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의 한국적 컬렉션 연구

        주보림(Bo Rim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전 세계 각국은 자국 패션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예는 패션 컬렉션이다.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패션 컬렉션 제도는 기존의 패션 산업을 위한 홍보용 도구로써의 역할에서 벗어나 이제는 각 국가의 문화와 예술을 선보이는 문화 산업의 중요한 수단으로써 패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어주는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주요 4개 도시 파리, 밀라노, 뉴욕, 런던 컬렉션의 현황 및 특징들을 분석하고 한국의 서울 컬렉션 현황을 진단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한국적 컬렉션의 정착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 패션 관련 기관 사이트, 패션 기사 자료들을 일차적으로 분석하고, 보완 및 검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에 요청하여 수집된 전체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의 최종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 분석으로는 패션 컬렉션의 주요 목적들을 기준으로 하여 각 컬렉션의 현황 및 특징들을 살펴보고 서울·세계 4대 컬렉션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도출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한국적 컬렉션의 정착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세계 4대 컬렉션에 비해 열악한 환경과 과도기적 시기에 놓여있는 서울 컬렉션이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만의 독자적이고 한국적인 컬렉션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특화, 차별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며, 둘째, 국내 디자이너들의 방향성 재고를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및 관심을 유도하고, 셋째, 마케팅을 기반으로 하는 독립적인 콘텐츠의 기획과 행사 운영을 통해 선진형의 국제 표준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넷째, 분업화를 통한 미래지향적, 현실주의적인 창작 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모든 분야에서의 전문화 시스템 정착이 필요하며, 다섯 번째, 정부 및 대기업들의 지속적인 패션산업 부분의 다양한 지원 정책과 스폰이 따라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기초로 앞으로 정착될 "한국적 컬렉션"이 전세계의 프레스가 찾아오는 이슈가 될 만한 제품으로 발전되어 중추적인 문화홍보대사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해본다.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today are focusing on creating high added value for their fashion industries in order to raise their competitiveness and Fashion collections have become one of their main focal points of interest. The periodically organized fashion collections have gone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 of simply promoting the fashion industry, and are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ans to promote a country`s culture and arts as well as a key driving force for converting fashion into a high value added industry. The aim of this research lies in proposing a basic road map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itive, differentiated, and uniquely "Korean" collection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four major fashion collections of the world-Paris, Milan, New York and London -and the diagno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s Seoul Collection. The research materials are based on the preceding records and documents, informations from various fashion sites and fashion articles. The comparison is based on the 5 main purposes of the Fashion Collection and, based on the above, the basic plan is presented to develop the Seoul Collection as unique and internationally competitive collection.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the research indicate that first, a clear strategy needs to be defined in order to establish a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identity for a unique and "Korean" collection; second, Korean designers must reconsider their direction and formulate a clear vision for an increased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global market; third, the existing business model needs to be updated to international business standards that are based on marketing and independent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ntents and events; fourth, a practical yet future-oriented creative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and the specialization of all lines of work in the fashion industry; and fifth, diverse policies, programs, and sponsorships supporting the fashion industry must continue to be made by the government and conglomerates. Based on the above, it is hoped that the Seoul Collection will grow and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and interesting collection that the press and buyers from all over the world will find worth coming to, and that it will play a pivotal role as a cultural ambassador in promoting Korea.

