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朝鮮後期) ‘치산(治産)’의 문제(問題)와 <치산편(治産篇)>의 의미(意味)

        신성환 ( Shin Seong-hw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본고는 朝鮮後期 ‘治産’에 대한 認識을 검토하고 그것을 통해 『草堂問答歌』 소재 <治産篇>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朝鮮朝談論을 主導했던 士大夫들에게 財貨의 創出을 기본으로 하는 治産의 행위는 대개 否定的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實學者들을 중심으로 治産에 積極的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認識이 싹텄다. 이는 治産이 한 가족의 범위를 넘어 共同體를 指向함으로써 나타난 結果였다. 이러한 변화된 認識을 배경에서 産生된 <治産篇> 또한 共同體를 중심으로 한 삶의 價値를 내포하고 있다. <治産篇>은 監農者이자 共同體의 리더인 話者를 내세워 ‘治産’의 목적이 富의 蓄積이 아닌 共同體의 安定的 維持에 있음을 說破하는 作品이다. 그렇기에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治産의 方法 또한 農事와 儉約 등 매우 防禦的인 次元에서 提示될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understanding of ‘Chishan’ and search for the meaning of < Chishanga > which belong to 『Chodangmundapgha』. The action of ‘Chishan’(management of property) is based on creating property, and the noblity who lead the society of Joseon have a negative view of it. However, Silhak scholars brought an awareness of active participation in ‘Chishan’, and it was a result of the fact that ‘Chishan’ extended the range from a family to a community. Also, < Chishanpyon > contains the value of life around the community, because it was written after people changed their understanding of ‘Chishan’. This work teaches people that the purpose of ‘Chishan’ is not the accumulation of wealth but the stable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narrator who is the leader of the community. That is why it could only suggest the way of ‘Chishan’ in a very defensive level, such as, agriculture and saving.

      • KCI등재

        여성 치산담으로 바라본 〈게우사〉의 의미

        남기민(Nam, Ki-Mi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본 연구는 그간 탕아 길들이기 서사로 읽혀왔던 판소리 <무숙이타령>의 사설 정착본 <게우사>를 대상으로 그 서사의 정체성을 여성 치산담(治産譚)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살펴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그 속에서의 여성의 역할, 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부장제의 요구와 여성의 필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비슷한 시기에 향유되었던 한문단편 속 여성 치산담과의 비교를 통해 모두 여성이 가정의 재물을 안정적으로 지키고 돌보면서 가정의 경제를 책임지고 있으며, 치산 외에도 여성이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혹은 도덕적으로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등 무거운 사회적 요구를 떠안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게다가 의양은 ‘첩’의 위치에 있음에도 가정의 치산을 도맡아 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처’에게 요구되어 왔던 치산의 책임이 ‘첩’인 의양에게 떠넘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의양이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불안정한 첩의 위치로 인해 가정에서 내몰릴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게우사>는 한층 심화된 가부장제의 윤리와 가정의 안위에 자신의 생사를 건 첩, 둘의 필요가 꼭 맞아 떨어진 이야기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게우사> 연구에서 다루었던 주제적 측면에서 벗어나 여성 치산담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작품의 주제적 의미를 또 한 번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Geusa" has been understood as a narrative of "Taming a dissipated person."This study reads "Geusa" from a new perspective - women"s management of property - and explores the role of women in a patriarchy society. Further, it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demands of the patriarchy and the needs of women. In this study, “Geusa” was compared with another Chinese-Character short story(漢文短篇) dealing with the subject of women managing property, which was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Both are stories about women stably protecting their family"s wealth and handling the responsibility of managing the family finances. These stories depicted women with outstanding abilities and moral integrity. Another thing these female character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subject to heavy social demands. For example, even though Uiyang is a concubine, she had to manage property. This situation is problematic in that it transfers the responsibility for property management that has been demanded from the wife to the concubine. Uiyang had no choice but to comply with the unreasonable demands placed on her because she was in an unstable and vulnerable position. If she refused, she could have been kicked out of the family. Therefore, "Geusa" is a story in which the necessity of the patriarchal system and concubine who’s bet everything on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atch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rpreted "Geusa" from a new perspective of women"s management of property,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hemes that are generally explored in the study of this story. I believe that uncovering new themes such as women"s management of property in "Geusa" could help readers find more meaning and depth in this work.

