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점화의 문학교육 내용화를 위한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 연구

        정진석 ( Jung Jinseok ),조진수 ( Jo Jins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이 연구의 목표는 초점화 중심 소설 읽기를 학습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학습자가 당면하는 어려움 중 하나가 초점자를 확정하는 문제라는 점을 전제로, 초점자를 추론하고 초점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언어적 표지를 유형화하고 형식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초점화를 다룬 주요 연구를 살펴 초점자의 위치나 교체를 지시하는 언어적 표지의 목록과 특성을 정리하고, 둘째, 이렇게 정리된 표지를 작품들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 이론적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사론에서는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로 인칭, 심리 표현, 명명, 직시 표현, 어휘 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를 초점화 학습의 주요 제재인 「삼대」(염상섭),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소나기」(황순원)에 적용함으로써 품사, 어휘 의미, 논항구조, 어미, 양태, 직시, 지칭 등을 범주로 하는 12개의 언어적 표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에 관한 유형과 형식을 체계화할 가능성을 제시한 점, 초점자의 추론이 언어적 표지로만 확정될 수 없는 해석적 성격 또한 강하다는 점을 확인한 점, 언어적 표지와 함께 초점화 양상의 흐름, 서술 상황, 장르 등 그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초점자 추론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ypifies and formalizes linguistic markers that can be used to infer the focalizer and analyze focalization aspects. To this end, we first reviewed some major studies to compile a list of linguistic mark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at indicate the position or replacement of a focalizer. Then we applied these markers to some works to verify their usefulness and enhance their theoretical relev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arrative theory pays attention to personification, psychological expression, naming, deixis, and vocabulary as linguistic markers of the focalizer. Second, By applying these markers to some main texts for focalization learning, the study presented 12 linguistic markers in the following categories: part of speech, lexical meaning, argument structure, ending, modality, deixis, and refer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ystematizing the types and forms of linguistic markers of focalizer, confirms that inferences have a strong interpretive character that cannot be confirmed by linguistic markers alone, and shows that the validity of such inferences can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ir context along with linguistic markers.

      • KCI등재

        소설(小說) 읽기 교육(敎育)에서 초점화(焦點化) 리론(理論)의 수행적(遂行的) 관점(觀點)

        정래필 ( Jeong Rae-p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本 論文은 焦點化 理論에 대한 小說敎育의 현황을 확인하고, 遂行的 관점에서 초점화 이론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遂行'은 초점화의 疏通 脈絡과 讀者의 解釋 過程을 결합한 소설 읽기의 실제적인 방법을 가리킨다. 讀者의 초점화는 장면의 역동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작품 해석의 통합성에 기여하며, 主體와 對象의 이분법적 관계를 초월해 脈絡에 따라 인물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 또한 독자의 초점화는 텍스트 해석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처럼 독자의 초점화 활동은 작품 해석의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독자 초점화의 작동 양상과 역할을 검토한 후 '焦點化 主體의 位置 定하기', '脈絡을 考慮하여 知覺하기', '對象에 대한 觀點 形成하기' 등을 焦點化의 遂行 戰略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독자 초점화 활동과 관련된 小說 읽기 敎育의 成就基準과 內容要素를 제시했다. 본 논문은 소설교육에서 초점화 이론의 受容 過程을 제시한 후 작품 해석과 연계할 수 있는 초점화 이론의 遂行的 次元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novel education on focalization theor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focalization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Performance' refers to the practical method of novel reading that combines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focus and the reader's interpretation process. The recent focalization theory shifts from the analysis aspect of narrative aspect to the method center of text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trend, this paper also identifies the reader' focalization and suggests a strategy for focusing on the performance level. The reader' focalization focuses on the dynamics and continuity of the scene,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transcending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leading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reader's focalization also provides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text. Thus, the reader's focalization activities can be used as a path of interpreting the work.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independent focus,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positioning the focalizor', 'perceiving by considering the context', and 'evalua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rspectiv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presented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content elements of novel reading education related to independent focalization activities.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 KCI등재

