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끼전>에 대한 21세기 시좌, 영화 <소리도 없이>

        고은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6

        <소리도 없이>는 <토끼전>의 ‘다시쓰기’ 사례로, <토끼전>에서 촉발된 상상력을 훌륭하게 고양하여 우리 사회가 사유해야 할 문제를 묵직하게 던진 한편 <토끼전>의 의미를 새롭게 음미하게 한 작품이다. 본고는 영화 <소리도 없이>에 드러난 <토끼전>을 바라보는 관점에 주목하여 그 특징과 의미에 접근하고, 아울러 <소리도 없이>의 시선에서 <토끼전>의 의의를 재탐색한 연구이다. 우선 <소리도 없이>가 <토끼전>을 어떻게 패러디하고 있는지 살폈다. 창복과 태인은 성실히 하루 일과를 보내는 평범한 노동자처럼 보이지만 조직폭력배가 죽인 시체를 처리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그들이 예기치 않게 11세의 초희를 납치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서사가 전개된다. 그들은 수익 창출을 우선하는 자본주의 논리를 무비판적으로 추수하며 생활한다는 점에서 용왕에 대한 맹목적 충(忠)을 성실히 이행하는 자라의 모습과 유비된다. 한편 납치당한 상황에서도 자신이 처한 상황에 냉철하게 대응하는 초희에게서 토끼의 재기와 생명력이 발견된다. 이 영화는 창복과 태인을 비롯한 범죄자들을 형상화할 때, 의도적으로 범죄의 이미지를 지우고 먹고살기 위해 일하는 성실한 노동자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그들처럼 그냥 일을 할 뿐인 우리의 평범한 일상을 돌아보게 한다. 생계를 위해 일을 한다고 하지만, 효율과 성장이 최고선이 되는 자본주의 논리에 무심히 동참하는 순간 자칫 괴물이 되어갈지 모를 현대인들의 위험성을 날카롭게 응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소리도 없이>의 시선으로 <토끼전>을 읽을 때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중세 지배질서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생존하기 위해 부단히 분투하는 인물들의 삶이고, 토끼의 생존 문제이다. <토끼전>은 부조리한 봉건체제와 부패한 지배층을 풍자하고 서민의 발랄한 생명력과 기지를 그려내어 성장하는 서민의식을 고취시킨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때 토끼는 각성하여 저항하는 긍정적 이미지의 민중 형상이라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여러 이본의 토끼 형상을 자세히 따져보면 긍정적 이미지의 민중, ‘이상적 민중상’이라 하기 어려운 점들이 발견된다. 토끼는 허욕에 사로잡혀 허세를 부리고, 이본에 따라서는 용왕의 헤게모니 안에서 스스로 용왕의 욕망을 욕망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이 점이 오늘날 <토끼전>을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새로운 시대의 주인공이 될 훌륭하고 선량하기만 한 ‘이상적 민중’이 아니라, 각자도생의 고단한 현실을 살아내는 미천한 처지의 결함 많은 범상한 인물이 소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런 인물의 ‘생명의 무게’도 용왕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이치가 그 스스로의 의지와 기지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초희에게서 어린이의 천진난만함, 혹은 ‘피해자다움’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그가 태인의 호의를 배반한 듯 보여도, 그 상황에서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초희의 안녕이며 생명의 존엄성이듯, 미천하고 교활한 토끼의 생명도 용왕의 목숨만큼이나 소중하다는 진실을 <토끼전>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Voice of Silence> is an example of the 'rewriting' of <Tokkijeon (the story of a rabbit)>, which brilliantly elevates the imagination sparked in <Tokkijeon>, posing a difficult problem that requires our society to think about,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one to appreciate the meaning of <Tokkijeon> in a new way.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okkijeon> revealed in the movie <Voice of Silence>, approaches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nd re-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okkijeon> from the perspective of <Voice of Silence>. First, how <Voice of Silence> parodied <Tokkijeon> was explored. Chang-bok and Tae-in appear to be ordinary workers who work hard every day, but they deal with the bodies killed by gangsters. As they unexpectedly kidnap 11-year-old Cho-hee, a full-fledged narrative unfolds. The two men are analogous to soft-shelled turtles who faithfully fulfill their blind loyalty to the dragon king in that they uncritically accept capitalism’s logic that prioritizes the creation of profit. On the other hand, even while being kidnapped, Cho-hee calmly responds to her situation, exhibiting a rabbit's brilliance and vital force. By portraying criminals such as Chang-bok and Tae-in and the gangsters and kidnappers with whom they associate in an ordinary light, this film intentionally erases the image of crime by emphasizing the aspect of faithful workers who work to make a living, causing us to reflect on our ordinary lives. It is staring sharply at the dangers of modern people who may become monsters the moment they carelessly join the logic of capitalism where efficiency and growth are prioritized even though they say they just work for a living. Unconstrained by ethical considerations, capitalism can kill millions out of cold indifference and greed. On the other hand, when reading <Tokkijeon> from the perspective of <Voice of Silence>,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our attention is the lives of the characters who struggle to survive in the process of the dissolution of the medieval ruling order, and the challenge of the rabbit's survival. <Tokkijeon> is evaluated as a work that satirizes the absurd feudal system and corrupt ruling class and inspires a growing commoner consciousness by depicting the lively vital power and wit of the common people. At this point, rabbits are often considered to be a positive image of people who awaken and resist, but just as those who enjoyed it at the time perceived it as “a disgusting rabbit who mocked the dragon king,” a closer examination of the rabbit shapes of various versions reveals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call a positive “ideal image of the people.” The rabbit is obsessed with greed and bluffs, and, according to the different versions, desires the same as the dragon king. This is why <Tokkijeon> deserves attention again today. Rather than perfect “ideal people” who will be the protagonists of the new era, an unusual character with many flaws in a humble situation who lives the hard reality of their own life appears as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and the principle that the weight of such a character's life is no different to that of the dragon king is proven through its own will and wit. Even though Cho-hee neither demonstrates a child's innocence or “behaves like a victim,” and she appears to have betrayed Tae-in's favor, w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situation is Cho-hee's well-being and the sanctity of life. In this way, <Tokkijeon> is telling the truth that the life of a lowly and cunning rabbit, who was full of vanity and fell for the turtle's trick and seemed to deserve bad things, is just as precious as the life of the dragon king.

