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대학 캡스톤 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신창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급속한 시대적 변화와 함께 문화산업도 그에 따라 빠르 게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미 AI, 빅데이터, IoT, 5G, XR 등, 여러 가지 첨단 산업들이 등장하여 새로운 분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그에 따른 산업도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배경 가운데 문화 산업도 이러한 상황에 맞는 융합 형태의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문화산업의 한 분야인 클래 식 음악 분야에 진출하게 될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 된 것이다. 본 연구는 클래식 분야의 음악대학에서 진행하였던 ‘캡스톤 디자인’을 통해 해당 교과목이 운영된 과정과 학생들의 참여에 따른 만족도 조사,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교과목 개발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기존 의 많은 음악대학에서 이러한 교육을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이기에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교육 개발의 시발점이 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실연자 양성 교육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음악대학에서의 한계점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했다. 실연자뿐 아니라 기획자, 제작자와 같은 분야를 통해 학생들에게 공연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다각도에서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 가운데 학생들 스스로 자기 주도형 학습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팀별 활동에 대한 한계점을 개별 역 량 조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서 진행하였다. 객관적 자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의적 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이미 많은 대학과 학과에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대학에서의 연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도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음악대학의 새로운 창의적 교과목 개발 시작의 일환으로 ‘캡스톤 디자인의 사례'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연구하여 부 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발전시켜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전문 종합 예술인'으로서의 성장 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chronological change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COVID-19 pandemic, the cultural industry is also rapidly being developed. The most advanced industries, such as the field of AI, Big Data, loT, 5G, XR, etc. have already been introduced and research on new fields is in progress. Industries are being expanded, and in such a time setting, the cultural industry also requires an amalgamated form of creative talent that is suitable for such circumstances. Now is the time in which students entering the field of classical music, a field of the cultural industry, need to experience a new form of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new curriculu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process of running the curriculum of “Capstone Design,” which was proceeded by a music college in the field of classical music. As many existing music colleges are unable to proceed with such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a new development of education. This study has made an effort to go beyond the limits of music colleges in which education for training performers is at the core. Problems in various aspects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enable the creation of performance content for students studying to become planners, producers, and performers. A new method has been presented for students to allow self-direct learning in solving thes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eam activities were uncovered through procedures of individual capability research. As shown by objective data, although many colleges and departments perform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fostering creative talent, there is relatively less effort made for such research in the music college.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the “Capstone Design Case Study” as part of the start of a new and creative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music and conduct continuous research,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o present a method of fostering students into “creative, operational, and professional comprehensive artists.”

      • KCI등재

        창조적 MICE 인력양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난영 한국무역전시학회 2015 무역전시연구 Vol.10 No.2