      • KCI등재

        <이조집> 소재 ‘여성 致富․治産談’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구비설화와의 교섭 양상을 중심으로-

        임이랑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6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omen's leading activities among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located in "Ijo Collection". In particular, they focused on tracking the narrative succession relationship and transformation patterns of women-led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by examining the negotiation patterns of folktales and short stories of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female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actively accept the symbolic pixels of folk tales such as leading the chibu behavior, recognizing famous horses, and making her husband succeed. At the same time, he revealed the full extent of realistic 'becoming and managing wealthy' that was not covered in folk tales. In other words, women-led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show a complex image of a woman as a simple worker of family life and a leader in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business and family between a traditional wife and a stranger woman for survival. Therefore, even if they accepted various folktales, it could be seen that they eventually chose a different path from the "fantasy" pursued by the folktales. By highlighting the role of women at the time as practical operators of the family economy, the "didactic characteristics" has rather been solidified. Therefore, 'the story of accumulating a wealth’ and ‘the story of managing wealth’ of the female can be seen as narrative assets that have achieved interest and lessons through three-dimensional female characters such as widows, maidservants, and Seo-ri's wife. 이 글은 <이조집> 소재 치부․치산담 가운데 여성이 제반 행위를 주도하는 자료를 선별하여 그 서사적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 것이다. 특히 구비설화와 한문 단편의 교섭 양상을 살펴 여성 주도형 치부․치산담의 서사적 계승 관계와 변전 양상을 추적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우선 여성 치부․치산담은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류에서 발견되는 ‘현명한 내조자’의 원형적 여성을 계승하여 치부 행위 주도하기, 名馬 알아보기, 남편 출세시키기 등 민담의 상징적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민담에서는 다루지 않은 현실적 치부 및 치산 행위의 전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여성 치부․치산담은 전통적 현모양처와 생존형 여성 異人 사이에서 집안 살림의 소박한 일꾼이자 가업과 가문의 번영을 주도하는 선도자로서의 여성 형상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들이 다양한 민담적 화소를 수용했더라도 종국에는 구비설화가 추구하는 ‘환상성’과는 다른 길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경제의 실질적 운용자로서 당대 여성의 역할을 조명하여 그들의 치부 및 치산 행위를 핍진하게 기술한 ‘교술성’이 오히려 공고해진 것이다. 따라서 여성 치부․치산담은 과부와 같은 여성 가부장, 자신의 신분 해방을 위해 남성의 킹메이커를 자처한 여종, 남편이 소속된 직업 세계의 각종 위험 요소들을 치밀한 계획과 현명한 처세로 소거한 서리의 처 등 입체적 여성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교훈을 두루 성취한 서사적 자산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 글은 <이조집> 소재 치부․치산담 가운데 여성이 제반 행위를 주도하는 자료를 선별하여 그 서사적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 것이다. 특히 구비설화와 한문 단편의 교섭 양상을 살펴 여성 주도형 치부․치산담의 서사적 계승 관계와 변전 양상을 추적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우선 여성 치부․치산담은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류에서 발견되는 ‘현명한 내조자’의 원형적 여성을 계승하여 치부 행위 주도하기, 名馬 알아보기, 남편 출세시키기 등 민담의 상징적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민담에서는 다루지 않은 현실적 치부 및 치산 행위의 전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여성 치부․치산담은 전통적 현모양처와 생존형 여성 異人 사이에서 집안 살림의 소박한 일꾼이자 가업과 가문의 번영을 주도하는 선도자로서의 여성 형상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들이 다양한 민담적 화소를 수용했더라도 종국에는 구비설화가 추구하는 ‘환상성’과는 다른 길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경제의 실질적 운용자로서 당대 여성의 역할을 조명하여 그들의 치부 및 치산 행위를 핍진하게 기술한 ‘교술성’이 오히려 공고해진 것이다. 따라서 여성 치부․치산담은 과부와 같은 여성 가부장, 자신의 신분 해방을 위해 남성의 킹메이커를 자처한 여종, 남편이 소속된 직업 세계의 각종 위험 요소들을 치밀한 계획과 현명한 처세로 소거한 서리의 처 등 입체적 여성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로서의 흥미와 교훈을 두루 성취한 서사적 자산이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 KCI등재

