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의 탈바꿈과 중민이론의 재구성

        한상진(Han, Sang-Jin)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7 No.-

        코로나19로 인한 세계의 탈바꿈이 중민이론의 재구성을 요구한다는 판단에 따라 이 글은 재구성의 방법론, 차원, 방향, 실천적 함의를 검토한다. 근대적 세계관에 깊숙이 내장된 양극대립의 고정관념을 넘어 그 사이에 작동하는 중즉간(中卽間), 간즉통(間卽通), 통즉공(通卽共)의 통간적 사유방식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우선 1) 세계의 탈바꿈을 예시하고 이것이 중민이론에 주는 충격을 살핀 후, 2) 중민이론의 소진되지 않은 잠재력 찾기 위해 1980년대의 전환기에 이것이 어떤 구체적 목표를 추구했는가를 본다. 그리고 나면, 3) 중민이론에 담긴 원래의 뜻, 당대의 시간성을 넘는 보다 긴 역사적 철학적 문제의식을 재조명한다. 뒤를 이어 4) 경험적 중민연구의 난제를 살피고 중민이론의 재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설문조사 자료를 살핀 후, 5) 결론으로 공동체 문제를 미래의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Joongmin theory as a proactive response to the metamorphosis of the world dictated by COVID-19, with the aim to explore the concept of ‘In-Between Commonality’ which goes beyond binary oppositions built into modernity. For this purpose, the paper first exemplifies the metamorphosis of the world, examines its negative impact on this theory and then attempts to clarify the goal pursued by this theory in Korea during the 1980s to see whether there remain unexhausted normative potentialities. Based on this critical self-reflection, the paper offers reasons why and when progressive and Joongmin citizens can go along together and must diverge as well by making explicit the implications of an in-between approach to common world which has hitherto remained rather implicit in this theory. The paper also examines salient outcomes of the survey data analysis from the 30 global cities in June 2020, particularly those that can potentially support for the reconstruction of this theory. Finally, it concludes with suggestion of further research on the community of mind and heart found stronger in East Asia, particularly in Korea, as a valuable socio-cultural asset leading to a post-Confucian democratic governance of Covid-19 pandemic.

      • KCI등재

        지속과 변신의 순환을 통한 성장으로서 자기교육 고찰-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문어 선생님(My Octopus Teacher)>을 중심으로-

        김세희,신창호 한국교육사상학회 2021 敎育思想硏究 Vol.3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core principles of self-education through a documentary film, <My Octopus Teacher>. Self-education is based on the biophilosophy that knowledge exists in life itself. <My Octopus Teacher> is a useful resource to explain the essence of self-education for the following three main reasons. First, a documentary is the hermeneutic act of ʻseeingʼ the object. Second, the film shows the process of seeing the main character's coming to the realization. Third, ʻwatching the movieʼ gives an experience to the viewer that stimulates philosophical thoughts. All of this is very close to the essence of self-education. Self-education literally means ʻlearning by oneselfʼ yet, it is a product of collaborative learning that can never be achieved alone. In order for self-education to be achieved,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growth, which is acquired through learning the ʻsustainabilityʼ of life and ʻthe change in one's consciousnessʼ by existential experiences. Therefore, self-education is the process of becoming mature and transforming through this cycle of achieving sustainability and metamorphosis. 본 연구는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문어 선생님(My Octopus Teacher)>을 중심으로 자기교육의 개념과 핵심원리를 고찰한 것이다. 자기교육은 삶 자체에 앎이 존재한다는 생철학을 기저에 두고 있다. 영화 ʻ나의 문어 선생님ʼ은 자기교육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텍스트이다. 이 영화는 대상을 ʻ본다ʼ라는 해석학적 행위와 영화 속 주인공의 깨달음 과정을 다루고 있다. 동시에 이를 지켜보는 관객의 ʻ영화보기ʼ는 체험을 통한 철학적 사유를 제공한다. 이런 특성은 자기교육의 본질과 상당히 닮아있다. 자기교육은 문자 그대로 보면, ʻ스스로 배우는 작업ʼ이지만, 결코 혼자서는 이룰 수 없는 공동학습의 산물이다. 따라서 자기교육이 이루어지려면 더불어 사는 삶의 ʻ지속가능성ʼ과 스스로의 선택과 결단을 통한 실존적 경험을 통해 근본적 ʻ의식의 탈바꿈ʼ을 이루는 성장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자기교육은 성장과정에서 지속과 변신의 순환을 통해 인간적 성숙과 변용을 이루어 나간다.

