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개인변인, 가구변인, 교사변인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연구

        정연아,유준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efore they enter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d 857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we utiliz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nly factor affecting preschool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the gender and girls’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compared to boys. In addition, among family factors, there were no factors to affect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mong teacher’s factor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teaching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Second, children’s cooperation skills were related to gender and children’s playing time with media except all other variables. However,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ffect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r children’s assertiveness was only related to parents’ educational levels. Third, children’s self-control was related to children’s gender an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mong other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중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혀낸 결과들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육아정책연구소가 2008년부터 구축하고 있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은 취학전 유아 857명이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유아 개인 변인, 가구변인, 교사변인으로 구분하고, 각 변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살펴본 결과 유아개인 변인 중에는 성별만이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변인은 모두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변인 중에서는 교사-유아상호작용과 교수 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협력성에는 유아개인변인 중 성별, 전자기기놀이 일수가 유의한영향을 미쳤으며, 가구요인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교사변인 중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수효능감이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주장성에는 유아개인변인 모두가 유의한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가구변인 중에는 모학력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변인 중 교사-유아상호작용과 교수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통제성에는개인변인 중 성별만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변인은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변인 중 교수 효능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알아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 및 관련변인 연구

        김혜순,김인홍,오원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5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4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 preschool child’s mother,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intended for 167 mothers of preschools in G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Mot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by self-repor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with the SPSS 18.0 program. First, the perception of mothers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was at a high level. Further, educational career of mother and fath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mothers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Second,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r=.42, p<.001) and marital satisfaction (r=.26, p=.002)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the mothers’ perception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Third, the influencing factor o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was identified as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β=0.38, p<.001); the model explained 18.0 percent, of the variables. Therefore, according to these results,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the preschool should be conducted, and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actors for improving low birth rate of Korea.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의 인식도와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우리사회의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도와 관련변인의 경향성 파악 및 어머니의 출산장려교육 인식도와 관련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의 유치원 어머니 167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도는 높은 편이었고, 어머니와 아버지 학력에 따라 어머니의 출산장려교육 인식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도는 원가족건강성(r=.42, p<.001)과 결혼만족도(r=.26, p=.002)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취학전 출산장려교육 인식도에는 원가족 건강성만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β=.38,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출산 문제의 극복을 위해서는 취학전 출산장려교육이 조기 실행되어져야 할 타당성을 지지하며, 더불어 건강한 가정과 유아기에서의 행복한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이혜수(Lee Hye Su),서주현(Suh Joo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관계에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자료 중 취학 전 만5세에 해당하는 7차년도 자료의 교사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0.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긍정적 또래놀이 상호작용, 학습준비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의 하위 영역인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의사소통, 인지발달 및 일반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판명되었고, 이 때 조절효과는 대립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대립적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는 변인을 밝히고 보다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유능감의 영향력에 대한 다양한 조절 변인을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on School Readiness and als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eschoolers’ Peer-play Interaction on these relations using data (N=1,145) from the 7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and a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model was verified using Hayes(2013)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positive peer-play interactions, and school readines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preschoolers’ peer-play interactions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school readiness(socio-emotional development, attitudes to learning, communications, 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verified the control effects of peer-play interactions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readiness implying effective intervention to promote school readiness. The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논문(論文) : 초등학교 취학전교육 관련법령의 비교 연구

        이덕난 ( Duck Nan Lee ) 대한교육법학회 2006 敎育 法學 硏究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만3-5세 사이의 취학전 아동에 관한 교육, 즉 초등학교 취학전교육 관련법령을 비교하여 동일한 대상이 동일한 학습권을 보장받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취학전교육 관련법령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을 대상으로 법 정의적인 측면, 법 체제적인 측면, 법 내용적인 측면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헌법과 국제법이 보장하고 있는 취학전아동의 교육기본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에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통적으로 과도한 위임입법을 하고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법은 주로 대통령령에 위임한데 비해 영유아보육법은 주로 여성가족부령에 위임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법 내용상의 측면에서는 많은 영역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공평한 유아학교 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법령을 제·개정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 유아교육계와 영유아보육계는 상생의 정신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n laws and decrees about Pre-elementary education and build legal basis that can be guaranteed equal right to learn for all preschooler. Study issues are justice, system and cont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ECEA) and child care & education act(CCEA) that they are representative of laws and decrees about pre-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made clear that ECEA and CCEA are not thoroughgoing enough to realize educational fundamental human right for preschooler. Also, this study made clear that ECEA gave the decree of president and CCEA gave the decree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Therefore early childhood education groups and child care & education groups should subscribe to make appropriate law and decree which can build equal pre-elementary school system.

