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ОБУЧЕНиЕ ЧТЕНиЮ НА 3АНЯТИЯХ ПО РУССКОМУ Я3ЫКУ. РАБОТА С ТЕКСТОМ

        K. A. Депонян 수원대학교 2006 論文集 Vol.24 No.-

        러시아어를 공부하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있어서 러시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주요 방안 중 하나는 "텍스트 읽기"이다. 그러나 언어환경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텍스트 읽기"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러시아어 수업 중 "읽기"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법, 연습문제 유형, 텍스트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는 데 있다. 텍스트 분석은 세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종합문제를 포함하는데, 이는 학습자들에게 텍스트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독자적인 발화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텍스트 분석 전 단계에서는 "읽기" 준비가 이루어진다: 강세 및 억양 확인, 발음연습, 어휘문법적인 어려움 해소, 의미 유추 연습, 잠재적인 어휘 확장 등이 이루어진다. 텍스트 분석단계에서는 텍스트에서 주요 정보 추출 능력을 길러주는 훈련을 실시한다. 텍스트 분석 후 단계에서는 텍스트의 주제, 주요 아이디어 및 슈제트, 등장인물의 성격 파악 등 텍스트 내용의 주요 요소를 밝힌다. 본 단계에서의 "읽기"는 "말하기, "쓰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발화활동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 한다. 이와 같은 읽기 과정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능력을 터득할 수 있다: Ⅰ. 읽기 1) 사전을 참조하지 않고 중간 속도로 정독 및 묵독을 할 수 있다; 2) 1독 과정에서 텍스트의 내용을 약 90% 정도 파악할 수 있다; 3) 텍스트 내용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4) 텍스트의 주요 등장인물과 사건을 파악할 수 있다. Ⅱ. 말하기 1) 최소한의 어휘/문법을 파악할 수 있다; 2) 텍스트의 슈제트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3) 주인공의 행동과 사건에 대한 평가, 입증, 반박 및 확인 등의 능력을 기를수 있다. 4) 텍스트 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힐 수 있다; 5) 작가의 입장을 밝힐 수 있다; 6) 읽은 텍스트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힐 수 있다; Ⅲ. 쓰기 1) 주인공들의 초상을 묘사할 수 있다; 2) 글을 쓰고 해설을 할 수 있다; 3) 슈제트의 방향에 따라 글을 이어날갈 수 있다. 한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일반적으로 한국어에는 없는 소리들을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읽을 때 낮은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개별적인 문장을 번역할 때에는 학생들에게 이해되지 않는 문법적인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 텍스트 내용의 요약 발표, 반드시 자신의 견해가 포함된 발화 구성, 작가의 견해, 주인공들의 행위에 대한 평가 또한 학생들에게는 어려움을 가져다 준다.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모든 어려움을 해소하고, 텍스트 이해 및 분석단계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텍스트를 분석작업을 지도해야 한다.

      • KCI등재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이효인(Lee Hyo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담화 체계에 적합한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TOPIK 쓰기 문항에 적합한 쓰기 교육 방법으로 텍스트구조 유형과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TOPIK 쓰기 영역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담화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TOPIK 쓰기 문항 및 모범 답안의 텍스트구조 분석을 통해 TOPIK 쓰기 평가에 등장하는 텍스트구조 유형을 밝혔다. TOPIK 쓰기 53번 문항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은 ‘설명하는 글’이며,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와 ‘대응구조’ 혹은 ‘인과구조’가 결합한 복합 구조임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임을 밝혔다. 셋째, ‘나열구조’, ‘대응구조’, ‘인과구조’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구조 표지를 개념어와 연결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TOPIK 쓰기 교육을 위해 ‘텍스트구조 파악하기’, ‘텍스트구조 표지 선택하기’,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글 작성하기’로 이루어진 세 단계 ‘TOPIK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Among the TOPIK, the writing area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One of the reasons why foreign learners of Korean are finding it hard to writ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write a piece suitable for the Korean discourse system.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of writing training using text structure type and text structure labeling as a suitable method for writing TOPIK. To this end, the assessment of the TOPIK writing area was first analyzed. And the main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languag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ir writing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Korean discourse system, and the need for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learn the type of writing used by the Korean community. This paper revealed the type of text structure featured i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by analyzing the text structure of the TOPIK writing questions and best answers. The type of text required by paragraph 53 of TOPIK was shown to be a statement of text , and a text structure type was a combination of list structure and corresponding structure or cause and result structure . It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ext structure is list structure . Next, text structure mark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List Structure , Response Structure and Cause and Result Structure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erms, dividing them into conceptual and conjunctive terms. Finally, for effective TOPIK writing education using text-structure markers, three steps were proposed: Identify Text Structure , Select Text Structure marker and Write Text Using Text Structure marker .

