미학적 실험을 얹어 다양한 < 벚나무 동산 >을 내어놓은 것이다. 본고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공연된 < 벚나무 동산 > 중 평단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작품 9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정치, 사회적 맥락에서 작품을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 페레스트로이카와 러시아 ‘은세기’ 정신문화 유산의 부활

        박영은(Park, Young 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본 논문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정교의 부활과 더불어 새로운 담론의 장으로 활성화된 19세기 말 20세기 초 러시아 은세기 종교 철학의 두 축을 형성하고 있는 솔로비요프와 표도로프의 역사관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복잡하고도 모순적이라고 일컬어지는 은세기의 다양한 철학적 탐색을 아우르는 동시에, 이것을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사상을 고찰하면서 오랫동안 금서로 지정되어 있던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에 대한 이해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의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러시아에 어떤 의미를 던지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의 세계관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물질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인간 의식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되며, 또한 이것을 토대로 그들이 세계 진화와 역사의 과정, 그리고 인류의 미래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솔로비요프가 ‘소피아론’을 통해 세계의 ‘전일성’의 과정을 보여주었다면, 표도로프는 인류가 당면한 ‘공동의 일’의 수행을 위한 구상을 제시함으로써 ‘사랑’을 통한 인류의 ‘전체성’을 강조한다. 과거와 단절하고 계급투쟁을 통해 인간의 평등을 지향했던 소비에트의 이데올로기와는 달리 표도로프와 솔로비요프는 결과적으로 과거 를 계승하고 선조들을 부활시키는 공동의 노력, 다시 말해 신의 왕국을 성취하려는 공동의 노력을 통해 진정한 의식의 진보가 가능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즉 그들은 개개인이 자율성을 잃지 않는 독립된 개체이면서도 ‘큰 하나’를 이룰 수 있는 인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비단 러시아의 은세기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현재의 우리에 게도 새로운 정신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cultural movement of Silver Age, despised as ‘decadence’ by the Soviet regime, came to public notice as a result of the ideology and the policy of Perestroika. The cultural heritage of Silver Age was again activate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 period of Perestroika.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 of the heritage is in the Russian Orthodoxy and the philosophy of religion. In this regard, a survey of various philosophy of Silver Age, especially the religious philosophy of both Nikolai Fedorov and Vladimir Solovyov i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viewpoints of both philosophers of religion are regarded totally different each other, even though the majority of scholars agrees that they share their philosophical origin in common. Considering such points of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by the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urvey. First of all, the ideology of both Fedorov and Solovyov shows a synthetic outlook on the world, which connects theory with practice, spirit with material, science with philosophy. Contrary to the existing Christian viewpoint, they do not distinguish the spirit from the material, but regard the material as a foundation for a new spirit. Both of them borrow such ideas as ‘evolution’ and ‘resurrection’ from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to ensure their ideas of human spirit and consciousness. Secondly, they suggest the directive of human soul through the medium of evolution and transformation. Therefore, the resurrection, which means a conquest over death, is come to the fore as a triumph of the spirit over the material. It is resurrection for them to reorganize the distorted condition of the material world by both the struggle and the triumph over death. Thirdly, they consider human nature united in the process of world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ile Solovyov presents the process to the wholeness by the medium of the theory of Sophia, Fedorov puts great emphasis on the inevitability of human union through the ‘common task’, which mankind is confronted. However, it is different for them to bring forward such wholeness. It is more important for Solovyov to go ‘forward’ because he lays emphasis on the future, while for Fedorov ‘backwards’ and the past. Such ontological consideration on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at of the Russian intellectuals, who try to find a solution for their motherlan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may be regard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investigation for religious philosophers such as Fedorov and Solovyov presents unique opportunities not only for a new paradigm of spiritual culture but for a groping of the change after the ‘Perestroika’.

