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소유권집중과 경영성과의 관련성 분석

        권기정,송준협,안홍복,이강일 한국산업경영학회 200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에서는 소유권집중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IMF외환 위기 이후 한국 자본시장이 글로벌스탠다드에 근접한 이후의 시점 즉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제조업 중 표본선정기준에 기초하여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이용한 OLS 대신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수익성측정치인 ROA, ROE, 그리고 기업가치 측정치인 Tobin Q 변수를 이용하였다. 소유권집중도의 대용변수는 5% 이상 지분율을 보유한 주요주주 지분율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 기업가치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기업규모, 성장기회, 위험측정치 등을 통제변수로 하여 소유권집중도와 경영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유권집중은 총자산수익률(ROA)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소유권집중을 종속변수로 ROA 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연구모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즉 소유권집중이 높을수록 총자산수익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OE 변수에 대한 분석 결과는 미약하나마 소유권집중도와 유의적인 정(+)의 관련성을 가져 ROA 변수에 대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유권집중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에서는 비유의적인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Tobin Q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는 김병호의 연구와는 달리 비유의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표본기간의 차이 및 패널회귀분석이라는 분석방법의 차이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횡단면 및 시계열자료가 혼합된 패널자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OLS 대신에 패널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방법의 엄밀성을 기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시간불변 설명변수가 포함된 기업재무 패널 분석

        권세훈(Se-Hoon Kwon),한상범(Sang-Buhm Hah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기업재무 연구는 자료의 특성상 패널 회귀분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패널분석 방법은 설명변수가 오차항 및 개별효과와 어떤 방식으로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한편 하우스만 검정을 통과하지 못하여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시간불변(time invariant) 또는 시간변동성이 매우 적은(slow changing) 설명변수의 계수는 추정이 불가능하거나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재무 패널 논문들이 시간불변 설명변수에 관련된 분석을 아예 생략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우회적 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시간불변 설명변수를 포함하는 패널 회귀분석시, 하우스만 검정을 통과하지 못해 확률효과 모형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시간불변 설명변수의 회귀계수를 계량경제학적으로 바르게 추정하는 확률효과-도구변수(RE-IV) 방법론의 일종인 하우스만-테일러 도구변수(HT-IV) 모형을 소개한다. 그리고 패널자료를 이용한 국내 기업재무 연구 중 최근 논문들을 개관하고 방법론 측면에서, 특별히 시간불변 설명변수와 관련된 분석 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국내 상장회사 자본구조에 대한 패널 분석을 실시하고, 각 방법론에 따른 추정결과들을 비교 해석한다. We criticize the panel methods which are used in many Korean corporate finance researches. They usually mis-specify the correlation structure of explanatory variables, the error terms, and the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 terms. Especially some papers did not properly deal with the time-invariant or the effects of very slow changing explanatory variables. We review the panel methods that could be adopted to deal with these problems. Especially we suggest the Hausman-Talyor IV(instrumental variable) method could properly deal with the time-invariant variable problem. Lastly we select one paper as a case and analyze its methodology and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ology which is more desirable. In addition, we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alternative methods and provide the corporate financial and econometric interpretations.

      • KCI등재후보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국내 발전산업의 투입과 산출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황준성(Joon Sung Hwang) 글로벌경영학회 201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7 No.2

