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성을 활용한 텍스트 충실히 읽기 지도의 가능성과 의의

        변혜경(Byeon Hye Kyeong),김명순(Kim Myoung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본고는 읽기와 읽기 지도에서 텍스트성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의의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텍스트성은 보그란데와 드레슬러가 제안한 텍스트의 구성적 원리 로서 일곱 가지 텍스트성 자질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텍스트성이 읽기 영역에 서 텍스트 중심 읽기 전략으로 기능하여 학생들이 글에 충실한 의미를 구성할 수 있 게 할 것으로 보았다. 이를 예시하기 위하여 텍스트성을 활용하여 글을 읽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성을 활용한 읽기가 가능하며 텍스트성이 글을 충실히 읽고 그 의미를 정교하고 폭넓게 구성하는 데 기여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 리고 텍스트성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실제 읽기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텍스트성을 활용한 읽기와 읽기 지도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텍스트성을 활용한 읽기는 학생들에게 읽기의 대상인 글에 주목하게 할 것이다. 둘 째, 읽기의 과정에서 일곱 가지 텍스트성에 의거하여 텍스트를 보다 꼼꼼하고 치밀 하게 충실히 읽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셋째, 텍스트성은 글에 대한 학생들의 사실 적, 추론적, 비판적 이해 기능을 보다 정교하게 신장시킬 수 있는 읽기 전략으로 기 능할 수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읽기 방법에 대한 일반적이고 체계적인 틀을 제공 해 줄 수 있다. 다섯째, 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 읽기는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텍스 트의 개별성에 충실하게 읽는 데 직접적으로 소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get several significances from reading and teaching of reading focused on Textuality. This Textuality means seven Textualities which Beagrande & Dressler suggest as primary standards in order that text can be constructed as it is. This study supposed that this textuality, by functioning the text-oriented reading strategy, helps students to produce the significant meaning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text with fidelity, not from in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that is, they think as they wishes without reference to the text. Therefore a sample of reading focused on textuality is suggested first, which shall be demonstrated that Textuality-focused reading is possible, and It is also suggested that Textualities are effective means to read the text faithfully and to construct and organize the meaning intensively, elaborately, and extensively. Subsequently, the matters in readings in the case of students are mentioned. Textuality-focused reading and teaching of reading have remarkable meanings as follows: 1. Textuality-focused reading and teaching of reading leads the students to the text that they read just as it is. 2. It helps for students to read the text more faithfully and precisely by referencing the textuality. 3. Textuality can be utilized as the text-oriented reading strategy, which can improve the factual, inferential, dianoetic and critical reading skills. 4. It can be provide the general and systematic guideline in reading to students. 5. It can be in direct use of reading the text as being worthy of text, and of reading the text truly and devotedly with regard to the individuality and thisness of text.

      • KCI등재후보

        매체 전이된 텍스트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이 흥행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난지(Nan Ji Ho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애니메이션연구 Vol.6 No.3