      • KCI등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디자인 분석-2020년 S/S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서소욱,김혜균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keup design shown in Pretaporte, focusing on the Paris collection in 2020, to identify the latest fashion makeup trends and carry out creative makeup design through them. The research targets were limited to a collection of five brands for one year, from season S/S to F/W, focusing on Paris Fashion Week in 2020. The research method collected a total of 358 photos through literature and internet search, and together with two makeup professors, the pose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model were first selected as photos that did not affect the makeup image, and a total of 91 photos were selected based on photos that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 type of makeup image and effectively highlighted the makeup image. First of all, the makeup shown in the Valentino and Dries Van Noten was simple with Modern Make-up, creating a clean image, but also with metallic texture. Second, the makeup that appeared in Miu Miu Miu and Louis Vuitton mainly emphasized the eyes with retro-image makeup and produced images like a reenactment of retro movies. Third, the makeup that appears in the Christian Dior is Natural Makeup, and the last makeup that appears in the Yohji Yamamoto is Decadence Make Up. Through this result, the futuristic expression technique of makeup that combines retro style with new design, it is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analyzing makeup trends. 본 연구는 2020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디자인을 분석함으로써 패션메이크업 트렌드를 파악하고, 패션 브랜드가 추구하는 창의적인 메이크업디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0년 파리 패션위크를 중심으로 시즌 S/S부터 F/W까지 만 1년간 총 6개 브랜드 컬렉션으로 제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와 인터넷검색 등을 통해 총 358장의 사진을 수집하였고, 메이크업 전공 교수 2명과 함께 모델의 포즈와 표정이 메이크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사진으로 1차 선별한 후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의 변별성이 있고 메이크업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부각된 사진을 중심으로 총 91장의 사진을 최종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발렌티노와 드리스 반 노튼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모던이미지메이크업으로 심플하며 깨끗한 이미지를 연출하되 메탈릭한 질감의 연출도 볼 수 있었다. 둘째, 미우미우와 루이비똥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레트로이미지 메이크업으로 눈을 주로 강조하며 복고 영화의 재현처럼 이미지 연출을 하였다. 셋째, 그리스챤 디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내추럴이미지 메이크업이며, 마지막으로 요지 야마모토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데카당스이미지 메이크업이다. 이 결과를 통해 복고풍의 레트로 메이크업과 새로운 디자인을 결합한 데카당스 메이크업, 전통을 깬 모던 메이크업 그리고 내추럴 메이크업이 새로운 메이크업 트렌드임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시즌별 패션컬렉션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메이크업 트렌드분석을 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패션 브랜드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디자인 분석 - 2020년 S/S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

        서소욱,김혜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2020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디자인을 분석함으로써 패션메이크업 트렌 드를 파악하고, 패션 브랜드가 추구하는 창의적인 메이크업 디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20년 파리 패션위크를 중심으로 시즌 S/S부터 F/W까지 만 1년간 총 6 개 브랜드 컬렉션으로 제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와 인터넷검색 등을 통해 총 358장의 사진을 수집하였고, 메이 크업 전공 교수 2명과 함께 모델의 포즈와 표정이 메이크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사진으로 1차 선별한 후 메이 크업 이미지 유형의 변별성이 있고 메이크업 이미지가 효과 적으로 부각된 사진을 중심으로 총 91장의 사진을 최종선정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발렌티노와 드리스 반 노튼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모던이미지메이크업으로 심플 하며 깨끗한 이미지를 연출하되 메탈릭한 질감의 연출도 볼 수 있었다. 둘째, 미우미우와 루이비똥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레트로이미지 메이크업으로 눈을 주로 강조하며 복고 영화의 재현처럼 이미지 연출을 하였다. 셋째, 그리스챤디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은 내추럴이미지 메이크 업이며, 마지막으로 요지 야마모토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 이크업은 데카당스이미지 메이크업이다. 이 결과를 통해 복 고풍의 레트로 메이크업과 새로운 디자인을 결합한 데카당스 메이크업, 전통을 깬 모던 메이크업 그리고 내추럴 메이크업 이 새로운 메이크업 트렌드임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시즌별 패션컬렉션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메이크업 트렌드분석을 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keup design shown in Pretaporte, focusing on the Paris coll ection in 2020, to identify the latest fashion makeup tr ends and carry out creative makeup design through th em. The research targets were limited to a collection of five brands for one year, from season S/S to F/W, focusing on Paris Fashion Week in 2020. The researc h method collected a total of 358 photos through litera ture and internet search, and together with two makeu p professors, the pose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model were first selected as photos that did not affect the makeup image, and a total of 91 photos were sele cted based on photos that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 type of makeup image and effectively highlighted the makeup image. First of all, the makeup shown in the Valentino and Dries Van Noten was simple with M odern Make-up, creating a clean image, but also with metallic texture. Second, the makeup that appeared in Miu Miu Miu and Louis Vuitton mainly emphasized the eyes with retro-image makeup and produced images li ke a reenactment of retro movies. Third, the makeup that appears in the Christian Dior is Natural Makeup, and the last makeup that appears in the Yohji Yamamo to is Decadence Make Up. Through this result, the fut uristic expression technique of makeup that combines retro style with new design, it is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analyzing makeup trends.