        This paper investigates economic effects on the scale and the relation of input and output of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in Korea by using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of panel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entire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in Korea, operating expenses and plant, property and equipments make contribution to revenue, and there exist diseconomies of scale. This paper regressed five electric power company among six power generation companies except for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The result is that operating expenses make positive effect to revenue and plant, property and equipments make negative effect to revenue. The effect of the primary energy sources to electricity sales is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water, oil and gas, coal have negative impacts on revenue, but internal-combustion and nuclear power have positive impacts on revenue. The effect of the primary energy sources to business profits is that only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water make negative effect. So, increasing of plant, property and equipments of water makes negative impacts on revenue.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패널회귀분석방법에 의한 Cobb-Douglas 형태의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발전산업의 투입과 산출의 관계와 규모의 경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표본에 대하여 영업비용과 설비자산은 수익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의 경제효과에 대하여는 발전회사 전체적으로 규모의 불경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개의 발전회사 중 (주)한국수력원자력을 제외한 5개 발전회사를 표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영업비용이 수익창출에 기여하고 있었으며 설비자산은 수익창출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원별 발전용량비중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전력매출을 종속변수로 하여 패널회귀분석에 의해 분석한 결과, 수력비중, 유류가스비중, 석탄화력비중의 회귀계수는 모두 음(-)의 값으로 추정되었으나, 내연복합비중과 원자력비중의 회귀계수는 모두 양(+)의 값으로 추정되었고, 발전원별 발전용량비중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영업이익을 종속변수로 하여 패널회귀분석에 의해 분석한 결과, 수력비중의 경우만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음(-)의 값으로 추정되어 수력비중을 늘리는 것은 비수익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코로나19 방역정책이 글로벌 주식시장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분석

        강상훈(Sang Hoon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본 연구는 COVID-19 공포지수와 방역지수가 주식시장 수익률과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국가별 COVID-19 확진자 수 및 사망자 수와 국가별 방역정책지수를 활용하여 패널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패널데이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방역정책은 주식시장의 음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방역정책이 주식 수익률을 하락 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COVID-19 공포지수는 주식시장 변동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엄격성 지수와 방역정책지수는 투자자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시장변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보건정책지수는 투자자들에 낙관적인 기대심리를 자극하여 주식시장을 안정화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변동성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COVID-19 팬데믹의 확산으로 글로벌 투자심리는 위축되고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국가별 방역정책의 강도나 방법에 따라 주식시장의 수익률과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별 방역정책이 투자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VID-19 global fear index and government response index on the returns an volatiles of stock markets. Applying the panel data regression, this paper utilizes the COVID-19 confirmed cases and deaths, and the government response indices. This paper finds several empirical results. First, the government response index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eturns of stock market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essimistic investors lead to fall the stock returns down. Second, COVID-19 fear index intensifies the uncertainty of stock markets with a increase in volatilities. Third, stringency index and government response index have a negative impact on investors’ sentiments and increase high volatility. Finally, containment and health index stimulates optimistic sentiments for investors and stabilizes the volatility of stock markets. As a result, COVID-19 pandemic aggravates investors’ sentiments and enlarges the volatility of stock marke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affects the returns and volatility of stock markets. This finding indicate that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of COVID-19 pandemic stimulates the investor sentiment of stock markets.

