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적 교실커뮤니케이션 모형 탐구

        김학준,김성봉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1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the basic premise that classroom learning is determined by classroom communication. Then, we explored the classroom models as the fram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lassroom communication, and aim to propose the alternative model. For this, first we referred to the communication theories of semiotic school and process school, and searched the relation of the classroom learning and classroom communication. As the result, there appeared many classroom communication models, which were one-way model, two-way model, interaction model, transaction model, and constructivism model. Through the one-way model, the classroom learning appeared as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teacher's original purpose. Two-way model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feedback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Interaction model expected the capability of student's selective perception while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Transaction model appreciated widely and deeply the various factors in the situation context which the classroom communication occurred. And constructivism model considered that the teacher's massage was not shamed with the students, but finally the students selected and then the classroom communication accomplished. As the alternative model, the synthesis model hoped to answer the question "What and how do the students learn practically in schooling?" We tried to synthesise the various factors which the former models have implied.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이 교실학습의 결과를 결정한다는 기본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교실학습을 매개하는 교실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인식하는 하나의 틀로서의 여러 가지 ‘교실커뮤니케이션 모형’들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대안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을 ‘의도전달’로 보는 과정학파의 논리와, ‘의미형성’으로 보는 기호학적 관점을 주로 참조하여 교실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실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유형들로 나타나는데, 단선모형, 복선모형, 상호작용모형, 교류모형, 그리고 구성주의 모형이 그것이다. 단선모형은 교실학습을 애초의 교사의 의도를 관철시키는 것으로 보여주며, 복선모형은 그 과정에서 피드백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양상을 강조한다. 상호작용모형은 상호작용과정에서 학생의 선택적 수용의 여지를 전제하며, 교류모형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상황맥락의 다양한 요인들을 매우 깊고 폭넓게 인정한다. 구성주의 모형은 교사로부터 출발하는 ‘의도’는 학생과 함께 고스란히 공유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학생에 의해 선택되면서 비로소 커뮤니케이션이 성립하는 것으로 본다. 대안모형은 ‘학생들은 학교에서 실제로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보여주려고 한다. 우리는 그 일을 앞의 여러 모형들에서 드러난 교실커뮤니케이션의 특성들을 통합함으로써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텍스트언어학과 커뮤니케이션 학습가능성

        김갑년(Kim Kab-n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커뮤니케이션의 교수-학습 가능성은 지금까지 모든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에 암묵적으로 전제된 기본이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다양한 개념들이 커뮤니케이션 태도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가능하게 한다. 기엽의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예를 바탕으로 이 트레이닝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태도의 문제점 들이 어떻게 확인되며 처리되는지 살펴보았다. 여기서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의 세 가지 핵심적인 취약점이 드러났다. 이 세 문제를 바탕으로 대화분석적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이 어떤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화분석적 연구의 다양한 유용한 방법들이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에 도입된다면 커뮤니케이션의 교수-학습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방식이 기존의 트레이닝 방식과는 달라야 한다. Fiehler는 이와 관련하여 대화분석적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의 세 가지 특별한 점을 언급하였다. 트레이닝 진행 중에 녹음된 것이 아니라 트레이닝 전에 녹음된 실제 대화가 사용되어야 하며, 녹음된 대화로부터 녹취록이 만들어지고 이를 가지고 참가자들이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에서 능동적으로 훈련을 하며, 마지막으로 분석과 훈련이 분리된다. 이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더라도 커뮤니케이션의 학습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 어렵고 또한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대화분석적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너무 많은 성과를 약속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현황과 과제 : 문제점과 방향성