      • KCI등재

        다상황적 현실, 텍스트해석과 설교의 계시성에 관한 연구 - 텍스트, 공동체, 삶의 유기체적 순환 -

        김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본 논문의 중요한 관점은 다상황적 현실, 텍스트해석과 설교의 계시성 확보를 위한 신학적, 실천적 특징들을 규정하는데 있다. 우리는 설교의 계시성을 다상황적, 다원주의 그리고 해석의 다양성이라는 공적 담론의 장에서 드러내야한다. 이것은 텍스트, 공동체, 삶이라는 유기체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텍스트는 그 자체로서 계시적 사건이며, 공동체는 전유적 해석을 통하여 예수의 이야기를 재 진술한다. 이것은 삶이라는 역사적이고, 현실적이며, 실존적 자리에서 구체적인 행동으로 드러나야 한다. 그러므로 설교는 삶으로 해석되는 역사가 된다. 즉 설교는 텍스트, 공동체, 삶으로서 유기체적 순환 관계 안에서 현재적 사건이며, 하나님 나라를 선취하는 사건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 공동체, 삶의 유기체적 설교가 설교의 계시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신학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첫째, 신과 인간 그리고 세계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계시의 실존성이다. 둘째, 역사라는 공간과 현재적 시간 안에서 시작은 마굿간-끝은 교수대의 역사성이다. 셋째, 종말론적 선취의 자리이며, 영원한 현재의 계시 현실성이다. 이러한 신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텍스트, 공동체, 삶의 유기체적 설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씀 그 자체로서의 신적 계시이다. 둘째, 거리두기(distance)와 흘려듣기(overhearing)의 역설이다. 셋째, 재-진술하기(re-description)이다. 넷째, 다시-상상하기(re-imagining)이다. 다섯째. 재-해석하기(re-interpreting)이다. 그러므로 텍스트, 공동체, 삶의 유기체적 순환으로서 설교는 ‘재-전유하기(re-appropriating)로서 실천적 삶’이다. 전유적인 해석은 세계를 ‘탈 은폐 시키는 텍스트의 힘’을 인정하는 것이며, 텍스트 그 자체가 계시하는 역설적 유비를 통하여 성례전적 삶으로 초대한다. 이것은 삶을 변혁 시키는 새로운 창조로서 세상을 섬긴다. The important aspect of this thesis is that it defin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multi-contextual reality, text interpretation, and to secure the revelation of the sermon. We must reveal the revelation of the sermon in the public discourse in a multi-contextual, both pluralism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This happens in the organic relationships of text, community, and life. The text itself is a revelatory event, and the community retells the narrative of Jesus through appropriative interpretation. This should be revealed as concrete action in the historical, realistic, existential position of life. Therefore, the sermon becomes a history interpreted as life. In other words, the sermon is the present event in the organic circulation relationship as text, community, life, and foretaste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e organic sermon of text, community, and life should have the following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aching in order to secure the revelation of sermon. First, it is the existence of rev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man and the world. Second, in the space of history and in the present time, the beginning is the stables - the end is the history of the gallows. Third, it is the space of eschatological anticipation, the reality of eternal present revelation. Based on thes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sermon of text, community, and life are firstly the divine revelation as the Word itself. Second, it is a paradox of distance and overhearing. Third, it is re-description. Fourth, it is re-imagining. fifth, it is re-interpreting. Therefore, The sermon as an organic circulation of text, community, and life is 're-appropriating as practicing life.' The appropriative interpretation recognizes the "power of the text as de-concealment the context" and it invites into the sacramental life through the paradoxical analogy revealed by the text itself. It serves the world as a new creation that transforms life.