      • KCI등재

        독일통일과 폭력 문제

        김누리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2 No.-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background and cause of the success of the "miracle in a miracle", the nonviolent peace revolution in East Germany, which took place during the German unification process. How could this 'miracle in a miracle' happen? How could the two everlasting hostile systems, called the ‘front lines of the East-West Cold War’, be unified without a single gunfire? How could not a drop of blood be shed when the strong Stalinist regime, which had ruled for 40 years, collapsed? This paper attempts to find a reasonable answer to these questions. Four factors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nonviolent revolution in East Germany, which led to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through democratic elections. The first ist Gorbachev's Perestroika. East Germany's nonviolent revolution could not exist without the Perestroika of Mikhail Gorbachev, who gave up armed intervention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recognized their national sovereignty. The second factor ist the chaos of the 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schlands (SED) of East Germany. The East German ruling party was in deep turmoil during the ‘fall revolution’, when moderate reformers won the Stalinist wing, preventing violent suppression of the protests. The third is the idealism of the East German opposition civic movement. The East German regime refrained from violent suppression because the main streams of the East German revolution were not anti-socialist overthrowers, but idealistic socialists who wanted to reform the ‘realexistierende Sozialismus’. The fourth factor is Protestant pacifism. The Protestant Church in East Germany was the birthplace and training ground of the East German Revolution. As the church-learned culture of nonviolent pacifism led the street protests, protesters were able to exclude violent acts and adhere to the ‘nonviolent’ principle. Germany's peaceful reunification of nonviolence is giving more special meanings to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war crisis is rapidly escalating today.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East German citizens quickly captured the spirit of Perestroika's new era and opened the door to nonviolent, peaceful unification. Second, rapid unification was possible afte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because of the trust that East and West Germany had built during the division period. The two Koreas should also make more serious efforts to build trust for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by approaching and interacting more actively. Third, the main players in the East German revolution were idealistic socialists and progressive Protestants. The historical fact indicates that those who live in a divided system but are not obsessed with ideological prejudices pave the way for peaceful unification. 이 논문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일어난 ‘기적 속의 기적’, 즉 동독에서 비폭력 평화혁명이 성공한 배경과 원인을 추적하려는 시도이다. 어떻게 이런 ‘기적 속의 기적’이 가능했는가. ‘동서 냉전의 최전선’이라고 불리는 동독과 서독 두 적대적인 체제가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총성 한방 울리지 않을 수 있었던 말인가. 40년을 지배해온 강고한 스탈린주의 정권이 붕괴하는데 어떻게 피 한 방울 흘리지 않을 수 있었단 말인가. 이 논문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동독에서 비폭력 혁명이 성공하고, 이것이 민주적 선거를 거쳐 독일통일로 이어지게 된 데에는 네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첫째,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이다. 동유럽 국가들에 대한 무력 개입을 포기하고, 국민주권을 인정한 페레스트로이카가 없었다면 동독의 비폭력 혁명은 존재할 수 없었다. 둘째, 동독 사회주의통일당(SED)의 카오스이다. 동독의 집권당은 동독의 ‘가을 혁명’ 시기에 깊은 혼란에 빠졌으며, 이때 온건 개혁파가 스탈린주의 강경파를 제압하면서 시위에 대한 폭력적 진압을 저지할 수 있었다. 셋째는 동독 재야 시민운동의 이상주의이다. 동독혁명의 주역들이 반사회주의적 체제 전복자가 아니라, ‘현실사회주의’를 개혁하고자 하는 이상사회주의자들이었기 때문에 동독 정권은 폭력적 진압을 자제한 것이다. 넷째는 개신교의 평화주의이다. 동독 개신교회는 동독혁명의 산실이자 훈련장이었다. 교회에서 익힌 비폭력 평화주의의 저항문화가 거리의 시위를 주도하면서 시위자들은 폭력행위를 극도로 배제하고 ‘비폭력’ 원칙을 고수할 수 있었다. 독일의 비폭력 평화통일은 오늘날 전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에 더욱 각별한 의미를 던지고 있다. 첫째, 국제정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페레스트로이카의 새로운 시대정신을 빠르게 포착한 동독 시민들이 비폭력 평화통일의 문을 열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베를린장벽 붕괴 이후 급속도로 빠른 통일이 가능했던 것은 동서독이 분단 시대에 쌓아놓은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남북한도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교류함으로써 통일 한반도를 대비한 신뢰 쌓기에 진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동독혁명의 주역이 이상사회주의자와 진보적 개신교도였다는 사실에도 주목해야 한다. 분단 체제에서 살면서도 이데올로기적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은 자들이 평화로운 통일의 길을 열어낸다는 역사적 사실에서 배우는 바가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사회 변혁을 위한 철학적 논의들 -『시대와 철학』(제1호~제20권 1호)의 서양 철학을 중심으로-