      • KCI등재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 2015년 S/S ~ 2021년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스쮜엔,김현주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0 No.-

        Traditional ink painting is one of Chin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cultural arts, and due to its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s an artistic motif frequently borrowed by famous brands and fashion designers not only in China but also abroad. In particular, many fashion brands today express their own artistry by combin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s with their own fashion designs and giving them new visual effect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case of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in modern fashion design and conduct an analysis on it.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Chinese traditional ink, there are no prior studies on and developed Chinese traditional ink in the fashion field, and other studies on fashion design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istics, pattern formation, composition, and color of Chinese traditional ink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raditional ink was used and developed in modern fashion design, focusing on the examples of traditional ink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and to find out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ink applied to seasonal designs in New York, Milan, Paris, and China. To this end,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concept,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ink pai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Chinese ink painting and previous studies. Next, the Vogue Internet site in China and www.baidu.com, China's largest image search site, collected and summarized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cases within 19 seasons between the last seven years (2015 S/S to 2021 S/S) in New York, Milan, Paris and Shanghai Fashion Collection. Among the fashion collections announced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17 brands that appear to be examples using traditional Chinese ink paintings were first extracted, and a total of 347 costum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other wor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representative brands by season among the New York, Milan, Paris, and Shanghai collections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cases that appeared in the design.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ink design appearing in the fashion collection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modern fashion design combining traditional Chinese art and costumes creates creative aesthetic value and has a new influenc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ink and fashion design. 전통 수묵화는 중국의 대표적 전통문화 예술 중 하나로, 특유의 심미적 특성으로 인하여 중국뿐만 아니라 해외의 유명한 브랜드와 패션 디자이너들이 자주 차용하는 예술적 모티브이다. 특히 오늘날에는 많은패션 브랜드에서 중국 전통 수묵화의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각 브랜드만의 고유한 패션 디자인을 결합하고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그들만의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자는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중국 전통수묵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패션 분야에 중국 전통수묵에 관한 연구와 개발한 선행 연구가전무하고, 이 외에 중국 전통 수묵의 표현 기법, 특성, 도안 조형, 구도와 색채 등의 방면으로 패션디자인을 분석한 연구도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 디자인에 전통 수묵이 어떻게 이용하고 발전되었는지 살펴보고, 뉴욕, 밀라노, 파리, 중국의 패션 컬렉션의 시즌별 디자인에 적용된 전통 수묵의 표현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먼저, 중국 전통 수묵의 개념, 문화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 수묵화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패션 전문지 중국 보그(Vogue) 인터넷 사이트, 중국 최대의이미지 검색 사이트인 www.baidu.com을 통해 뉴욕, 밀라노, 파리, 상하이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최근 7 년(2015년 S/S ~ 2021년 S/S) 사이의 19개 시즌 내에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들을 수집 정리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발표된 패션 컬렉션 가운데 중국 전통 수묵화를 활용한 사례로 보이는 총 17개 브랜드를 먼저 추출하였고, 이 중 총 347벌의 의상을 분류 및 분석하였다. 즉, 뉴욕, 밀라노, 파리, 상하이 컬렉션 중, 시즌별 대표적인 브랜드를 선정하여 디자인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수묵 디자인의표현적 특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중국 전통 예술과 의상을 결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창의적인 미적 가치를 창출하며 새로운 영향을 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중국 전통 수묵과 패션 디자인과의 융합에 대한 기반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Jean-Charles de Castelbajac)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과 특성