      • KCI우수등재

        인류세의 사회이론 2: 울리히 벡과 브뤼노 라투르의 파국주의적 전회

        김홍중 한국사회학회 2023 韓國社會學 Vol.57 No.4

        이 연구는 파국의 문제틀을 당대 사회현실을 분석하는 중요한 개념 혹은 주제로 다룬 21세기 사회이론의 두 사례를 탐구한다. 하나는 울리히 벡의 해방적 파국주의론이며, 다른 하나는 브뤼노 라투르의 가이아 이론에 기초한 생태 정치학이다. 위험사회론으로 서구 근대의 생태위기를 사고해 온 벡은 『세계의 탈바꿈』에서 인류세와 기후변화를 단순한 위기가 아닌 파국으로 이해하고, 이를 해방적 계기로 전환시킬 가능성을 탐구한다. ANT를 창안했으며 서구 근대성에 대한 근본 비판을 수행해 온 라투르 역시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인류세의 문제의식을 더 첨예하게 제시하면서 파국주의적(심지어 묵시록적) 사회이론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라투르는 러브록의 가이아 이론을 ANT를 통해 재해석하고, 임계 영역으로서의 가이아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또한, 작금의 파국적 기후 레짐을 벗어나기 위한 한 가능성으로서 전쟁 모델을 제시하고, 그 주체를 생태 계급이라 명명한다. 벡과 라투르는 모두 인류세가 사회이론에 가져온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21세기 사회이론이 파국주의적 전환을 통해 발전이 아닌 재난, 번영이 아니 파괴, 진보가 아닌 파국이라는 현실을 깊이 고뇌해야 함을 역설했다. This article explores two exemplary cases in 21st-century social theories that deal with the problematics of catastrophe as a significant concept or theme for analyzing contemporary social reality. One is Ulrich Beck’s theory of emancipatory catastrophism, and the other is Bruno Latour’s political ecology, founded on the figure of Gaia. Having shown his interest in the ecological crisis of modernity in light of the thesis of risk society, Beck proposed to regard the actual climate problem and the Anthropocene not as a mere crisis but as a catastrophe and also to find out the way of transforming the problem into the emancipatory moment of creating new institutions. As for Latour, who invented ANT in the field of STS and criticized the modern constitution, he attempted to tackle the problem of what he calls ‘the New Climate Regime’ drawing on Gaia’s hypothesis. He proposed to see Gaia as a critical zone. In the same vein, he considered the war model a possibility to escape the actual Anthropocenic catastrophe, while the ecological classes shouldered the subjectivity of this task. These two examples exhibit the impact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s on social theory. They assert that 21st-century social theory should think deeply about disaster, destruction, and catastrophe instead of development, prosperity, and progress.

      • KCI등재

        반핵운동에서 탈핵운동으로: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한국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윤순진 ( Sun Jin Yun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5 시민사회와 NGO Vol.13 No.1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우리 사회 반핵운동은 탈핵운동으로 이름이 변화된 데서도 드러나듯이 운동의 내용과 방식이 변화되고 있고 참여 주체들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고 한국의 탈핵운동은 어디까지 와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탈핵운동으로의 변화를 “해방적 파국”과 “조직화된 무책임성,” “에너지 시민”으로의 “탈바꿈”이란 틀을 통해 살펴본다. 후쿠시마 핵발전 사고 후 한국 탈핵운동의 주체는 이전의 환경운동단체와 지역주민을 넘어 보다 다양하게 확대되었고 운동 내용도 이전과 달리 특정 시설물의 입지에 대한 반대에 갇히지 않고 대안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운동방식도 간헐적 폭발적 형태의 시위와 저항 중심의 대응을 벗어나 생활세계 속에서 에너지 대안을 일상적으로 실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탈핵은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흐름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핵발전 의존적인 에너지체제를 떠받치고 있는 다양한 제도들이 에너지 대안들이 성장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한 시민들의 성장이 방해받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탈핵운동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해 가야 할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Much like how the name of Korean “anti-nuclear movements” was changed to post-nuclear movement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disast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ovements as well as the participating groups have been changing. How were such changes possible? How far have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progressed? Do these changes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Korean society? This paper explores changes occurring in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emancipatory catastrophism,” “organized irresponsibility” and “metamorphosis” towards “energy citizens.” The main groups of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have been diversified beyond the boundaries of environmental activist organizations and local residents around nuclear facilities.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ovements, unlike in the past, have overcome the objections regarding the locations of specific facilities and have gone past the explosive patterns of demonstrations and resistance. Instead, movements have progressed in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by responding with suggestions for energy alternatives. Nevertheless, post-nuclear movements have not been able to become dominant flow in Korean society. This is because various institutions supporting a nuclear power-dependent energy system work as barriers against the growth of energy alternatives and thus prevent the growth of citizens building energy citizenships.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continue to be tasked with simultaneously solving these two challenges.

