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교사 임파워먼트와 통합보육프로그램 질과의 관계

        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통합보육시설에서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통합보육 프로그램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장애아의 수가 많은 시설에서 근무하고, 경력이 높을수록, 통합연수 횟수가 7-9회일 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질 수준을 분석한 결과는 장애영유아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질과 교사 임파워먼트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통합보육시설 교사 임파워먼트 변인 가운데 통합보육프로그램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문성 신장, 자아효능감, 자율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보육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보육시설에 유아특수교사의 배치와 교사 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및 보육시설의 민주적인 운영에 대한 노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eacher’s empowerment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gainst 227 subjects consist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an inclusive class at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acher’s empowerment level was high especially when a teacher works in a big center with a large numb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eacher with experiences, and who took training courses on inclusive child care 7-9 times. Second, the larger the number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the higher the level of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quality is. Third, there was ver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quality and the teacher’s empowerment level, Among the variances of the empowerment of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teachers, the largest ones influencing on the child care program quality were professional growth, self-efficacy, and autonom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it is necessary to pla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together and give supports to improve the teacher’s empowerment level and democratic operation of such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 역할에 대한 욕구와 평가

        조윤경(Cho Youn-Kyung),김수진(Kim Soo-Jin),강지현(Kang Ji-H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3

        본 연구는 2006년 12월 - 2007년 11월 간 시행된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 사업을 통한 장애 아동 통합보육 시설에의 영향도를 평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통합보육 환경 조성에 대한 방향 정립과 통합보육지원센터의 역할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실제 시행 내용 평가를 위해서 주요 참여 집단이며 서비스 제공자인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의 순회자문교사와 서비스 수혜자인 통합보육시설의 장애전담교사 각 8명, 총 16명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합은 혜택 면에서 시행의 당위성을 가지며,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와 순회자문교사는 통합보육시설과 장애전담교사에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통합보육 실행의 어려운 요소와 통합보육을 지원하는 순회자문교사의 역할 정립은 할 과제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급하게 시행되어야 하는 대책들과 토론이 필요한 과제 등이 논의 되었다.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 -Care"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between December 2006- and November 2007.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effects of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Care" Project to the inclusive child-care sett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giv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a qualified inclusive child-care environ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building a role model. In order to assess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and contents, total number of 16 teachers including 8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and 8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are not only the major participant group in this project but also the service providers were interviewed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terms of its benefit, inclusion makes a case for its implementation, and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Care" and the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have been generally evaluated as positive influence to the inclusive child-care institutions and their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n the contrary, some difficult elem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hild-car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appear to be challenges to be met. In order to solve these matters, some emergent countermeasures and tasks to be discussed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장영실(Jang Young-S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8

        본 연구는 장애전담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보육시설에 장애유아를 보낸 부모의 통합보육의 경험과 통합보육관련 욕구를 분석하여 통합보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유아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으며, 보육시설 선택의 영향요인, 통합보육의 긍정적ㆍ부정적 경험, 통합보육과 관련된 욕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합보육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특히 최소제한 환경의 보육시설에 보내기를 강력히 원하였으며, 통합보육을 통한 다양한 경험과 통합보육과 관련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보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면, 통합보육시설의 확충,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조기교육의 실시, 통합보육시설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치료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와 더불어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확대, 장애인부모회 등과 같은 자조집단의 결성촉진과 상호 연대강화,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강화와 지원,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와 적극적 활용 등도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seek how to facilitate inclusive child care based on analysis which suggest experiences on mothers who sent disabled children to the child care centers without teachers specialized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its part,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iv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subjects including; factors affecting when selecting child care centers, positive [negative] responses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desires regarding inclusive child care. Study results are released for encouraging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Parents firmly prefer child care centers to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want various experiences through inclusive child care. To promote inclusive child care based on the research, expanding and improving the child care facilities, counseling for positive change toward disabled and acquisition of new child care methods would be encouraged. In addition, providing more child care centers, access to various information, being connect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promoting welfare including special education will be needed.

