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가톨릭대학교 신학 교육의 반성과 전망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문의 주 목적은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래 시행해온 신학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첫째로, 논자는 현행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의 성격을 형식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이 대학교들이 지난 십수 년간에 걸쳐 실시해 온 교육 내용의 실제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의 형식상의 신학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들은 한국 정부와 보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이한 두 지침들을 면밀하게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대학교들은 정부 지침에 따라서 4년의 학부 과정과 2 내지 3년의 대학원 과정으로 교과 과정을 채택하였으며, 교회 규정에 따라서 대신학교로서 1년간의 예비 과정, 2년간의 철학 과정과 4년간의 신학 과정으로 전 가톨릭교회의 정식 사제 양성의 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주교회의 지침에 따라 몇몇 특수한 한국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 신학 교육은 네 개의 구별되는 부분, 즉 인격적이고 지성적이며, 영성적이고 사목적 양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교회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은 매년 정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현행 교육 체계를 평가하고 사제 양성을 위해 보다 나은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사제 양성을 이룩하기 위한 괄목할만한 노력이 도모되었음을 쉽게 간과할 수 없으나, 현재 신학 교육의 상황은 꽤 비판적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이 시행해 온 신학 교육의 수준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유일 전국 신학교로서의 신학 대학에서 전국 차원의 신학 교육을 담당했던 과거 197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소수의 자격 있는 학자 성직자들이 7개 다른 기관들로 나뉘어져서 상당히 무거운 과업들을 또 다른 추가적인 행정적이고 사목적 업무와 함께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학자들에 대한 임면이 너무 자주 이루어져서 대학교들에서 안정되고 충분히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기가 너무 어렵다. 근래에 이르러 적지 않은 수효의 성직자들의 유감스러운 행태에 대한 비판적 지적들이 지역 교회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의 가르침과 지침들은 교과 과정들이 몇몇 사회적이고 심리학적이며, 교육학적이고 자연 과학들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 기관들은 이 요청들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학 교육이 외부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전통적 신학교 영역 안에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신학 패러다임의 서구 지향성은 한국 신학 체계의 미숙성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비서구 지역 교회들에게 이미 반세기 전에 토착화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로마보다 더 로마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삼천년기의 현 단계에서 이 지역 교회의 지도자들이 학자와 교육자들로 하여금 수효와 기간 면에서 이 나라의 어느 다른 대학교 교수들과 교육자들처럼 안정된 조건에서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때에 보다 나은 신학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직 약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훌륭한 자질을 지닌 학자에게 교구와 관구, 그리고 국가를 초월하여 가르치고 지도할 기회가 부여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신학 교육의 폭을 넓히고 강화하기 위하여 7개 대학교들이 공통의 권리와 과업을 지니고 참여하는 소수의 공동 대학원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보다 많은 주제들의 강의를 접하고 그들 자신의 학부 대학에서보다 더 많은 다른 학생들을 알게 되는 더 나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와 전 교회의 비판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대부분의 작고 미약한 아시아 교회들과 노쇠한 서구 교회들과는 대조적으로 생동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성숙한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토착화의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s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nd then to point out its future perspective. Firstly, I tried to character the present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in a formal view, and to evaluate their re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practic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formal theolog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of Korea Catholic Universities have followed carefully two different directions of the Korea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Roman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directives, they have took commonly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ith four years' undergraduate courses and two or three years' graduate ones as the university, yet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one, they as major seminaries have peform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ormal priestly formation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with one year's preliminary course, two years' philosophy courses and four years' theology ones that contain also some specific Korean topics or subjects according the directives of Korea Bishops' Conference. And the entire theological education consists of four different parts, that means,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formation. The church leaders and the educators have an annual joint meeting regularly to evaluate the ongoing educational system and to seek a better way for the priestly formation. It is not simply overlooked that remarkable efforts have been done to make better quality of the priestly formation in Korea, but y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seems to be quite critical. The level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ve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in these periods, seems to be relatively weaker and lower than in the past 1970th years, when the national theological education had been taken by the scholars and educators from the whole country at a single theological faculty as National Major Seminary. Few qualified clerical scholars around the country who have been divided in seven different institutions, have to take quite heavy tasks with another additive managerial and pastoral works. And too frequent nominations and releases of scholars and educators that have been done by the Church leaders make it hardly difficult, to keep the steady and sufficiently high level of education at these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various critical remarks about regrettable attitudes of not few priests have been made in the local churches. Although the teaching and direc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popes demand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to imply also the areas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natural sciences, the Korea theological institutions seem to be not able, to fulfill properly these demands, because the whole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pursued in the traditional seminary area which is secluded from the outer society. And the Western orientation of the whole theological paradigm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mmaturity of the Korean theological system. Although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ked every not-Western local church for the inculturation almost a half-century ago, it is quite true that the Korean Church has remained more rom than Rom as such. At the present phase of the Third millennium responsible leaders of this local Church would contribute powerfully to the better theological education, when they let scholars and educators do their works in a stable condition of numbers and periods like other professors and educators of any other universities in this country. And it would be recommendable that any well qualitied scholar might be given the teaching and leading opportunity beyond any diocese, province, and nation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still weak education. And to broaden and strengthen the theologic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orm few joint postgraduate schools that 7 universities partake with common rights and tasks, so that the student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get lectures of more subjects and to know more other students than in their own undergraduate school. In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 society and universal Church the Korean Church manifests a vital dynamism in contrast to most small and weak Asian Churches and antiquated Western Churches.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and scholars are confronting pressing needs of Inculturation to develop a more mature Korean Church.