        박월미(Wol Mi Park),배수정(Soo Jeong B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의 작품 세계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과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컬렉션과 관련된 국내·외 서적 및 선행연구와 관련기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범위는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과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00 S/S부터 2013 S/S까지의 프레타포르테(Pret-a-Porter)와 오뜨꾸뛰르 컬렉션(Haute Couture Collection) 중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과 특성이 나타난 작품 총 246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사진자료의 경우 시각 자료분석의 정확성을 위해 선정된 246점이 수록된 Mode etMode, Gap, Fashion News 등 국내·외 패션 컬렉션지와 인터넷 사이트인 스타일닷컴(www.style.com)과삼성디자인넷(www.samsungdesign.net) 및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www.youtube.com) 등을 참고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은 자연물의 이미지를 활용한 표현, 초현실주의 표현방식의 차용, 팝아트 표현방식의 차용, 표식을 활용한 상징적인 표현, 캐릭터 표현기법의 활용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를 통해 독창적인 디자인전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디자인의 표현특성은 자연성, 초현실성, 팝아트성, 상징성, 유희성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 샤를르 드 카스텔바작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표현유형과 이에 내재된 특성이 현대 패션에서 대중적인 디자인을 특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본 연구가 향후 패션과 예술이 갖는 지나친 엄격함에서 탈피하여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고, 다양한 패션디자인의 아이디어 개발 및 창작 영역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research seeks to study the art works of Jean-Charles de Castelbajac and analyze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shown in his fashion collection. The study method of the present research is mainly to examine internal and external books, previous researches and relevant articles related to the fashion collection of Jean-Charles de Castelbajac. For a more empirical analysis on his fashion collection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author selected 246 pieces of his works showing his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t-a-Porter and Haute Couture Collection works from 2000 S/S to 2013 S/S. Also, as for photographs, for the accuracy of visual material analysis, the author studied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collection magazines including Mode et Mode, Gap, Fashion News, etc. as well as wep pages such as www.style.com, www.samsung-design.net, and videopostingwebpae, www.youtube.com.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described in Jean-Charles de Castelbajac had utilized natural object images, surrealistic expression methods or pop-art expression method, some signs for symbolic expression and character expression techniques for creative design development. These research findings characterize Jean-Charles de Castelbajac’s fashion collection as natural, surreal, pop-art, symbolic, and playful. In this study, demonstrating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embedded in Jean-Charles de Castelbajac’s fashion design is being characterized as the main factor of the popular design in modern fashion, and this research is to build a pathway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for the future of fashion and art by moving away from excessive strictness in them, and contribute to prepare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diverse fashion design idea and expansion of creative working area.

      • KCI등재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네크리스의 디자인 특성 연구 - 2013년 S/S–2015년 F/W 컬렉션을 중심으로 -

        강민채,김정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2

        소비자들의 기호가 다양화되고 세분화됨에 따라 정형화된 아름다움보다는 각자의 개성과 차별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를 통해 표현되는 미적 측면이 더욱 중요해졌다. 다양한 패션 액세서리 중 네크리스는 얼굴과 의상의 가교 역할을 하며, 액세서리 자체의 의미를 넘어서 강렬한 느낌과 메시지를 불러일으키는 상징적인 역할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크리스의 조형적 특성과 이미지를 분석하여 분류기준을 재정립하고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나는 네크리스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근 3년(2013~2015)의 S/S, F/W 패션 컬렉션으로 제한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한 5개 주요 브랜드와 최근 컬렉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액세서리 라인을 발표하고 있는 2개 브랜드의 65개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패션에 있어서 네크리스는 패션 트렌드의 부족한 감성을 보완하고, 효과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기도 하며, 최근에 이르러 그 역할이 증대되었다. 둘째, 현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네크리스를 분석한 결과 네크리스는 형태, 소재의 요소와 스타일 측면에서 융합성과 확장성을 보이며, 형태, 문양의 요소에서는 의외성이 나타났다. 셋째, 네크리스는 다양한 문화와 트렌드를 공유하며 빠르게 진행되는 현대 패션의 중요한 아이템으로서, 여러 가지 디자인과 스타일링 이미지를 창출해 내며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현대 패션에서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네크리스를 분석하는 기준을 재정립하고, 현대 네크리스의 특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네크리스 디자인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디자인을 실현하는 단계에서 디자인 발상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ith diversification and segmentation of consumers’ preferences, the standard of beauty has changed from standardized beauty in the past to individuality and differences expressed through accessories. Among various fashion accessories, necklaces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face and clothes, playing a symbolic role that evokes strong feelings and messages beyond the meaning of the accessory itself.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and analyz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mage analysis of necklaces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of necklaces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most recent three years’s (2013~2015) of S/S, F/W fashion collections; major brands for analysis include three brands selected by preceding studies and two brands that have continuously released accessory lines through recent collections, and 65 images were add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cklaces in modern fashion have more roles those before by supplementing insufficient sensibilities in fashion trends and expressing beauty eff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necklace analysis in modern fashion collections, they have converged and expanded in terms of form, materials and style, and showed unexpected shapes and patterns. Third, as an important item in the fast-paced modern fashion industry that shares various cultures and trends, necklaces will create different designs and styling images and develop continuously.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sets the criteria for analyzing necklaces, which have increasing roles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and draws th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researching necklace designs and materials for coming up with actual designs.