      • KCI등재

        장애유아 부모의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류호영,김선아,이성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통합어린이집 장애유아 부모들의 이야기를 통해 통합보육경험의 질과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유아 통합보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통합보육 경험이 있는 9명의 장애유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12월까지 각각 2회의 개별면담과 그룹면담을 통해 부모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어린이집에 오기까지 주로 "차별"의 경험으로 "장애 인식하기", "장애수용하기", "장애 극복하기"의 과정을 거쳤으며 둘째, 통합보육에서의 경험은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하였는데, "함께하는 통합보육: 장애의 구분이 없는 아이들 속으로", "차별화된 통합보육: 다른 운영체제 속에서", 그리고 "부모를 지지하는 통합보육: 부모모임과 더불어"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보육에 대한 부모들의 바람을 통해 "따로 또 같이" 라는 범주아래 "선택과 다양성을 고려한 통합보육", "부모를 지원하는 통합보육", "유·초 연계 및 사회적 지원을 통한 통합보육"으로 통합보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analyzes the data collected from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inclusive child care" experienc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bjects, 9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been in inclusive child care programs, participated in 2 in-depth interviews and 2 group interviews from July to December 2011. From these interviews, it was discovered that 1) before their children were enrolled in inclusive child care, parents had to put themselves through processes of a) coming out of the disability closet to face the prejudice of their society and then b) of accepting and overcoming "disability", 2) These parents then interpreted their inclusive child care experiences as being a new model, in effect, they saw it as a different system that practiced reverse discrimination among parents, 3) After their experiences with inclusive child care programs, these parents were still hoping to see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types of inclusive child care provisions that could better accommodate their needs: inclusive child care that supports parents; social support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better linkage between inclusive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 KCI등재

        통합보육시설의 부모교육과 교사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정길정 ( Gil Jung Chu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4 아동복지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통합보육시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통합부모교육과 통합교사훈련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하여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양질의 통합보육 실행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통합보육시설 27곳의 통합보육 관련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대부분의 통합보육시설에서는 장애유아 부모를 위한 특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였다. 통합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에 대해 교사들은 통합보육 또는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유아가 보육시설에 입학한 직후, 한 학기에 1회씩, 평일 오전에 2시간정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용에는 비장애유아 및 장애유아에 대한 통합보육의 효과와 유아의 바람직한 생활습관 지도 등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통합보육을 위한 통합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대해서는 실시하고 있다가 실시하지 않는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통합교사훈련 프로그램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통합교사훈련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작성법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교사훈련 프로그램의 내용들은 강의를 통해서 실시하고 있다가 가장 높았다. 또한 통합교사훈련 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항목 중 세부 문항인 통합보육을 위한 보육시설 조직 실행여부, 문제행동의 이해와 교정 방법의 실시 여부에 대해 교사 경력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경력별로 실행하고 있다가 실행하고 있지 않다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for inclusive educare an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n inclusive educa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nclusive teachers` training and the inclusive parents` programs of inclusive daycare cent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32 inclusive educare teachers at 27 inclusive daycare centers. From the result, most inclusive daycare centers needed special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handicapped preschoolers` parents. Most of the inclusive parental programs include effects of the inclusive educare on ordinary children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guidance of desirable behaviour of the children. There were more answers saying that the study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inclusive teachers was practiced than answers saying not practiced. Even when it was not practiced, many answered that it is need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reasons of using IEP for the inclusive educare of handicapped children according to the teachers` maj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e of educare facility group for inclusive educare and practice of understanding and correcting methods of the problem, which are detailed parts of the inclusive teachers` study and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s.