        수많은 매체들이 범람하여 하나의 텍스트가 매체 전이의 과정을 거듭하는 것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연구자는 매체 전이를 통한 텍스트가 성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수가 무엇일지를 연구하는 과정에 있다. 그 과정에서 매체 전이된 텍스트에는 이전 텍스트들의 여러 흔적들인 상호 텍스트성이 존재한다는 데 주목했다. 즉, 매체 전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원작의 흔적인 상호 텍스트성이 매체 전이 텍스트의 성공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매체 전이된 텍스트가 성공하는 데 있어 텍스트 내의 상호 텍스트성의 존재와 관객의 상호 텍스트성에 대한 지식의 유ㅌ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에 대한 연구의 첫 시작으로 본 논문은 존재한다. 최근에 활발하게 영화로 만들어지는 미국의 슈퍼히어로 장르들은 대체적으로 큰 성공을 하고 있는데 그중 〈왓치맨(Watchmen)〉(2009)이 타 슈퍼히어로 영화보다 대중성을 확보하지 못한 이유를 상호 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왓치맨〉의 스토리는 상호 텍스트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원작인 그래픽 노블 〈왓치맨〉에 대한 상호 텍스트성과 미국 만화의 역사라는 텍스트 외적인 상호 텍스트성이 함께 존재하고 있다. 또한 〈왓치맨〉은 이러한 상호 텍스트의 요소들이 미국 만화의 슈퍼히어로 장르의 역사를 반영하여 성찰하는 스토리로서 수용자에게 상호 텍스트성의 네트워크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이것이 타 슈퍼히어로 영화만큼 크게 성공하지 못한 이유라고 보았다. 이로써 본문에서는 〈왓치맨〉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과 그와 함께 동반되는 자기반영성을 연구할 것이다. 우선 만화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나타났던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본 후 〈왓치맨〉에 나타나는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살펴본다. 4장은 상호 텍스트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텍스트에 대한 연구로 수용자들 간의 네트워크 강화로 인해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상호 텍스트성과 자기반영성을 만화와 애니메이션 분야의 분석의 틀로 확대하는 것과 더불어, 상호 텍스트성이 나타나는 매체 전이 텍스트들이 성공할 수 있는 대안에 대해 고찰해보도록 한다. In line with the flood of media, it has become a frequent phenomenon that a text repeats to go through media transference. This research focuses on what makes successful such media transference of a text. And the researcher noticed that intertextuality, various traces of previous texts, is found in the transferred text. That is, intertextuality, which is a natural trace of the original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media transference. As to the success of a transferred text,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be a close relation between intertextuality and a person’s knowledge of intertextuality, which is the theme of this research. Recently, superhero fictions, made into movies,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US. And this study will analyze the reason why 〈Watchmen〉(2009) has failed to win popularity compared to other superhero movies, centering around intertextuality. The story of 〈Watchmen〉 has strong intertextuality, which includes both intertextuality of the original work, the graphic novel Watchmen, and that of the American comic book history. Also, Watchmen is a self-examining story that such factors of intertextuality reflect the history of the American comic books, which eventually brings networks of intertextuality to the viewers. And this could be the cause of the film’s failure. Hence, this study will review the intertextuality observed in 〈Watchmen〉 and self-reflexivity together. First, we will consider the cases of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cxivity found in comic books and animation and then those in 〈Watchmen〉. Chapter 4 will examine texts with strong intertextuality and what results from increased networks among viewers. Through this we can analyze intertextuality and self-reflexivity with cases of comic books and animation as well as examine how to make texts of media transference, showing intertextuality and self-reflixivity, more successful in the future.

      • KCI등재

        단락 중심 협동 작문에 드러난 학습자들의 텍스트성 인식 양상

        서종훈(Suh Jong ho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The paper has studied textuality of cooperative writing focused on paragraph. Textuality is able closely related to writing. To do this, the paper was directly, indirectly treated cooperative writing focused on paragraph and reflective writing. The aspects of textuality cognition has performed with highschool 1, 2 graders. The subsequent writing and sharing writing focused on paragraph used to as cooperative writing strategy. The textuality of situationality, intertextuality and informativity was remarkable in the reflective writing focused on language awareness. The paper is meaningful because many aspects of cooperative writing that are not awared of the personal writing are noticeable. But it would be little atten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textuality in the situation of insufficiently basic studies. Accordingly, action research of development textuality should be preformed. And then the theoretical discussion should be accumulated about the textuality. 본고는 단락 중심의 협동 작문의 텍스트성 인식 양상을 고찰하였다. 텍스트성은 쓰기 수행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는 주요한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텍스트성을 학습자들의 단락 중심 협동 작문의 수행과 이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직ㆍ간접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단락 중심 협동 작문의 텍스트성과 그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 텍스트성 인식 양상은 고등학교 1, 2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단락이 협동 작문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주요한 전략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음을 단락 이어 쓰기와 나누어 쓰기를 통해 다루어졌다. 언어자각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반성적 글쓰기에서 부각된 텍스트성 속성 양상은 상황성, 상호텍스트성, 정보성 등이 주요한 인식의 결과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본고는 텍스트성 발달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조사가 부족한 상황에서 텍스트성에 대한 언어자각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향후 쓰기와 관련된 학습자들의 텍스트성 발달에 대한 현장 연구조사가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성에 대한 보다 충실한 이론적 논의가 축척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텍스트언어학적’ 시 분석을 위한 기고