        박기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 No.-

        이 연구는 이론형성이나 검증을 시도하는 본격적인 연구논문이 아니라 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발족함과 동시에 체계적인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교육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향후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려는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구성은 첫째, 전통적 입장에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비판적 입장에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관심영역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적 입장은 주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하고, 비판적인 입장은 구조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치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에 관한 연구로서 인쇄매체, 전파매체, 그리고 인터넷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정치학적입장과 커뮤니케이션학의 입장을 대별시켜, 각각의 연구가 가지는 관심과 문제점을 보았다. 그 결과 전자는 포괄적으로 정치와 커뮤니케이션을 보는 대신에 지나치게 거시적이며, 추상적인 문제가 있고 후자는 그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기능중심이며, 미시적 수준에 치우쳐 있음을 지적한다. 끝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는데, 먼저 학문의 정체성 확립과 연구영역의 확대를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의 분야가 보다 확대, 다양화 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지금까지의 연구가 권력획득과정인 선거커뮤니케이션에 집중되어 있는데서 나아가 정치체계와 시민, 정치체계와 체계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국가단위의 고도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영역까지 연구의 범위와 관심을 넓힐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효과적인 조직업무수행에 있어서 SNS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간의 차이 분석

        정은경,황혜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2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테크놀로지의 편리성, 시간의 단축성, 대면적 관계의 불편함 때문 에 SNS와 테크놀로지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이용은 증대되고 있으나 결국 조직 과제 수행은 대면적 관계를 통한 우호성, 설득성, 신뢰성으로 이룰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조 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성취도를 통하여 비교해서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팀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 SNS(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정보의 효용성을 가지고 성취도와 친밀도를 조사하였다. 오로지 SNS 으로만 교류한 동 료들은 면대면보다 서로 잘 알지를 못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를 통한 상호교류는 면대 면 상호교류에 비해 정보를 모두 실어 나르진 못하였다. 확실히, 면대면 팀들은 인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좀 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었다. 면대면에 있어서, 사교적 정보는 쉬는 시간 그리고 공식적으로 만나는 시간 전후에 사교적 커 뮤니케이션 시간 동안에 부가적인 대화시간에 이루어졌다. 사람들은 면대면일 경우에 SNS보다 좀 더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SNS보다 대면적 관계를 통하여 우호성, 설득성, 신뢰성으로 조직의 성취도를 달성하였다. SNS(Social Network Service) is becoming an increasingly attractive technology, in large measure for economic reasons. In a longitudinal field study, the authors demonstrative, as have others, positive first-order efficiency effects of this technology. That is, people can achieve the same levels of performance in SNS as they do in face-to-face interaction. however, the authors also demonstrate some second-order differences between face-to-face and SNS. They show that the impressions people form of remote others are different from and less positive than the impressions they form of face-to-face others, starting from an equal baseline. The authors also show that people make use of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in forming their impressions.