      • KCI등재

        유보통합 논의에 대한 재검토

        장영인(Jang, Young-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7

        본 연구는 우리의 통합논의가 서비스의 직접 대상인 아동을 빗겨간 성인중심의 통합논의이며, 또한 논의 중심축이 교육에 치우친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 이에 대해 아동의 관점, 보육의 관점에서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통합논의는 ‘아동권리’보장을 위한 아동중심, 교육중심의 통합(예: 스웨덴)이 아니라, 부모의 보육욕구와 양육비 부담완화에 초점을 둔 성인중심의 통합, 사회문제(저출산)나 정책비효율성에 대한 국가대응책으로서의 통합(예: 일본)에 맞추어져 있다. 또한 통합을 위한 보육의 질의 문제에 대해 교육 강화를 강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사자격에 초점을 맞춘 협소한 교육중심의 접근을 함으로써, 포괄적인 보육의 가치와 기능을 간과하여 ‘보육의 질’을 소홀히 하고, 자칫 우리사회의 과열된 조기교육 분위기에서 교육의 내용조차 왜곡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보육의 가치와 기능을 고려한 균형있는 통합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현재의 무상보육을 정부지원기준으로 삼고자 할 경우 보육남용으로 아동이익에 반할수 있기 때문에, 시설이용자중심의 지원방식과 논의에서 벗어나 아동-가족-사회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회적 양육시스템의 구축이라는 거시적 전망 속에서 유보통합 논의를 자리매김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reviews issues regarding the unification of child care and kindergarten from the perspectives of child care and children’s rights. This study argues that discussions in Korea surrounding the unification are focused on parents’ needs and easing parents’ financial burden of child rearing, or on unification as a solution of copying with social problems like low fertility rates, not as a solution of children’s needs and their developmental right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current discussions in favor of learning-oriented unification mainly focused on curriculum and certificates of teachers, could lead to the underestimation of values and comprehensive functions of child care, which in turn could lower the quality of child care. Such a concern is arguably rooted in the mis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lecting the atmosphere of excessive competition in Korea. Discussion regarding the unification should be rather child care-centered, not children’s learning-centered, so as for the balanc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o be carefully pursued. In ad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free child care policy has to be revisited and amended because it can cause unnecessary overuse of child care services against children’s interests. Finally this study maintains that unification agenda should be situated in the context of building social child-rearing support system, which pursues comprehensive interests of society as well as children and families.

      •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만족도 및 지원욕구 비교

        김영은,조윤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특수교육 Vol.6 No.2

        우리나라 취학 전 장애아동 교육현장에서 통합보육 서비스는 양적으로 급속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통합보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시설을 운영하는 원장과 실제 장애아동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통합보육에 대한 지원체계의 미비로 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운영과 행정적․제도적 지원 면에서 통합보육에 대한 지원 실태와 현재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이와 더불어 지원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좀 더 적절한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또한 원장과 교사는 각자의 입장에 따라서 통합보육 지원체계를 보는 시각이 다를 수 있으므로,종합적인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서울․경기․강원 지역의 통합 보육시설 원장과 장애 전담교사 각 136명 총 272명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통합보육에 대한 교육과정 운영과 행정적․제도적 면에서의 지원서비스는 이루어지고 있었으며,이에 대한 원장과 교사집단 모두 만족도는 상당히 낮았으나 통합보육지원에 대한 욕구는 높게 나타났다.또한 원장집단은 교사집단에 비해 지원욕구도 높고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합보육에 대한 원장집단의 주도성을 반영한다고 보여 진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통합보육에 대한 지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질적인 지원체계의 정립,2)통합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3)통합보육을 위한 원장,교사 및 전문가간의 협력 체제 방안의 개발 및 지원의 선행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But the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s didn’t think they would provide the qualitative services for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upports and the satisfactions for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s in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administrative-systematic aids. According to these data, the study were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s to make more adequate system. And the important agents of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s, directors and teachers, might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so this study would compare the these two groups.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said they were provided with the most inclusive educare supports in all areas, but they showed the low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y expressed the high degree of support needs. The director group expressed the higher satisfactions and needs. This phenomenon meant that teacher group was passive, and the director group was initiative in the inclusive educare service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more qualitative inclusive educare supports and the establishment of adequate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 KCI등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정책의 분화와 통합에 관한 연구: 부분적 통합기, 통합기, 다원적 분화기, 분화기, 부분적 통합기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정우열 ( Jung Woo Yeoul ),김복숙 ( Kim Bok Suk )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분화와 통합과정을 분석해 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영유아 보육정책이 시대적ㆍ사회적 상황에 따라 분화와 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보육정책의 발전방향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정립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은 근대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분화와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성장ㆍ발전해 오고 있다. 부분적 통합기(1910∼1945)에는 유치원과 탁아소가 형식적으로는 분리 운영되었으나,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개념상 구분이 명확하지 못하였다. 통합기(1945년~1960)에는 유치원과 탁아소가 각각 존재하였으나 법률상으로는 유치원만 교육기관으로 인정하였다. 다원적 분화기(1961~1989)에는 다양한 형태의 영유아 보육관련 기관들이 생겨나고 주관 부처도 다양화되면서 혼재된 통합 형태를 갖게 되었다. 분화기(1991년∼2013)는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유아교육과 보육이 교육부와 보건사회부로 분리되면서 법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이 완전하게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부분적 통합기(2014년∼현재)는 영유아 보육에 대한 누리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통합이 가시화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보육정책의 소관부처를 일원화해야 하고, 둘째,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보육 과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교육과 보육이 균등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넷째, 교육과 보육(돌봄)의 관계를 새롭게 재정립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process of infant and child care policy in Korea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the partial integration period (1910-1945),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were operated separately in formal terms, but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as not clear. In the Integration period (1945-1960),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existed, but in law, only kindergartens were recognized a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crater period (1991-2013), as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was enacted in 1991,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ere separated in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legal education and child care began to be completely differentiated. when the partial integration period (2014 ~ presen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became visible as the Nuri project for early childhood child care began in earnest from 2014.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ies in charge of infant and child care policy should be unified, second, more rational and systematic child care courses should be prepared, third, education and child care should be equally implemented, and fourth,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hild care (care) should be redefined.