      • KCI등재

        익산시 취학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과 위험요인

        이광희,Lee, Kwang-Hee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4

        유아기 우식증의 새로운 정의와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익산시 3-5세 취학전 어린이 612명을 대상으로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문지 조사를 통하여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위험요인을 함께 조사하였다. 어린이들의 상악 유전치의 순면과 설면 및 인접면을 검사하고, 6개의 상악 유전치 중에서 한 개 이상의 우식와동이 있거나 우식으로 인해 상실되었거나 충전된 평활면이 있는 경우에 중증 유아기 우식증에 이환된 것으로 진단하였다.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유병률은 36-47개월이 20.8%, 48-59개월이 23.6%, 60-71개월이 30.8%이었고, 남아가 27.8%, 여아가 25.0%이었다. 재우기 위한 목적으로 수유한 경우의 유병률은 33.0%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의 23.0%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5). 잠든 후 수유를 즉시 중단한 경우의 유병률은 28.6%로서 그렇지 않은 경우의 66.7%보다 낮았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1). 어린이의 이를 닦기 시작한 시기에 따른 유병률은, 처음 이가 날 때가 21.5%, 앞니가 난 후가 25.2%, 어금니가 나는 중이 27.7%, 어금니가 난 후가 43.7%, 그 이후가 60.9%로서, 이를 닦기 시작한 나이가 늦어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1). 주 보육자의 칫솔질 횟수가 규칙적인 경우의 유병률은 25.1%로서 불규칙한 경우의 34.0%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10). 주 보육자가 구강청결용품등을 사용하는 경우의 유병률은 21.8%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28.8%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P<0.10). Preschool children in Iksan city, 3-5 years old, were examined for their prevalence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The case definition was 1 or more cavitated, filled, or missing (due to caries) smooth surfaces in primary maxillary anterior teeth. Feeding behavior and oral hygiene behavior were investigated by a questionnaire. The prevalence was 20.8% for 36-47 months, 23.6% for 48-59 months, and 30.8% for 60-71 months. Going to sleep with bottle beyond 1 year (P<0.05), immediate removal of bottle after child fell on sleep (P<0.01), beginning time of toothbrushing (P<0.01)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evalence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Toothbrushing frequency of primary care provider and use of oral cleaning aids by primary care provider had a tendency to be related with the prevalence(P<0.10).

      • KCI등재후보

        일본의 [인정어린이원]법에 관한 연구

        하경표 한국일본교육학회 200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의 직접적인 법적근거가 되는 [취학전 어린이에 관한 교육, 보육 등의 종합적인 제공의 추진에 관한 법률]의 해석을 통하여 유·보일원화의 법 률적인 문제점을 명확히 하고, 우리나라의 취학전 유아교육법제(유아교육법, 영유아보육 법)와의 비교를 통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인정어린이원법에 대한 법률의 취지와 설치조건규정을 중심으로 살 펴보았다. 먼저, 제1조와 제2조를 통하여 법률의 취지와 목적을 살폈고 제3조와 제4조를 통하여 인정어린이원의 인정에 필요한 조건을 알아보고 이 법률에 나타난 문제점을 발 생할 수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보일원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조절

        김지현 ( Ji Hyun Kim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on their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The participants were 129 mothers of 5 and 6 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from two day dare centers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by SPSS program (12.0 ver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Boys showed higher score of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than that of girls. (2) mother`s consistent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other-regulation behaviors significantly explained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In conclusi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have influenced on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유보통합화 과정 연구

        오미희 대한일어일문학회 2014 일어일문학 Vol.63 No.-

        There’s high expectation on that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s progressing actively as the new government has come.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needs to be discussed in the direction of accomplishing the best child ca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matches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of preschool infants and toddler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In Jung Children’s Centers’ of Japan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nd summarized implications for us.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the literature survey with a focus on the previous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In Jung Children’s Centers of Japan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ho achieved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in Korea, while the necessity and the national consensus on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ave been formed and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has already started by Nuri curriculum,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yet to set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ion. Secondly, the integration of departments is very important for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from the fact that no more progress can be seen as In Jung Children’s Centers of Japan takes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eparately. Thirdly while the global trend is showing th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versees, 0-2 years old has to be treated focusing on protection and stability and emotional ties not the school curriculum. Lastly, it has to be considering the matter of taking care of the rights and happiness of infants not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with adult-oriented.

      • KCI등재

        가정내 인터넷 게임 사용 실태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

        조은정(Cho, Eun Joung),김지현(Kim, Jihyun) 한국생활과학회 201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9 No.6

        This study examined preschoolers’ usage of internet-games in a family context as well as their level of addiction to these gam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1 mothers of preschoolers (111 boys, 110 gir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Lee’s (2006) Internet-Game Addiction Scale for Preschoolers was used to assess preschoolers’ level of internet-game addiction. Cho’s (2010) questionnaire regarding home environment and internet-games was also administer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WIN 12.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74.7% of preschoolers were found to play internet-games. Secondly, the level of internet-game addiction was low, but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net-game addiction than girls. Thirdly, preschoolers’ level of internet-game addic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number of siblings, time spent using internet-games, that age at which internet-games were first used as well as mothers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anger of preschoolers’ internet-game addic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