      • KCI등재

        언론 담화에 나타나는 “사회 지도층 인사”에 대한 비판 담화분석적 연구

        김해연 ( Hae Yeon Kim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3 텍스트언어학 Vol.34 No.-

        우리는 지금까지 언론 텍스트에 나타나는 어휘 ‘사회 지도층 인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의 관점에서 그 의미와 용법을 밝히고, 또 언론 텍스트 분석에 있어서 비판적 담화분석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담화 또는 텍스트 분석은 특정 어휘나 구문의 의미와 문법성의 탐구를 기반으로 하여 텍스트의 응집성과 응결성을 조사하고 텍스트의 구조를 분석하여 텍스트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Beaugrande & Dressler 1981, Sanders & Maat 2006). 이와는 달리 비판적 담화분석은 텍스트의 생산에 나타나는 화자/필자의 의도성 또는 목적에 주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텍스트 연구와 대조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비판적 담화 분석에서는 언어 사용의 국면을 중시하고 텍스트 생산의 의도성을 밝히는 데에 있어서 힘/권력과 이념이 어떻게 텍스트에 나타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담화 분석의 이론과 방법의 관점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가 텍스트 상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 의미와 용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로, 본 연구는 비판적 담화분석의 이론과 기존의 연구를 간단히 소개하고 국내에서 비판적 담화 분석적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즉, 여기서는 비판적 담화 분석이 언어 자체의 문법적 특징을 분석하기보다 필자/화자의 텍스트 생산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텍스트의 전개가 달라지며, 또 텍스트에 나타나는 의도성은 힘과 이념에 따라 텍스트의 양상이 달리진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로, 본 연구는 ‘사회 지도층 인사’가 국어사전에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어휘를 합성명사로 다루지 않고 세 개 또는 네 개의 어휘로 나누어 의미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사전에서는 ‘사회지도층 인사’의 의미가 “객관적/중립적” 입장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회를 지도하고 이끌어가는 인사”로 정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사전적 정의가 언론담화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실제 담화 자료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셋째로, 본 연구는 인터넷 포털 네이버(naver)를 이용해서 ‘사회 지도층인사’가 나타나는 언론 텍스트를 검색하였다. 연구의 편의를 위해 여러 언론 텍스트 중에서 일간 신문을 중심으로 2013년 1월에서 4월말까지 예문을 검색하여 150개의 예문을 선정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를 조사한 결과, ‘사회 지도층 인사’ 가운데서 약 15회 10% 정도만이 사회봉사 활동이나 행사등을 보도할 때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모두 범죄와 비리에 대한 보도나 과거 행적에 대한 비난 또는 비판의 경우에 ‘사회지도층 인사’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통계는 ‘사회 지도층 인사’가 중립적, 객관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언론 매체가 텍스트를 생산할때 ‘사회 지도층 인사’가 어떠한 의도성을 가지고 사용된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지도층 인사’라는 어휘가 언론 담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사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로, 본 연구는 언론 텍스트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검토하였다. 즉, 언론 텍스트에서는 ‘사회 지도층 인사’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사회적 책무를 져야 한다는 당위적론적인 관점에서 언론 텍스트가 전개 된다는 점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의 당위론적 책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언론 텍스트는 ‘사회 지도층 인사’에게서 (i) ‘노블레스 오블리주’, 즉 사회적 책임과 의무, (ii) 높은 도덕적 순결성, (iii) 솔선수범의 정신, (iv) 사회봉사와 나눔 또는 기부의 정신 등의 당위론적 도덕적 덕목을 요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언론 매체들이 ‘사회 지도층 인사’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이와 같은 당위론적 책무와 관련하여 텍스트를 전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섯째로, 본 연구는 언론 텍스트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를 어떻게 보도하고 있는지를 비판적 담화 분석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언론 텍스트에서 ‘사회 지도층 인사’는 ‘유력 인사’, ‘권력층’, ‘부유층’, ‘특권층’ 등과 같은 어휘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한 이러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어휘의 사용은 ‘사회 지도층 인사’라는 어휘가 힘/권력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며 또한 힘과 지배와 관점에서 사건을 인식하고 그와 같은 관점에서 텍스트를 생산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같은 맥락으로 ‘사회 지도층 인사’를 ‘국민’, ‘대중’, ‘중산층’ 등과 같은 어휘들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어휘와 대비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언론 담화에서 이러한 대비적 어휘의 사용은 ‘사회 지도층 인사’의 문제를 사회계층을 이분법적 관점에서 보고 계층 간의 갈등과 지배와 피지배간의 힘/권력과 이념의 불균형 상태를 부각시키는 언론 매체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김해연 2011). 