      • KCI등재

        토끼전에서 용왕의 등장과 배치가 갖는 의미

        이진오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용왕을 중심으로 토끼전의 형성배경과 각기 다른 용왕의 배치에 따른 작품군의 변별점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토끼전에서 용왕은 토끼나 별주부에 못지않은 중요한 인물이다. 토끼전에서 사건의 발단은 용왕이 병을 얻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토끼전의 이본은 용왕이 어떠한 면모를 보여주느냐에 따라 주제적 변이를 보이기도 한다. 토끼전에서 용왕의 비중은 토끼나 별주부에 미치지 않는 것 같지만 그의 존재감은 결코 가볍지 않다. 용왕은 토끼전의 근원설화(根源說話)인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구토설화(龜兎說話)>에서부터 등장한다. <구토설화>의 용왕은 이전 시기 인도와 중국의 불교설화(佛敎說話)에서 수중인물로 설정됐던 악어, 자라, 규(虯)와는 전혀 다른 층위의 의미를 갖는 존재이다. 그간의 논의에서 <구토설화>의 용왕에 대해서는 주로 ‘용궁설화’의 수용 정도로 언급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삼국사기』가 편찬된 시기인 고려 중기 중국과의 문학적 교류를 감안하지 못한 감이 있다. 당나라 후반인 9세기 이후에 편찬된 『전기(傳奇)』, 『유양잡조(酉陽雜俎)』 그리고 송나라 초인 10세기 중반 편찬된 『태평광기(太平廣記)』와 같은 문헌에서 용왕과 관련한 설화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용녀(龍女)가 병에 든다든지, 용궁이 바다 위의 섬으로 설정되어 있다든지의 설정은 <구토설화>와 같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중국의 설화들에서 용왕은 불교의 자장에서 벗어나 있는 점은 주목할 부분이다. 『태평광기』는 12세기 전반 고려의 기록에서 그 언급이 확인된다. 그렇다면 『태평광기』보다 이른 시기 편찬된 『전기』와 『유양잡조』는 더 이른 시기에 국내에 유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삼국사기』의 편찬자인 김부식과 같은 관료들이 이러한 문헌들을 탐독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구토설화>에 용왕과 용녀의 등장은 ‘용궁설화’의 수용보다 고려와 중국의 문학적 교류의 속에서 읽는 것이 자연스러워진다. 한편 조선 후기 토끼전에서 사건의 발단은 <구토설화>에서의 ‘용녀의 병’이 아니라 ‘용왕의 병’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조짐은 18세기 후반 조재삼의 『송남잡지(松南雜識)』에서부터 엿볼 수 있다. 조선 후기의 토끼전은 소설과 판소리로 향유되면서 매우 다양한 이본들을 파생시킨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용왕은 남해․동해․북해․경하수용왕(涇河水龍王)으로 토끼전의 이본에 각각 설정되면서 작품군을 이루며 나름의 전형성을 확보하게 된다. 토끼전의 대다수 이본(異本)과 현재 불리는 판소리 수궁가에서 용왕은 남해 광리왕이며, 그 외 이본에서는 동해 광연왕, 북해 광택왕, 경하수용왕이 등장한다. 남해용왕 광리왕은 『전등신화』 <수궁경회록>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며, 동해용왕 광연왕도 잠시 언급된다. 그 외의 용왕은 16세기 중반 조선에서 주석서로 간행된 『전등신화구해』에서 확인된다. 특히 토끼전의 모든 이본에서 육지의 토끼를 유인해오는 역할을 맡는 용왕의 신하로 별주부가 언급되는데, 이 별주부도 『전등신화』 <수궁경회록>에서 처음 확인되는 인물이다. 한편 토끼전의 이본 중 경하수용왕이 등장하는 작품군이 있는데, 이러한 작품에서 경하수용왕은 옥황상제의 명을 어기고 비를 잘못 주게 되어 참수를 당하게 된다. 그리고 그의 아들인 용자(龍子)가 왕위를 이어 수궁을 다스리는 것으로 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background to create the Story of a Rabbit focusing on the Dragon King of the Sea. The Dragon King of the Sea in the Story of a Rabbit is as important as a rabbit or a terrapin. An accident in the Story of a Rabbit begins from a disease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Story of a Rabbit show change of themes according to how the Dragon King of the Sea appears. The Dragon King of the Sea is not important like the rabbit or the terrapin but his existence is very important. The Dragon King of the Story of a Rabbit appears in <Gutoseolhwa(龜兎說話)>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三國史記)』 which is its source tale(根源說話). The Dragon King of the Sea in <Gutoseolhwa> is the existence whose level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crocodiles, terrapins, and dragons (虯) set as underwater characters in the Buddhism tales of India and China in the previous periods. The Dragon King of the Sea in <Gutoseolhwa> has usually been referred as acceptance of 'the tales about the underwater palaces of the Dragon Kings' in the past discussions. This implies that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yeo and China in the 12th century, the period that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as compiled was not considered. The many tales related to the Dragon King of the Sea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Jeon-gi(傳奇)』 and 『YuyangJapjo(酉陽雜俎)』 compiled after the 9th century, the latter part of the Tang(唐) Dynasty or 『Taepyeonggwanggi(太平廣記)』 done in the middle of the 10th century, the early part of the Sung(宋) Dynasty. Especially, setting like a disease of a daughter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and a palace in an island on the sea is the same as that of <Gutoseolhwa>. Above all, the point that the Dragon Kings of the Seas in these Chinese tales are escaping from Buddhism is remarkable. The comments of 『Taepyeonggwanggi』 were checked in the records of Koryeo in the early part of the 12th century. Then, 『Jeon-gi』 and 『YuyangJapjo』 which were compiled earlier than 『Taepyeonggwanggi』 were more likely to flowed into Korea earlier.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like Kim, Busik who is the compiler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pored over these literature. Therefore, Appearance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and his daughter is more natural to be read in the flow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yeo and China than acceptance of 'the tales about the underwater palaces of the Dragon Kings'. On the other hand, the root of the accident in the Story of a Rabbit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is changed by a disease of the Dragon King of the Sea, not a disease of his daughter in <Gutoseolhwa>. This sign can be shown in 『Songnamjapji(松南雜識)』 of Jo, Jaesam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tory of a Rabbit in the second part of the Joson Dynasty derived many different versions as people enjoyed it through novels and Pansori. However, the Dragon King of the Sea got to secure his own stereotype composing the work group as he was set as the Dragon King of the Sea in the southern, eastern, northern sea and Gyeonghasu(涇河水) in each different version of the Story of a Rabbit. The Dragon King of the Sea is King Gwangri of the Dragon King of the Southern Sea in the most different versions of the Story of a Rabbit and Sugungga(水宮歌), Pansori which is now sung and appears in the other different versions as King Gwangyeon(廣淵) of the Dragon King of the Eastern Sea, King Gwangtaek(廣澤) of the Dragon King of the Northern Sea, and the Dragon King of the Sea in Gyeonghasu(涇河水). King Gwangri(廣利) of the Dragon King of the Southern Sea plays the important role in <Sugunggyeonghwoirok(水宮慶會錄)> of 『Jeondeungsinhwa(剪燈新話)』. And King Gwangyeon of the Dragon King of the Eastern Sea was also mentioned in it. The other Dragon Kin...