        이재원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6 No.66

        R.-A. de Beaugrande/W. U. Dressler (1981, 3) definieren einen Text als eine kommunikative Okkurrenz (engl. ‘occurrence’), die sieben Kriterien der Textualität erfüllt. Wenn irgendeines dieser Kriterien als nicht erfüllt betrachtet wird, so gilt der Text nicht als kommunikativ. Das heißt: Unter Textualität versteht man in der Textlinguistik die Eigenschaft, ein Text zu sein. Verschiedene Kriterien der Textualität unterscheiden also Texte von sogenannten ‘Nicht-Texten’. Unter dem Begriff ‘Metatextualität‘ versteht Scherner(2005) die Beziehung zwischen einem literarischen Text und seiner Interpretation.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eben diese Metatextualität. Um diese zu analysieren, wurden an einem konkreten Fall die Text-Text-Beziehungen erläutert. Dabei handelt es sich um ein Gedicht von M.-Y. Park und entsprechende Interpretationen von S.-K. Lee und Y.-K. Ko. ‘어떤 (텍스트로 판단되기 이전의) 임의적 발화가 텍스트로 간주되는 일반적 조건들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은 텍스트언어학의 초창기인 1960년대 중반부터 줄곧 제기되어온 텍스트언어학의 핵심 문제인 ‘텍스트성 Textualität’과 관련된다. 텍스트언어학의 중요저작 중의 하나인 Beaugrande와 Dressler의 『텍스트언어학 입문 Einführung in die Textlinguistik』(1981)의 핵심은 이러한 텍스트성의 규명에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언어학 초기 무렵에 중요 관심사였던 일련의 문장 연쇄로서의 텍스트가 아닌, ‘하나의 통합적 총체로서의 텍스트 성격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관건이다. 이러한 ‘텍스트성’과는 달리 다소 생소해 보이는 ‘메타텍스트성 Metatextualität’은 독일 뮌스터대학의 텍스트언어학자인 Brinkmann의 제자로서 텍스트언어학의 역사에서 나름대로의 위치(‘해석학적 텍스트언어학 hermeneutische Textlinguistik’ 방향)를 차지하고 있는 Scherner에 의해 다듬어진 용어이다. 그는 자신의 독일 뮌스터대학교 퇴임고별강연(2005년) 「텍스트에서 계속하기. 텍스트성에서 메타텍스트성으로 Weiter im Text. Von der Textualität zur Metatextualität」에서 Genette의 용어를 빌어 이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규정지었다. “문학 텍스트와 문학텍스트의 해석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Scherner 2005, 20)를 출발점으로 삼는 메타텍스트성은 기존의 문예학적 연구 대상물을 문예 비평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텍스트)언어학으로 끌어들인 것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차 텍스트인 문학텍스트와 그것에 대한 해석인 2차 텍스트 사이의 ‘의의연속성 Sinnkontinuität’ 이 개념은 코헤렌쯔를 설명하기 위해 Beaugrande/Dressler(1981, 88)가 Hörmann(1976)의 심리언어학적 용어인 “의의의 항상성 Sinnkonstanz”라는 용어에서 착안한 것이다. 생물학에서, “생명체가 여러 가지 환경 변화나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내부를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는 조절 과정 또는 그 상태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homeostasis(항상성)에서 homeo의 의미는 same(동일한, 똑같은)이고, stasis의 의미는 standing(유지하다)의 뜻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다’라는 용어의 조합이다. 항상성의 예로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혈당량 조절 등을 들 수 있는데, 생명체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일어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온, pH, 삼투압 등 생화학 성분을 포함해 다른 체내 환경이 항상 어떤 범위 안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항상성 유지’이다.” (개념톡톡 용어사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 39XXX8800009). 을 지칭하는 메타텍스트성은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ät과 관련지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문예학에서의 출발한 상호텍스트성 개념은 너무나도 복잡하고, 또한 텍스트언어학에서는 이 개념이 종종 ‘지시 Referenz’ 개념으로 이해(또는 오해)되어 크게 각광을 받지 못했다(Scherner 2005, 20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언어학에서는 Scherner 등에 의해서 이 방향의 연구가 계속되어 왔는데,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이러한 메타텍스트성의 비교 분석에 향해있다. 이를 위해,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해서 박목월의 시 「나그네」를 분석한 고영근, 이석규 외와 Kirsch의 「외눈으로 Einäugig」를 분석한 Weinrich의 소위 ‘텍스트언어학적’ 시 텍스트 분석 방법론을 비교하여 시 텍스트 분석의 일반화에 조금이라고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성 ...