여섯째로, 본 연구는 언론 매체들이 ‘사회 지도층 인사’를 사회적 책무와 높은 도덕적 덕 This research aims to show how sahoy citochung insa “society-leading personages (SLPs)“ is used in media discourse, reflecting power and ideology relations among the members in a society. This study analyzes the lexical item in media texts in term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After presenting a brief overview of CDA, this study examines dictionary definitions of sahoy citochung insa, and how such “neutral and objective” definitions are altered in media discourse. Examination shows that most of the tokens of sahoy citochung insa are used when the power elites are criticized for the violation of noblesse oblige, illegal profit-gaining activities, crimes such as tax evasion and sex scandals. It also shows that the criticism against the SLPs reflects tensions in ideology and power between the wealthy vs. low-income social classes and power elites vs. common citizen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DA is a useful tool to characterize media texts by investigating ideologically-oriented words/phrases.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아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apter2, we investigated the generative principal in their diary text. As a resul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mpleted the diary text using the story structure. The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n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so they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In chapter3, we investigated the unique structure of the diary, i.e.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xt organization ability, they produced various types derived from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s a result, three types are induced : <episode> type, <setting-episode> type, <setting-episode-comment> type. Although they can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they can't handle this structure skillfully because they made mistake occasionally in seq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e episodes or events, or reversing the constituent of <setting-episode-comment>.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에 들어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 생성 원리와 구성 방식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시기 학생들은 구어 문법에는 익숙하지만,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문어 문법에는 아직 익숙지 않아서 맞춤법,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어휘의 선택이나 문장 쓰기, 나아가 텍스트 층위의 의미 내용과 구조를 구성하는 모든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시기 학생들은 아직까지 글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의미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기 텍스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일기의 기술 방식이 이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즉 학생들은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일기 텍스트를 생성해내는데, 이 이야기 구조를 문어 텍스트(written text) 형식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이 점차 발달하면서 일기 텍스트의 전형적인 구조인 <배경-일화-논평> 구조가 확립되었다. 즉, 텍스트 구성 능력이 미숙한 시기에는 일기 텍스트의 구성 요소인 <배경>, <일화>, <논평>이 모두 출현하지 못하고 결여된 구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초기에는 구성 요소들 간에 특별한 관계를 부여하지 못하고 <일화> 범주로만 텍스트를 구성하다가, 사건과 사건을 나열하는 데 인과적 연결에 집중하면서 <배경-일화> 구조로, 다시 이 구조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덧붙임으로써 일기를 마무리하는 방식인 <배경-일화-논평> 구조로 발달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 구성 능력에 따라 1단 구성에서 3단 구성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띠지만,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배경>, <일화>, <논평>의 순서를 뒤바꾸어 배열하기도 하고 다른 구성 요소 중간에 삽입시키기도 하며, 어느 한 범주를 생략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게 기술하는 등 의미적 결속성을 위배하는 현상들도 자주 관찰되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은 일기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의 글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관찰되는 텍스트 구성 방식의 다양한 유형과 결속성을 위배하는 오류 양상들은 다른 장르의 텍스트 구성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연구

