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환경에서 ‘맞춤형 학습’ 수업 운영 사례 : 캡스톤 디자인 중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논문은 비대면(untact) 교육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학습’ 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을 위한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맞춤형 학습’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2020년 1학기에 충청남도 K대학교에 있는 ‘창의성 개발 과정’ 수업에 적용한 교수 학습 사례를 제시하였다. ‘맞춤형 학습’에서는 교수자가 이러닝을 제공 할 때 모든 학습자에게 동일한 학습 자료와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 대신에 개별 학습자의 능력이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맞춤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맞춤형 학습’을 통해 교수자는 온라인에서 학습자들과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성과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맞춤형 학습’ 모형을 충청남도에 있는 K대학교에서 개설된 ‘창의력 개발 과정’ 비대면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의견들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에 적용한 사례 연구로서 비대면 교육에 관하여 관심이 주목되고 있는 최근의 교육 현장의 시의성 있는 논의를 다룬 현장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adapted learning” for an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presented a cas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reativity Development cours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t the K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dapted learning does not provide the same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to all learners when instructors provide e-learning. Instead, it is individualized education tailored to learners considering the individual learners’ abilities or learning styles. Through adapted learning, instructors can increase learners’ learning outcomes and participation by providing online interactions and feedback to learners. As a result, we had several positive opinions from students who attended the Creativity Development course. Adapted learning can be utilized as a good learning and teaching model and tool in the untacted e-learning system.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was a field study applied to the e-learning educational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regard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n untacted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일본인들의 K-뷰티 선호도에 관한 감성언어 분석 : 일본인들이 이용하는 화장품 관련 SNS의 헤시테그(#) 키워드 번역을 중심으로