        <복선화음가>에 구현된 치산(治産)의 의미와 텍스트 향유의 내적 기반

        이종필(Lee, Jongpil)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복선화음가>에서 서사화 된 양반 여성의 노동과 치부(致富), 그로 인한 가문 재건 양상을 둘러싼 기존의 해석이 중세적 가부장제의 강화와 근대성의 단초라는 극단의 시각에서 진행되고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텍스트의 의미를 재 고찰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복선화음가>의 주인공(李氏부인)이 전형적인 부덕(婦德)을 실천했던 인물에서 경제적 부를 추구하는 인물로 ‘변모’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전형적인 부덕의 체현자였던 이씨 부인은 극심한 가난을 체험한 후 절용이나 근검과 같이 종래에 강조되어 왔던 부덕(婦德)의 추구만으로는 문제적 현실을 타개할 수 없음을 직시한다. 이후 그녀는 적극적인 노동을 통해 치부(致富)에 성공하며 그러한 경제적 기반을 통해 가문의 재건을 이뤄낸다. 결국 <복선화음가>는 효봉고구(孝奉舅姑)나 봉제사(奉祭祀), 접빈객(接賓客)과 같은 ‘여성의 도리’를 다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치산(治産)과 치부(致富)에 힘써야 함을 강조하는 변이형 계녀가(誡女歌)로 정의할 수 있다. 특기할 것은 <복선화음가>가 계녀가의 일종이면서도 주인공이 축적한 부(富)의 수준이 기존의 계녀 담론에서 이상적으로 여기는 치산의 범주를 뛰어넘어 ‘환상’의 차원에 가깝게 묘사된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이 <복선화음가>가 계녀가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파급력을 지니게 된 텍스트의 내적 기반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 선화음가>가 무수한 이본(異本)을 파생했다는 사실은 이 가사의 향유자들이 전통적인 치산(治産)의 미덕을 넘어 보다 적극적인 노동과 그에 따른 부(富)의 축적을 이뤄낸 이씨 부인의 ‘자수성가 신화’에 크게 공감했던 시대적 정황을 드러낸다. 한편, <복선화음가>의 유행과 확산은 ‘절용(節用)’이 특히 중시되던 종래의 부덕(婦德) 관념에 예상치 않은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했음을 암시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난의 고통을 근검과 절약을 통해 감내하는 것을 미덕으로 삼았던 여성들이 이제 적극적인 노동과 치부(致富)의 주체로 변모하고자 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복선화음가>의 출현과 그에 대한 열렬한 향유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우리는 <복선화음가>의 주인공을 가부장제의 음험한 논리에 포섭된 수동적 주체나 혹은 적극적인 경제 행위를 통해 도래할 근대를 예비했던 선각자적 주체로 성급하게 정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우리가 주목해야 할 지점은 <복선화음가>에 공감했을 많은 이씨 부인‘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시대적 조건 속에서 가난과 궁핍이라는 문제적 현실의 타개를 위해 기존의 이념적 부덕(婦德)의 준수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현실로 뛰어들고 있었다는 사실 그 자체일 것이다. <복선화음가>의 주인공과 향유자들 즉 노동과 치산의 적극적 주체이기를 희구한 여성들이 ‘근대’의 맥락에서 어떤 위상으로 다시금 자리매김되었는가는 별도의 문제로 남아 있다. This paper aims at bringing up a question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Bokseon Hwaeum Ga福善禍淫歌> which is based on the two extreme circumstances -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and beginning of modernity - and at taking a reconsideration on the meaning of the text itself.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ly takes a close look at the complete “transfiguration” of its main character (Mrs. Lee) who changes from a typical character, who practices womanly virtues, into a person, who seeks wealth since she went through sever poverty. The story depicts Mrs. Lee as a character who faces up to the reality in which she could not make a living by pursuing only the existing womanly virtues such as thrift and saving and so tries hard to obtain wealth by active labor. Telling her married daughter about how she herself overcame poverty, Mrs. Lee also asks her earnestly to keep house well and adjust well to her married life. In other words, <Bokseon Hwaeum Ga>, as a variant form of the gyenyeo-ga誡女歌, puts top priority on managing the household and wealth even to live up to the traditionally emphasized “womanly virtues”. The emphasis here is that the people who enjoyed <Bokseon Hwaeum Ga> expected women to play a more active role, which is beyond the traditional virtues of managing the household, by actively working and obtaining accompanied wealth. That <Bokseon Hwaeum Ga> has numerous different editions implies that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of the period forced women into the scene of labor and that there was an unexpected crack on the strong belief in the traditional womanly virtues - thrift and saving. So, women were now transformed into a subject of roles of active labor and managing wealth from a mere passive character that endured economic hardships by practicing thrift and saving. The analysis above shows us that the main character of <Bokseon Hwaeum Ga> cannot be simply defined either as a woman who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or as a woman who prepared for modernity by active economic action. The fact we need to focus more on is that many other women of the period, who might have empathized with Mrs. Lee, went into the reality and lived an active life to fight poverty and hardships under the given condition of the time, rather than just trying to keep the ideological womanly virtues. In conclusion, it remains an unsettled question that what other characteristics the main characters of <Bokseon Hwaeum Ga>, who were transformed into a subject to roles of active labor and managing wealth, would have had in the context of “modern times”.