      • KCI우수등재

        ≪토끼전≫에서 19세기 별주부의 등장에 대한 고찰

        이진오(Lee, Jin O)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9

        ≪토끼전≫은 다양한 작품명을 갖는다. 또한 토끼와 별주부 두 주인공의 비중에 따라 서사의 전개가 달리 진행된다. ≪토끼전≫에서 두 인물의 역할이 작품에서 어떠한 비중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이본(異本)의 성격이 좌우되기도 한다. ≪토끼전≫의 이본과 제명(題名)이 유달리 많은 것은 두 주인공의 비중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토끼전≫의 이본(異本) 중에서 별주부가 등장하지 않는 작품은 없다. 용왕의 신하로 토끼의 간을 구하러 육지를 오가는 인물은 12세기 중반 간행된 『삼국사기(三國史記)』 소재 <구토설화(龜兎說話)>에서부터 언급된다. 이후 16세기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서도 관련 설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문헌설화에서 용왕의 신하는 판소리 수궁가와 소설본의 별주부가 아니라 거북이다. 따라서 별주부의 등장은 ≪토끼전≫이 판소리와 소설로 성장하는 데에 주요한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토끼전≫의 판소리와 소설에서 별주부의 등장 시점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는 유한준의 <광한부(廣韓賦)>, 조재삼의 『송남잡지(松南雜識)』의 기록,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 이유원의 <중산군(中山君)>, 송사소설(訟事小說) <와사옥안(蛙蛇獄案)>의 삽화를 꼽을 수 있다. 이들 자료를 분석해보면, 19세기 중반에야 ≪토끼전≫에 본격적으로 별주부가 등장하였으며, 수궁의 서사 확대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별주부의 등장 배경을 작품 외적인 요인에서 찾아보면, 전등신화의 전래와 전등신화구해의 간행 그리고 저변 확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전등신화』 <수궁경회록>에서 남해 광리왕, 별주부, 원참군, 적훈공 등의 인물은 ≪토끼전≫에 차용되었는데, 특히 남해 광리왕과 별주부는 19세기 무렵 ≪토끼전≫에서 수궁의 주요인물로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 주부(主簿)라는 종6품의 관직은 왕의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참상관(參上官)이면서, 말단의 당하관(堂下官)이었다. 주부는 외국 사신의 통역관, 의료, 빈민구제와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주무관이었으며, 조선후기 서민들을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혜민서(惠民署)와 같은 관청에서도 근무하였다. 조선시대 주부(主簿)는 그 관직이 갖는 역할과 속성 때문에 ≪토끼전≫에 좀 더 쉽게 수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토끼전≫에서 별주부의 등장을 당연시 여긴 경향이 있다. 별주부는 19세기 ≪토끼전≫에 주인공으로 수용되면서 ≪토끼전≫의 수중인물과 수궁 서사의 확장에 파급력을 가져왔다. 본고에서는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별주부의 등장 배경을 검토하여, 별주부가 ≪토끼전≫에 정착한 과정을 명료하게 설명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ere are lots of titles for ‘Tokkijeon(The Story of a Rabbi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wo main characters, a rabbit and Byeoljubu(鱉主簿). It is not that ‘Tokkijeon’ develops with a single character, but tha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a rabbit and Byeoljubu, the direction of the story becom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the two characters, the nature of different versions differs. The reason why there are two many different versions and titles for "Tokkijeon" is the weight of the two main characters. Among the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there is not a version that does not include Byeoljubu. The servant of a underwater castle who go back and forth between land and sea in order to find a liver of a rabbit is found in 〈a tale of a turtle and a rabbit(龜兎說話)〉 in 『Samguk Sagi(三國史記)』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It is also mentioned in 『Daedongunboogunok(大東韻府群玉)』. However, in these literature tales the servant of the dragon king is not a turtle in Sugungga Pansori, but Byeoljubu. The appearance of Byeoljubu become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okkijeon’ establishes itself as a novel and Pansori. Among the 19th century data which indicate that Byeoljubu appears in a novel and Pansori, there are 〈Gwanghanbu(廣韓賦)〉 by Yoo Han Jun, 『Songnam magazine(松南雜識)』 by Jo Jae Sam, 〈Gwan Woo Hee(觀優戱)〉 by Song Man Jae, 〈Jungsangun(中山君)〉 by Lee Yoo Won, 〈Wasaokan(蛙蛇獄案)〉, a story about a suit. Analysis of these data shows that it was only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at Byeoljubu appeared in ‘Tokkijeon’ and the story of a underwater castle expanded with the appearance of Byeoljubu.