      • KCI등재

        광역시도 지방개발공사의 자본구조정책과 경영성과: 패널자료 회귀모형과 2SLS 모형에 의한 영향관계 분석

        전영환,김동욱,김병곤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apital structure on firm performance in municipal development corporations by panel data regression and 2SLS (two stage least squares) analysis. We used the unbalanced panel data for 16 corporations during 2000-2013. The panel data sets consist of time series observation on each of 16 cross-sectional unit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capital structure of municipal development corporation is determined by the return on sale, size, and liquidity.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capital structure positively affects on firm performance by tax shield effect and financial leverage effect. And the performance of municipal development corporation is affected by firm characteristics of the turnover of asset and profit of sales.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도 지방개발공사를 대상으로 자본구조정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자료 회귀분석과 패널자료 2SLS(two stage least squares)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3년까지 142개의 횡단면단위와 시계열을 갖는 불균형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개발공사의 자본구조를 결정하는 요인은 매출액순이익률, 기업규모, 유동성임을 알 수 있었다. 지방개발공사의 경우 매출액순이익률과 유동비율이 높아지면 부채조달을 축소시키고, 기업규모가 커지면 부채부담능력이 증가하여 레버리지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방개발공사의 경우 자본구조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부채사용이 증가하면 세금절감효과와 재무레버리지효과로 인해 경영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으로는 총자산회전율과 매출액순이익률임을 알 수 있었다. 지방개발공사의 경우 상품성 부동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총자산회전율이 높아지는 경우에 자금회전이 빨라지면서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와서 경영성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가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이윤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을 받는 기업특성요인으로 수익성과 투자가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주식시장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 분석법에 의하면 기업규모와 월별수익률이 음(-)의 관계인 기업규모효과와 장부가/시장가비율과 월별수익률이 양(+)의 관계인 장부가/시장가비율효과가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수익성은 월별수익률과 체계적인 음(-)의 관계를 나타내 수익성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투자(또는 성장)는 예상과 같이 월별수익률과 일관성 있는 음(-)의 관계를 나타내 투자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회귀분석에서도 모든 모형에서 기업규모효과와 장부가/시장가비율효과가 강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익성효과는 개별적으로 분석하면 약하게나마 존재했지만 통제변수를 추가해 분석하면 그 효과가 통제변수에 흡수되어 수익성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수익성으로 인해 현재의 현금흐름을 증가시키는 것이지 미래의 현금흐름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익성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투자효과는 개별적으로나 통제변수와 같이 분석되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자산투자로 인해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켜 주식수익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주식투자에 있어서 수익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투자는 주요한 영향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ly the directly explanatory power of profitability and investment(or growth), which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recently, for stock returns of Korea stock marke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nalyze the data of non-financial firms in Securities market of Korea Exchange during the sample period of July, 1983 to June, 2015 by using portfolio analysis and panel regression. Portfolio analyses show as follows: First, firm size effect, which means stock returns consistently increase as firm-sizes decrease, and book-to-market equity ratio effect, which means stock returns systematically increase as book-to market ratios increase, are found. Second, contrary to expectation, average monthly returns systematically decrease as profitability increases. It appears that profitability effect doesn’t work. Third, as expected, average monthly returns consistently decrease as investment increases. It shows that investment effect exists. Panel regressions imply a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irm-size effect and book-to-market equity ratio effect appear strongly. Second, profitability effect appears very weakly when it is the only explanatory variable, but when control variables are added to explanatory variables, it seems to be absorbed into them. This shows that profitability increases current cashflow, but doesn’t increase future cashflow. Third, investment effect exists with other variables as well as individually. This means that asset investment decreases future cashflow directly and then decreases stock return.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investment strategy by considering not only firm-size and book-to-market ratio but also asset growth can make higher stock returns.

      • KCI등재

        오피스텔 공급량과 아파트가격의 동태적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최봉문,김종하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5

        This stud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utual influences between variations in the officetel supply and the apartment price by using the Bayesian pane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fficetel supply and the apartment price have a mutually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Meanwhile, the officetel supply and the apartment supply show a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throughout the analysis period.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as the apartment supply increases, the officetel supply increases, and that an increase in the officetel supply affects the apartment price. In the panel model, it was found that an impact of fluctuation in the officetel supply affects the apartment price in a positive (+) direction. In the individual models by region, the reaction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the impacts were somewhat different. In Gyeonggi province, the reaction to the impact of fluctuation in the officetel supply affected the apartment price in a positive (+) direction, while the degree of the reactio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Seoul.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과 지방 대도시의 아파트 매매가격과 오피스텔 공급량의 동태적 상관관계를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구성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모형에 포함되는 변수는 아파트 매매가격, 아파트거래량·공급량, 오피스텔 공급량 등으로 구성하였고, 분석기간은 자료의 구득이 가능한 2012년 1월에서 2018년 4월까지로 설정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는 중대형 오피스시장과 주택시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반면 본 연구는 오피스텔 공급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와 용도적 대체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건축물 용도상 업무시설로 분류되기 때문에 주택보급률 산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택과 오피스텔의 공급은 별도로 관리되며, 주택공급통계를 산정할 때 오피스텔은 제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피스텔 공급량 증가가 기존 아파트매매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오피스텔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아파트매매가격은 아파트 거래량 및 아파트 공급량과 1차적 인과관계를 가지지만, 아파트매매가격과 오피스텔 공급량은 인과관계를 가지며, 아파트매매가격이 선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에서는 아파트매매가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파트 거래량과 아파트 공급량이지만, 미미한 차이로 오피스텔 공급량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차적으로는 아파트매매가격과 오피스텔 공급량의 시계열 자료를 토대로 동태적 상관관계를 분석·검정하여 오피스텔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을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정책 입안 시 오피스텔 공급량의 동태를 참조하여야 하고, 주거실태조사 및 주택관련 통계의 구체성 제고에 대해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고추 단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패널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중심으로