      • KCI등재

        한국의 커뮤니케이션학, 공통감각을 소실한 공생적 지식생산

        유선영(Sun-Young Y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학자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라는 실존적 질문을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생산하는 지식의 속성과 언론학자의 사회적 위상을 탐문하는 방식으로 에둘러 접근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현재까지도 커뮤니케이션학의 정체성을 둘러싼 회의론과 비판론은 반복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괄목할 정도로 분과학문으로서 외형적 성장을 이뤘고, 신자유주의적 사회운영 시스템하에서 급속한 미디어 기술발전과 국가적 콘텐츠산업 부양책을 추수하면서 연구 영역을 확장했으며 미디어 환경과 수용자 변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면서 존재감을 과시했지만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생산되는 지식은 인접 학문에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공생적 지식에 그치고 있는 상황과 위기론은 맞물려 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변화에 즉자적으로 대응하는 기술추수성과 함께 미디어, 미디어 정책 및 규제기구, 신기술, 콘텐츠 등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상 자체의 물리적 현존, 즉 실물성(實物性, corporality)은 커뮤니케이션 학자의 산업과 시장에 대한 정책적 및 담론적 개입을 추동하였고, 개입의 대가가 여러 형태의 보상으로 주어지면서 응용행정적 학문이라는 외부의 평가와 내부의 자성도 심화되었다. 2000년대 진보정권과 보수정권 교체의 파동은 미디어판의 운영원리를 둘러싼 진영 간의 갈등을 노정하였고 이 균열이 장기화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학자들도 학문공동체다운 공통의 문제틀과 관점, 행동과 감각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오랜 침묵에 빠져들었다. 이에 대한 제안으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래적 속성인 다학제성의 의미를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전체성(wholeness)으로 재해석하고 커뮤니케이션학이 보다 인문적, 인간적, 사회적, 심층적인 지식생산, 즉 분업화된 지식이 아닌 종합적(synthetic)이고 사회적인 지식생산을 통해 인접학문과 공생적인 관계가 아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를 제안했다. This essay aims to bring forth some suggestions to breakthrough on-going dilemmas of communication field that we have faced since the 1980s. So-called ‘Identity Crisis discourse’ of communication field that has repeatedly pointed out problems in a self-confessed-report style like as theoretical poverty, high dependence on imported theories from the West, lacking of domesticated perspectives on Korea society, rapid diversification into sub-fields and no interactions between sub-fields themselves, and isolated knowledge production withi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fields in Korea. In fact, these kinds of problems are not confined nor peculiar to the Communication field. Most of academic disciplines in Korea have wrestled with those problems. I argued a couple of primordial qualities of Communication Studies such as technology driven-ness and corporal presence of research objects have made communication scholars difficult to keep distance from the reality, rather made them to involve and intersect in operations of research objects, such as broadcasting companies, media-regulating agencies,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media industries. Those tech nology driven-ness, corporality of research objects, and newly rearranged academic institutions disciplined by neo-liberal orientation made communication field in fragments of many sub-fields and in micro variables. Knowledges produced in communication field turns out to be informations lacking significance that are not helpful to understand Korea society in which media locates. In consequence, communication field and knowledges compiled in the field would be circulated within the field, hardly cross over to other fields. I define this isolation as symbiotic association that shares economic resources with other associations, but not communicate to each other. To overcome those dilemma, I suggest to remind the wholeness of communication processes itself that are articulated and constituted by factors visible and invisible. Communication is not scientific facts, but human-social phenomena. Human factor make things complicate, contingent, and variable, so knowledge about communication is to be humanized that cannot be fragmented in a couple of variables.

      • KCI등재

        한국인 20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유형 인식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유미(Yi Yumi),김양지(Kim Yangjee)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20대 대학생이 생각하는 각 유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한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데 있어서 드러내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Norton,1978:99)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의 커뮤케이션 스타일은 단순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는 차원의 역량적 측면이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이미지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Norton(1983)과 Rubin & Martin(1994)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20대 대학생이 인식하는 10개의 유형이 어떤 의미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y the meaning of each type to Korea’s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findings. Communication style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one shows while communicating (Norton,1978:99). Communication style, as a comprehensive concept, is not only about competence, aspec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about an aspect of images understood verbally and non-verbally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communication style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ten typ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review of Norton (1983) and Rubin & Martin (1994).

      • KCI등재

        야스퍼스의 현존재(Dasein)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김진웅 ( Jin Woong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칼 야스퍼스의 현존재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야스퍼스는 철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인간 현존재의 관계로 규정하며, 다단계적승화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의거하여 현존재 커뮤니케이션은 현존적 커뮤니케이션, 보편의식적 커뮤니케이션 및 정신적 커뮤니케이션 세 단계로 구분된다. 현존적 커뮤니케이션은 개개인의 본능적 생존적 욕망 및 이해를 추구하는 소통양식이다. 또 의식단계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은 보편적 정당성에 기초하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진리를 지향한다. 이에 비해 정신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은 하나의 이념으로 통합된 단일의 전체성을 지향하는 소통양식이다. 그리고 이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된 하나의 인격적 커뮤니케이션현상이며, 현존재, 보편의식 및 정신 순서로 상향적 소통단계를 형성하면서 승화된다. 야스퍼스의 커뮤니케이션 사상의 특징은 실존적 자아를 구현하고 이상적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내면적, 단계적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특히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소외를 자아낸 도구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반성 및 휴머니즘적 커뮤니케이션 공동체를 회복하는데 정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ree forms of communication in human existence by Jaspers, namely, communication of existence(Dasein), communication of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of spirit. Communication in existence is a form of performing vital functions of individuals or to satisfy their own interests. Communication in the level of consciousness is the objective and 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communication in the spirit is looking for the whole idea according to the unified knowledge. From Jaspers` view, communication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it is formed into ascending order by analogy with anthropological categories. Jaspers` idea of communication provides new insights into true modes of human communication from philosophic perspective. Especially, it can contribute to overcome the instrumental and rational communication mode of modern societies.