      • 수원교구 대리구제도 도입 과정

        최인각(Choi, Inga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1 이성과 신앙 Vol.49 No.-

        수원교구는 교구의 양적 성장에 이어 내적인 성장과 복음화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리구제를 도입하였다. 수원교구 주교는 교구를 6개의 대리구로 설정하여 교회 안에서 평신도의 참여 증진과 사제들을 협력에 보다 바람직한 사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최덕기 주교는 2005년 11월 30일 수원교구 대리구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후 7차에 걸친 대리구 준비위원회와 사제들과의 간담회, 각 국장들과의 간담회, 지구장 신부들과의 만남 등을 통해 교구 사제들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교구청 각 부서의 대리구제를 위한 준비사항과 대리구제 시행에 따른 각 부서의 의견을 나눌 수 있었다. 또한, 주교는 사제 연수회를 통해 대리구제의 전체적인 방향과 문제점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 과정에서 교구 조직의 전반적인 새로운 방향이 설정되었다. 총 7차에 걸친 대리구 준비위원회 회의를 통해 6개의 대리구와 대리구청에 관한 내용, 대리구장 및 대리구 조직, 운영지침 등이 확정되었다. 6개 대리구의 대리구장이 임명된 후, 대리구 준비위원회를 해체하고, 대리구장 회의를 통해 수원교구 대리구제를 준비해 나갔다. 대리구장 회의를 통해, 대리구제 실시에 따른 교령반포와 대리구장 임명장 수여, 대리구청과 대리구좌 성당, 대리구 담당 사제 인사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대리구제 시행에 관한 각종 홍보계획을 마련하여 실시하기로 하였다. 새로운 대리구제를 실시함에 있어, 각 대리구장이 원활한 사목을 하도록 대리구청을 만들었다. 교구청은 교구전체의 사목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교구의 전체 방향을 설정하며, 대리구에서 진행할 교육과 행사의 자료를 제공해주기로 하였다. 2006년 9월 26일 인사이동을 기점으로 대리구제가 시작되어, 대리구별로 업무가 시작되었다. 대리구제가 시행되면서, 그 운영은 수원교구 대리구제 운영지침을 따라 이루어졌다. 이 운영지침의 가장 큰 특징은 대리구장에 관한 부분을 상세히 규정하면서, 대리구장에게 실질적인 권한이 주어졌다는 것과 그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표현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대리구제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글과 연구물들이 나올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The Suwon Diocese has introduced a new system of vicariate in an effort to ensure its internal growth as well as external growth and to fully achieve its evangelical mission. The bishop of Suwon has overhauled his diocese into six Episcopal vicariates in an effort to encourage more active participation by parishioners and closer cooperation between faithfuls and clerics. To make proper preparations for the overhaul, Bishop Paul Choi Deog-Ki of Suwon set up a preparatory committee on November 30 in 2005. Seven rounds of meetings took place among committee members from each designated vicariate, priests, dean priests and each director in order to fully reflect opinions of the clerics in the diocese. Opinions were exchanged among members of each department and preparatory steps were taken for smooth transition to the new system. The bishop also attended discussion and training sessions with clerics to set overall directions of the new vicariate system and potential problems that may arise. The whole process helped set new directions for the overall diocese organization. Through six rounds of meetings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details were finalized on how to set up and run six vicariates and their curia offices, including a vicar of each vicariate as well as each unit’s operational directions and faculty organizations. The committee was disbanded after all vicars of the six vicariates had been appointed to take over a final preparation process. The vicars held rounds of meetings aimed to discuss issues including the announcement of ecclesiastical decrees, formal ceremonies to officially appoint the vicars and designation of clergymen to serve in each vicariate. Measures to establish churches and new vicariate curias and to inform the public of changes caused by the new system were also discussed. Each vicariate has established its own curia office to arrange its operations. The diocesan curia has vowed to focus on planning overall pastoral activities of the diocese, setting up directions of the entire diocese and providing resources needed for education activities and events held in each vicariate. The new system officially kicked off as of September 26 in 2006 when clergymen to serve under the new structure were formally appointed. All operations of the vicariates were carried out in line with operational policies for vicariates under the Suwon diocese. One of the major features of the new policies was that it laid out in detail authorities of a vicar and signified its importance and rol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future researches that analyze and assess the vicariate system and will help further researches on this area.