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Byeoljubu was examined in the external aspects of the work. First, the main characters of ‘Tokkijeon’ are related with the passing-down of 『JeondungShinwha(剪燈新話)』 and publication of 『JeondungShinwha Commentary(剪燈新話句解)』. Characters of South sea king Gwangri, Byeoljubu, Wonchamgun(黿參軍), and Jeokhongong (赤勳公) in 『JeondungShinwha』 〈Sugunggyeonghoerok(水宮慶會錄)〉 are adopted in ‘Tokkijeon’. In particular, South sea king Gwangri and Byeoljubu were found to be established characters in ‘Tokkijeon’. However, that does not fully explain why Byeoljubu appears in ‘Tokkijeon’. The official position called ‘Jubu(主簿)’ of Joseon(朝鮮) era was a low-ranking official of the Jong 6th grade of Chamsanggwan(參上官) who were able to participate in meetings presided over by a king. Jubu(主簿) was an assistant director in charge of being an ambassador, interpreter, and medical official, and worked in an office like Hyeminsuh(惠民署) where they were able to see ordinary people closely of the late era of Joseon. Because of the nature and role of the position, Jubu(主簿), the acceptance of ‘Tokkijeon’ was made easy. Byeoljubu have had effects of expanding underwater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of underwater castle stories as it became the main character of ‘Tokkijeon’ in the 19th century. As the role of Byeoljubu is emphasized, a different version of ‘Tokkijeon’ where loyalty of Byeoljubu is emphasized. Up until now, the appearance of Byeoljubu have been taken for grante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a Byeoljubu, which has been ignored, and clearly explained the processes of a Byeoljubu"s establishment as a main character.

      • KCI등재

        고전의 계승과 동화의 형성 - <토끼전>을 중심으로 -

        오현숙 ( Oh Hyunsook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이 논문은 <토끼전>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의 고전문학이 근대적인 아동문학으로 계승되며 변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근대 이후 <토끼전>을 비롯한 고전문학은 급속히 소멸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실증적인 방식으로 검토한 결과, <토끼전>은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근대 아동문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양식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전환은 크게 세 가지의 미학적 특성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째, 근대 다중 미디어의 대두에 따라 <토끼전>은 비단 소설 뿐 아니라, 연극이나 동화, 아동극 등의 다양한 양식으로 분화된다. 둘째, <토끼전>의 구술성과 음악성은 이 시기 가창과 율독의 활자화를 통해 아동문학에서 풍부히 계승된다. 셋째, <토끼전>의 변환 과정에서 근대 아동문학이 지니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복합감각이 구현되어 문자는 물론, 삽화 등의 시각적 이미지나 수용자의 능동적인 연희활동 등을 매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기존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간의 단절론적 관점은 물론,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기원을 제국문화의 일방적인 ‘이식’의 과정으로 해명하려는 전파론적 관점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eing inherited and transformed into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argeting < Tokijeon(토끼전) >. In general, it is tru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 Tokijeon(토끼전) >, has been recognized as rapidly disappearing since modern times.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in an positivist method, < Tokijeon(토끼전) >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1900s to the 1920s, and tends to shift to a new style. This conversion was largely accompanied by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First, according to the rise of modern multi media, < Tokijeon(토끼전) > i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styles such as plays, modern fairy tales, and childre’’s plays as well as novels. Second, the oral and musicality of < Tokijeon(토끼전) > is abundantly inheri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the printing of singing during this period. Thir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 Tokijeon(토끼전) >, a complex sense,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ends to mediate visual images such as letters as well as illustrations and active performance activities of audiences. This fact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importance in that it not only shows the disconnected view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but also shows the limitations of the propagatory view to explain the origin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s a one-sided “transplant” process of imperial culture.