        채규현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3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For this purpose I used Textlinguistic analysis methods. In this analysis, I identifie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gnipsinmun≫ and text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through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 structural ‧ contextual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text, Descriptive text and Declarative text, And Editorials of ≪Dongnipsinmun≫ could be classified to three subdivision as Argumentative editorials of appeal function, Descriptive editorials of information function and Narrative editorials of emotion function. Especially, through analysis, we found that types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ve distinc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we could find that Editorials of ≪Dongnipsinmun≫ had the first multi-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contributes to identify the type of Editorials of ≪Dongnipsinmun≫ also to underst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ial text of the period of enlighte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명확히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구조적·맥락적 기준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과 《독립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론적 특징을 각각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독립신문》은 ‘논증형 텍스트’, ‘기술형 텍스트’, ‘선언적 텍스트’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독립신문》 논설은 호소기능의 ‘논증형 논설’, 제보기능의 ‘기술형 논설’, 감동기능의 ‘서사형 논설’ 유형으로 세부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분석을 통해 분류한 《독립신문》 논설의 이러한 세부 유형들은 구조적 특징에서도 각 유형별로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독립신문》 논설에 대한 텍스트유형론적 분석을 통해, 《독립신문》은 개화기 신문 최초로 다기능적 성격의 신문이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논의는 《독립신문》 논설뿐만 아니라 개화기 신문 논설의 텍스트유형적 특징을 이해하고, 개화기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텍스트유형론적 연구의 효용성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 연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레히니츠(절멸의 천사)>를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eong Sub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공연의 연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연극공연을 위해 쓰여진 연극텍스트의 중요 특징은 등장인물 간의 대화체계 붕괴와 서사구조의 불분명함이다. 이러한 특징은 독특한 글쓰기 형식, 즉 탈기의화된 언어형식으로 인한 자기지시성을 가지는 텍스트연극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과 궁극에 포스트 드라마 연극의 비재현성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연극텍스트의 형식과 텍스트연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는 텍스트의 재현이 아니라 텍스트와 공연 간의 상호작용과 공동 작업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eide Jelinek)의 연극텍스트 < 레히니츠(절멸의 천사) Rechnitz(der Würgeengel) >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의 매체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질문은 포스트드라마적으로 재기능화된 사자와 그들의 비재현적 보고형식으로 형상화된다. 결과적으로 비재현적인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은 공연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을 역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현존성(감)을 강화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text affects the theatricality of the play, focusing on the theatricality of the text of the play text.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atrical texts is the collapse of the dialogue system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the narrative structure. It was eventually fou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reinforce the unreproducibility of post-drama play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atrical text and the theatricality of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aking post-drama theatrical performances. Post-drama theater texts have meaning not in the reproduction of texts, but in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xt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more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d Elfreide Jelinek's play text Rechnitz(der Würgeengel). This work raises essential questions regarding the function and role of media in modern society. These questions are embodied in the post-dramatically re-functionalized Envoy and their non-representative reporting form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representative text theatricality reinforces the presence (feeling) that allows u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cannot be reproduced in the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어 교재에서의 텍스트 유형에 따른읽기 활동 연구 : 설명적 텍스트와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오선경,김지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ading activitie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were designed considering text types or not. Reading activities help readers to read fluently, comprehend accurately, and utilize the texts. They should be designed depending on the text types because the purposes of reading are different. Searching information must be focused while reading expository texts whereas critical reading, such as agreeing or disagreeing with the author’s opinion is necessary for reading argumentative texts. However, previous research focused mainly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not the appropriate activities by the text types. This paper analyzed 499 reading activities of expository texts and argumentative texts in 5 Korean reading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at text typ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considered when designing reading activities. Most of the activities are activating content schema and studying new vocabulary regardless of text types at the pre-reading stage. There was no activities about reading purposes and formal schema. At the stage of reading and utilizing text, the majority activities mainly focused on factual understanding, such as searching for some particular information in the text. There are more activities related to information and vocabulary for argumentative text, but activities for inferential and critical reading are needed for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suggested to raise awareness of the text types and to develop appropriate activities considering them in the reading class.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재의 읽기 활동이 텍스트의 유형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읽기 활동은 독자인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텍스트를 읽는 방식을 결정하고 텍스트의 내용을 유창하게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읽기 활동 연구는 주로 다양한 활동의 개발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텍스트의 유형별로 적합한 읽기 활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급 단계의 학습자가 주로 읽는 설명적 텍스트와 논증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읽기 교재에서 각 텍스트를 읽는 활동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폈다. 총 5권의 교재를 살폈으며, 499개의 읽기 활동이 연구 대상이 되었다. 텍스트 이해 준비 단계에서는 주로 내용 스키마 활성화하기와 새로운 어휘 확인하기가 텍스트의 유형과 상관없이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읽기 목적 확인하기나 형식 스키마 활성화하기의 활동은 찾아볼 수 없었다. 논증적 텍스트의 경우에는 저자의 주장을 예측하는 활동은 나오지 않아 능동적인 독자가 될 수 있는 연습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본 단계에서도 사실적 이해에 활동이 집중되어 있었고, 논증적 텍스트의 경우에도 어휘를 확인하는 활동들이 많았다.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의 목적이 달라지므로 읽기 활동 역시 달라져야 할 것이다. 고급 학습자 대상의 읽기 수업에서는 추론적 이해나 비판적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활동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텍스트언어학적’ 시 분석을 위한 기고