      • KCI등재

        『혼불』의 서사적 텍스트성의 중층

        정미선(Jeong, Mi-seo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본고는 서사 텍스트의 언어 운용 국면에 초점을 맞춰, 『혼불』의 텍스트성 형성 지점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혼불』 논의에 있어 텍스트성 개념은 단순히 텍스트의 성립 조건들로 적용될 수 없다. 『혼불』의 서사와 그 의미망을 구축하는 담화 양상은 다수의 결로 직조되는 까닭이다. 따라서 본고는 서사론 차원의 텍스트성 개념을 대안적 틀로 제안한다. 이로부터 『혼불』의 담화 역학에 관여하는 핵심적 기제인 초점화 측면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초점화의 복합적 양상을 분석하고, 도출되는 텍스트성의 의미망 및 효과를 논구한다. 이에 따르면 혼불의 서사는 인물 초점화와 내포작가 초점화의 결절 지점을 통해 각 층위에서 지각되는 인식 국면을 달리한다. 이 인식 국면은 장소상실의 상황에서 공간을 기획하고자 하는 ‘기투’의 두 양상: 장소의 공간화와 시간의 공간화로 분할되어 그 특유의 서사 전략을 구체화한다. 이러한 초점화의 역동적 구성을 바탕으로 혼불은 ‘땅’이라는 표상에 결부되는 공간적 의미망을 구축하며, 서사의 의미론적 지층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혼불』의 텍스트성이 텍스트내적?텍스트외적 층위의 자장에서 언어의 적층과 교호관계의 구축을 통해 구성되는 중층적 복합체임을 드러낸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of the manner in which textuality is achieved in Honbul by focusing on linguistic aspects of the narrative text. In the case of Honbul, textual concepts cannot be straightforwardly applied as conditions of the text, because the text i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of discourse and semantic mapping. Thus, this study aimed to show how concepts of textuality from narrative theories can provide an alternative frame of discussion. Within this frame, aspects of focalization require attention, as this is the key mechanism involved in the discourse dynamics of Honbu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spects of focalization and discussed the semantic mapping and the effects of the textuality in Honbul. The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 situations can be recognized within each layer of meaning due to the connections between focalized characters and the focalization of the implied author. These recognized situations become concretized by means of two aspects of ‘entwurf’, namely the spatialization of place and the spatialization of time, which function to plan space in a situation of placelessness. Based on the dynamic composition of focalization, Honbul establishes a semantic mapping associated with the symbol called ‘Land’, while expanding the semantic layers of meaning within the narrative. This reveals that the textuality of Honbul is itself a multi-layered and complex entity, formed by establishing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outer layers of language and the inner layer of text.

      • KCI등재

        김수현 홈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

        유진희(Jin-Hee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 그 가운데 공히 국내 드라마 작가를 대표하는 김수현 작가에 관한 지속적 연구로 장르별로 대별된 작가의 혼재된 성향에 관한 논의를 시작으로 보다 깊이 있는 작가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보인 홈드라마의 유용한 독법을 논의하며, 그 연구 방법으로 상호텍스트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상호텍스트성 개념이 크리스테바에 의해 명시, 정착되었지만, 개념의 근원인 바흐친의 언어 개념인 ‘대화주의’를 의미 축소하였다는 비판에 주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흐친의 ‘대화주의’ 상호텍스트성을 주축 연구 방법으로 적용하여 연구 대상인 <목욕탕 집 남자들>과 <무자식 상팔자>의 상호텍스트성 공통 요소를 분석한다. 또한 쥬네트의 상호 텍스트성을 추가 적용하여 전·후 텍스트의 흔적과 변형이란 상호관련성을 분석한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김수현 홈드라마가 상호주관성과 상호관계성을 핵심으로 하는 바흐친의 상호텍스트성을 실현해냄으로써 대중적 소구력을 획득하였음을 분석한다. 또한 작가가 전·후 텍스트의 반복과 변형이란 상호텍스트성 사용을 통하여 멜로드라마와는 달리 의도된 메시지를 홈드라마를 통해 전달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연구결과 김수현 작가에게 멜로드라마는 인간 주체에 관해 근원적 질문을 던지는 장르인 반면, 홈드라마는 인간 주체의 ‘결여’와 ‘분열’이란 근원적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가족을 제시하는 장르로 ‘의도성’을 갖고 사용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subsequent full-scale research to explore an undisputed top Korean TV drama writer, Su-Hyeon Kim, more profoundly, who has been out of scholarly pursuits. As it begins with discussing her mixed tendency by genre, we discuss about a useful reading method of the writer’s relatively conservative genre, a home-dram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sets up the intertextuality theory. This study assents to that criticism of diminishing in its original meaning of M. Bakhtin’s dialogism, which led J. Kristeva to name and fix the term. Therefore this paper mainly applies the Bakhtin’s intertextuality theory to analyze common elements of the writer’s <That Bathhouse’s Men> and <No Children, No Problem>. Also it applies the G. Gennette’s intertextuality of ‘imprints’ and ‘transformation’ between hypotext and hypertext to figure out their correl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writer’s home-drama realizes its mutual relationship and intersubjectivity of the Bakhtin’s core intertextuality concept, which results in gaining viewers’ popularity. And it also explains that the writer uses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method of intertextuality to contain its intended message in her own home-drama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o the writer, Su-Hyeon Kim, while a melodrama genre is for her fundamental inquiry of a ‘privative, fractured human being, a home-drama genre is for her message of the only solution of a ’family’ to that inquiry with her own intention.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교육에서의 시조교육 효과 연구