      •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법정 담화 사례분석 : A 지방법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종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한 지방법원이 주최한 오픈 코트(open court) 대상 재판(형사재판 1건, 민사재판 1건, 국민참여재판 1건) 3건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법원이 추진하고 있는 법률서비스의 제고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정보원(판사, 검사)과 수용자(피고인, 변호인, 증인)가 개선해야 할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지 탐구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의 주최인 판사, 검사, 피고인, 변호인, 증인 등이 상호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법정이라는 특수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적절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법정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주최는 판사인데, 판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말끝을 흐리는 태도, 입 속으로 웅얼거리는 말투, 어려운 법률 용어를 빠르게 말하는 태도 등 피함으로써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We need to examine the court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cation. It is helpful to do th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cheme in the court's juridical service. We monitored three t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communication of the sources(judge, public prosecutor) and the receivers(defendant, attorney, witnes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ources and receivers need to use verbal communication as well as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court. Specially, in the court discourse, non-verbal communication is of greatest importance. And, the judge who can handle the core of the court need to interact others, so he(she) need to prohibit to slur the end of his(her) sentences, to swallow his(her) words in the speech, and to use the difficult legal term.

      • KCI등재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전영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ligiou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explore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for religious education in a global age. Religious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Conveying religious messages effectively and facilitating productiv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re essential in religious education and a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issues of communication. Thus analyses of communication models used in religious education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religious educators in improving their teaching process,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More specifically, I first analyze a communication model used in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transmission model in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model is characterized by its one-way linear communication structure. It entails hierarchical and author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e learner in this model is typically regarded as a passive receiver of the message delivered by the teacher.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this transmission model tends to lack concerns for learners’ statu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James Michael Lee, Ronald Sarno, and Pierre Babin suggest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of religious education. The present paper also reviews each of these alternative models, and suggests some directions for religious educators in selecting and creating communication models which are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contemporary learners and their global environment.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활동 중의 하나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종교교육도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종교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에 종교교육적인 내용을 의사소통하는 과정이다. 종교교육의 내용들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해낼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들은 모두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적인 관심사들이다. 이런 면에서 종교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종교교육에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는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일은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전수모델(transmission model)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수모델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종교교육 분야에서 이에 대한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을 제시한 세 가지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임스 마이클 리의 종교교수 모델과 로날드 사르노의 총제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피에르 바뱅이 제안한 일체 모델은 공통적으로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보다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다양한 교육 방법과 매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필자는 종교교육의 네 가지 주요 요소인 학습자, 교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의 네 가지 측면에서 현대사회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본질적 특성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어떤 것인지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형식과 내용 분석 연구

        이일우(Ilwoo Lee),김찬석(Chan-Souk Kim),이현선(Hyun-Seon Lee),이완수(Wan-Soo Lee)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2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 중 환자와의 소통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과목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의학전공 학생들을 위한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 또는 병행하고 있는 41개 대학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도하여 최종적으로 36개 대학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대학들이 개설하고 있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들의 진행내용은 대학별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관련 내용은 일부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관련성이 없는 내용들로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은 최근에 이뤄졌고, 과목 운영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에 대한 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과 의견을 모으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의료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의사와 환자 사이의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분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욕구에 부합되는 강의내용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교육 현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본격적인 의학과 커뮤니케이션의 접목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us of medical communication of medical schools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operating status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nd propose the support and policy about it. For understanding these issues, this study conducts the content analysis about the existence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course title, total hours, and institution. The results show that many medical schools in Korea are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o teach medical communication. Although many medical schools are operating this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 title, target grade, and class institution and contents. The Majority of medical schools have recently opened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nd consequently its operation is not systematic. Therefore, the persons concerned should converse and interchange cognition and opinion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 medical communication is a special field dealing wit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So students should be conveyed the informations about variables in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rough this subject.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operating curriculum focused on medical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lecture contents and institution in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