        이승인(Lee, Seung-In),조용빈(Cho, Yongbeen),이혜진(Lee, Hye Jin)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건고추를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건고추 단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요인과 생산비 요인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건고추 단수에 대한 기상 요인과 건고추 농약비의 논리적이고 명확한 인과관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 9개 지역의 건고추 단수와 지역별 기상 요인(강수량, 일조시간합, 평균기온, 평균상대습도), 건고추 생산비 요인(비료비, 농약비, 노동비)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통계분석과 패널회귀모형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위하여 STATA 14.0과 AMOS 18.0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ausman 검정 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채택되었다.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상 요인으로는 3월 강수량(+), 4월 일조시간합(+), 5월 강수량(+), 6월 평균기온(-), 7월 평균상대습도(-), 8월 일조시간합(+), 9월 평균기온(+)이 건고추 단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비 요인으로는 농약비(+), 노동비(+)가 건고추 단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분석 결과, 4월 일조시간합(-), 5월 강수량(-), 6월 평균기온(+), 7월 평균상대습도(+), 8월 일조시간합(-) 등 기상 요인이 건고추 농약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건고추 관련 농약비는 건고추 단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4월 일조시간합은 건고추 단수와 정적인(+) 관계가, 7월 평균상대습도는 건고추 단수와 부적인(-)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factors and production cost on the red pepper yields in Korea, with employing a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to analyz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agricultural medicines cost on red pepper yield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anel data from 1991 to 2018 were gathered to conduct this study. More specifically we used the panel data of the regional meteorological factors by month (cumulative precipitation,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verage relative humidity, average temperature), the red pepper production cost factors (the cost of fertilizer, agricultural medicines cost, labor cost), and red pepper yields of the nine regions in the Korea. This study used STATA 14.0 and AMOS 18.0 for descriptive analysis, panel regression mod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xed effect model was chosen by the Hausman test. The results using a fixed effect model confirm that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rch, +),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y, +), the average temperature (June, -),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ugust, +), the average temperature (September, +) and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 and labor cost (+) were chosen among the variables as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model.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May, -), the average temperature (June, +),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and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ugust,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Also, the agricultural medicines cost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d pepper yields, and the cumulative duration time of sunshine (April, +) and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July, -)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d pepper yields. At the end of the pap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군입대 시점 분석- 대학 입학성적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배호중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7 No.2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자료를 이용하여 군복무 경험자를 대 상으로 그들의 군입대 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구특성, 대학특성 및 (주로 입학 성적과 관련된) 대학 입학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개월수로 측정된 고교졸업후 군입대까지의 기간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고교졸업 후 19.9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군대에 입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학력 같 은 가구배경이나 전공, 입학한 대학의 위세 등에 따라 입대 시점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대학 입학 성적이 높 은 경우 군입대가 상대적으로 늦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위세 높은 대학에 입학한 경우 입대가 더욱 늦은 것으로 나타나 장교로 복무가 가능한 전문자격시험의 합격가능성 등과 같은 재학 중의 경력형성 전략을 고려하여 군입대 시점을 결정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입대가 주로 이루어지는 주로 20대 초⋅중반 시기의 경우 해당 시기의 경험이 개인의 생애전반에 걸쳐 지속적 영향 을 미치게 될 중요한 시기임을 감안했을 때 청년들의 군입대 시점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연구문제라 할 수 있으며 병역의무가 진로발달에 ‘장벽’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군입대를 다루지 않은 채 졸업 후의 진로 및 취 업에 관해서만 논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청년층의 보다 나은 진로설정을 위해 군입대 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하는 것은 개인의 경력형성 뿐만 아니라 병력수급의 안정성 관 점에서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iming decisions for their military services after finishing their highschool cours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This study considered include three sides, such as characteristic of household, type of university, entrance university scores. The study shows that people decide to start their military services 19.9 months after their highschool graduation averagely. However, there are several factors such as academic level of their father, major field of university, university level affect timing decisions for their military services. In particular, the higher people get entrance university scores, the later people start their military services. In addition, the people who belong to high level university have their military services later than others. The reason is that they make timing decisions for their military services strategically with considering professional licensing examinations plan. The people makes important decisions for their career in twenties and military services in Korea is one of the legal obligation. That is the reason why time decisions of military services in twenties is worthy of not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ilitary services timing decisions for both successful personal career plan and stable military supply.