        박광옥(Park, Kwang-Ok),이명애(Lee, Myeong-Ae),이지양(Lee, Ji-Yang) 한국시조학회 2017 시조학논총 Vol.46 No.-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시조를 활용한 실험수업을 통해 시조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조교육 원리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학교육의 의의 특히 시조교육의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수업 실시 전에 참가자들의 문학 및 시조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참가자 전원이 문학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문학교육이 문화이해와 언어 표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문학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요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다르지 않게 매우 높으며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구성과 재미있는 수업방식이 기대됨을 보였다. 시조의 상호텍스트성을 교육방안의 구성 원리로 삼아, 문화 간 텍스트성으로 도입하기, 작품 간 텍스트성으로 작품 제시하기, 작품 내적 텍스트성으로 내면화 하기로 하위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고급 외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2회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중국 정형시인 절구와 일본 정형시인 하이쿠를 문화 간텍스트성으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한국 정형시인 시조의 형식과 내용을 상호 문화적 시각에서 이해하도록 하였다. 같은 주제의 고시조와 현대시조 작품을 제시하여 작품 간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통시적으로 내용, 표현법 및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도록 하였다. 작품의 내면화 과정에서는 작품 내적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시조 작품의 내용과 주제와 학습자 자신의 경험이 만나는 가운데 새로운 의미를 찾는 주체적 읽기를 하였다. 주제를 선택해 주어진 형식에서 시조를 지으면서 실제 작품 창작의 경험을 하였다. 시조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후 자기평가지로 자신의 향상도를 인지와 정의 영역에서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교육경험을 한 자신에 대한 평가이자 성찰의 과정으로서 의미가 있다. 평가지 결과 외에도 수업관찰, 설문지, 확인질의 등으로 질적 분석을 병행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두 가지 통합 분석을 통해 시조 수업이 학습자들의 언어, 문학/문화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문학과 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시조라는 문학 장르를 한국언어문화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실험수업 방안을 설계하고 수업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한 시도라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value of Sijo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experimental Sijo class to foreign students and its following effect. Before the experiment, we conducted participants" needs analysis. Then we constructed 2 time literary classes founded on Sijo"s Intertextuality principles. The 3 factors of Intertextuality(Intercultural textuality, Intertextuality, and Intratextuality) are utilized into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final activity of the class in order. After the classes, we assessed the result of Sijo Instruction by the use of the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class observation note and interview, which showed the sijo literary class was very enjoyable and meaningfu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ijo literary instruction can be very effectively adopted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와 중국․외국 문학예술 사이의 “상호 텍스트성” 연구

        김관웅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 를 러시아․소련문학 등 구미문학예술․중국문학과 의 상호관련성을 문헌실증학적 방법으로 점검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김학철의 20세기의 신화 는 다양한 외국문학예술의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임을 밝혔으며, 작가가 어떻게 외국문학예술 작품들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있는지, 또한 이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인용하여 작품의 내용과 주제를 어떻게 풍성하게 하고 있는지를 면밀히 살폈다. 그리고 20세기의 신화 에서의 보이는 “상호 텍스트성”은 포스트 구조주의문학이론에서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인용, 차용, 모방을 통한 원작 의미의 해체나 전복(顚覆) 또는 그것을 패러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던것은 아니었으므로 모더니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과는 연관성이 없음을 밝혔다. Through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West literary arts & Chinese literature centered on 「The 20th century’s mythology」 of Kim Hak Cheol & Russian․Soviet literature by the philological & positive method,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inspect closely that this work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foreign literary arts and the writer made the contents & theme exuberant through selecting the works of foreign literary arts subjectively & quoting them adequately with intertextuality. In addition, it intends to inspect that “Intertextuality” in 「The 20th century’s mythology」 doesn’t aim at disorganization, overturn or parody of the original meaning through quotation, adoption & imitation like the opinion of Post Structuralism so it has no connection with Modernism or Post Modernism.