        이정은 ( Jeong Eun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이 글은 1980년대 이후 민주화 운동의 일환으로, 사회 변혁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한 철학계의 흐름 가운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구자들이 주축이 되어 출간한 저널 『시대와 철학』에 실려 있는 논문들을 주제별 분류 체계를 만들면서, 변혁 이론의 흐름과 논쟁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논쟁의 이론적 기반은 맑스주의, 특히 1980년대 대중운동을 위한 모델로서 소련식 맑스주의이다. 그런데 1989년에 페레스트로이카를 맞이하면서 맑스주의 이론이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그래서 알튀세적 맑스주의, 분석맑스주의, 포스트맑스주의 같은 대체 이론이 등장하게 되고, 포스트맑스주의가 빚지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새로운 철학적 대안으로 제시하는 사상적 흐름이 이어진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회주의적 실험이 현실에서 좌절하는 것을 목도하면서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제점과 대안을 찾게 되며, 그 과정에서 인간론 논쟁이 일어난다. 맑스주의나 소련식 맑스주의는 인간에 대한 참된 이해가 결핍되며, 그것은 인간론 부재에 그치지 않고, 인간이 형성하는 사회와 문화적 변화에 대한 몰이해를 야기한다고 본다. 인간론 부재는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 상부구조의 자율성, 토대와 상부구조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게 나타난다. 그런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다루기 위해 생산양식보다는 생활양식 개념으로 넘어가야 하는데, 맑스주의 이론 안에 인간론의 중요성과 생활양식에 대한 강조가 이미 배태되어 있으며, 인간론 연구가 소련 안에서 일찍부터 있어왔다고 근거를 제시하는 연구자도 있다. 비판이든 옹호이든 간에,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변혁 이론의 동향은 인간론 재구축으로 나아가는데, 인간론을 중심으로 맑스주의를 변형하는 주체사상을 그 복안으로 도입하게 된다. 맑스주의와 인간론을 한국적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주체사상의 강점을 반영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더 나아가 주체사상이 지닌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체계를 고민하게 된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구자들은 이 과정에서 대안의 핵심은 `변증법 이해`에 놓여 있으며 `변증법과 인간론을 연결하는 새로운 철학체계`를 형성하려면 문화변증법이라는 독특한 개념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이른다.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도 궁극적으로 시대 변화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계를 극복하는 변증법, 즉 자연변증법과 역사변증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문화변증법`을 창출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하게 된다. 문화변증법 연구는 자연철학, 생태철학 연구, 정치철학 연구를 통한 정치경제학의 변형들과 상호 교차 연구를 동반하며,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횡보도 동시에 필요하다. 1980년대 사회 변혁을 위한 이론과, 페레스트로이카가 남긴 맑스주의에 대한 총체적 비판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연구자들에게 위와 같은 논쟁 흐름을 야기하며, 앞으로 연구자들의 공동 노력을 통해 이론적, 실천적으로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도움이 되는 독특한 철학 체계를 생산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analyze theses which appear in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Epoch And Philosophy that is published by Korean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Seoul, Korea), and to group those theses into orders by themes. After that, I has the last goal that search for the stream and change of the philosophical arguments for the purpose of social revolution. The Soviet Union carried out the perestroika. Since then, Korean Society, especially korean progressive philosophers concentrate theirs efforts on overcoming on limits of Marxism. And they suggest an alternative theory as the theory of human being and North Korean Idea. But both marxism and the theory of human being have a hand in Dialcetic. And not only material dialectic but also historical dialectic have the limit. Therefore, the progressive philosophers of Korean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 work out the Cultural Dialectic.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러시아 보훈제도의 특성 연구