      • KCI등재

        홈 텍스타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패션 브랜드의 홈 컬렉션 런칭 -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

        양린 ( Yang Lee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패션 디자이너의 홈 컬렉션 런칭을 통한 인테리어 분야로 확장 사업은 패션과 인테리어 두 장르를 연결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및 제품 개발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패션 디자이너의 홈 컬렉션 런칭 경향의 발전 배경을 파악하고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현대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에 나타난 새로운 디자인 경향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폴 포아레의 시도 이래 오늘날 많은 패션 디자이너들이 유럽에서는 물론이고 미국에서도 홈 컬렉션을 런칭하고 있다. 랠프 로렌은 패션 런웨이 감성으로부터 홈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컬렉션과 로렌 브랜드의 특성화로 광범위한 시장을 개척하였다. 캘빈 클라인은 브랜드 미학과 새로운 디자인 요소의 접목으로 홈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품의 특성, 가격의 다각화 시도 등으로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를 흡수하고 있다. 랠프 로렌과 캘빈 클라인은 홈 컬렉션 런칭 이후 미국 홈패션 시장의 주역이 되었다. 타겟과 콜래보레이션을 체결한 미쏘니는 고유한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을 유지하여 미국의 중저가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패션 디자이너의 홈 컬렉션 런칭 성공의 배경 요인은 라이센스 체결과 콜래보레이션의 활성화로 상호 협력적인 산업발전을 도모하였고, 패션 디자이너는 창작 활동을 확대하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화를 추구하였으며, 현대인의 생활 변화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경향의 발전을 뒷받침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홈 컬렉션 런칭은 고품격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생활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아울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여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The expansion of fashion designers into interiors through their home collections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activation of textile design and textile product development which have played a core role in connecting the fashion and interior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is new design trend in the textile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factors and analyzing the success of this trend. Since the pioneering efforts of Paul Poiret in Europe, many fashion designers in Europe as well as in the U.S. have begun to launch home collections. Ralph Lauren develops home textile designs based on its fashion runway sensibility and has been developing a broad market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Ralph Lauren collection and the Lauren Ralph Lauren brand, which target different markets. Calvin Klein has been absorbing various levels of customers by developing home textiles based on its brand aesthetic, combined with new design elements and attempts at diversification based on the character of product and price. Ever since Ralph Lauren and Calvin Klein launched their home collections, these two designer brands have become leaders of home fashion in the U.S. market. Missoni achieved great success in the U.S market by offering its luxury aesthetic in affordable products in collaboration with Targe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fashion designers` home collections that are likely to continue to support this trend are mutual cooperation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by activation of license contracts and collaboration; lifestyle brand pursued by fashion designers that emphasize expanded their creativity; and the ability to accommodate lifestyle changes among modern clientele. By providing high-quality textile designs, fashion designer brands` home collections have been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life and culture,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design industry and added value to the product as well.

