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동-입자의 이중성과 일차원 Ising 모델

        박상업,최범식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11

        By using a canonical transformation, we can interpret the impulse pattern of a rigid particle system as a spin chain. On a microscopic level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particle and the wave elements show a nearest-neighbor spin interaction. We take the Ising model for the simplest neighbor interaction. The wave-particle duality on a macroscopic level can be interpreted as a phase transition of the magnetization. The macroscopic duality comes from the microscopic duality between the particle elements and the wave elements. The magnetization shows the ratio of the duality. We can see a difference between cannonical quantization and statistical quantization. We hope to explain the Planck constant by using the magnetization. 강체로 작용하는 입자계에서 거시적 입자와 파동 현상에 대응되는 미시 현상으로 입자원과 파동원을 도입하고, 정규변환을 통해서 충격전달 패턴이 스핀모델로 변환되며, 충격전달은 인접 스핀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바뀌는 것을 보인다. 가장 간단한 충격전달은 1차원 Ising모델로 살필 수 있었으며, 입자와 파동 사이의 이중성은 자화의 위상변환으로 대응되며, 이중성의 척도로 자화도를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미시적 입자원과 파동원 사이의 전환이 거시적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으로 확장되는 것을 보이며, 정규양자화와 통계적 양자화 사이의 비교할 수 있게 되었고, 프랑크 상수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보인다.

      • KCI등재

        차량 추종자료의 파동해석을 통한 운전자 반응 특성 연구

        채찬들,오세창,김영호,이준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4

        This paper developed a method analyze drivers' response characteristics using spectral analysis with car following data. Cross-correlation function and cross spectrum are produced by Fourier transform from speed fluctuations of leading vehicle and following vehicle during the designated time . Based on the analysis data, a process to calculate the reaction time and stimulus-adaption index of following vehicle was developed and 170 cases of field data was applied. It was reported average of 0.654 and 2.091 seconds of stimulus-adaption index and reaction tim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developed indexes might contribute to enhance vehicle control of autonomous vehicle more efficient and safer. 본 논문에서는 파동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추종관계인 두 차량의 속도 파동으로부터 개별 운전자의 반응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선행차량 속도 파동과 임의의 시간 만큼 지연된 후행차량 속도 파동의 푸리에 변환을 통해 상호상관함수와 상호 스펙트럼을 산출하고 상호상관계수를 도출함으로써 ①후행차량의 반응시간과 ②후행차량의 자극순응지수를 도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고, 현장에서 수집된 170건의 추종 자료에 적용한 결과, 자극순응지수는 평균 0.654로 나타났고, 반응시간은 평균 2.091초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운전자 반응특성 지수는 자율주행차량과 일반차량이 혼재된 교통류에서 자율주행차량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로계획 수립을 위하여 주변 차량의 운전행태 특성을 반영한 의사결정과정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간 인과관계 분석:소파동(小波動)변환을 적용한 장단기 분석

        김재혁,조하현 한국응용경제학회 2018 응용경제 Vol.20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coupling between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by applying wavelet trans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54 countries into that the relationship decouples and does not from the periodic perspectives, and to further identify which explanatory variables determine the decoupling. The main results as follow. First, energy-GDP causality differs by time scale.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coupling of the energy-GDP relationship are different in the distinct time scale. Energy efficiency increases the decoupling probability in the short-run but is not influential in the medium and long-run. Clean energy ratio increases the decoupling probability only in the medium-run. Net energy import increases the probability in the short-run but decreases it in the long-run. The results suggest us that distinct energy policy is needed in the different time-horizons. 본 논문은 에너지-성장의 탈동조화를 소파동변환(Wavelet Transformation)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표는 에너지-성장의 탈동조화가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국가와 나타나지 않는 국가를 식별하고 어떤 요인이 탈동조화의 확률을 높이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논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소비와 GDP의 소파동분해 후 그랜져 인과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상당수의 국가들에서 각 시간척도별로 인과관계가 바뀌었다. 둘째, 국가들의 에너지-성장 비인과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각 시간척도별로 상이하였다. 에너지효율성은 단기에 에너지-성장 비인과의 확률을 높였으나 중장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청정에너지 비중은 중기에만 비인과 확률을 높였고 단기와 장기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에너지순수입은 단기에는 비인과 확률을 높였으나 장기에는 오히려 하락시킴으로써 장단기에 그 영향력이 달랐다. 반면, 제조업비중은 장단기에 모두 비인과 확률을 높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유한 원통셸의 큰 끝단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감쇠파에 대한 분석 연구