        권기숙 한국보훈학회 2011 한국보훈논총 Vol.10 No.1

        러시아는 한반도의 77배에 해당하는 면적을 지니고 있으며, 그 넓은 영토에 직접 국경선을 접하고 있는 나라만도 15개나 되는 국가이다. 이 광대한 영토와 동·서양을 막론한 다양한 인접국들과의 사이에서 국가 안보를 책임지기 위해서 전통적으로 러시아는 강력한 군사력 보유를 선호해 왔다. 그러나 한 때 미국과 견줄 만큼 강한 군사력과 잘 정비된 보훈제도를 자랑하던 구소련이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붕괴되고 새로운 러시아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많은 변화를 거쳐야만 했다. 한국에서의 러시아 보훈제도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전무한 상태이다. 이는 한·러 관계가 국교 수립 후 지난 20년 동안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온 것을 고려할 때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그러므로 러시아 보훈제도에 대한 소개는 한국 보훈학 연구에 있어 시야를 넓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러시아가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민족차원의 이해관계를 초월해 전국민적 안보의식의 통합과 강한 애국심 함양을 성공적으로 유지해 왔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러시아 및 구소련이 동일하게 군을 우대하고 다양한 보훈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온 전통과 무관하지 않다. 이 점은 최근 들어 더욱 확대되고 있는 한반도 긴장상황과 그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안보의식이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해 본 연구는 러시아 보훈제도의 특성을 역사적 발전 과정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는지 그 배경과 변화의 내용을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페레스트로이카와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의 뉴웨이브 - 전환기 러시아희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전정옥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9

        Following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other reformist movement that shed light on the issue of ‘a new beginning’ in modern Russian history was perestroika. Described as a “revolution without shots,” it was hardly a conventional sense of reform, but nonetheless fueled a widespread popular desire for a new start. If history was any guide, perestroika was about to bring a renaissance to Russian theater. After all, the first century of the history of modern theater had come to an end, and the expectation of a turning point was well founded. It has been well over a quarter century since perestroika. In retrospect of developments in post-Soviet theater, playwrights who, based on their self-reflection on Russian plays of the time, wished to reform theater by reforming plays took the lead in spreading the desire for a new beginning. The advent of new playwrights triggered new phenomena that could neither be defined by traditional standards nor explained with a director-driven approach, which had dominated Russian theater for the past 100 years. This paper examines a new paradigm in the first generation of post-Soviet Russian plays which was hoped to be a watershed in Russian theater before and after the restructuring of the Soviet system. The first generation of post-Soviet playwrights created new repertoire for Russian theater, emerging as the key driver of the development of post-Soviet plays. They not only honored the traditions of their predecessors, but also explored a new world of playwriting to differentiate their works from those from Soviet period. The sanctified authority of playwrights in the Soviet-era was enough to encourage introspection of the theater community, with a goal of charting a path through the uncertainties of post-Soviet society and building a new discourse in post-Soviet theater. The idea of reforming theater by reforming plays stemmed from the experience of older generations of theater professionals, and playwrights did not hesitate to take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post-Soviet theater. These are the foremost facts one should be aware of about the history of post-Soviet theater.