        MICE 산업은 회의, 숙박, 식음료, 관광, 교통 등 다양한 산업과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파급효과가 크며, 무엇보다 일자리 창출효과가 큰 대표적 고부가가치 창조형 서비스 산업이다. MICE 산업 육성을 통한 양질의 고용창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MICE 인력양성에서 교육계과 업계의 괴리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가기 위한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캡스톤 디자인은 주로 공학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되었으나, MICE 전공분야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한다면 현재 지적되고 있는 MICE 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갈 수 있는 유용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업계가 요구하는 MICE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MICE 산업의 특성, MICE 전문 인력 양성, 캡스톤 디자인 관련 선행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MICE 교육에 접목한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MICE 분야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는 수업시작 전 단계, 수업 진행단계, 수업종료 후 단계인 3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구체적 사항을 제시하였다. 특히,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수업 진행 단계와 관련해서는 팀 빌딩, 주제 탐색 및 선정, 문제해결 위한 실행, 최종 결과물 완성, 최종 결과물 발표, 총괄 평가, 총괄 피드백 단계인 7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구체적 사항을 제시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핵심은 MICE 업계 참여 통한 실제 현장 문제해결학습, 팀 단위의 협동학습, 학부지식을 총 동원하는 종합(종합적)학습에 있으며, 결과적으로 본 수업을 통해 MICE 산업계가 요구하는 수요 지향적 인력을 양성하는 것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The MICE industr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ociety because of complicated connection to other various industries such as meeting, accommodation, food and beverages, tourism and transportation and is a leader of creative service industries with high value resulting in massive job creation. Finding professional manpower is necessary to raise the effect of job creation through promoting the MICE industry. However a wide gap between education and industry was seen as the biggest problem on manpower promotion by the MICE. This study suggests a program about capstone design education. The capstone design is usually applied to engineering programs and may have an availability to make up for insufficiency of the MICE if the design is applied to specialty programs of the MICE. This study is set to develop models of classes about the capstone design for manpower promotion by the MICE. Intensive analysis of features of the MICE, manpower promotion by the MICE and prior investigation for the capstone design is made to achieve the goa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mes to the following. The programs of classes about the capstone design for the MICE education are divided into three steps including before-class, underway-class and after-class and specific matters for each step are arranged. In particular this study comes up with seven steps in relation to the underway-class including team building, search and selection for theme, action to solve problems, completion of final result, presentation of final result, general evaluation and general feedback and specific matters for each step are shown. Key points of classes about the capstone design indicate solution of problems on the spot, cooperation of teams and full generalization of school knowledge. The final goal of the study is to nurture demand-oriented manpower which the MICE need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make it possible that the capstone design is applied to the MICE, which has not been investigated. It is a significantly meaningful that the study comes up with a substantial guideline to manage classes about the capstone design for MICE educ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 한국인 국어국문학 전공자들 대상으로 적용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2017년도 2학기 1학기 동안 실시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사례를 기반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방법은 바로 이러한 교육계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서 주로 공학 교육 분야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이 전통적으로 읽기와 언어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는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한 수업으로 재구성 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학문적 관심이 목표언어ㆍ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자국 문화의 대비를 고찰하여 세계의 보편적인 정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상호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문제라는 점에 주목하여 ‘학생 창작형’의 캡스톤 디자인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목표를 ‘문헌탐색으로 기반으로 한 토론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수업 영역들은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시각화 경험’과 ‘PBL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셋째, ‘동료와의 협업 능력 향상’ 넷째, ‘발표 및 토론 활동들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 향상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기존에 시도되지 않은 연구로서 차별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ology of Capstone design on th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of the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case study of Seminar in Korean reading class applying to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S Universi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Recently,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in the educational worl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s. The use of capstone design has emerged as a result of such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and positive learning effects are mainly emerging in engineering education.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learner s needs who participated in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improve the fact that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is traditionally focused on reading and learning of language knowledge. Then, we reconstructed the class using multimedia tools according to the needs of learn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model Capstone Design for Students Creation . The important academic interest for foreign learners i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emotions of the world by considering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contrast of their own culture. The goal of the lesson is to enhance the capacity of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explore. The lesson was divided into four areas. First, visualization experience . seco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PBL activities . Third, the ability to cooperate with colleagues. Fourth, it enhances the self expression ability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ctivities. The Capstone Desig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capstone design model applicable to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foreigners. The capstone desig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a new study,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so far. Therefore, the capstone design model can be applied to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field of teaching for foreigner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해외 공과대학 사례분석을 통한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 연구

        한순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core competence about Capstone-design, Focusing on the case of overseas college of engineering. The current korean’s university education problem is that lack of practical skills and creative ski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analyze the oversea university’s capstone-design. Capstone-design course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in many university in Korea. In spite of the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of the Capstone-design, There is a lack of study that Capstone -design's competences. This study was to draw the core competence and core skill that team-work, 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budgeting, reporting, presentation, communication, prototype. This study is expected that by studying the case of oversea university's capstone-design instructional methods to explain the concept and core competence.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학교육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무능력부족, 창의성 부족, 산업의 변화에 부응하는 공학교육 방식미비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의 개발하기 위해 해외 캡스톤 디자인 우수사례를 연구하였고 해외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의 공학, 인문, 사회, 예체능분야에서 캡스톤 디자인 강좌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캡스톤 디자인 강좌의 핵심개념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캡스톤 디자인의 핵심개념과 핵심역량은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의 프로세스를 개발의 근거가 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해외사례를 통하여 도출한 캡스톤 디자인 핵심개념과 핵심역량은 전학년, 다학제간으로 팀을 구성하여 산업체의 실제문제를 바탕으로 산업체의 자본과 인력을 지원받아 주기적인 교수자와 실무자의 검토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으로 학습자는 팀워크, 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 일정 및 예산관리, 문서작성, 프레젠테이션, 커뮤니케이션, 실습·설계·prototype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외 캡스톤 디자인 우수사례를 통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려하여 설계하려 한다.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을 활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연구 -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