      • KCI등재

        21세기 한국 청소년들의 삶의 목적과 사회:개인과 사회의 상생

        김두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이 논문은 오늘의 한국 교육이 대학이 요구하는 수학능력을 증명하는 표준 화된 시험에 내몰려 있어 정체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로 일컬어지는 청소년기 에 삶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탐색할 수 없게 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청소년 들이 목적을 세우지 못하고 표류하는 삶을 사는 문제의 심각성은 비단 한국뿐 만 아니라 미국의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서도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프로 그램으로 ‘긍정적 청소년 발달 접근(Positive Youth Development approach)’을 주도 하고 있는 윌리암 데이먼은 목적을 자신에게 의미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을 넘 어선 세상을 위해 중대한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일반화된 의도 로 정의한다. 이렇게 데이먼과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삶의 목적에 사회적 가치 를 포함하는 중요한 성취를 보이고 있지만 청소년들에게 목적의 부재가 일어 나는 원인을 어른들의 태만으로 보는 한계가 있다. 데이먼과 달리 로빈슨과 애 로니카는 현재의 교육이 표준화된 인지능력에 초점을 맞춘 낡은 산업주의 교 육모델에 바탕을 두고 있는 문제를 지적한다. 본 연구는 로빈슨과 애로니카가 말하는 교육의 탈바꿈, 즉 표준화를 버리고, 과목의 위계를 없애고, 교사의 권 능을 회복함으로써 아이들의 다양한 소질과 재능에 복무하는 개인화교육이 디 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적 변화를 경험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융합의 시대를 살아갈 자라나는 세대에게 목적으로서 사회적 삶의 가치가 긴요하다는 윌리엄 데이먼의 주장이 교육의 탈바꿈에 반영되어야 하고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상생의식을 부여하는 극기복 례와 공감의 가치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if today’s Korean adolescents have room for exploring a purpose overarching their whole lives. In fact, they lack such room because adolescents in Korea have been forced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securing a good standardized test score required for university admission. The problem of adrift adolescents without a sense of purpose in life has also been brought up by William Damon who is now leading Positive Youth Development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William Damon defines purpose as ‘a stable and generalized intention to accomplish something that is at the same time meaningful to the self and consequential for the world beyond the self.’ This definition lades a purpose in life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a critical element. Damon diagnoses the main cause of adolescents’ drifting as the neglect of adults who know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However this diagnose missed the point raised by Robinson and Aronica who point out that the education model of industrial society which focuses on standardized cognitive capacity is now largely outdated and destroying our children’s inborn creativity. To make situation changed, this research agrees with Robinson and Aronica’ in that what we need is not the reform of education but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he transformation includes phasing out standardized curriculum, adjusting too much weight on particular subjects such as mathematical, linguistic or scientific cognition, and relinquishing centralized control of education to teachers actually meeting children in classroom. In sum, the transformation will make our education individualized enterprise rather than standardized one and will serve for full development of today’s adolescents in their diverse intelligence, talents and interests. This transformation of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out delay because today’s social world experiences accelerating change owing to digital technology. But the era of convergence being led by digital technology also requires young people to develop a purpose in life laden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Damon emphasizes. To develop our adolescents imbued with the value of the social, this research proposes that we should teach the virtue of ‘Restrain yourself and Return to the rites (克己復禮)’ and empathy as specifying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in a purpose in life.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한국 청소년들의 삶으 목적과 사회