        강란숙(Kang Ransook),Irie Akiko,Lam Cheuk M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일본의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에서 ‘한국의 화장품’과 관련된 SNS의 헤시테그(#)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일본 젊은이들의 한류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K-뷰티’ 한류문화에 관한 감성언어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젊은이들이 이용하는 인스타그램의 계정에서 한국 화장품과 관련된 일본어 헤시테그(#) 텍스트들을 연관어와 감정어 키워드들로 추출하여 번역하였고, 이를 ‘TF-IDF’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감성언어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젊은이들이 한국 화장품에 대하여 나타내는 감성언어들은 ‘귀여움’과 ‘소통’, ‘틴트’, ‘핑크’ 등과 같은 연관어들이 나타났으며, ‘가격’, ‘구매’, ‘색깔’, ‘K-pop’등에 관한 키워드들이 K-뷰티’와 관련된 신조어 유형들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본의 젊은이들이 SNS 상에서 K-뷰티에 대하여 나타내는 한류문화 소통의 키워드는 ‘작고’, ‘귀여운’ 것들을 선호하는 감성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서 신한류 현상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는 ‘한국 화장품’에 관한 ‘K-뷰티’의 감성언어를 일본 현지의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SNS 상의 인스타그램 소통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살펴봄으로써 신한류 문화에 관심을 갖는 일본젊은이들의 감성적 선호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빅데이터 방법을 활용한 융합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Japanese peoples’ emotional expressions toward “K-beauty” culture. This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regarding their preferences of Korean cosmetics, Hashtags(#) mentioned in related posts on Instagram. Japanese Hashtags, related to Korean cosmetics in young Japanese peoples’ Instagram posts, were extracted as related words and emotional keywords. Further they were translated and analyzed using “TF-IDF”. As a result, cute, “communication, tint, pink etc”. are appeared to be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Korean cosmetics among young Japanese peopl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keywords related to price, purchase, color, and K-pop were used to describe “K-beauty” in the form of new compound word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Hallyu) cultural communication keywords towards regarding “K-beauty” preferred by young Japanese people on SNS’s were “petite, and cute”. This study focused on K-cosmetics, which is a new Korean wave that has recently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people. The emotional preferences of young Japanese people toward this new Korean wave were analyz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keyword towards “K-beauty” on Instagram, through big data analytics.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모형 연구 :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에 적용 방안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학문목적 유학생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기조절학습으로 실행하는 학문목적 발표 과제실행연습과정을 캡스톤 디자인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문적 목적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학문목적 발표에 관한 경험과 선호하는 발표 과제실행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이어서 ‘자기조절학습’ 이론과 ‘경험언어학습’ 이론을 참고하여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모형을 캡스톤 디자인하였다. 그 다음 학문목적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모형이 실행되는 과정을 온라인 플랫폼(Zoom)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목적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발표 과제실행 연습 방법을 ‘자기조절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연습 방법을 모형으로 구성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많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교육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지는 못 한 점은 한계로 남지만,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보완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이 향후 외국인 유학생들의 발표 연습을 위한 연습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apstone design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task execution practice course that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perform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this purpose, 30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erceptions of their perceptions of academic presentations and preferred presentation tasks, followed by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and ‘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By referring to the theory, the capstone design model for the execution of the presentation task based on the online platform was designed. Next, a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platform(Zoom) to observe the execution of the model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was designed as a model by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to practice the presentation task execution required for academic 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conduct a study to verify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n many international students, but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actice tool for foreign students to practice their present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발표 연습 도구로 Voicethread 활용에 관한 교수ㆍ학습 사례 연구- 교수․학습 모형 설계와 수업 절차를 중심으로 -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ase study on the use of Voicethread tools applied to research classes and to presen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students studying at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For this, I examined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And then, based on this process, I presented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Next, I conducted a research study focusing on the use of Voicethread as a presentation practice methodology applying teaching ․learning models of the 12 foreign students.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at it provides various implications using Voicethread as a presentation practice tool for the foreign students. First, using Voicethread can be expected oral interaction and improving presentation ability because it freely exchanges and exchang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voice and text chat not only professor and students even among students freely. Second, using Voicethread tools can be helpful to develop the self-directed presentation practice skill because of learner-driven learning procedures and methods. Third, Voicethread can reduce anxiety. Because it is through repetition, modification, and feedback that it is done online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n conclusion, Voicethread is worth using a presentation practice tool for foreign students and CMC methodology realization. 본 논문은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발표 연습 방법으로 Voicethread 도구 활용에 관한 교수ㆍ학습 모형을 마련하고 이를 충첨남도 S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수업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 교수ㆍ학습의 도구로 Voicethread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표 연습을 위한 교수ㆍ학습의 원리를 마련하고 총 12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Voicethread 활용을 중심으로 한 발표 연습 방법에 관한 교수ㆍ학습을 실시하고 이에 사용된 자료 및 교수ㆍ학습 절차와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발표 연습 도구로서 Voicethread 활용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첫째, Voicethread 활용은 교수와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습자들 간에도 음성과 문자 채팅을 통해 자유롭게 다양한 정보와 의견 교환과 공유가 가능하여 구어 상호작용과 발표 능력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Voicethread 도구 활용은 학습 절차와 방법이 학습자 주도적으로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기 주도적인 발표 연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Voicethread는 온라인을 통해 교수와 학습자들 간에 반복적인 활용과 수정 및 피드백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국인 유학생들이 정의적인 면에서 갖게 되는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Voicethread 활용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고 유창하고 정확하게 발표능력 함양을 기대할 수 있는 CMC 실현을 위한 도구로 교육적 활용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 한국인 국어국문학 전공자들 대상으로 적용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2017년도 2학기 1학기 동안 실시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사례를 기반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방법은 바로 이러한 교육계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서 주로 공학 교육 분야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이 전통적으로 읽기와 언어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는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한 수업으로 재구성 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학문적 관심이 목표언어ㆍ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자국 문화의 대비를 고찰하여 세계의 보편적인 정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상호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문제라는 점에 주목하여 ‘학생 창작형’의 캡스톤 디자인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목표를 ‘문헌탐색으로 기반으로 한 토론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수업 영역들은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시각화 경험’과 ‘PBL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셋째, ‘동료와의 협업 능력 향상’ 넷째, ‘발표 및 토론 활동들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 향상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기존에 시도되지 않은 연구로서 차별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ology of Capstone design on th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of the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case study of Seminar in Korean reading class applying to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S Universi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Recently,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in the educational worl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s. The use of capstone design has emerged as a result of such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and positive learning effects are mainly emerging in engineering education.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learner s needs who participated in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improve the fact that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is traditionally focused on reading and learning of language knowledge. Then, we reconstructed the class using multimedia tools according to the needs of learn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model Capstone Design for Students Creation . The important academic interest for foreign learners i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emotions of the world by considering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contrast of their own culture. The goal of the lesson is to enhance the capacity of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explore. The lesson was divided into four areas. First, visualization experience . seco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PBL activities . Third, the ability to cooperate with colleagues. Fourth, it enhances the self expression ability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ctivities. The Capstone Desig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capstone design model applicable to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foreigners. The capstone desig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a new study,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so far. Therefore, the capstone design model can be applied to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field of teaching for foreigner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세대의 책읽기 교육을 위한 실천적 화두 - 메리언울프, 전병근 옮김(2019) 『다시, 책으로-디지털 시대의 읽기 두뇌-』, 어크로스