      • 수원대학 MASTER PLAN

        이제창 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85 水原大文化 Vol.1 No.-

        수원대학 Campus Master plan은 교육이념이 국가적 요구에 부응하고 귀감이 되는 사학이 되고 미래지향적인 대학으로 명실상부한 세계적 대학으로 웅비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이제 첫발을 딛게 되었다. 재정 및 주위여건에 따라서 탄력성있게 본 master plan은 통제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장차 20,000명 정도의 수용규모로서 성장하며 이에 따른 교육구조ㆍ운영기구 연구기구 및 조직이 확대되고 시설 또한 이에 적합한 규모로 성장되어 종합대학의 규모가 될 것이다. 전통과 내외공간이 좀 더 영구적인 계획으로 설치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학사계획 및 각 공간의 조직방법과 환경이 영구적인 안목으로 입안되도록 각 대학에 재학하면서 경험하고 느낀 바를 토대로 그리고 여러 은사ㆍ학우들의 조언과 편달로서 노력하였다. 미력하나마 본 master plan이 수원대학의 전통과 발전을 수립하고 구현하는 데 기여할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하고 교육ㆍ연구 및 문화발전의 Community Facilities로서 그 사명을 다하여 능률적이고 생산적인 교육효과를 거두는 보람찬 결과가 되었으면 한다.