        句中焦点算子的关联向度与关联强度 - 以“NP1+甚至+V(了)+NP2”句式中的“甚至”为例 -

        李德龙,具洸范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0 No.-

        본 논문은 중국어 문장 “他甚至吻了小王”의 “NP1+甚至+V(了)+NP2”식 문장구조의 초점연산자인 “甚至”를 중심으로 초점 연산자의 관련방향 및 관련강도의 문제를 논하였다. 초점연산자 “甚至”의 품사성분은 부사에 속하면서 부사어 기능을 담당하지만 어의의 기능으로는소위 술어가 진술하고자 하는 일종의 특출한 것, 심지어는 극단적인 상황, 예상과 다른 결과를설명하는 일종의 주관적 표현의 표시를 나타내기도 한다. 초점 연산자 “甚至”는 각기 다른 언어 상황에서 “NP1, 甚至, V, NP2” 및 “VP” 등과 함께관련항목끼리 관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련항목과 관련이 생길 경우에는 이와 관련한 초점이 강조되어 의미가 중심이 되어서 이 초점과 상관한 하나의 초점영역이 예측되고 설정되기도 한다. 초점 연산자 “甚至”는 좌향관련, 우향관련, 원위치관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점 연산자“甚至”와 연관하여 형성할 수 있는 관련가능성 초점 성분인 “NP1, 甚至, V, NP2, VP”사이에는 서로간의 강약의 차이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강도는 “V ⟩ NP2 ⟩ VP ⟩ 甚至 ⟩ NP1” 순으로 강에서 약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초점 연산자와 초점 사이의 관련 선택 경향에도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thesis mainly discussed the correlation dimension and the association strength of the focus operator “even” in “NP1 + even + V (past tense) + NP2” Sentence pattern, including “He even kissed Wang”. The part of speech of focus operator “or even” is seen as adverb, and the syntactic function is seen as adverbial. Its semantic feature is “to explain what the predicate state is a prominent, even extreme situation”. It’s “the vocabulary tag of anti-expected and subjective expression”. “Or even” may relate to “NP1, even, V, NP2 and VP” and other related items in different context. Associating with the different related items, it highlights the semantic focus, and preset the focus domain. The thesis also analyzed the three related dimensions (left direction association, right direction association, in situ association) of the focus operator “even”. And further analyzed that there are strength differences between the focus operator “even” and the associated possible focus ingredients“NP1, Even, V, NP2 and VP”. The association strength is expressed as “V›NP2 VP Even NP1” from strong to weak. Thus affected the associated select tendency between focus operator and the focuses.

      • KCI등재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골프 수행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효경 한국골프학회 2022 골프연구 Vol.1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ypes of attention focus, that is,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affect golf performance and learning. [Metho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listic, external, internal attention focus group or control group, and performed a pitch shot toward a target from 15m in the acquisition phase and 18m in the retention test. [Result] In the acquisition phase,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internal focus and control condition, whereas in the retention phase, the holistic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internal focus of attention and control condition, and the external focus of attention was significant on the control condition. [Conclusion] This means that only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performance, whereas holistic and external focus of atten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It was confirmed that holistic attention was valuable as another possible attention strategy that could be used in addition to external focus of atten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초점의 유형, 즉 전체적 주의초점, 외적 주의초점, 내적 주의초점이 정확성을 요하는 골프 수행 및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참가자들은 전체적, 외적, 내적 주의초점 그룹 또는 통제조건 그룹에 무선 배정되어 습득 단계에서는 15m, 파지 및 전이 검사에서는 18m 거리에 있는 지름 50cm의 표적을 향해 피치 샷을 수행하였다. [결과] 습득 단계에서는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서만 유의한 주효과가 발견된 반면, 파지 및 전이 단계에서는 전체적 주의초점 조건이 내적 초점과 통제조건에 대해, 그리고 외적 주의초점 조건이 통제조건에 대해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수행에 있어서는 외적 주의초점만 영향을 미친 반면, 학습에는 전체적 주의초점과 외적 주의초점이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전체적 주의초점은 외적 주의초점에 더해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주의초점 전략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절초점이 접촉욕구에 미치는 영향 및 촉감정보의 조절효과