      • KCI등재

        신검열 시대와 극장의 정치학-키릴 세레브랸니코프와 고골센터를 중심으로

        전정옥 ( Jun Jung-ok )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9

        검열을 넓은 의미에서 바라볼 때, 국가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의 국공립극장에 대한 간섭들이 어떤 형태로든 여전히 지속되고 있을 것이라는 짐작과 추측들은 사실상 페레스트로이카를 통해 검열의 종식을 선언했던 시기부터 있었다. 짐작과 추측은 곧 의심이었고, 이것은 검열이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경험했던 역사가 없었던지라 검열에 대한 자기 점검 혹은 그것을 쟁점화 해서 논의하자는 문제 제기의 과정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2016년, 러시아 연극인연합(Союза театральных деятелей)총회에서 사티리콘(Сатир икон)극장의 예술감독인 콘스탄틴 라이킨(К. Райкин)이 러시아연극에 있어서의 검열의 귀환을 염려한 발언들은 검열의 종식 이후 다시 러시아연극에 있어 검열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오르게 된 발화점이었다. 라이킨을 시작으로 한 검열의 귀환에 대한 논란은 고골센터(Гоголь-центр)예술감독인 키릴 세레브랸니코프(К. Серебренников) 사건으로 연결된다. 특히나 세레브랸니코프가 무대화한 <악동들(Отморозки)>은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 검열이 ‘있는가’ ‘없는가’ 하는 질문 사이에서 검열의 존재를 확신하는 결정적 근거가 된 핵심 사건이었다. 세레브랸니코프는 이 사건으로 러시아 사회에 검열기계가 작동되고 있음을 확신한다고 했으며 검열을 정보 제한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는 폭압적 정치의 행태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고는 포스트소비에트 사반세기, 다시 러시아연극의 쟁점으로 떠 오른 검열의 문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포스트소비에트 사회에서 새롭게 작동되기 시작한 검열기계를 점검하고 그것의 활동방식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신검열 시대를 맞이한 러시아 극장의 새로운 정치학과 함께 창작의 자유를 수호하고자 하는 러시아연극계 전체의 행보를 살펴보았다. What does it mean that censorship was discussed again in the post-Soviet quarter-century? The theater, where the desire for freedom beginning with the end of the Soviet Union was most clearly captured, made it possible to notice the end of censorship with the 1991 announcement of a Russian Federal Constitution's cultural clause that indicated that government legislations would not allow any interference in theatrical creations. It was a fait accompli that political and religious censorship came to an end, lasting a century after the revolution, although it was a premise that the theater was responsible for drug propaganda, incitement to violence, a creation raising hostility to a race or a nation. The spirit of the perestroika, not confining people in the framework of ideology, led to the end of censorship, and it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o confirm the will and influence of the perestroika. However, there were still questions. Did a century-old custom of censorship completely lose power in the perestroika? When viewing censorship in a broad sense including self-censorship, there were assumptions that interference with state-backed national and public theaters might still persist in some form, from the times when an end to censorship was declared. Doubts about a complete end to censorship may have been a process of self-checking for censorship or raising questions that could dispute and discuss it, as there was no history of what it was that censorship was not working. In this context, Constantine Rykin, artistic director of the Satiricon Theater, made concerned remarks about the return of censorship at the general assembly of the Russian Theater Federation in 2016, and it became the trigger that made the issue of censorship again in the Russian theater after the end of the censorship. Controversy over the return of censorship, starting with Constantine Rykin, leads to the incident by the Kirill Serebrennikov, the artistic director of the Gogol Center.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ssue of censorship which emerged as that of Russian theater again in the post-Soviet quarter century. The study will check the censoring machines that began to work anew in post-Soviet society, twenty years after the end of the Soviet Union as a huge ideology, and explore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re are in the history of 100 years of censorship in modern Russian theater. Looking at the advent of censorship and its transformation in Russian society, it will research how censorship is being reproduced in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with the Gogol Center at the center of the issue of censorship in the contemporary Russian theater as the main text.

      • KCI등재

        러시아 농업개혁이후 농산물시장 변화와 수출활성화 방안

        조성제(Cho, Sung Je),박현희(Park, Hyun Hee)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3 No.-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국토면적과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체제전환기 과정을 통해 경제대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중국을 이은 세계최대의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1986년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를 시작으로 시장중심체제의 경제자유화추구는 러시아 경제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였고, 그 이후 새로운 신흥시장으로서 세계경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 분야도 개혁과정을 통해 집단농장과 국영농장의 농업구조 개편과 농업생산성 확대를위한 토지사유화 및 개인농 활성화를 집중적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다른 산업과 달리 농업부분에 대한 변화는 상대적으로 낮아 농업생산성의 증대를 도모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농업환경을 지닌 러시아는 최근 보유자원을 통한 경제성장을 통해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농산물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대 농산물 수입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농산물 수출시장 개척차원에서 농업생산성이 낮은 러시아를 새로운 농산물 수출시장으로 개척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지만 러시아 농업구조의 역 사적 고찰을 통한 농업환경의 이해가 필수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러시아 농업개혁의 시대적 고찰을 통해 농업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시장진출과정의 전략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Agricultural Exports should be pursued actively in the era of market opening in order to improve the local agribusiness quality and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ort status of korea agri-food products to Russian and detect challenge and matters for improvement, and to finally find out measures to increase agro-food product export to new market. However, we have learned lessons form previous success of failure that prior understanding of export feasibility, phase in expansion of export volume and so on are essential. So, considering climate and natural features of the importing countries, the area of further effort including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otential markets. The yield of export and improt between two countries wa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future, for the increasing export of agri-food to Russia, it need more detail information and understand of Russia agricultural historic experience and policy. Consequently, In order to expand export of agro-food, first of all we need to direct effort to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quality and improving price competitiveness as a supplementary mov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quality and price c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production facilities,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improving institutions of export supporting systems. Secondly, the export volume should be secured and it can be achieved by systematically running a large export organization and unifying leadership organizations. Finally, the government-level effort could be simplify the support systems and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