      • KCI등재

        지역 내 빈집 증가가 주택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소영(Lee, Soyeong),주희선(Joo, Heesun),김경원(Kim, Kyeongwon),김도현(Kim, Dohyeon)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빈집이 증가할수록 해당 지역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빈집이 증가하면 지역 내 범죄 장소 제공, 지역사회의 활기 저하, 외관 훼손과 생활환경 악화 등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패널 데이터를 통한 패널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빈집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공동주택, 빈집,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주거주택,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가구, 표준화 사망비, 시·군 입주, 시·군 구간, 지가 변동률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집, 단독주택, 1인 가구수, 시·군·구간 이전, 시·도간 이전 및 지가 상승이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거 주택과 주택 이외의 주택은 (-)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집과 주택매매가격 사이의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빈집을 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빈집이 증가하면 지역 내 범죄 장소 제공, 지역사회의 활기 저하, 외관 훼손과 생활환경 악화 등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패널데이터를 통한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빈집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공동주택, 빈집,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비주거주택,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가구, 표준화 사망비, 시·군 입주, 시·군 구간, 지가 변동률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빈집, 단독주택, 1인 가구수, 시·군·구간 이전, 시·도간 이전 및 지가 상승이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거 주택과 주택 이외의 주택은 (-)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집과 주택매매가격 사이의 부정적인 측면을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빈집을 억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빈집 분포 및 현황 통계 수립 등 빈집 유지·활용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빈집 정비는 상당한 공적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산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경제적 편익 추정을 토대로 빈집 정비사업 대상지 선정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수혜 항목 중 빈집 정비에 따른 주택 매매가격 인상도 고려해야 한다. The more vacant houses there are, the more negatively they affect the area. A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creases, the provision of criminal places in the area, the vitality of the local community decreases, and anxiety among residents increases due to damage to appearance and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vacant houses affect housing prices by conduct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panel data from 2017 to 2019. The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apartment houses, vacant houses, detached houses, apartments, row houses, multi-family houses, non-residential houses, non-residential houses,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single-person households, standardized death costs, city/county moving in, city/county section, and land price change rate were set as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acant houses, detached houses,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relocation between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and relocation between cities and provinces and housing prices had a positive (+) effect. It was found that non-residential housing and residences other than housing had a (-) effect. Since this study showed the negative aspect of house price decline due to vacant houses, it suggests that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to contain vacant houses and utilize them. In addition, it need to find various support methods for the maintenance or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such as data on the distribution of vacant houses and establishment of statistics on the current status. Since the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requires considerable public budget fun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budget and prioritize the selection of target sites for vacant houses maintenance projects based on the estimation of economic benefits. Through this, the increase in housing sales prices due to the maintenance of vacant houses among the items of benefit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