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리봉을 둘러싼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신명직(Shin, Myoung-J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6

        가리봉 공간은 탈영토화와 영토화/재영토화를 반복해왔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때 탈영토화, 재영토화는 국가 층위만이 아닌, 초국가적, 로컬 층위에서 함께 검토될 필요가 있다. 먼저 국가층위에서의 가리봉의 영토화란, 개발독재 시기 농촌에서 구로 수출공단으로 이주해온 노동자들에 의해, 87년 이후 가리봉의 탈영토화는 이들이 가리봉으로부터 벗어나 지방이나 해외로 벗어나면서(로컬 층위), 재영토화는 이들 자리를 대신하여 중국 조선족을 비롯한 이주노동자들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초국가 층위)고 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층위는 상호작용을 하며 각 단계별 탈영토화와 재영토화를 추진해왔다. 특히 87 이후 중국 조선족에 의한 가리봉의 재영토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선, 먼저 가리봉 이 성장과 발전 대신 어떻게 슬럼화, 게토화, 이너시티화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는지(빈곤의 순환)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S.사센은 이를 상대적 고임금층이 되어버린 중간층의 이전ㆍ해체와, 양극분해된 초고소득층과 이주노동자 유입에 따른 비공식부문 종사자의 확대로 설명한 바 있다(가리봉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이를 ‘초국가적’ 층위에서 살펴볼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초국가적 가족 네트워크’이다. 소설 〈가리봉 연가〉의 주인공 명화의 결혼이주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이, 조선족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주로 여성 중심의 모계 네트워크 양상을 띠고 있다. 상대적 과잉인구, 분절된 노동시장과 같은 시스템이 만들어낸 국경을 넘어선 ‘가난’이, 이와 같은 ‘초국가적 가족 현상’을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국가’층위에서 재영토화는 특히 ‘불법체류’ 환경과 직결된다. 소설 〈가리봉 양꼬치〉에 등장하는 폭력조직들처럼 가리봉은 게토화, 조선족만의 전유 공간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국가 단위의 관련법 제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끝으로 ‘로컬 층위’에서 살펴본 가리봉은 임시적이고 유동적인 ‘소수민족 집단 거주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로의 역이주와 로컬단위의 도시 정책들은 가리봉이 안정적인 ‘소수민족 집단 거주지’화 하는 것을 방해한다. 결국 가리봉이란 공간이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순환을 끊고, 안정적인 생활공간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의 ‘영토주권’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는 조선족 이주민들과 기존의 지역주민과의 소통(친밀성)을 통한 초국가적인 동시에 로컬한 영토주권의 확립을 의미한다. Garibong is repeated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These notions are examined not only in the national layer, but also trans-national and local layers. In the first, 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national layer is started from the domestic migrant labors (from the rural district to Guro export industry complex). And the second is the de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local layer, from Garibong to the country or the overseas after 1987. The third is the re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transnational layer with the Korean Chinese. It is matter of course that the each layers have proceeded the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by the mutual action to the each stages. In order to consider the process of reterritoralization by the Korean Chinese, we must to search the conversion of slum/ghetto/inner-city, instead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e circulation of poverty). Sassen has been to expain this, as the transfer and dissolution of middle class and the increase of the very high income gentrification and migrant workers of the informal sector. Specially the problem on the transnational layer is the transnational family network. As the process of wedding migrant in the novel of “Garibong love song”, the transnational network of the Korean Chinese takes on the aspect of women centered network. The poverty over the border created from the system of the relative overpopulation and the segmented labor market, created out this transnational family phenomena. The reterritoralization on the national layer is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of the illegal stay directly. Garibong is apt to be ghettoization and becoming exclusive space of only Korean Chinese as the gangster in the novel “Lamb Skewer of Garibong”. This is closely linked with the enactment of national legislation. Finally, Garibon on the local layer is going to the temporary and flexible ‘ethnic enclave’. The reverse migrantion to China and the urban policies on the local layer interfere the stabilization of the ‘ethnic enclave’. In the end it needs the new concept of ‘territorial sovereignty’ in order to break the circulation of the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and to settle the stable living space. It means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transnational and local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the conversation (intimacy) with the migrants of the Korean Chinese and the residents of Garibong.