        이재원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6 No.66

        R.-A. de Beaugrande/W. U. Dressler (1981, 3) definieren einen Text als eine kommunikative Okkurrenz (engl. ‘occurrence’), die sieben Kriterien der Textualität erfüllt. Wenn irgendeines dieser Kriterien als nicht erfüllt betrachtet wird, so gilt der Text nicht als kommunikativ. Das heißt: Unter Textualität versteht man in der Textlinguistik die Eigenschaft, ein Text zu sein. Verschiedene Kriterien der Textualität unterscheiden also Texte von sogenannten ‘Nicht-Texten’. Unter dem Begriff ‘Metatextualität‘ versteht Scherner(2005) die Beziehung zwischen einem literarischen Text und seiner Interpretation.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eben diese Metatextualität. Um diese zu analysieren, wurden an einem konkreten Fall die Text-Text-Beziehungen erläutert. Dabei handelt es sich um ein Gedicht von M.-Y. Park und entsprechende Interpretationen von S.-K. Lee und Y.-K. Ko. ‘어떤 (텍스트로 판단되기 이전의) 임의적 발화가 텍스트로 간주되는 일반적 조건들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은 텍스트언어학의 초창기인 1960년대 중반부터 줄곧 제기되어온 텍스트언어학의 핵심 문제인 ‘텍스트성 Textualität’과 관련된다. 텍스트언어학의 중요저작 중의 하나인 Beaugrande와 Dressler의 『텍스트언어학 입문 Einführung in die Textlinguistik』(1981)의 핵심은 이러한 텍스트성의 규명에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언어학 초기 무렵에 중요 관심사였던 일련의 문장 연쇄로서의 텍스트가 아닌, ‘하나의 통합적 총체로서의 텍스트 성격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관건이다. 이러한 ‘텍스트성’과는 달리 다소 생소해 보이는 ‘메타텍스트성 Metatextualität’은 독일 뮌스터대학의 텍스트언어학자인 Brinkmann의 제자로서 텍스트언어학의 역사에서 나름대로의 위치(‘해석학적 텍스트언어학 hermeneutische Textlinguistik’ 방향)를 차지하고 있는 Scherner에 의해 다듬어진 용어이다. 그는 자신의 독일 뮌스터대학교 퇴임고별강연(2005년) 「텍스트에서 계속하기. 텍스트성에서 메타텍스트성으로 Weiter im Text. Von der Textualität zur Metatextualität」에서 Genette의 용어를 빌어 이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지었다. “문학 텍스트와 문학텍스트의 해석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Scherner 2005, 20)를 출발점으로 삼는 메타텍스트성은 기존의 문예학적 연구 대상물을 문예 비평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텍스트)언어학으로 끌어들인 것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차 텍스트인 문학텍스트와 그것에 대한 해석인 2차 텍스트 사이의 ‘의의연속성 Sinnkontinuität’ 이 개념은 코헤렌쯔를 설명하기 위해 Beaugrande/Dressler(1981, 88)가 Hörmann(1976)의 심리언어학적 용어인 “의의의 항상성 Sinnkonstanz”라는 용어에서 착안한 것이다. 생물학에서, “생명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나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내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조절 과정 또는 그 상태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homeostasis(항상성)에서 homeo의 의미는 same(동일한, 똑같은)이고, stasis의 의미는 standing(유지하다)의 뜻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다’라는 용어의 조합이다. 항상성의 예로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혈당량 조절 등을 들 수 있는데, 생명체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일어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온, pH, 삼투압 등 생화학 성분을 포함해 다른 체내 환경이 항상 어떤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항상성 유지’이다.” (개념톡톡 용어사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 39XXX8800009). 을 지칭하는 메타텍스트성은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ät과 관련지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문예학에서의 출발한 상호텍스트성 개념은 너무나도 복잡하고, 또한 텍스트언어학에서는 이 개념이 종종 ‘지시 Referenz’ 개념으로 이해(또는 오해)되어 크게 각광을 받지 못했다(Scherner 2005, 20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언어학에서는 Scherner 등에 의해서 이 방향의 연구가 계속되어 왔는데,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이러한 메타텍스트성의 비교 분석에 향해있다. 이를 위해,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해서 박목월의 시 「나그네」를 분석한 고영근, 이석규 외와 Kirsch의 「외눈으로 Einäugig」를 분석한 Weinrich의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시 텍스트 분석 방법론을 비교하여 시 텍스트 분석의 일반화에 조금이라고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성 ...