        강란숙(RANSOOK KANG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 글은 디지털 세대를 위한 읽기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저자가 제시한 디지털 세대 학습자들의 읽기 학습에 관한 여러 가지 읽기 학습 방법과 신경학적인 관점에서 일기와 관련하여 연구된 여러 연구 결과 물들을 살펴보았다. 저자는 읽기 과정이 신경학적 관점에서 뇌에서 뉴런 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고 보고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다양한 읽기를 통해 ‘읽기 회로’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제안한 방법들은 책을 이용한 ‘깊이 읽기’와 ‘배경지식’ 구축하기 그리고 ‘유추와 추론’ 등이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 방법이 디지털 도구 사용에 익숙한 학습자에게 역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책으로 읽는 대신 친숙한 디지털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저자는 학습자들이 미래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스스로 창의적 의 사소통과 표현력을 기르는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다시, 책으로』란 그의 저서를 통해 학습자가 읽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읽기 회로’를 형성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ading education and seeking an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digital generation . For this purpose, it was explored that various research results suggested by the author in the field of the neurological studies and various reading educational studies. The author suggested that the reading process was similar to the formation of neurons in the brain from a neurological point of view , and that children should form a ‘reading circuit’ through various reading experience from an early age. And, the author proposed that some methods to building a ‘reading circuit’ to include ‘deep reading’ and ‘background knowledge’ using books, and ‘inference and reasoning’. However, the author pointed out that these methods can just because have a reverse effect for learners who are accustomed to using digital tools, it could provid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information using familiar digital devices instead of reading instead of reading books. So, the author proposed that a new reading method for the future-prepared learners, students can develop their own creativ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through the problem-solving process. Lastly, the author emphasiz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the learners continuously form a ‘reading circuit’ by generating interest and interest about reading through his book 『Reader, Come Home -The Reading Brain in a Digital World』.

      • KCI등재후보

        쉐도잉 기법 사용 기반 발표 연습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반응 분석 연구-한국인 대학생 프리젠테이션 대회 수상작을 모델링 동영상 자료로 활용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ac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who are studying on the presentation method using shadowing techniques. In this study, the shadowing technique was used in the course of the students reactions to the rea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 learners in a total for 4 days using the shadowing technique. The results shows that the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the beginning of the exercises and that they were gradually getting to use the techniques in general. Especially, the fact identified in this process that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pronunciation and words which foreign students don’t know exactly. Therefore, it c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clear meaning of words and the use of correct pronunciation to make influence on each other. This means that in order to be used successfully, shadowing techniques should be preceded by shadowing techniques rather than by unconditionally following shadowing techniques. The positive learning effect can be expected in this perspective. This result could be used further for foreign students who want refer to relevant data for practical tools to improve their presentation ability outside the classroom.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서 유학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대학생의 우수 프리젠테이션 수상작을 발표 연습 동영상을 모델링 자료로 활용한 쉐도잉 기법 사용 교육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총 4일 동안 7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쉐도잉 기법 사용 연구 수업을 실시하고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느낀 소감과 반응들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연습 초반에는 대체로 기법 사용에 대하여 어려움을 느끼지만 점차 쉐도잉 기법 사용을 통해 발표 연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발음과 모르는 단어에 관한 부분으로 나타났는데 흥미롭게도 이들이 발음이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는 바로 모르는 단어에 대한 의미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단어의 의미 이해는 정확한 발음 표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발표 연습에서 쉐도잉 기법 사용을 적용할 때 참고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라고 판단되며 외국인 유학생들이 쉐도잉 기법 사용에 앞서 단어에 관한 학습이 선행하면 훨씬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 결과는 교실 밖에서 발표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연습 방법을 모색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해외 한국학에서 한국문화 수업모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유럽 대학의 한국학 과정 운영현황 자료 분석을 기반으로

        강란숙(Kang Ransook),윤선영(Yun Sunyoung),이정민(Lee Ju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유럽의 대학에 개설된 한국학 프로그램 중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해외한국학 과정의 한국문화 수업모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해외에서 한국학 과정을 운영 교육 및 연구 기관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해외 한국학 과정의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체계에 관한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정부 차원에서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 운영을 위한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이후 KF)의 해외 한국학 운영현황 통계 자료를 대상으로 서유럽과 북유럽 총 36개국의 159개 대학에 개설된 한국학 교육과정 내 한국문화교육 운영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유럽 대학에서는 학위 과정에서 한국에 관한 연구를 제공하지 않는 기관에서도 한국문화에 대한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럽 대학에서 한국문화 강좌가 한국학을 위한 기초 단계 교과목으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preliminary research to show the need for and to build a structural curriculum model for teaching Korean culture in Korean Studies abroad. It analyses the current management of Korean cultural programs in European universities. Despite the recent increased number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fering Korean Studies programs abroad, studies on the specific curricular framework of how Korean culture is taught has been insufficient.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manage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159 European universities across 36 countries using the Korea Foundation database. The findings show a large majority of universities offer modules on Korean culture, even at those institutions that do not offer Korean studies at the degree level. This indicates that Korean culture education form a significant role in Korean studies programs at European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