        전은미 ( Jeon Eunmi ),류아롬 ( Ryu Ah Rom ),남명우 ( Nam Myungwoo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접촉욕구를 유발하는 근원적 동기를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소비자들의 제품 접촉에 관한 기존문헌은 주로 접촉이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촉감경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촉감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개인의 특성 중 조절초점이 쾌락적 접촉욕구와 자기목적적 접촉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상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은 목적적 접촉욕구가 예방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에 비해 높을 것이며, 예방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은 수단적 접촉욕구가 향상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 1에서는 조절초점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접촉 욕구 동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향상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은 예방 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에 비해 목적적 동기에 의해서 접촉욕구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방초점 소비자들은 향상초점 소비자들에 비해 수단적 접촉욕구의 차이가 없었다. 연구 2에서는 조절초점과 촉감정보가 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그 결과, 향상초점을 가진 사람들은 쾌락적 촉감정보가 주어진 제품에 대해 예방초점을 가진 사람들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이 효과는 자기목적적 접촉욕구에 의해 매개되었다. 그러나 연구 1과 마찬가지로 조절초점은 수단적 촉감 정보가 주어진 제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접촉욕구 동기와 촉감정보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임을 보여줬다. 향상초점을 가진 소비자들은 쾌락적 효용을 주는 자기 목적적 접촉동기를 갖는다. 또한, 향상초점으로 인해 증가된 자기목적적 접촉동기는 쾌락적 제품정보가 제공되었을 때 제품 구매의사가 높아지는 적합 효과(matching effect)를 가져왔다. Consumers often use haptic information, information attained through touch, to evaluate products.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n customers’ needs for touch and subsequent product evaluations. Past research on touch identified two types of need for touch: autotelic and instrumental. The current research concentrates its efforts on how regulatory focus affects activation of different types of need for touch. Specifically, it posits that preven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instrumental need for touch whereas promo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autotelic need for touch. In addition, it hypothesizes that individuals with promotion focus would be more likely to evaluate products that emphasized hedonic attribute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se hypotheses. Study 1 examined how promotion (vs. prevention) focus increased autotelic (vs. instrumental) need for touch.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promotion focus exhibited higher levels of autotelic need for touch compared to those with prevention focu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strumental need for touch between promotion focused and prevention focused individuals. Study 2 investigated how regulatory focus influences need for touch as well as product purchase inten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product purchase intention would increase if there was a match between activated need for touch and haptic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promotion focus preferred the product with hedonic touch information compared to those with prevention focus. Furthermore, this effect was mediated by autotelic need for touch. In sum, the results of two studies demonstrated that regulatory focus is an important antecedent of need for touch. Consumers with promotion focus exhibited higher levels of autotelic need for touch compared to those with prevention focus. In addition, this increase in autotelic need for touch heightene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 with hedonic haptic information.