      • KCI등재후보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 현황과 보육교사의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조재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cond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and a general recognition of integrated child-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e child-care teachers who work in the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work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where children don’t have disabilities. They rar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seminars for integrated child-care. Even if they participated in it, they attended for a short time. Second, most of the child-care teachers agre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ter into general child-care centers. They answere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better be placed in a child-care center already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 integrated child-care would be of help to the normal children.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to care integrally in all fields of disability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they answere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are for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 children. Fourth, the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as the integrated child-care is positive for all children, it would be better to start early as soon as possible and provide more education on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fth, they answered that the child-care centers where they work are badly prepared. Moreover, even child-care teachers don’t have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Sixth, the integrated child-care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promoting social development, offering a chance to understand, to cooperate and to help each other. Also it can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normal childre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rplay between both. Seventh, the nega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were that the child-care teachers had to spend more time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parents of the normal children had reluctance for integrated child-care and also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o decrease of children in the child-care center. 본 연구는 G도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보육 현황과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영유아가 없는 일반어린이집에 대부분 근무하고 있었으며, 통합보육 연수에 참여한 적이 거의 없었으며, 참여한 경우에도 참여시간이 매우 적었다. 둘째, 장애영유아의 일반어린이집 입소에 대해 대부분 동의하였으며, 배치장소로는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이 적절하며, 통합보육은 영유아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장애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모두 통합보육이 매우 힘들 것이며, 특히 중복장애와 자폐성장애를 더 힘들 것이라고 답하였다. 넷째, 통합보육은 모든 영유아에게 긍정적이므로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반드시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현재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은 통합보육 준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보육교사 자신도 특수교육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통합보육의 긍정적 영향으로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 확대를 통한 사회성 발달 촉진, 서로 이해하고 협동하고 도와주는 기회 제공, 장애영유아에 대한 일반영유아의 인식 개선 등이었다. 일곱째, 통합보육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보육교사가 장애영유아에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것,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통합보육에 대한 거부감, 어린이집 재원 원아의 감소 가능성 등이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방안 고찰

        고민경(Koh Min kyoung),권건일(Kwon Kun 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필요성과 유아교육과 보육의 논의점에 따른 통합을 위한 과제와 그에 따른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선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의 현황과 변천과정, 유아교육과 보육에 있어 OECD 국가의 동향, 스웨덴의 단일 부처의 통합사례와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의 통합 사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제도의 통합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화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통합구축모형방안과 그 선결과제로 제기된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서비스 기능 조정과 통합, 교사양성 및 자격제도의 통합, 관리감독 및 재정지체계의 통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은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의 목적과 기능상의 문제,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 유아교육과 보육의 재정지원체계의 비형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과제로 통합을 위한 법률, 행정, 교사자격, 교육조건, 교육과정 통합 분과를 제시하였다. 시대적 요청인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이 진정 유아를 위한 통합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discuss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asks and methods for the integration. First,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and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Korea, the tre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OECD countries, the cases of integration in Sweden and Injeong Childcare Center in Japan, and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tegration in Singapore.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lan of integrated structure model propose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nd suggested preconditions such a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service function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the integration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supervisory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In conclusions,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an solve problems in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acilities, inefficiency resulting from the redundanc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Infant Care Act, inequality in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tc. Thus, we suggested areas to be integrated including law, administration,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It is earnestly hoped tha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required today is genuinely for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