        김두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이 논문은 오늘의 한국 교육이 대학이 요구하는 수학능력을 증명하는 표준 화된 시험에 내몰려 있어 정체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로 일컬어지는 청소년기 에 삶의 목표와 가치에 대해 탐색할 수 없게 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청소년 들이 목적을 세우지 못하고 표류하는 삶을 사는 문제의 심각성은 비단 한국뿐 만 아니라 미국의 발달심리학자들에 의해서도 제기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프로 그램으로 ‘긍정적 청소년 발달 접근(Positive Youth Development approach)’을 주도 하고 있는 윌리암 데이먼은 목적을 자신에게 의미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을 넘 어선 세상을 위해 중대한 무언가를 성취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일반화된 의도 로 정의한다. 이렇게 데이먼과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삶의 목적에 사회적 가치 를 포함하는 중요한 성취를 보이고 있지만 청소년들에게 목적의 부재가 일어 나는 원인을 어른들의 태만으로 보는 한계가 있다. 데이먼과 달리 로빈슨과 애 로니카는 현재의 교육이 표준화된 인지능력에 초점을 맞춘 낡은 산업주의 교 육모델에 바탕을 두고 있는 문제를 지적한다. 본 연구는 로빈슨과 애로니카가 말하는 교육의 탈바꿈, 즉 표준화를 버리고, 과목의 위계를 없애고, 교사의 권 능을 회복함으로써 아이들의 다양한 소질과 재능에 복무하는 개인화교육이 디 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적 변화를 경험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융합의 시대를 살아갈 자라나는 세대에게 목적으로서 사회적 삶의 가치가 긴요하다는 윌리엄 데이먼의 주장이 교육의 탈바꿈에 반영되어야 하고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상생의식을 부여하는 극기복 례와 공감의 가치로 구체화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if today’s Korean adolescents have room for exploring a purpose overarching their whole lives. In fact, they lack such room because adolescents in Korea have been forced to spend most of their time for securing a good standardized test score required for university admission. The problem of adrift adolescents without a sense of purpose in life has also been brought up by William Damon who is now leading Positive Youth Development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William Damon defines purpose as ‘a stable and generalized intention to accomplish something that is at the same time meaningful to the self and consequential for the world beyond the self.’ This definition lades a purpose in life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a critical element. Damon diagnoses the main cause of adolescents’ drifting as the neglect of adults who know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However this diagnose missed the point raised by Robinson and Aronica who point out that the education model of industrial society which focuses on standardized cognitive capacity is now largely outdated and destroying our children’s inborn creativity. To make situation changed, this research agrees with Robinson and Aronica’ in that what we need is not the reform of education but the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he transformation includes phasing out standardized curriculum, adjusting too much weight on particular subjects such as mathematical, linguistic or scientific cognition, and relinquishing centralized control of education to teachers actually meeting children in classroom. In sum, the transformation will make our education individualized enterprise rather than standardized one and will serve for full development of today’s adolescents in their diverse intelligence, talents and interests. This transformation of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out delay because today’s social world experiences accelerating change owing to digital technology. But the era of convergence being led by digital technology also requires young people to develop a purpose in life laden with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as Damon emphasizes. To develop our adolescents imbued with the value of the social, this research proposes that we should teach the virtue of ‘Restrain yourself and Return to the rites (克己復禮)’ and empathy as specifying the meaning of social contribution in a purpose in life.