      • KCI등재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 주얼리의 특성 연구-2010~2013 파리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김지선 ( Ji Sun Kim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현대 산업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은 소비자의 패션 의식을 향상시켰고 패션 스타일을 완성하는데 주얼리의 역할이 중요해지며 점차로 주얼리가 다양화, 차별화, 고급화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에서 의상과 주얼리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현대 주얼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주얼리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2010~2013 년 기간의 세계 4 대 컬렉션 중에서 전통적으로 유럽패션을 대표하는 파리 컬렉션을 선택하여, 4 년간의 8 번의 컬렉션 중 주얼리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5 개 브랜드를 선정하고 시즌별로 나타나는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콘셉트와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타입별, 재료별로 분석하였다. 타입 면에서는 크게 목걸이, 반지, 팔찌, 브로치, 헤어장식으로, 여기에 귀걸이와 같은 패션쇼에 자주 등장하지 않은 주얼리 유형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재료 면에서는 메탈, 플라스틱& 러버, 자연물, 패브릭, 젬스톤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얼리 영역의 확장성, 소재의 혼용성, 의상과의 결합성이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현대 주얼리의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주얼리는 점차로 패션과의 긴밀한연관성을 토대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 컬렉션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현대 주얼리 특성이 향후주얼리 디자인 방법론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본다. The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enhanced the perception of consumers on fashion and the growing importance of jewelry in perfecting fashion styles has gradually led to the diversification, differentiation, and sophistication of jewelry itself.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ewelry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nd jewelry in fashion. This study has chosen Paris Collection, traditionally representing the authentic European fashion, out of four world`s major collections in 2010-2013, which witness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jewelry. The subject and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are based on the five most frequently used brands among the eight collections during the chosen four years, a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ers in different seasons by type and material. In terms of type,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the categories of necklace, ring, bracelet, brooch, hair accessory, and other jewelries including earring not often appeared in fashion shows. In term of material, it analyzed by categories of metal, plastic & rubber, natural material, fabric, and gemstone.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temporary jewelry characteristics in fashion collection are extendability of the scope of jewelry, integration of different materials, and combination with clothing. This study convinces that the contemporary jewelry is evolving gradually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fashion.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jewelry,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fashion collection, are applicable to jewelry design methodology.

      • KCI등재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 컬러 분석 및 유행색상과의 비교 · 분석