      • KCI등재

        변형 z-스캔 기법을 이용한 다초점 안내 렌즈의 초점과 효율 측정 연구

        이재현,남기봉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12

        Locating and identifying the focal point of a converging optical lens requires trained visual acuity. One uses subjective judgment to declare where the point is located by visually observing the size or the intensity of the focal spot. In the presence of moderate or severe spherical aberration, this task turns into a challenge in that no definite focus exists: one can only guess at the location of the focus or the best focus from the spot size, which is prone to ambiguity due to its being a subjective visual interpretation. The technical challenge grows worse with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IOL). Here, one focal spot is illuminated with off-focus light converging to/diverging from another focal spot. We report a novel means of locating these multiple focal points by using a modified z-scan methodology that is commonly used in non-linear optics. In this modified technology, a pinhole is translated along the optical axis, and the energy transmitted through the pinhole is quantified. One can precisely locate multiple focal points, as well as their relative focusing efficiencies. 평행광에 대하여 수렴렌즈의 초점 위치를 정할 때는 방법은 통상 초점의 크기나 밝기를 눈으로 판단하여 초점의 크기가 가장 작아지는 곳을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현실적으로 구면수차가 추가된 렌즈의 경우, 정확한 초점의 위치는 이론적으로도 정의할 수 없고, 초점을 찾는 문제는 최적초점 위치 결정문제로 귀결되는데, 최적초점은 더욱 더 관찰자의 주관적 판정에 의존하게 된다. 다초점 안내 (眼內)렌즈의 경우에는 다수의 초점이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각 초점을 지나는 광이 다른 초점에서 배경 광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그 위치를 결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광학에서 개발 된 z-스캔 기법을 일부 변형시켜 안내 렌즈의 초점을 추적하는 방법 및 결과를 소개한다. 이 방법으로는 두 초점의 위치를 정확한 정량신호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점 사이의 상대적 집광 효율도 측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초점사건(focusing event)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Birkland의 수정된 ERPL(Event-Related Policy Learning) 모형을 적용한 성매매특별법 정책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이동규 ( Dong-Kyu Lee ),조은지 ( Eun-ji Jo ),김지애 ( Ji-ae Kim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많은 선행연구들은 단기간에 이슈를 의제화시키고, 그것을 정책 변화로 이끄는 사건인 초점사건에 대해 다양한 접근을 통해 개념을 확장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정의들은 대부분 초점사건을 사건 그 자체로서 정의하여 어떠한 요소를 기준으로 초점사건을 정의하고 있지않았고, 따라서 선행연구들에는 왜 특정 ‘소수의 사건’ 만이 초점사건이 되는가에 대해 일관성 있는 설명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초점사건의 구성요소를 관찰하고 초점사건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40여 년 동안 지속되던 윤락행위등방지법이 폐지되고 성매매특별법이 제정된 사례에 주목하고 그 과정을 수정된 ERPL모형의 적용을 통해 모형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성매매특별법의 정책 과정의 정책변화는 2000년에서 2002년, 그리고 2002년에서 2004년의 두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점사건 1기에는 이슈주도자인 김강자 서장과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활동, 2000년 9월 19일 군산 대명동 화재사건 그리고 이에 대한 문제정의는 성매매를 정책적으로 의제화 시키며, 초점사건화 하였으나 제1기에는 급격한 정책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제2기에는 이슈주도자의 활동과 2002년 1월 군산 화재사건이 있었고 이는 새로운 문제정의를 가져왔다. 그 이후, 의제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집단동원의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회 회의록을 통해 성매매에 대한제도적 대안과 법률안 세부내용에 대한 아이디어 토론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슈주도자, 촉발기제, 문제정의의 초점사건화에 필요한 구성요소의 충족이 초점사건화에 기여할 수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성매매특별법의 정책 과정의 분석을 통해 초점사건의 각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수정된 ERPL 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evious studies have been expanded the concepts of focusing events that raise to the agenda and lead to policy changes, through various approaches. However, those approaches define a focusing event as an incident itself so that it cannot be analysed by elements. In this way, previous studies lack of explanation why a few specific incidents become focusing events. This study purposes to observe the elements of focusing events, and present the ways to apply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focusing event concepts. Applying adjusted ERPL Model to the policy process of the Prostitution Law, this paper analyses the agenda-setting and decision process of the Prostitution Law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ERPL Model. Policy change in the policy process of the Prostitution Law can be characterized by two distinct phases: 2000-2002 and 2002-2004. The first period was dominated by an issue initiators, as well as was triggered after the Gunsan fire incident in Sep 2000. These built up problem definition in the first period, which raised a public interest, and became a social issue and focusing event. However, there was no radical policy changes in the first period. In the second period, there were issue initiators' activities, triggering event that was the Gunsan fire incident in Jan 2002, and it made a different kind of problem definition. After that,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growing interest and group mobilization, in addition to idea discussion and institutional alternatives with regard to prostitution in National Assembly. The results show that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focusing events contributes to the focusing ev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s each element of a focusing event works, and also confirms the possibility of modified ERPL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on the Prostitution Law.