        손상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1 No.-

        Capstone Design was started as an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but it has now expanded to all subjects in all directions and expanded to a comprehensive design creative curriculum with field-adaptable job skills required by companies.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achieving educational goals due to the lack of textbooks considering the use of creativity in guiding Capstone design subjects to solve creativ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urriculum operation plan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major of the specialized university.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capstone desig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PS) was def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 organiz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apstone design curriculum. Based on the following studi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for the use of the capstone design manual of the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in order to utilize it in the education of creativity, creative inclin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The development combines two concepts: a capstone design method in which industry and academia cooperate and a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ower operation plan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classes in detail as a process of applying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by modifying the current Capstone design curriculum. We hope that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utilize data for practical classes in the future and to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es for teachers. 캡스톤디자인은 공학 분야 교육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면 현재에는 전방위 모든 교과목까지 확대되어 기업이 요구하는현장적응형 직무능력을 갖춘 종합설계 창의교육과정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창의문제해결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지도하는데 창의활용을 고려한 교재가 부재하여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제품디자인 전공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 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캡스톤디자인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 등 이론적 배경을 문헌조사를 통해 정의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모형 캡스톤디자인 교과운영 방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제시된 연구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 논의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교육에 활용하고자 산업디자인학과의 캡스톤디자인교과목 매뉴얼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 창의문제해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 내용은 산·학이협력하는 캡스톤 디자인 방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결합시켰다. 본 연구로 개발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운영 방안은 현재의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변형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정으로 구체적으로 수업을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향후 실질적인 수업을 위한 자료 활용 및 교사의 창의문제해결 수업을 위한 활용에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

        황지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for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ompetency enhancement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the ADDIE development model process.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The needs of learners and educational experts were analyzed. The creative and convergence capstone design class model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lesson design model was applied to the capstone design clas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2 in Gyeonggi-do D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finally developed by applying student satisfaction and feedback from education experts in the evaluation st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earner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nd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tion, learner satisfaction survey, and education expert evaluation. It contains the overall contents of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proces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velope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nhance creative and convergenc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apstone design, which started from the engineering department, are appropriately oper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nstructors who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class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위한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개발은 ADDIE 개발모형과정을 적용하여 교수설계모형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에 대해 문헌을 분석하고 학습자 및교육 전문가의 요구조사 분석 후 창의ㆍ융합적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체계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도 D대학 2022년 1학기 유아교육과 전공필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적용하였다. 이후 평가단계에서 학생 만족도 및 교육 전문가의 피드백을 적용하여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주요결과인 학습자 분석, 교육환경 분석, 교수학습모형 설계 및 개발, 교수학습모형 적용, 학습자 만족도 조사 및 교육전문가 평가 등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모형 과정의 전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은 공학계열로부터 출발한 캡스톤 디자인의 성격을 유아교육 영역에 적합하게 운영 할 수 있도록 창의ㆍ융합적 문제해결 역량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캡스톤 디자인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계획 및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정희정,전재흥,김휘경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Q모집단을 구성한 후, Q표본인 33문항의 Q진술문을 추출하였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이수한 졸업생 1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33개의 진술문을 Q분류를 통해 자료수집 후,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1유형 ‘전공실무경험을 통한 자신감 강화형’, 제2유형 ‘갈등관리를 통한 대인관계역량 강화형’, 제3유형 ‘현장적용을 통한 직무역량 강화형’으로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경험에 대한 인식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코칭기법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와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 코칭을 적용한 대학 수업에 대한 후속연구와 교육분야에서의 Q방법론을 활용한 추후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ubjective study uses Q methodology to grasp the percep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by applying a coaching skill for graduates who completed the Capstone Design course. First, after constructing a Q-population group for the capstone design class experience using coaching techniques, Q statements from 33 questions were extracted. Second, 15 graduates who completed the Capstone Design course were selected as P samples, and 33 stat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Q-sorting. Third,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experience in the capstone design class using the coaching skill is 'Confidence enhancement through major practice experience'(Type 1), 'Interpersonal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conflict management'(Type 2), and 'Job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field application'(Type 3). Through this study, we consider the effec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apstone design class using the coaching skill, and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using Q method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ollow-up studies on college classes applying coaching will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후보