      • KCI등재

        <토끼전>에서 육지위기와 토끼포획의 공존과 그 의의

        최광석 ( Kwang Seok Choi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토끼전> 이본 가운데 <경판토생전>, <토별산수록>, <정권진창본>에는 `육지위기`와 `토끼포획`이 공존한다. 공존의 양상과 내력, 그리고 <토끼전>의 역사적 전개에서 공존이 갖는 의의를 찾아보려 했다. <경판토생전>에는 `그물위기`와 `토끼포획`이 공존한다. <경판토생전>은 판소리 지평에 친숙한 향유층과 독서물에 친숙한 독자층을 모두 끌어들이기 위해 `그물위기`와 `토끼포획`을 함께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번각 또는 개각의 목적이 축약을 통한 출판비 절감이라는 점에서, 두 지평의 공존은 <경판토생전>의 원판을 새길 때였으며, 현재 형태보다 확장된 형태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물위기`는 <토별산수록>의 모본계 또는 <교토탈화> 설화에서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고, `토끼포획`은 행문 및 토끼포획 방법의 유사성으로 볼 때 <토별산수록>의 모본계보다는 <국도본토생전>의 모본계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토별산수록>과 <정권진창본>은 {육지위기}와 `토끼포획`이 함께 들어 있다. <토별산수록>은 연행물을 독서물화한 이본이므로 {육지위기}는 연행물 계열에서 왔다. `토끼포획`은 현전 <토생전> 계열의 모본계나 미지의 이본에서 왔을 가능성도 있는데, 이처럼 <토생전> 계열과 <토별산수록> 계열의 관계는 모호하다. 한편 <정권진창본>의 `토끼포획`은 보성소리의 완성자로 보이는 정응민이 토끼포획 계열을 참고하여 생성시킨 것으로 보인다. <경판토생전>과 <토별산수록>에서 `육지위기`와 `토끼포획`이 공존하는 현상은 육지위기 계열 생성 이후, 토끼토획 계열의 생성 이전의 과도기적 형태이고, 강산제 수궁가에서 두 지평의 공존은 후대적 교섭 양상으로 추정된다. 토끼포획 계열의 생성은 <토끼전>의 역사적 전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었으므로, 두 지평의 공존은 <토끼전>의 발전 가능성을 내포한 것이자 토끼포획 계열의 자장이 확장을 가능하게 한 바탕이라 할 수 있다. There are several variant versions with Which have `crisis in the land` and `recapturing the hare` in <Tokkijeon>`s. They are <Kyeongpantosaengjeon>, <Tobyeolsansurok>, and <Jengkwonjinchangbon>. `Crisis in the land` involves `crisis be caught in the net` and `crisis be caught by eagle`. <Kyeongpantosaengjeon> only has `crisis be caught in the net` of `crisis in the land`. <Kyeongpantosaengjeon> was shortened version for publication cost. On the evidence of the aim of abbreviation, we can presume that <Kyeongpantosaengjeon> has `crisis be caught in the net` and `recapturing the hare` from it`s original version. We presume that <Kyeongpantosaengjeon>`s `crisis in the land` was accepted from <Kyeongpantosaengjeon>, or it`s quite the reverse. And we presume that the `recapturing the hare` was accepted from <Kukdobontosaengjeon>. <Tobyeolsansurok> and <Jengkwonjinchangbon> has `crisis in the land` and `recapturing the hare`. <Tobyeolsansurok> is reading which comes from performance script. So, it`s `crisis in the land` also comes from performance script. It seems that <Jengkwonjinchangbon>`s `recapturing the hare` was created by Jeong Ung Min who was Boseongsori singer. We infer that he referred the reading-harecapture descent, because of his erudition and <Chunhyangjeon> Judging from the above-discussed, coexistence of `crisis in the land` and `recapturing the hare` in <Kyeongpantosaengjeon> and <Tobyeolsansurok> is a transitional aspect. But in <Jengkwonjinchangbon>, it is jointed aspect of two descents. So, coexistence of two descent involv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the extension of the magnetic field.