      • KCI등재

        탈영토화와 다문화주의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최근 한국 사회에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불행히도 현재 한국의 다문화주의는 정부의 과잉 사법화와 운동 단체의 과잉 규범화가 혼융되어 있는 기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문화 현실이 정부의 국민국가 프레임과 운동단체의 보편가치 프레임에 어떻게 도전을 던지고 있는지 학문적으로 탐구해야 한다.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민국가 프레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충분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여러 이유가 있을 터이지만, 국민국가 프레임이 근대성 일반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 ‘근본화’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흐름에 맞서, 이 글은 근대 ‘국민국가’ 형성과 함께 만들어진 한국의 ‘사회적인 것’이 작금의 지구화를 통해 탈영토화되고 있다는 ‘보다 근본적인’ 관점을 취할 것이다. 그 다음에, 이러한 탈영토화된 공간 속에서 한국인과 이주자 사이에 벌어지는 다양한 재영토화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다문화주의 연구 쟁점에 대해 이론적으로 짚어볼 것이다. Recently, debates on multiculturalism have become heated throughout South Korea. But, unfortunately,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is showing a grotesque mixture of the state’s over-legalization and the movement organizations’ over-normalization. To overcome this, we need academic research on how multicultural realities are challenging both the State’s frame of nation-state and the movement organizations’ frame of universal values. Even though various disciplines are actively discussing about multiculturalism, the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frame of the nation-state does not seem to be sufficient. There may be many reasons for this, but the most significant reason appears that multiculturalism is not radicalized in a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frame is intertwined with modernity in general. In this article, a more radical perspective against this current will be taken, that ‘the social’, constructed with the building of the nation-state, is being deterritorialized through globalization. This will be followed by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key issues on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territorializing practices in deterritorialized spaces between Koreans and migrants.

      • KCI등재

        교정시설의 탈영토화에 관한 연구

        김영화,강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Existing detention-oriented correctional facilities are designed as security centres by placing more weight on the ease of control than the re-socialization of inmates, and are insufficient to reach the goal of remediation. The inmate returns to society after the sentence ends. However, due to economic and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disconnection from society, it is causing a vicious cycle of social adaptation and joining crime again, which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the government operates a social rehabilitation system and operates various programs. This can be seen as the movement of deterritorialisation from detention to social return. However, existing detention-oriented facilities have limitations in running various programs, and new forms of decolonized correctional facilities are required to educate and healthy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eterritorialization of correctional facilities through cases based on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sation.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expect the correctional space, which is a hate facility, to be re-territorialized and decoded into a new rehabilitation space for a healthy community. 기존의 구금위주의 교정시설은 수형자의 재사회화보다는 통제의 편의성에 무게를 둠으로서 보안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교정교화의 목표에 도달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재소자는 형기 종료 후 사회에 복귀한다. 하지만 사회와의 단절로 인한 경제적,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사회의 적응에 문제가 발생하고 다시 범죄에 가담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 국가에서는 사회복귀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는 구금에서 사회복귀로의 탈영토화의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구금위주의 시설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교화와 건강한 사회복귀를 위해 교정시설에서의 탈영토화된 새로운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탈영토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교정시설의 탈영토화의 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혐오시설인 교정공간이 탈영토화 및 탈코드화 하여 건강한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재활공간으로 거듭나는 효과를 기대해 보고자 한다.

      • 축제론의 탈영토화 : 축제기계와 유목축제론 시도

        김양주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8 人文論叢 Vol.35 No.-

        이 글이 시도하는 것은 ‘전쟁기계’ 개념에서 촉발된 ‘축제기계’, 그리고 그의 ‘유목축제론’이다. 탐구와 논의의 중심 문제와 주제들은 크게 다음과 같다. 전쟁기계의 축제기계화, 국가축제와 유목축제, 축제의 유목론 또는 유목축제론, 유목축제를 위한 축제기계의 실천론, 그리하여 기존 축제론 으로부터의 탈영토화를 위한 축제-되기 등등이 주된 논의가 된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축제 일반언설’ 혹은 ‘축제 담론’들— 1)축제는 정체성의 확인, 2)축제란 신화적 세계나 역사적 사실의 재현, 3)축제는 일상에서 비일상으로 전환된 시공간―들로 부터의 탈영토화한 새로운 문제적 명제들을 제시한다. 이것은 바로 축제의 탈영토화를 위한 실천적 작업이며, 이는 ‘축제-되기’의 시도이다. This paper is looking for a new festival theory. So it starts from the question which is ‘what kind of thing which is festival?’ instead of ‘what is festival?’ Therefore, this festival theory is not to deals with a festival itself, but to attempts to find out actually how the festival acts and operates.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festival to become and to be made rather than to make a definition or the concept of festival. How it works? What kind of time-space features are shown? What are the potential risks? I believe that the process to find out the answers about these questions is the actual way to tell about the festivity. For the revolutionary and creational festivity, it is necessary to de-territorialize from current festivals. Also I feel the necessity and urgency. So I call it not ‘festival-doing’ or ‘festival-making’ but ‘festival-becoming’ Maybe this process itself means that festival is production of desire and will be a path to the practical actions. Why ‘festival-becoming’ Therefore, what is ‘festival-becoming’