        이정의(Lee, Jeonge Ui),김은실(Kim, Eun Si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여 컬러 트렌드와 비교 · 분석해 봄으로써, 컬렉션에 적용된 립스틱 컬러를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후 립스틱 컬러 트렌드의 경향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 범위로는 2011 S/S부터 2015년 F/W까지 컬러트렌드 및 패션 컬렉션을 분석하고자 하며, 특히 총 10개의 시즌인 패션 컬렉션은 파리 오뜨꾸띄르(Haute couture) 컬렉션을 중심으로 살펴보되, 「Mode et Mode」지에 수록되어 있는 오뜨꾸띄르 대표 디자이너 총 6인의 작품인 최종 총 77장의 작품사진을 중심으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였다. 이때 사진자료는 전문가 3인(박사학위 전공자)의 1, 2차에 걸쳐 립스틱의 색상이 유색으로 인정되는 사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때 한 디자이너의 동일 시즌 내에서 동일한 모델의 메이크업이 중복된 사진은 제외하였음을 밝혀둔다. 연구 방법으로는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립스틱 컬러를 분석하는데 있어 먼셀(Munsell)의 색체계를 활용하고, 컬러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색채 연구소인 팬톤(Pantone) 연구소의 이 시즌의 유행색 발표 자료를 근거로 유행색을 활용하였다. 또한 컬렉션 립스틱 색상 분석을 위해 먼셀의 색체계를 활용하되, 팬톤 연구소에서 발표한 관용색명의 색을 먼셀의 색체계 표시방법으로 변환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립스틱 컬러는 2011S/S부터 2015F/W 까지 패션 컬렉션의 립스틱 컬러와 트렌드 컬러를 비교분석한 결과, 트렌드 컬러에 영향을 받아 립스틱 컬러가 유행되고는 있었으나, 모든 트렌드 컬러가 립스틱에 반영되지는 않았고, 시즌별로 두드러진 립스틱 유행색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11S/S 시즌에는 YR계열과 RP계열이, 2011 F/W 시즌에는 R계열, RP계열, 2012 S/S 시즌에는 R계열, 2012 F/W 시즌에는 YR계열 RP계열, 2013 S/S 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3 F/W 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4 S/S 시즌에는 R계열과 M계열, 2014 F/W시즌에는 YR계열과 R계열, 2015S/S 시즌에는 R계열과 YR계열, 2014 F/W시즌에는 YR계열과 RP계열이 립스틱 색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러한 색상은 팬톤에서 발표한 색상계열과 일치하며, 같은 색상이면서 톤의 변화를 보이면서 립스틱 색상으로 선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 of lipstick color used in collec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predict a future trend of lipstick color. Color trends and fashion collections from 2011 S/S to 2015 F/W were selected to analyze for this study and especially, Haute couture collections in Paris were mainly chosen for fashion collection with total 10 seasons and final 77 collection photographs by total 6 top designers, who are listed in 「Mode et Mode」 magazine, of Haute couture were selected for lipstick color analysis. For photograph data, 3 experts with doctor degrees were participated in selecting photographs approved as a colored lipstick through first and second process for analyzing and duplicated pictures used within one season of a designer were excluded. Color system by Munsell was used as a study method, to analyze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and the popular colors of the season, which are shown in the data from Pantone, where is an international color research center, were used to analyze color trend. Moreover, this study is going to compare and analyze color name of usage represented by Pantone as it is transformed to the color order system by Munsell for analyzing lipstick colors used in collection. The study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comparison and analysis of lipstick colors used in fashion collections from 2011 S/S to 2015 F/W, some colors are became popular with the color trend effect, however, not all of trend colors is us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pecific popular lipstick colors for each season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YR and RP hue for 2011 S/S season, R and RP hue for 2011 S/S, R hue for 2012 S/S, YR and RP hue for 2012 F/W, YR and R hue for 2013 S/S, YR and R hue for 2013 F/W season, R and M hue for 2014 S/S season, YR and R hue for 2014 F/W season, R and YR hue for 2015 S/S season, and YR and RP hue for 2014 F/W season were popularly used for lipstick colors and these colors are identical with the color hues represented by Pantone and as they are same colors, they are diverse in color tones at the same time and these colors have been chosen for lipstick color.

      • KCI등재

        패션 컬렉션 메이크업에 나타난 하위문화스타일메이크업 특성

        김지량,최현숙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2 No.1

        최근의 패션문화는 다양화·개성화 되고 있는 현대문화의 흐름을 반영하여 패션 디자인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스타일의 이미지 역시 복잡하고 다양화 되었고 그 미적 범주도 더욱 확장되고 있다. 특히, 메이크업은 의복에 비해 단시간 내에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여 이미지 형성에 이어 매우 중요한 세부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 패션컬렉션에서의 하위문화스타일은 다양한 모습들이 혼합된 형태로 표현되어 왔으며, 하위문화스타일의 전폭적 힘이 상당함을 밝혀주고 있다. 하위문화스타일이 주류문화와 혼합되면서 메이크업에서도 그 형태나 표현 방식이 혼재 되어 나타남을 보여주는 분석이 부족하며 이미지의 정립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확립된 하위문화스타일 특성들이 1930년대 주트(zoot)스타일 이후 실제 메이크업에 있어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먼저 고찰 하고, 하위문화 메이크업들이 21세기(2000년대 이후) 패션컬렉션메이크업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패션 문화 연구에서 특정 스타일이 시대를 관통하며 재등장 하고, 재등장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형태로 재해석 되어 보이는 현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패션문화 및 이의 세부적 분야인 메이크업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울러 조망할 수 있는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위문화는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표현의 부분의 바탕으로서 그 스타일 표현에서의 메이크업이 현재의 패션 컬렉션에서 작용하는 형태가 다양하게 적용되므로 이를 고찰해 봄으로써 새로운 패션 트렌드 형성의 한 부분에 작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