        길현권,Kil, Hyun-Gwon 한국음향학회 2011 韓國音響學會誌 Vol.30 No.7

        진동하는 원통셸에서는 파동의 크기를 유지하며 전파하는 진행파 (굽힘파, 종파, 전단파)와 전파함에 따라서 파동의 크기가 지수 함수적으로 급격히 감쇠하며 소멸되어가는 감쇠파가 발생한다. 감쇠파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가진 지점 혹은 구조물의 끝단 지점 부근에 국한되어 작게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원통셸의 경우 상당히 큰 감쇠파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쇠파로 인하여 종진동이 끝단 부근에서 상당히 크게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저자의 유한 원통셸의 종진동 측정 실험 논문에서 관찰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큰 감쇠파에 의한 원통셸의 끝단 종진동 현상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원통셸의 진동해석을 위하여서는 파동 전파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진동하는 원통셸의 끝단에서 모드 변환 (굽힘파와 감쇠파간의 변환)에 의하여 상당히 큰 감쇠파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감쇠파의 영향은 원통셸 끝단의 큰 종진동을 발생시키며, 원통셸 전체 길이의 1/3 지점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Propagating waves (flexural, longitudinal and shear waves) travelling with constant amplitudes and evanescent waves decaying exponentially are generated on a cylindrical shell. Evanescent waves are generally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an vibration excitation point and near ends of the shell. But the evanescent waves can generates strong axial vibration at the ends of the cylindrical shell. The strong end axial vibration due to those evanescent waves has been observed in an author's previous paper dealing with measurements of the in-plane axial vibration of a finite cylindrical shell. In this paper the strong end axial vibration due to the evanescent waves has been theoretically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vibration of the cylindrical shell, wave propagation approach has been implemented. Comparison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axial vibration of the shell showed that the strong evanescent wave can be generated due to mode conversion (conversion from flexural wave to evanescent wave) at the ends of cylindrical shell. It also showed that the evanescent wave can generate the strong axial vibration near the ends of the cylindrical shell and that it can have effect even on 1/3 of the total length of the shell.

      • 다양한 연결각도로 연성된 보에서의 파워 투과 및 반사 특성

        吉賢權 水原大學校 2005 論文集 Vol.23 N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ave transmission through various junctions with various aangles in coupled beams. The in-plane vibration as well as the out-of-plane vibration are generated due to the wave conversion at the junctions in the coupled beams. The out-of-plane vibration is associated with Propagation of out-of-plane waves (flexural waves). The in-plane vibration is associated with propagation of in-plane waves (longitudinal and torsional waves).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vibration and structure-borne noi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ave conversion at various junctions in the coupled structures. The numerical results in this paper hav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wave transmission through various junctions in coupled beams. Those could be helpful to designer to develop the idea to reduce vibration and structure-borne noise.

      • KCI등재

        원통셸의 진동 데이터에 대한 파수해석을 위한 공간신호처리 방법의 응용 연구

        길현권(Kil, Hyun-Gwon),이찬(Lee, Chan)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20 No.9

        The vibration of a cylindrical shell is generated due to elastic waves propagating on the shell. Those elastic waves include propagating waves such as flexural, longitudinal and shear waves. Those also include non-propagating decaying waves, i.e. evanescent waves. In order to separate contributions of each type of waves to the data for the vibration of the cylindrical shell, spatial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wavenumber analysis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ose techniques include Fast Fourier transform(FFT) algorithm, Extended Prony method and Overdetermined Modified Extended Prony method(OMEP). Those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identify the waves from simulated vibration signals with various signal-to-noise ratios. Futhermore, the experimental data for in-plane vibration of the cylindrical shell has been processed with those techniques to identify propagating waves(longitudinal, shear and flexural waves) and evanescent waves.

      • KCI등재

        ‘장(場)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건축의 장소성 구축에 대한 연구 : 프랭크 게리(F. Gehry)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희영,조승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2

        본 연구는 장이론에서 나타나는 이론적인 특징들을 바탕으로, 현대 건축에서 재현되고 있는 물질과 장이 지니고 있는 운동의 결과가 장소성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서술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축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이론적 결과를 바탕으로 장이론이 현대건축에서 장소성을 구축함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으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장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도출된 상호침투, 중첩, 영역의 특징을 서술하고, 이러한 특징들을 장소성 구축을 위한 도구로 적용하기 위하여, 각각 ‘변환’, ‘융합’, ‘퍼짐’ 등으로 치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틀(frame)을 바탕으로 F. Gehry의 작품을 선택하여, 장이론이 건축에서 장소성을 구축하는데 있어 해석적인 방법으로 적용 가능함을 제시한다.

      • 접근풍속과 건물 변동풍압력에 대한 연속파동변화법의 적용

        함희정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 Vol.25 No.B

        Application of 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POD) and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 is introduced to study wind speed and building roof pressures of flow separation region. In this study, a detailed analysis of the approach wind flow, wind-induced building pressur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fields was carried out using the POD technique and CWT analysis. The results show potential of the application of POD and CWT in characterization of spatio-temporal and spectral properties of the approach wind and its induced dynamic pressure events. Some of finding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D first principle coordinate of the roof pressure in the separated shear layer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longitudinal component of oncoming flow. (2) The CWT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treme peak pressure in the separated shear layer is due to condensed large-scale eddy 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