        3-Tier 캡스톤디자인 : SW 개발 캡스톤디자인 사례 연구

        오형준 ( Hyungjun Oh ),김준형 ( Junhyung Kim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SW 개발 중심의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의 사례를 제시하고 해당 사례를 통한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공학계열의 학과들이 대부분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경우 졸업학년도에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경우 팀 프로젝트 수업 운영에 따른 협업과정과 함께 실제 코딩을 하고 구현을 하는 과정에서도 애로사항을 겪고 있지만 이러한 어려움 이전에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의 도출과 검증 및 아이디어의 구체화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캡스톤디자인의 운영과 성과 창출을 위해 졸업학년도 이전 2학기에 학생과 교수, 산업체 인사의 멘토가 함께 진행하는 아이디어톤 경진대회 등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 및 구체화 과정을 거치고 졸업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거쳐 해당 아디이어의 고도화와 도출된 아이디어의 실제 구현 및 구현에 대한 고도화를 진행할 수 있는 3-Tier 캡스톤디자인 모델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the case of capstone design course operation for the execution of SW development-oriented projects in the field of computer engineering is presented, and a 3-tier capstone design model is proposed through the case. Recently, most engineering departments operate capstone design classes, but in many cases, capstone design courses are generally operated in the graduation year. Students taking these capstone design cours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actually coding and implementing together with the collabo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team project class operation, but before these difficulties, derivation and verification of possible ideas and concrete ideas It is showing mo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capstone design and create results, in the second semester prior to graduation, students, professors, and mentors from industry mentors will work together to develop ideas through an idea tone contest, etc. Through the second semester, we propose a 3-tier capstone design model that can advance the idea and actual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derived ideas.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교수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공학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순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ethod. Due to the lack of guidelines for the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ethod, it is run is run based on the experience or competence of professor individual. To impro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search and case study for capstone design’s core competence and Instructional process. finally, this study draw a core competence that teamwork, readership, plan a schedule and budget, make a report/communication, make prototype. And a blue-print capstone design instructional method that level1understanding a capstone design, level2 identify and select problem, level 3 analyze root cause problem, level 4 generate potential solutions, level 5 select and plan the solution, level 6 implement the solution, level 7 test, level 8 present the solu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hat qual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on Capstone- design course will be possible. 본 연구는 공과대학 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상경, 예체능에서 시행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현재 구체적인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교수자의 개인경험에 의존하거나 교수자 주도의 캡스톤 디자인 이 운영되고 있다. 이는 결국 캡스톤 디자인를 통해 함양되어지길 기대하는 역량개발이 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캡스톤 디자인 문헌과 우수사례를 분석하였이며 이를 기초로 캡스톤 디자인 교수절차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캡스톤 디자인 핵심역량은 팀워크, 리더쉽, 일정 및 예산관리역량, 보고서작성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실습 및 설계역량. prototype 개발역량이었으며 교수절차는 8단계로 1단계는 캡스톤 디자인의 이해 및 필요역량 강좌 수강하기 2단계 과제선정, 업체선정, 산학미팅하기 3단계 과제 기술요구정의하기 4단계 과제 아이디어 도출 및 수렴하기 5단계 과제 분석 및 해결안 결정하기 6단계 과제 설계하기 및 프로토타입 제작하기 7단계 재설계 및 재테스트하기 8단계 전시 및 발표하기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추후 각 교수절차 단계별 지원요소를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장남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패션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목표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패션을 개발하는 패션기업과의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한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대학의 지속가능한 패션 교육,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캡스톤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주)페어트레이드 코리아를 선정한 후, 수도권소재 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전공 3학년 학생들이 캡스톤 디자인을 수행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모형에 따라 수업전개, 문제의 제시, 문제의 분석 및 해결, 결과물 발표, 학습결과 정리 및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인지적 문제해결 기술과 실무능력을 고취하였으며, 지속가능한 패션의 진정한 실천자이지만 디자인과 혁신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 또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내용과 교육방법은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with a view to combin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capstone design course with sustainable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university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fashion using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capstone design.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sustainable fashion, sustainable fashion education in a university level, and capstone design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Fairtradekorea,Ltd. was selected as an industry partner, and juniors majoring in textile & fashion design in a metropolitan region university accomplished the capstone design. Under the PBL procedure, course followed 5 steps hierarchically; class development,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research & solving, findings presentation, learning evaluation. Results enhanced students’ metacognitive and problem solving skills as well as real-world practices, giving new ideas to industry that practices sustainable fashion and needs innovative design ability. This study presented a framework for course design and provided pedagogical discipline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nd launch a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urse which is a subject of increasing impor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