      • KCI등재

        다문서의 텍스트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오은하 국어교육학회 2023 國語敎育學硏究 Vol.58 No.2

        This study proposed a multiple-text reading education direction based on multiple-text textuality by synthesizing text theories and multiple- text reading theories. Therefore, the existing traditional discussion on textuality was modified to conceptualize multi-documental textuality, and suggest standards. Thereafter, it proposes mechanisms and directions for multi-document reading education. What must be considered in multiple-text reading education is that readers should be taught to construct meaning by applying the six criteria of multiple-text textuality in a balanced way, and categories that affect multiple-text textuality, elements, and principles of multi-text reading. Multi-text reading levels were suggested for hierarchical implementation by the school or grade level, considering the performance level. 이 연구는 기존의 ‘다문서 읽기’에 대한 학술적 담론을 ‘다문서 읽기 교육’이라는 실천적 교육의 장으로 전환할 때라는 판단 아래, 그동안 다루어져 왔던 텍스트성 이론, 다문서 읽기 이론을 종합하여 다문서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한 다문서 읽기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성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논의를 수정하여 다문서 텍스트성을 개념화하고 기준을 제시하였다. 다문서 읽기 지도 방안으로는 학습 독자가 다문서 텍스트성의 여섯 가지 기준을 개별적 혹은 균형적으로 고려하여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 다문서 텍스트성에 작용하는 범주·요소, 다문서 읽기 원리, 다문서 읽기 방법의 수행 가능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급별 혹은 학년별 수준으로 위계화하여 실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문서 읽기 교수·학습 내용이나 방법이 더욱 구체화되고, 다문서 읽기 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실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편지윤(Pyun Ji Yun),변은지(Byeon Eun JI),한지수(Han Ji Soo),서혁(Suh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Beaugrande와 Dressler의 7가지 텍스트성을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Multimodal Text)’의 텍스트성(Textuality) 이 단일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영상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합양식 텍스트의 ‘결속성(cohesion)’은 복수 양식의 중층적 결합에 의해 실현되며, 의미구조 간의 ‘응집성(coherence)’이 텍스트 표층에 가시적으로 재현되는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단일양식 텍스트와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의미구성의 방향성을 다 채롭게 의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식의 중층적 결합체를 텍스트로 용인하려는 수용자의 의지가 강력히 요구된다는 점에서 ‘의도성’과 ‘용인성’에서도 복합양식 텍스트만의 독특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성’의 측면에서는 양식의 존재 및 의 미 작용 방식 등이 얼마나 새롭고 예측불가능한지가 중요하게 작용하며, ‘상황성’의경우 높은 재현성을 기반으로 텍스트 생산 맥락에의 접근이 용이하고, ‘상호텍스트성’의 경우 텍스트 간 상호 관련성을 지니는 ‘단위’가 양식의 결합체 차원으로까지 확대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영상성(imagance)’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로서의 특성을 텍스트성 차원에서 종합하고 복합양식 텍스트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논의의 실제성·타당성을 제고해 나가는 적용 연구, 더 나아가서는 참여 자들이 복합양식 텍스트를 어떻게 텍스트 차원에서 구성해 나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피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Text’ as text.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extuality’ between ‘Multimodal Texts’ and ‘Monomodal Texts’ based on seven textualities of Beaugrande and Dressler(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Also, we tried to confirm the textuality of the multimodal text more precisely by analyzing video text. The ‘cohesion’ of the multimodal text is implemented by the multi-layered combination of modes and differs from the monomodal text in that between semantic structures of ‘coherence’ is represented visually on the text surface layer. In addition, the ‘intentionality’ and the ‘acceptability’ also have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at the reader’s volition to accept the multi-layered combination of modes as a text is strongly demanded, and in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meaning composition can be variously intended. In the case of the ‘informativity , how new and unpredictable the presence and meaning functioning of mode are important. And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were discussed focussing on accessibility of the context of text production and expansions of the unit of text. In addi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as argued tha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imagance’ is need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tudy area of multimodal text is expanded in that it discusses overall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modal tex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research that will improve the actuality and validity of discussion based on various case analysis and how the participant will intertwine the multimodal tex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