      • KCI등재

        <박타령>과 <치산가>에 나타나는 신재효의 현실인식

        이해진 ( Lee Haejin )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박타령>과 <치산가>는 신재효가 기왕의 <흥보가>와 『초당문답가』(<치산편>)를 각각 개작한 텍스트로, 19세기 중후반 향촌의 사회·경제적 변화상을 특수한 위치에서 접한 그의 의식이 다분하게 개입되어 있으리라 추정해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본고는 이러한 <박타령>과 <치산가>에 나타나는 신재효의 현실인식의 면모를 섬세하게 드러내기 위해 두 텍스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담화 직조 양상에 주목해보았다.저본과 비교해볼 때, <박타령>과 <치산가>의 담화에는 공히 단일한 화두와 일관된 관점이 아닌, 복수의 논점 및 시각들이 한데 혼입되어 있음이 특징적이다. 우선 <박타령>의 경우, 서술자 발화를 보면 그 비판적 시선이 놀부뿐만 아니라 흥부에게도 개재되어 있으며, 이때 두 인물에 대해 비판이 가해지는 지점이 각기 다름을 알 수 있다. 서술자는 흥부를 통해 ‘경제적 무능과 무기력’을 냉소하는 한편, 놀부를 통해 ‘무도한 탐욕’을 통렬히 비꼬고 있다. 그리고 이는 <박타령>에서 현실 논리와 윤리 이념을 강조하는 인물발화가 서로 혼재되어 나타나는 현상과도 관련된다. 한편 <치산가>의 경우, 화제나 논점이 일관되지 않고 이리저리 넘나드는 담화 양상이 두드러지는데, 그 주요 논점은 크게 ‘치산’과 ‘윤리’의 문제로 대별된다. 더불어 이 두 논점이 교차 제시됨으로써 <치산가>에서는 부의 축적과 공동체 윤리를 함께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이처럼 <박타령>과 <치산가>에 나타나는 복수의 관점들은 당대 사회현실과 신재효의 경제적·계층적 위치, 그리고 그의 특수한 개인적 상황 및 이력과 결부시켜 그 의식의 연원을 탐색해볼 수 있다. 19세기 중후반 향촌사회에서 요호부민이자 향리에 속했던 특수한 정체성, 일반 향리가 아닌 가리(假吏)였다는 사실, 그리고 그가 나눔을 실천했던 실제 행적들은 <박타령>과 <치산가>에 나타나는 실리적 가치와 당위적 가치 사이를 오가는 현실인식을 초래한 주요한 동인이 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박타령>과 <치산가>는 신재효의 복합적 현실인식이 낳은 다성적(polyphonic) 텍스트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recognition of reality in < Baktaryeong > and < Chisanga > written by Shin Jae-hyo, which were respectively adapted from passed-down < Heungboga > and < Chodangmundapga >. Considering that the main issues of the two adaptations focus on socio-economic changes in villages in 19th century Choseon society, Shin’s recognition of reality concerning these issues can be found through discourse analysis on these two works.In comparison with passed-down scripts, it is a noteworthy feature that < Baktaryeong > and < Chisanga > have multiple topics and perspectives. First, in the light of the discourse in < Baktaryeong >, the narrator ironically criticizes not only Nolbu but also Heungbu and the focus that the narrator criticizes on each character is different. In other words, Heungbu is underestimated for his incompetence in economic aspect, whereas Nolbu is satirized severely for his selfish greed in communal life. Also these phenomena accord closely with characters’ speakings which are mixed by logic of reality and ethical ideology. Second, in the case of < Chisanga >, it is found that different topics or concerns are mingled in its discourse. Namely, ‘management of property’ and ‘community ethics’ are alternately being emphasized in this text.These multiple and complex perspectives in < Baktaryeong > and < Chisanga > are intimately related with 19th century Choseon’s social environment, Shin’s socio-economic positions, and his specific personal situations, etc. As a rich commoner, a Kari, and a generous contributor, it is considered that he had multi-identities. In this sense, both < Baktaryeong > and < Chisanga > are polyphonic texts which are generated by Shin’s multiplex recognition of reality.