      • <토끼전> 이본을 활용한 문학의 생산 교육 방안 연구

        조혜연 ( Cho¸ Hye Ye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이 연구에서는 <토끼전>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토끼전>의 이본별 다양한 결말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문학의 생산 영역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토끼전>은 수많은 이본과 그에 따른 다양한 결말이 특징인 작품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문학의 생산 교육과 매체 교육과의 통합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주체적·능동적으로 소설 향유의 다양한 맥락과 의미를 파악하는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끼전>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수록 양상을 토대로 <토끼전> 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토끼전> 교육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토끼전>의 교육적 가치를 다음의 세 가지로 보았다. 첫째, <토끼전> 이본이 지닌 다양한 결말에서 당대인들의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주체적·능동적 독자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둘째, <토끼전> 이본의 향유 맥락을 통해 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문학의 생산 교육적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토끼전> 이본이 지닌 매체 변환의 특성과 연계한 매체 교육과의 통합 교육을 기대해보았다. 이와 같은 <토끼전>의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토끼전>의 이본에 관한 정보를 보완하고, 문학의 생산 영역과 연계하면서 매체와의 통합 교육으로 구성하는 방향으로 <토끼전>의 교수·학습 방안을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토끼전>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스토리보드 제작’과 ‘매체를 활용한 <토끼전> 이본 기획안 작성’ 수업이다. 이 교수·학습 방안의 핵심인 문학 텍스트를 미디어 텍스트로 재생산하는 활동을 통해 <토끼전>의 특성을 직접 체험하여 느끼고 달라진 문학의 수용 및 생산 방식이나 미디어 시대에 새롭게 부각된 소통 장르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patterns in the textbook contents of Tokkijeon for each period of curriculum have been reviewed, and a plan for education in the production field of literature was suggested, by making educational use of various endings for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Tokkijeon is a work characterized by a number of different versions and various endings, and it can be an educational tool for students to independently·actively grasp the diverse contexts and meanings of novel enjoyment, through the integration of production education of literature and media education, a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patterns in the textbooks of Tokkijeon were first analyzed for each period of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values of Tokkijeon wer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t was considered that readers could grow to be independent and active,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the people of the time in the various endings of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Second,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education of literature suitable for the media age was discovered, through the context of enjoyment of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Lastly, an integrated education with media education is anticipated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ransformation that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have. In order to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Tokkijeon, two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Tokkijeon were suggested in the direction of supplementing information on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and composing integrated education with media while linking it with the production area of literature. A class of interactive contents storyboard production with Tokkijeon and a class to write a different version of Tokkijeon using media were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okkijeon can be directly experienced and felt, and the acceptance and production methods of changed literature, or the new genre of communication that emerged in the media era can be widely accepted, through these activities of reproducing literary texts as media text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트릭스터 토끼 설화군의 계통 -발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기호 ( Ki H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한국 토끼 설화군의 계통에 등장하는 토끼는 다가치적인 성격을 띤 인물이다. 다층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찍부터 구비문학 연구자들은 토끼를 트릭스터로 규정해 왔다. 그런데 선행의 연구자들은 토끼를 트릭스터로 규정하고 그 본질과 의미를 구명하려고 했을 뿐 토끼 설화군의 계통(系統)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다. 그리하여 상이한 두 유형의 이야기들이 동일 범주에서 논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우선 발달론적 관점에서 어떠한 종류의 유형들이 토끼 설화의 계통을 통해 전승되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계통을 통해 전승된 유형들이 트릭스터와 관련하여 어느 것이 전형적인 것이고 어느 것이 변형된 것인가를 알고자 했다. 이들을 분석하기 위해 발달론적 관점과 비교론적 방법을 원용하였다. 분석과 논의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토끼 설화군의 계통이 자기중심성을 보이는 토끼 이야기 유형과 탈중심화 된 토끼 이야기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달론의 관점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계통의 순서와 관련하여 자기중심성의 토끼 이야기가 탈중심화 된 토끼 이야기보다 선행한다는 점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 토끼 설화군이 언제나 단일한 성향을 유지해왔던 것이 아니라 통시적으로 자기중심적 성격에서 탈중심화 된 성격으로 질적인 변화와 정화를 겪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기중심적 토끼 이야기가 전형적인 트릭스터 이야기이며 탈중심화 된 토끼 이야기는 부분적인 완성도를 갖춘 트릭스터 이야기라는 것을 비교론적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기중심적 토끼 이야기인 <토끼와 호랑이와 할머니>의 토끼와 북아메리카 원주민인 폰카족(族)의 이쉬니티카와 위네바고족의 왁준카가가 전형적인 트릭스터로서 일치하였다. 탈중심화 된 토끼 이야기인 <호랑이 잡은 토끼의 꾀>의 토끼와 북아메리카 원주민인 위네바고족(族)의 토끼 이야기의 토끼가 부분적인 트릭스터 이야기로서 일치하였다. 이러한 사실이 의미하는 것은 한국 토끼 설화군(群)에 등장하는 토끼들을 동일한 성격의 트릭스터 유형으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셋째 전형적인 트릭스터 토끼 이야기가 기원적인 것이며 부분적인 완성도를 갖춘 트릭스터 이야기가 후대의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중심적 성격을 갖는 전형적인 트릭스터 토끼 이야기가 후대로 전승되면서 변형과 정화를 거쳐 질적 변화를 일으키고 그 결과로 탈중심화 된 성격을 갖는 부분적인 트릭스터 토끼 이야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질적 변화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탈중심화된 특징을 보이는 일련의 성격들이 선행하는 기원적 트릭스터 토끼 이야기를 정화하기 위해 끼어들기를 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충분한 완성도를 갖춘 트릭스터 형태가 부분적인 완성도를 갖춘 형태가 된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 토끼 설화군의 계통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트릭스터 토끼 설화의 본질과 의미의 구명 작업에 선행하여 이루어지는 대상 선택 과정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to inquire into what types of folktale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genealogy of rabbit tales from the developmental viewpoint. And also, this thesis tries to find out what the typical is, and what the typical is not in relation with a Tricker, among such transmitted types of folktales, For doing this analysis above, the developmental viewpoint and the comparative method a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the genealogy of the Korean rabbit tales can be divided into decentralized types and egocentric types. It is possible to draw an analogy that the latter proceeds the former in relation with their order of the genealogy. Secondly, it is confirmed that the egocentric rabbit tales are the typical tales of a Trickster, and the decentralized rabbit tales are a Trickster tale which has a quality of partially-completed level by a comparative methodology. It means that the rabbits that appeared in the group of Korean rabbit folktales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 identical type of a Trickster. Thirdly, the typical tales of a Trickster are an original tale, and Trickster tale which has a quality of partly-completed level is a later tale. As the former is transmitted into the next generations, going through the change in form and in quality by its own purification, and finally, the former becomes the latter. The indispensible reason for these changes is the step-in of a serious of decentralized characteristics into the proceeding original tales to purify them. Such results of analysis are helpful to the understanding of genealogy of the Korean rabbit tales, and also provides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material selection which is accompanied before an inquiry of the essential meaning for the Trickster rabbit tales.