      • KCI등재

        ‘접변과 수용, 재해석’의 문화 현상으로서의 헝가리 세체씨오(Szecessió) 연구

        김지영(Kim Ji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1 No.-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는 건축사와 예술사의 중요한 조류인 세체씨오(Szecesszió, 분리파 양식) 양식의 건축물과 예술형식이 번성했던 도시이다. 부다페스트는 유럽의 대도시들이었던 비엔나, 런던, 파리 등의 장점을 수용하여 1871년에 헝가리의 수도로 재탄생되었던 도시로서 19세기말에 이르러 세기말적(Fin-de-Siecle)문화의 경향을 도시 건축에 수용하여 다른 유럽의 도시에서 잘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도시가 되었다. 헝가리에서 발달한 아르누보 문화는 이론적으로 벨기에나 영국, 오스트리아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는 헝가리 전통문화의 소재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변용하여 헝가리만의 개성있는 세체씨오(Szecesszió)양식을 창조하였다. 부다페스트는 근대적 도시로서의 기능과 ‘헝가리 민족의 수도’라는 메타포에 부합하는 ‘헝가리 민족의 특성’을 표현하는 도시로 기획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부다페스트의 건축가들은 헝가리적 모티프를 헝가리의 역사 속에서 끌어왔다. 따라서 헝가리의 세체씨오 양식의 건축물들은 유럽의 새로운 문화 조류의 영향을 받아 헝가리적으로 수용하고 변형하여 재생산한 전형적인 메타모르포시스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헝가리의 특성적인 세체씨오 건축물에 주목하여 헝가리적 세체씨오 건축양식의 바탕이 된 헝가리적 토양, 그것에 기반하여 건축된 건축물들을 소개하고 특징적인 면을 설명하였다. Budapest, the capital of Hungary in Central Europe, is known to have a number of features that set it apart from other large European cities. Europeans often say that their country’s capital is the most beautiful. However, most do not boast that theirs is ‘unique’. This is what sets Budapest apart. A grand compromise forged with Austria in 1867 led to the emergence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Following this, in 1871 Buda, Pest, and North Buda were merged into a new planned city following extensive planning between the two sides. The plans for Budapest were modelled on the major cities of Europe of the time, Vienna, London and Paris, among others. Subsequent to its establishment, in the late 19th century, its design was influenced by Fin-de-Siecle cultural tendencies, acquiring urban scenary unique to the city. Hungarian Szecesszió architectural forms were theoretically European, but they actually reflect an active attempt to embrace and creatively reinterpret Hungarian traditional culture. Budapest included the convenience and other fundamental elements of the spirit of modernity, but was planned to be a metaphorical expression of the Hungarian national identity. Motifs from Hungarian history were invoked to realize this plan. Hungary was ruled directly by the Ottoman Empire for some 150 years, and Ottoman culture had fused with Hungarian Christian culture, creating a unique synthesis. Szecesszió architectural forms were the result of an active search for and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such a cultural legacy.

      • KCI등재

        치유 인문학의 가능성 : 앤 섹스턴, 최승자, 몸의 시학

        정은귀 ( Chung Eun-gw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8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6 No.2

        본 논문은 영미시와 한국시의 비교연구의 일환으로 ‘몸의 시학’의 관점에서 앤 섹스턴과 최승자의 시를 함께 읽으면서 ‘치유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사적인 개인의 경험을 토로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고백’이 실은 당대 사회와 역사를 향하여 공적 감각을 일깨우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시도는 문학의 문화정치학적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며, 이 두 여성 시인이 문학장 내에서 공히 주류 비평의 장으로부터 혹은 담론 생성과정에서 일정한 소외를 이겨내면서 개인의 상처 입은 몸의 고통과 죽음 충동을 어떻게 시로서 이겨내고자 했는지 밝히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비교 읽기를 통해서 ‘힐링’의 방식으로 수동적으로 소비되는 치유 인문학의 자리에 시 쓰기와 시 읽기가 적극적인 실천 행위로써 재배치될 수 있는 가능성, 나아가 혐오와 경쟁이 만연하는 지금 여기의 삶에 시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시를 통한 공적 감각의 회복은 어떻게 가능한지를 탐색하면서 치유 인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This paper invites Anne Sexton and Choi Seung-ja into the realm of a comparative studies focusing on poetics of the body and explores new possibilities of clinical humanities. I would propose that both poets, while applying confession as their writing strategy, go beyond the limit of confessional poetry that has been criticized as the form of representing private experience and easily falls into the net of excessive subjectivity. These two poets, though having been situated in rather distant locations in different poetic traditions and acceptances, construct the site of poetry writing and reading against the grains of death drive and transform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to an alternative space of clinical humanities where public sensibility is newly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