      • KCI등재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모순과 상상적 봉합 -<복선화음가>에 대한 연구사 검토와 새로운 독법의 마련-

        하윤섭 ( Yunk Seop Ha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본 논문에서는 <복선화음가>에 대한 그간의 논의들이 여성의 치산 행위에만 주목하여 이를 봉건주의의 해체적 징후 내지는 근대전환기의 변화된 현상으로 파악해 왔던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조선 후기 들어 강화되어 가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연계시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본 작품에 대한 그간의 독법들을 차례 대로 살펴본 후, 이 작품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내재한 그 자체의 모순을 의도치 않게 드러내고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모순의 지점들과 이를 해결하는 나름의 방식에 주목해볼 것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에게 치산의 책무가 부과되어 가는 저간의 사정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와 달리 사대부 남성들의 ‘不治産業’은 양반 남성이 지녀야 할 주요한 덕목으로 간주되었고, 이는 현실적으로 그들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 들어 강화된 종법적 질서의 전파에 따라 주자학적 제례의식의 준수 또한 그들에게는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바, 치산하지 않는 것과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는 주자학적 제례의식의 설행은 서로 상충되기 마련이었다. 이러한 모순을 타파하기 위해 치산의 책무는 여성에게로 전가되어 갔던 것이다. 4장에서는 <복선화음가>에 드러나는 치산하는 여성의 형상이 이러한 역사적 현실을 배경으로 나타난 것이며, 이에 따라 <복선화음가>는 福善이라는 관념적 논리를 바탕으로 하여 당대의 여성들로 하여금 가부장제의 모순에 대한 자각 없이 치산에 전념케 하려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企圖가 그 이면에 깔려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복선화음가>에 나타나는 괴똥어미의 형상을 작자가 의도한 사회적 적대의 응축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은폐하고자 하는, 다시 말해 상상적으로 봉합하고자 하는 시도로 결론지었다. This study raises a doubt about the understanding of “BokSeonHwaEum Ga” which the women`s property management was considered as the symptom of feudal dissolution or the change of modern transition, and intends to relate that to the patriarchal ideology which had been strength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is, after look into existing ways of reading to this book sequentially, I suggested that this book showed its contradiction in the patriarchal ideology unintentionally and it needed to figure out its contradiction and solution in Chapter 2.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ircumstances which assigned the responsibility of property management to women. Unlike early Joseon Dynasty, “not involving in the property management”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virtue of nobleman and it was essential to keep his position in reality. But as the strengthened order of clan rules was sprea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were forced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by the doctrines of Chu-tzu, so “not involving in the property management” was likely to collide with the high-cost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by the doctrines of Chu-tzu.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property management was assigned to women more and more to solve this problem. In Chapter 4, I figured out the women`s property management described in “BokSeonHwaEum-Ga” was resulted from these historical circumstances, so “BokSeonHwaEum-Ga” seemed to have the intentional ideology of patriarchy which made women contribute to manage the property without the awareness of contradiction in patriarchy based on the ideological logic of Bokseon in “BokSeonHwaEum-Ga”. And I concluded it was a imaginary suture to try to cover the contradiction in the patriarchal ideology while understanding the image of Goettongoeumi in “BokSeonHwaEum-Ga” as the conglomerate of social hostility as the author intended.

      • KCI등재

        신재효 〈치산가〉와 『초당문답가』의 관련 양상 및 그 의미

        박연호(Park Youn-Ho)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The aim of this paper is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he song of property management(治産歌) and The questions and answers song in a Cottage(草堂問答歌). The Questions and answers song in a Cottage is representative moral Ga-sa(歌辭)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is works is consists of 13 pieces and handed down many variants. This works have many disputed points which related to the author group and aim, theme, form of early works(variant), object of enlightenment etc. The Song of property management offer many answers about those problems. The Song of property management was created by Sin Jae Hyo(申在孝 ; (1812∼1884)) who was a middle class and petty town official in the nineteenth century. This work is based on special variant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song in the Cottage. Because two works are almost same in various respect-aim, theme, object of enlightenment etc-.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about The Song of property management, I inquire that the author group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song in the Cottage is not the specified class- rich common people or nobleman - but the rich(in especial landowner) who could maintain their property with ideological and economical stability of tenant farmer for a basis and all classes(rich common people, middle class, nobleman etc) included in this group.