      • KCI등재

        한문본 <토끼전> 신(新) 자료 소개와 그 구성 특징

        김성철 ( Kim Sung-chul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6 No.-

        <토끼전>은 근원설화로부터 확장된 이야기이다. 이야기가 확장되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로 출현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처음소개하는 원광대학교 소장 『토전(兎傳)』은 한문본 <토끼전> 중에서 서사가 가장 길게 확장된 작품이다. 대부분의 <토끼전>은 토끼가 수궁에 다녀온 사건이 한 번만 등장한다. 하지만 『토전(兎傳)』을 비롯한 몇 개의 작품에서는 토끼가 다시 수궁에 들어가는 이야기가 추가되어 있다. 이 논문은 확장된 부분에서 진행되는 사건을 중심으로 『토전(兎傳)』의 구성 특징을 밝히려는 시도가 담겨 있다. 물론 기존의 한문본 <토끼전> 연구의 성과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토전(兎傳)』의 구성 특징을 세 가지로 제시했다. 여타의 한문본 <토끼전>과 유사하게 『토전(兎傳)』에서도 ‘토끼 화상’이 소거되어 있다. 토끼의 용모를 이미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토끼의 용모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비록 수계와 지상계로 격리되어 있지만, 완전히 단절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첫번째 특징이다. 『토전(兎傳)』에서는 용왕의 무능함을 희화화 하여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용왕이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비판하는 것으로 선회하였다. 토끼에게 속아서 토끼를 놓아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형벌을 내리는 것을 참지 못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법 집행의 엄정함을 근거로 절대 권력자를 비판하는 것이 두 번째 특징이다. 마지막 특징은 확장된 부분에서 중점적으로 확인된다. 토끼 재귀(再歸) 서사는 전반부의 이야기보다 차별되는 내용을 보여줘야만 한다. 동일한 수법으로 다시 수계를 벗어나게 서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약적인 환경 속에서 선택한 것은 논변을 통한 난관을 타개하는 방식이다. 이상의 세 가지 특징이 『토전(兎傳)』의 서사가 확장되면서도 유기적으로 읽힐 수 있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Tokkijeon(The Story of a Rabbit) is an extended story from the origin fables. As the story expands, various versions have emerged naturally. Tohjeon in Wonkwang University Library is introduced first in this paper. Tohjeon is the longest extended narrative among the textbooks of Tokkijeon written in chinese letters. Most of Tokkijeon, rabbits go to the Palace in Ocean once only appears. However, in some works, including Tohjeon, the story of rabbits entering the palace again is added.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hjeon, focusing on the events in the extended part. In this paper, three characteristics of Tohjeon have been presented. Similar to other textbooks written in chinese letters, "rabbit image drawing" is also deleted from Tohjeon. Because they already know the appearance of the rabbit.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to check the appearance of the rabbit means that it is not completely disconnected, although it is isolated by the ‘water world’ and the ‘ground world’. This is the first feature. In Tohjeon, characters do not criticize the incompetence of King of Ocean, but rather criticize the process of making wrong decisions. It does not end with releasing the rabbit but criticizes it for not being able to endure wrong punishment. Criticize the absolute power based on the strictness of law enforcement. This is the second feature. The final feature is highlighted in the extended section. The story of a rabbit returning to the palace must show more discrimination than the first half. The feature revealed in this section is a way to break through the difficulties through the argument.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re the factors that make the narrative of a expanded and readable organically.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