      • KCI등재

        포스트모던조직론에 있어서 탈영토화(脫領土化)와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22장(章)

        오열근 ( Youl Gun Oh ) 한국행정사학회 2015 韓國行政史學誌 Vol.36 No.-

        포스트모더니즘에 있어서의 모든 지식은 그 성격과 구조에 있어서 탈영토화된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학문 분야에 못지않게 조직론에도 적용된다. 우리들이 이해하고 있는 가정들의 제 그리드와 코드는 제거된다. 탈영토화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상황이 갖는 제 함의가 사고와 연구를 위해 인정받을 때 실현될 것이다. 과학은 많은 담론들 중 하나의 담론이라고 여겨질 경우, 사고의 특성은 변화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적 상황에서는 과학적 연구는 인식론적으로 특권적인 우월적 정보를 제공하는 者라는 지위를 잃게 될 것이다. 이 점은 조직이론, 자연주의적(혹은 구성주의적) 연구, Deleuze의 탈영토화, 그리고 老子의 曲則全의 입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탈실증주의자의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예증되는 것이다. All knowledge in postmodernism is deterritorialized in terms of character and structure. This situation applies no less to organization theory than to other disciplines. The grids or codes of assumptions that are imposed on our understanding are removed. Deterritorializetion will be realized when the implications of postmodern circumstances are recognized for thinking and for inquiries. The character of thinking will change when science is regarded as one discourse among many discourses. In the postmodern situation, scientific inquiry will lose its status as a provider of epistemologically privileged information. This point is illustrated by examining some postpositivist work now being undertaken in terms of organization theory, naturalistic(or constructivist) inquiry, Deleuze’s deterritorialization, and Lao-tzu’s 「Bent over then preserved whole」.

      • KCI등재

        <토끼전>에 나타난 욕망의 배치와 탈영토화 - 가람본 <별토가>를 중심으로 -

        이명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3

        이 논문은 가람본 <별토가>를 대상으로 <토끼전> 등장인물들의 욕망의 배치 와 그 이면에 작동하는 헤게모니의 이중성을 살펴본 것이다. 용왕과 별주부, 토끼 는 접속과 배치에 따라 욕망이 생성되고, 권력 구조의 변화에 따라 ‘욕망의 배치’가 변화한다. 이들의 권력 구조 변화는 들뢰즈의 ‘영토화-탈영토화-재영토화’ 과정에 대응된다. 용왕과 별주부, 토끼는 봉건 체제의 헤게모니 속에서 각각의 ‘욕망의 배치’에 따 라 다층적 성격을 드러내는 인물이다. <토끼전>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격과 갈등 에는 욕망의 배치에 따른 헤게모니의 변화가 나타난다. 헤게모니의 변화는 기존 배치의 탈영토화를 작동시키고, 탈영토화와 동시에 재영토화도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권력의 재배치는 욕망의 배치에 따른 등장인물의 다층적 면모를 드러나게 한다. 즉, <토끼전>은 욕망과 권력의 속성을 통해 인간의 실체를 드러낸 작품인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lacement of characters’ desire and the duality of hegemony working behind it in Tokkijeon, based on the Garam version of Byeoltoga. Desire emerges in the Dragon King of the Sea, Byeoljubu, and the Hare, according to their connection and placement, and there are changes to the “placement of their desire” according to the changing power structure. These changes to the power structure correspond to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deterritorialization-reterritorialization” proposed by Deleuze. The Dragon King of the Sea, Byeoljubu, and the Hare reveal their multi-layered personalities according to their own “placement of desire” in the hegemony of the feudal system. Changes happen to hegemony according to the placement of desire in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conflicts in Tokkijeon. Changes in hegemony operate the deterritorialization of the old placement, and reterritorialization takes places simultaneously with deterritorialization. Such replacement of power demonstrates the multi-faceted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lacement of their desire. In other words, then, Tokkijeon sheds light on the true nature of people through the lens of desire and power.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의 ‘줄기의 생김새와 하는 일’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교사 되기 탐색 - 탈영토화 도달 정도와 리좀적 사유 유형을 중심으로 -