      • KCI등재

        조선후기 女性治産과 <福善禍淫歌>

        이동연(Lee Dong ye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

        이 논문은 조선후기 가사인 <복선화음가>에 대한 연구로서, 첫째, <복선화음가>는 당시 성행하던 女性治山 현상을 반영해 나온 계녀가이며, 둘째, <복선화음가>가 여성집단 내부에서만 유통되지 않고 보다 대중적 독서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복선화음가>에는 여러 이본들이 있고, 그 이본들이 여성치산의 훈계에만 주력하는 '계녀형'과, 계녀형과 달리 조직적 구성, 주인공 인물의 극적 형상화 등을 도모하고 있는 '전기형'으로 나누어져 있음에 주목한 결과이다. 여성문제를 다룬 텍스트가 대중적 독서물로 존재했을 가능성은, 텍스트를 거듭 현실로 환원하여 해석하던 기왕의 여성문학 연구관습을 반성하게 한다. 이 시기 여성문학 텍스트들 역시 일반문학과 마찬가지로 중층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둘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Bok-Seon-Hwa-Eum-Ga, a Ga-Sa from the late Cho-Sun period.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Bok-Seon-Hwa-Eum-Ga is a didactic song for women reflecting the flourishing fortune managing by females at that time;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dership of the Bok-Seon-Hwa-Eum-Ga was not restricted within the female groups but more widely read by a general public. Such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e careful observation on the diverse versions of the Bok-Seon-Hwa-Eum-Ga. These versions can be group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a "didactic type" which focuses on the teachings concerning the managing fortune by females; the other is a "biographical type" which, unlike a "didactic type, pay more attention on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dramatic realization of the main character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the text on female issue as a popular reading material poses a question on the traditional research practice on the female literature which habitually deals with the text by reducing it to reality.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the female literature text were possibly existed in multi-layered fashion just like the general literature of the same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의 治産과 경제활동 ― 길쌈을 중심으로

        남미혜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조선시대에는 남성에게는 농업을, 여성에게는 길쌈 즉 직조업을 적극 권장하였다. 조선전기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婦德으로 적극 권장된 길쌈은 양잠업이었다.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양잠업이 권장된 이유는 사대부의 의복재료가 명주였다는 점과 아울러 양잠이 다른 직물보다 노동과정 및 방적과정이 비교적 수월하다는 데 있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방적⋅방직과정에 참여했던 길쌈은 명주길쌈이었다. 조선전기 여성의 부덕으로 권장되었던 길쌈은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場市의 활성화에 힘입어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조선후기에는 화폐경제의 발달과 함께 서민의 경제력과 의식이 성장하면서 조선 사회를 지탱해 왔던 신분제가 동요하였다. 경제력의 상승에 따라 신분간의 이동 현상이 활발해지면서 여성들의 생산노동, 治産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조선전기에 婦德으로 권장되었던 길쌈은 부덕의 영역에서 벗어나 치산이 가능한 경제활동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들은 직접 방적⋅방직에 참여하였으며 길쌈을 통해 가정경제를 이끌어가거나 부를 축적한 여성도 나타났다. 조선후기 여성들의 적극적인 길쌈 참여에 따라 길쌈기술의 점진적인 발전이 가능하였으며, 직물의 명산지가 형성되었다. In the Joseon dynasty, agriculture was recommended for men, and as well as weaving was recommended for women. As womanly virtues, weaving, especially silkworm farming was highly recommended for women of the gent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asons for silkworm farming recommended, were that clothing material was basically silk, and also labor process of silkworm farming and spinning process were relatively much easier than those of other fabric making. Therefore, women of the gentry in the Joseon dynasty had become used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spinning and textile manufacturing process of silk weaving. As womanly virtues, the weaving which was recommended for wo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growing into a major industry that could create wealth, owing to the socio-economic change and the activation of rural mark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conomic growth and social consciousness of ordinary people was greatly grow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and thereby it made the caste system supporting the Joseon society significantly shaken. With the rise of economic power, a phenomena of moving social status among people was actively occurred, and also a social atmosphere highly evaluating women's management of household economy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was created. The weaving recommended for wo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egan to be recognized as economic activities of creating a wealth beyond the simple womanly virtues. Many women of the gen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directly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spinning and weaving, and several women appeared, who were leading the household economy or making a fortune through the weaving.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d been possible to make a gradual progress of the weaving technology and form several famous areas for the fabr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