      • KCI등재

        텍스트 비평의 이론과 실제

        이승진(Lee, Se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49

        독서나 심미비평 등 문학관련 소통행위는 텍스트를 중심축으로 이루어진다. 텍스트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작가의 작품구상 단계에서 작성된 몇 개의 단어에서부터 시작해 초고가 완성되고 그 후 인쇄과정을 거쳐 한 권의 책으로 완성되며, 그 후에도 출간을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변모하는 과정 속에 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지학자들은 텍스트를 "정체적인 현상이 아니라 역동적인 현상"으로,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진행 중인 과정"으로 이해한다. 대부분의 텍스트는 손상되어 있다. 텍스트가 "시간이 흐르는 과정에서 텍스트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는 매우 다양한 심급의 흔적을" 지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이전 작품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인쇄과정에 참여한 필생, 식자공, 교정담당자, 편집자 등에 의해 오염된 텍스트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판본이 존재하는 작품의 경우 출판사나 편집자는 출간을 위해 한 판본을 선택해야만 한다. 만약 "최종본 원칙"에 의해 작가가 만년에 수정해 놓은 텍스트를 기준판본으로 선택했다면 등단 시기 작가의 신선하지만, 거친 특성들이 인쇄된 텍스트 속에서는 사라지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서지학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텍스트" 제공을 목표로 텍스트 비평학을 발전시켰다. 비평이라는 개념은 텍스트의 생성ㆍ전승과정에서 생성된 텍스트 전달매체들을 파악하고, 생성사와 전승사를 밝혀내며, 이 과정에서 생긴 변화를 조사ㆍ분석해, 오류에 의한 텍스트 손상을 제거하고, 의미 있는 텍스트변화를 조사, 기록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거쳐 텍스트 비평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해당 작품의 '역사ㆍ비평본'의 발간이다. 본 논문은 텍스트 비평과 관련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국내 문학계에 서지학(편집문헌학)의 중요성과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텍스트 비평의 이론과 실제 작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시도할 것이며, 이어 출판과정과 서지학자(편집문헌학자)들의 구체적인 작업을 고찰할 것이다. The heart of literary communication beats in the text of the author. Far from being fixed, the text finds itself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s, which is why it is to be understood not as a static but dynamic phenomenon, meaning "a work in process". However, in this process, the author's original is likely to be rather easily contaminated by other participating people such as scriber, compositor, proofreader etc. Consequently, it is very important for literary criticism to have an authentic text to present, and for this very reason, the literary studies in European countries, England and Germany in particular, developed the academic discipline termed "textual criticism/textkritik" These bibliographic studies examine the textual process, in which various editions of textcarriers(textträger) are generated. In concrete textual criticism are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To excavate all surviving 'textcarriers' such as memo, sketch, handwriting, manuscript, autograph and copy-text. 2. To analyze all collected textcarriers not as conceptual but physical objects, such as forme, printing type etc. 3. To track down all manners of changes the text underw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eliminate detected errors( the so-called 'text-washing'): correction and revision by author, clerical errors by scriber, compositor, proofreader etc. 4. Records are to be kept of all significant alterations for comparison between texts 5. The genealogical history of the textcarriers is to be re-constructed through a genetic approach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