      • KCI등재

        영화에서의 초점이동의 미학

        배상준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는 영화에서 구사되는 초점이동(rack focus) 기법의 기능과 영화미학적 효과에 관해 분석하였다. 초점이동은 핵심기능은 관객의 주의/관심 끌기이지만, 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 영화미학적 효과를 이끌어내는 장치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초점이동은 영화의 다양한 표현수단들 중의 하나로서, 시공간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창의적 재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초점이동에 의한 이미지의 변화는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환기시키고 감정의 변화를 시각화한다. 초점이동을 낮은 초점심도에서 구사되는 초점과 탈초점의 상호유기적인 관계라 규정할 때, 초점이동은 몽타주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콘텍스트에 따라 상이한 서사맥락을 창조하는 기능을 수행까지 한다. 그리고 초점이동의 이러한 속성은 결국 영화가 3차원적 현실의 2차원적 재현이라는 사실을 공공연히 드러내는, 즉 영화의 자기반영적 특징을 제시하는 장치라는 사실로 귀결될 수 있다. 이렇게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들의 조직과 구성에 기여하는 초점이동은 (카메라)감독의 창의적 손길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functions and aesthetic effects of rack focus in feature film. The common significant function of rack focus is the attention-steering, but it should be identified as an apparatus too which produces film aesthetic effects. The rack focus, as one of various media for the filmic expressions, sustains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and is also able to recreate that. In addition, the change of image by rack focus arouses the inner world of characters and visualizes the emotional change. When the rack focus is seen as an inter-organic relation between focus and out-focusing on the low depth of focus, it is then able to create divers narrative contexts just like the montage. This attributes of the rack focus finally reveal openly that film is a fundamentally two dimensional reproduction of the three dimensional reality. And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filmic self-reflexivity which is contained by the rack focus. Therefore, the rack focus is a result of the creative operation of film director.

      • KCI등재

        인지초점과 감정초점이 DMB 휴대폰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손준상(Jun-Sang Soh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9

        본 연구에서는 DMB 휴대폰 마케팅에서 인지정보와 감정정보의 초점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험설계에 따라 인지초점집단, 감정초점집단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여, 무조작집단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인지초점집단은 인지적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감정초점집단은 감정적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구매의도에서는 감정초점집단의 구매의도가 가장 높았고, 인지초점집단의 구매의도가 중간수준, 무조작집단의 구매의도가 가장 낮았다. 일정 기간후의 기억에서는 인지초점집단은 인지정보를 많이 기억하였고 감정초점집단은 감정정보를 많이 기억했으나, 유의적 차이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제시된 제품정보의 초점에 따라 소비자들은 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으며, 감정정보의 영향이 인지정보보다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초점효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화되지만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cus on consumers' attitudes and buying intentions. For these purposes, researcher compare the attitudes and buying intentions by focus groups after presenting cognitive and affective product informations about a cellular-phone. The results of present experiment were as follow: First, cognitive focus led to highest cognitive attitude and affective focus also led to highest affective attitude. Second, It was highest buying intention in an affective focus and lowest in a non-focus. Third, a cognitive focus resulted in more cognitive words being recalled, by comparison with an affective focus, whereas an affective focus resulted in more affective words being recalled, by comparison with a cognitive focus.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focuses lead to different attitudes that differ in their basis. An attitude formed in an affective focus results in a stronger buying intention than an attitude formed in an cognitive focus. The present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different focus conditions result in different attitudes and buying intentions being formed, and to be diluting but to more endur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