        마성은(??恩)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통일시대에 걸맞은 아동문학을 준비하려면 어떤 편견이나 사상・이념 등에 매몰되지 않은 채 북측 아동문학의 관점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온전한 계보・정전을 모색하려면 남북이 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가・작품을 내세워야 한다. 본고는 바로 마해송이 그런 작가이며, 그의 동화 「토끼와 원숭이」야말로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남북이 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품임을 논했다. 작품에서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친일파・친미파・친소련파를 풍자한 것이다. 토끼가 토끼로 살지 못하고 원숭이가 되려 하건 뚱쇠가 되려 하건 센 이리가 되려 하건 모두 노예근성일 뿐이다. 토끼는 어디까지나 토끼로 살아야 하며 그것이 자주성이다.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자주적인 사상의식을 가지지 못할 때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 살지 못하고, 노예근성에 빠져서 살 수밖에 없음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토끼나라를 강점했던 원숭이들이 쫓겨난 뒤에 토끼나라는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해야 했다. 그러나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변함없이 자주적 입장과 근본적으로 상반・대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노예근성을 풍자・비판하며, 아동 독자들에게 자주성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작품에서 노예근성을 비판하고 자주성을 강조한다는 점은 북측 아동문학에서 거듭 강조하고 있는 바와 일치한다. 따라서 「토끼와 원숭이」는 남북이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합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는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면서 통일과 민주주의를 지향했던 당시 마해송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는 작품으로서, 작가는 우리 땅에 주둔하고 있는 외국 군대와 그들을 하느님처럼 떠받드는 노예근성이 통일과 자주적인 독립국가 건설의 걸림돌임을 지적했다. 북측의 관점에서 볼 때 토끼들은 스스로 주인이 되지 못하고 그 어떤 특별한 존재, 외세에 기대를 가지는 태도의 문제점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가 완성된 1947년으로부터 3년 뒤, 토끼나라로 상징되었던 한 (조선)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다. 토끼나라와 다를 바 없이 참혹한 광경이 이 땅에 펼쳐졌으며, 무엇보다도 그 전쟁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작품이 제3차 세계대전이나 핵전쟁을 예견한 것이라는 해석도 흥미롭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불과 3년 뒤에 한(조선)반도에서 일어날 전쟁을 예견했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광복 이후에도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하고, 남과 북으로 갈라진 채 외국 군대가 계속 주둔해 있다면 결코 전쟁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토끼들은 뚱쇠와 센 이리를 찾아가서 평화를 호소했다. 하지만 자주성을 실현할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한 상태에서 평화를 호소하는 것은 전쟁을 막을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작가가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자주가 평화의 전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이 함께 「토끼와 원숭이」를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내세우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역사적인 첫 걸음이 될 것이다. In order to prepare a complete genealogy and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both Koreas should present writers and works that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is study proved that Ma Haesong is such a writer, and that his children’s story The Rabbit and the Monkey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at both Koreas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are a satire on pro-Japanese, pro-American and pro-Soviet collaborators. It’s a servility that rabbits can’t live as rabbits and try to become other animals. The rabbits must live as rabbits and that’s independence. In North Korea, it will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at people can’t live as owners of their own destiny unless they have independence. After the monkeys who forced upon the rabbit country were driven out, the rabbit country had to build its own independent country. However,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remain opposed to independence. Therefore, North Korea will evaluate this work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to children’s readers, while satirizing and criticizing a servility. Criticizing a servility and emphasizing independence in this work is like repeatedly emphasizing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Therefore, it’s likely that both Koreas agree that the work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e Rabbit and the Monkey reflects the Ma Haesong’s ideas for unification and democracy while advocating progressive democracy. Ma Haesong criticized the foreign military stationed in our land and a servility supporting them like God as a stumbling block to un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nation. In North Korea, the rabbits will be judged by showing their attitude that they are not owners of themselves and are expected of foreign power. Three years after The Rabbit and the Monkey was completed in 1947, war broke out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symbolized as the rabbit country. Just like the rabbit country, a horrible sight unfolded on this land. First of all, the war is still not over. It’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work predicted World War III or nuclear war. But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at it predicted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st three years. The key point is that the war can’t be avoided if the foreign military remains in the presence of foreign forces, as it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after independence. The rabbits appealed for peace. However, without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to realize independence, appealing for peace could not stop the war. Through this process, the writer emphasize that “independence is a precondition for peace.” Therefore, it would be a historic first step in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for both Koreas to jointly present The Rabbit and the Monkey a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 KCI등재

        한ㆍ일 동물 속담 대조 연구 ‒ 토끼를 소재로 한 속담을 중심으로 ‒

        한탁철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토끼를 소재로 한 한・일 양국의 속담을 토끼의 신체 특징과 관련된 속담, 토끼의 생활습성과 관련된 속담, 교훈이 있는 우화와 관련된 속담, 토끼사냥과 관련된 속담, 그 외 속담으로 분류하여 대조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경우 토끼 습성에 관련된 속담(35%)과 토끼 사냥에 관련된 속담(30%)이 많이 나타난 반면, 일본의 경우 토끼 사냥에 관련된 속담(27.5%)과 기타 속담(27.5%)이 같은 비율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5가지로 분류한 속담을 한・일 대응이 있는 속담과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속담, 일본에서만 나타나는 속담으로 다시 분류하여 대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일 대응이 있는 속담을 살펴본 결과, 토끼의 습성과 관련된 속담과 토끼 사냥에 관련된 속담이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는 양국의 속담이 토끼의 습성과 토끼를 사냥하는 인간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사람들에게 해학과 교훈을 주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한・일 대응이 없는 속담들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경우, 토끼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달과 관련된 속담 표현이 나타나나, 한국의 경우 달과 관련된 표현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한국의 경우 토끼는 강한 동물에 대비된 약한 동물의 대표적인 존재로 등장 하는 용례들이 나타나는데 일본의 경우 그런 속담 표현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본의 경우 중국의 고전에서 생겨난 속담이 많이 나타나는 것에 반해 한국의 경우 일상에서의 비유 표현으로 해학을 나타내는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y uses a rabbit as the subject matter in order to analyze Korean and Japanese proverbs.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rabbit’s physical characteristics, living patterns, tales offering life lessons, rabbit hunting and special metaphors as they relate to the proverbs. The results for Korea showed that there was 35% for proverbs related to rabbits’ natural behavioral tendencies and 30% for rabbit hunting related proverbs. On the other hand, in Japan’s case, there was 27.5% proverbs related to rabbit hunting and 27.5% other proverbs. The five categories above can further be grouped into the following: proverbs that have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commonality, proverbs that appear only in Korea and proverbs that only appear in Japan.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Korean and Japanese proverbial commonality, there was a high degree of commonality among the natural behavioral tendencies of rabbits and rabbit hunting related proverbs. It seems that both countries’proverbs pertaining to rabbits’ natural tendencies and rabbit hunting seeks to figuratively express these sayings in order to provide humor and life lesson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or the proverbs that had no commona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 for Japan, there appears proverbs related to the moon which is the symbol for a rabbit;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such an expression related to the moon. Second, in the case of Korea, there appears examples of rabbits being symbolized as weak animals when compared against strong animals. However, in Japan, there is no such proverbs. Third,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proverbs originating from Chinese classics; whereas, in the case of Korea, there seems to be an abundance of metaphoric expressions used for humor in people’s everyda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