      • ‘덴칭거’ 우리말 번역의 역사와 가치

        황치헌(Hwang, Chih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덴칭거 한국어판 번역 작업은 수원가톨릭대학교 황치헌 신부와 이성효 신부(현 주교)의 발의로 2003년 시작되었다. 2005년 주교회의 상임위원회는 덴칭거 번역 계획을 승인하며, 번역물에 대한 저작권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가 갖고, 번역물은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와 천주교용어위원회 최종 검토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였다. 2007년 7월 초벌 번역이 완료된 이후, 교정 작업에 들어갔으나 신학용어, 인명, 지명이 번역자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어 통일 작업이 요구되었다. 2008년 11월 계약 연장을 신청하고,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섯 명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위원장: 심상태, 위원: 이성효, 곽진상, 황치헌, 박현창, 박찬호)체제 하에 번역 작업을 이어나갔다. 그러나 번역위원들이 신학교에서 강의 외에 학생들의 생활지도와 여러 가지 보직을 맡느라 덴칭거에만 전념할 수 없었고, 또 번역위원들 두 명이 투병 생활을 해야 했으며, 전체 사료에서 일부분만을 발췌한 본문의 경우, 시대적 상황과 신학적 문제, 라틴어에 담긴 신학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번역 작업이 지연되었다. 제출기간에 쫒기어 미완성 상태의 원고를 보냈으나, 작업 지연과 출판 기한 연장, 그리고 초벌 번역에 대한 불신 등으로 2011년 주교회의 상임위원회는 덴칭거의 번역과 출판을 수원가톨릭대학교에 위임한 적도 있다.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의 검토 의견과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들여 다시금 덴칭거는 CCK에서 출판하게 되었고, 수원가톨릭대학교 번역팀이 필요한만큼 시일을 두고 번역하되, 완성된 번역본에 대해서는 수원가톨릭대학교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도록 하였다. 신앙교리위원회의 감수 작업과 재차 수정 작업 끝에 2015년 11월 번역 원고를 제출하고, CCK 편집팀과 마지막 교열, 교정 작업 끝에 2017년 3월 주교회의 차원의 출판기념회로 번역 작업을 마치게 되었다. Die koreanische Übersetzungsarbeit des Denzinger begann 2003 mit der Initiative der Professoren an der Universität Suwon, nämlich Chihon Hwang und Seonghyo Lee. Die ständige Kommission der koreanischen Bischofskonferenz bestätigte 2005 den Plan der koreanischen Übersetzung des Denzinger und beschloss, dass die katholische Konferenz von Korea(CCK) das literarisches Eigentum haben und die Kom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r Fachwörter die Übersetzungsarbeit endgütig überprüfen sollen. Nachdem die erste Übersetzungsarbeit im Jahre 2007 vollendet wurde, mußte man eine Korrektur lesen, indem man das Manuskript vereinheiltichte, weil die theologische Terminologie, Personenname und Ortsname nach der Übersetzern verschieden dargestellt wurden. Im Jahre 2008 bat man um die Verlängerung des Vertrags und setzte die Übersetzungsarbeit unter aus fünf Professoren bestehenden ständigen Kommission fort. Aber die Arbeit verzögerte sich. Denn die Professoren beschäftigten sich wegen der Vorlesungen, der Leitung der Seminaristen und der vielerlei Stellen nicht ganz mit dem “Denzinger”, die zwei Professoren kämpften gegen die Krankheit und man stoß auf machen Schwierigkeiten, indem man die zeitliche Umstände, die theologische Frage und Bedeutung des lateinischen Terminologie auffasste. Man schikte CCK das unvollstängdige Manuskript unter zeitlichen Druk und die ständige Kommission der koreanischen Bischofskonferenz gab aber im Jahre 2011 der Universität Suwon den Auftrag, die Übersetzungsarbeit und die Veröffentlichung des Denzingers zu übernehmen, wegen der Verzögerung der Arbeit, der Verlängerung der Veröffentlichung und dem Misstrauen der ersten Übersetzungsarbeit. Die Kommission beschloß nach der Beratung der bischöflichen Kom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s Fachmanns, dass CCK wiederum die Veröffentlichung des Denzinger übernehmen soll, unter der Bedingung, dass die Universität Suwon so viel arbeiten, wie er braucht und die Verantwortung auf den vollständigen Manuskript nehmen soll. Nach der Überprüfungsarbeit der Komission der Glaubenslehre und dem mehreren Korrekturlesen gab man das Manuskript ab und vollendete die Übersetzungsarbeit im Jahre 2017 nach der letzten Revision der CCK mit einer festlichen Veranstaltung, an der alle koreanischen Kardinale und Bischöfe teilnahmen, aus dem Anlass der Publikation des koreanischen Denzinger.

      • 대학가의 위험폭탄 신용 카드

        수원대학교 교지 편집실 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2002 水原大文化 Vol.18 No.-

        지불결제수단의 대명사인 신용카드는 편리하고 매우 유익한 반면에 관리에 소홀하면 철저하게 개인의 인생을 파괴할 수도 있는 야누스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물론 신용불량의 일차적인 책임은 물론 당사자에게 있다. 자신의 재정능력 등을 감안하지 않고 돈을 빌려 쓰고 채무 이행을 못하는 것은 신용사회의 일원이 될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용 불량자 양산을 부추기는 현재의 제도적 허점이 근절되지 않는 한 신용카드 사용 문화의 올바른 정착은 요원한 과제다. 경제의 투명성을 주장하며 밝게 서막을 올린 신용사회로의 이행이 올바른 정착은커녕 우리 사회의 건강을 해치는 독소로 작용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카드 발급 및 유통, 수수료 체제 등 신용카드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수술이 이뤄지도록 정부나 업계모두 지혜를 모아 나아가야 할 것이다. 미래 경제활동 주체인 대학생, 더 이상 카드회사들의 고객확보 고래싸움에 등 터지는 신용불량 새우격이 되서는 안될 것이다.

      • 80년대의 학생운동

        수원대학교 편집실 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88 水原大文化 Vol.4 No.-

        세계의 모든 사물은 운동하고 있다.여기서 운동이라 함은 그 사물이 부단히 변화·발전하여 가는 것을 의미한다.그런데 그 운동의 동력은 사물에 내재하는 모순의 특수성과 그 사물과 연관되어 상호작용하는 욎거인 요인(환경)에 있다고 하겠다.이렇다고 할때 우리가 어떠한 사물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물에 내재하는 모순이 무엇인가.그 사물과 연관되어 작용하는 외적인 환경들은 어떠한가를 이해하여야 하는 것이다.사회적 운동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우리가 사회변혁운동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사회 변혁 주체의 주체적인 조건(역량)과 객관적 조건으로서 현실에대한 과학적,비판적 인식이 요청된다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