        김동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1

        본 연구는 들뢰즈(Deleuze)의 되기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줄기의 생김새와 하는 일’ 탐구에서 나타난 과학교사 되기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초등 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하였으며 이들은 약 한 달간 교과서 활동과 교사로서 해결해야 할 심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반성적 탐구일지의 내용을 들뢰즈의 차이생성 메커니즘 과정에 따라 어느단계까지 도달했는지 분석한 결과, 탈주 단계와 탈영토화 단계까지 도달하여 앞으로 과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탐구에 대한 다양한 노하우를 구축한 내용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탈주를 통한탈영토화 이전 단계에 머물러 있는 내용도 6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탈주를 통한 탈영토화에 도달하게 만든 리좀(Rhizome)적 사유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6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 탈영토화에 도달하는 데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탐구에서 홈 패인 공간을 극복하는 단계적과정을 거쳐 재영토화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탐구 과정을 따라서 해보는 것에 거치지 않은 도전적 탐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서 ʻ에스니시티 전시하기ʼ

        최종렬(Jongryul Choi),최인영(Inyoung Choi)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글은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인 안산 다문화거리를 에스닉 관광을 하는 이동하는 관광객의 시선으로 실행한 문화기술지이다. 전형적인 에스닉 관광객은 시각적 표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를 들고 진기한 것을 찾아 낯선 이국적인 거리를 떠도는 이방인이다. 관광객의 시선은 ?외부자의 관점?을 취하고 있어 지역 거주민의 그것과 달리 진기한 것에 대한 ?얕고 분절된 표상?을 추구하며, 이는 보통 무계획적인 잡다한 인상적 사진 찍기로 나타난다. 이러한 에스닉 관광객의 시선으로 문화기술지를 행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고프만의 공공장소의 이방인의 사회학과 영상사회학을 결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 놓인 이주민과 한국인 사이에 어떤 재영토화 전략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관광객의 시선으로 비참여관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서 이주민과 한국인 사이의 대면적 상호작용의 핵심은 에스니시티 전시이고, 이는 위계화된 국적 행하기로 쉽게 전화된다. This paper is an ethnograhy of the deterritorialized public places of Ansan?s multicultural streets as viewed through the gaze of a fleeting tourist. Typical ethnic tourists are strangers with cameras strolling along strange ethnic streets, searching for the exotic to be visually represented. A tourist"s gaz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outsider searches for shallow and fragmented representations of the exotic, which usually appears as ad hoc impressive photographing. In order to do ethnography from an ethnic tourist?s gaze, Goffman?s sociology of strangers in public places and visual sociology are methodologically combined. More specifically speak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by ethnic touris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igrants and Koreans practice reterritorializing strategies in deterritorialized public places. Face-to-face interaction between them is mostly characterized by ?doing ethnicity,? which easily leads to doing ?hierarchical nationality.?

      • KCI등재

        ‘세계화’와 ‘탈영토화’ 개념 중심으로 본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 - 이우환, 김수자, 서도호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희 ( Kim Jung H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6 No.-

        본 논문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의 개념 중심으로 본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을 통하여 한국현대미술의 방향성을 알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사회는 1990년대부터 세계화와 다문화의 급류를 탄 이후 고유의 문화, 민족, 영토에 대한 개념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으며, 인터넷과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의 급진적인 발달로 매 시각 세계 각국의 소식과 문화를 접하는 것이 보편적인 시대를 맞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에 대한 규정을 하고자 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일 것이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가지는 것은 존재의 근원에 대한 사유를 하는 것으로 존재하는 것의 본능적인 물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현대미술’이 존재한다고 한다면, 그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가지는 것은 존재의 핵심 사안이며 필수적인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에 목적을 두지 않는다. 그 대신에 그 ‘정체성’에 대한 존재론적 담론과 현재의 ‘한국현대미술’을 대표하고 있는 미술가들인 이우환, 김수자, 서도호의 사상과 작품 활동의 사례들을 통하여, 그들이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그것을 발판으로 한 예술작업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그 현상들을 고찰하여 한국현대미술의 중요한 측면을 알고자한다. 본문에서는 첫째, ‘한국미술’의 정체성 담론이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한국의 현대미술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으로 이어지게 되었는지 알아본다. 또한 현재의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을 위하여 ‘세계화’와 ‘탈영토화’의 두 가지 개념을 알아보고, 현재 미술계의 상황에 투영하여 분석한다. 본문의 마지막 절에서는 앞선 연구들을 토대로 한국현대미술을 이끌고 있는 이우환, 김수자, 서도호의 사례를 통하여 한국현대미술의 추동력의 방향성을 알아본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discourse on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concepts of ‘glob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Since the 1990s, the boundaries of the concepts of Korean culture, ethnicity and territory have been rapidly disintegrating, due to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With the radical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ass communication, Korean society is facing the era of instant universal access to news and culture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but questioning the identity is instinctive and essential. If ‘Korean contemporary art’ exists, it is essential to have a question about its identity. This paper does not focus on defining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stead, through looking at the existential discourse on ‘identity’ in the thoughts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artists U-fan Lee, Soo-ja Kim and Do-ho Seo, the paper contemplates how they form their identity as artists, and how they are working on their art works based on it. Through this, ultimately, this study discovers an important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First, the paper explores how discourses on the identity of ‘Korean art’ began, and how it led to the discourse on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addition, the two concepts ‘glob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are explored in order to discuss the identity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this is used to analys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art world. The final section of the paper examines the cases of U-fan Lee, Soo-ja Kim and Do-ho Seo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in order to comprehend the impetus behind the current dir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주권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이철우(Lee Chulwoo)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1

        이중국적이 국민국가의 구성원리에 어긋나는 현상이라는 믿음은 이중국적을 도덕적, 정치적으로 적대시하는 사회 여론은 물론 비판적 시민권 연구자들 사이에도 공유되어 있다. 국민국가의 틀로부터 해방된 탈국가적 시민권을 전망하는 학자들은 이중국적을 용인하는 법정책의 확산과 이중국적의 빈발을 시민권의 탈국가화를 보여주는 징후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그와 같은 관점을 반박한다. 이중국적이 복수의 국적국의 주권을 공히 약화시키지 않으며 국가의 경계를 유린하는 초국가적 이주자의 삶이 이중국적과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선행 연구자의 반론을 계승하면서, 이중국적이 국민국가가 인적인 외연을 넓히는 주권의 탈영토화 및 위로부터의 초국가성, 그리고 영토에 대한 지배를 확고히 하려는 주권의 재영토화의 전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여러 논의와 사례를 원용하여 보여준다. 이 글은 이중국적이 국민국가의 논리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터잡고 있음을 강조한다. 결론하여, 이중국적은 인적 집단인 네이션과 영토를 관리하는 권력기구인 국가의 결합으로 성립한 국민국가의 공식적 자기정의와 달리 네이션과 영토의 경계가 어긋나는 현실을 반영하는 한편, 세계를 국가로 분절화한 지배적 담론체계에 부합하도록 괴리의 현실을 조정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고 설명한다. The essay objects to the belief that dual nationality does not conform to the constitutive principle of the nation-state, a belief shared by public opinion hostile to dual nationality on the one hand and the academic proponents of postnational citizenship on the other. While the former carries anxiety that dual nationality entails split loyalty and damages national unity, the latter celebrate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dual nationality as a symptom of the weakening of the state’s sovereign domination over its people and the manifestation of a force of postnational transformation that invigorates transnational forms of life. Some critics of this belief argue that neither does dual nationality equally weaken the sovereign domination of all the states involved nor is transnational life necessarily coupled with dual nationality. I concur with this argument and contend further that dual nationality is predicated on the logic of the nation-state rather than denies it. The study introduces various discussions and cases in ways to highlight the use of dual nationality as a strategic means of the deterritorialization of sovereignty and transnationalism from above, in which nation-states seek to expand its membership boundary beyond their borders, and of the reterritorialization of sovereignty, which involves efforts of nation-states to ascertain their sovereign control of the population on their territory. Lastly, the essay contends that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dual nationality not only results from states’ strategic conduct but is embedded in the very structure of the Westphalian nation-state system. Dual nationality is a necessary means of adjusting the reality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discursive system of the nation-state that presupposes congruence between national population and terri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