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감염성 천장관절염에서 조기 진단의 중요성

        정영우,박지연,심대무 대한척추외과학회 202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9 No.2

        연구계획: 증례 보고목적: 10세 여자 환아에서 방치된 감염성 천장관절염에 대해 항생제 치료 후 호전된 증례를 체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감염성 천장관절염의 치료가 늦어질 경우 패혈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어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대상 및 방법: 10세 여자 환아가 특별한 외상력 없이 발생한 좌측 고관절 통증에 대해 타병원에서 3일간 보존적 치료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어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검사(MRI) 상 좌측 천장 관절에 고신호강도를 보이며 혈액 검사 상 감염성 천장관절염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과: 세균 배양 검사 후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되었고 이후 추시에도 재발되지 않았다. 결론: 소아에서 발생하는 감염성 천장관절염은 조기 진단을 통해 패혈성 쇼크를 막을 수 있고 천장관절의 퇴행성 변화와 농양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있다. 약칭 제목: 소아 감염성 천장 관절염

      • KCI등재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 후 천장 관절 퇴행의 방사선학적 비교

        이제민,남우동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compare the degeneration of sacroiliac joint (SIJ) following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IJ is adjacent to lumbosacral junction and its degeneration can be the potential cause of pain. However, the study addressing SIJ degeneration following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is very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2 to June 2012, 98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decompression and posterolateral fus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range of fusion. Group A had fusion to L5 and included 34 patients. Group B had fusion to S1 and included 64 patients. We evaluated the five years postoperativ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ilateral preoperative subchondral sclerosis and osteophytes of the SIJ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group B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chondral sclerosis and osteophyte formation of the SIJ than group A on every radiographs after postoperative 1 year. In group B,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and age were statistical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the SIJ. Conclusions: Degeneration of the SIJ revealed more rapid and more severe progression in lumbosacral fusion group than in lumbar fusion group. The number of fusion segments and ag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egeneration of the SIJ in lumbosacral fusion group. Therefore, these fa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erforming spinal fusion. Key words: Lumbar degenerative disease, Posterolateral fusion, Sacroiliac joint, Adjacent segment diseas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 또는 요천추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진행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천장 관절은 요천추 분절에 인접하고 여기에 퇴행성 변화가 생길 경우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요추 또는 요천추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총 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5요추까지만 유합한 34명을 A군, 제 1천추까지 유합한 64명을 B군으로 분류하여 수술 후 5년간의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천장 관절의 연골하 골 경화의 범위, 골극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로 요통과 하지 방사통에 대한 시각 통증 등급(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전 양 군간의 양측 천장관절 연골하 골의 경화 정도 및 골극의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술 후 1년 이후 B군의 연골하 골 경화정도 및 골극 형성 정도가 A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B군에서는 유합 분절수와 환자의 나이가 천장 관절 퇴행성 변화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요천추 유합군에서 요추 유합군에 비해 수술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더 빠르고 심했고 유합 분절 수와 환자의 나이는 요천추 유합군에서는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척추 유합술을 시행할 경우 이러한 사실들을 고려해야 한다. 약칭 제목: 요추 또는 요천추 유합술 후 천장 관절의 퇴행성 변화

      • KCI등재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수술적 고정

        오광준 ( Kwang Jun Oh ),황석민 ( Seok Min Hw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수술적 고정의 효용성과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서 Tile 분류상 B와 C에 해당하는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 수반되는 천장관절 복합 구조물에 대해 수술적 고정을 받고,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의 방법으로 골반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은 9예, 골반외 후방 접근법을 통해서는 장력대 금속판 고정술은 2예,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은 4예, 그리고 척추-골반 고정술은 1예에서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방사선학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적 고정을 시행한 모든 환자에게서 유합을 얻었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Matta와 Saucedo에 의한 기준을 이용한 평가상에서 준 해부학적 정복 이상이 15예로 나타났다. 회전 전위는 분석을 시행한 10예 중 보통 이상이 9예로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모두 보통 이상이었다. 결론: 불안정 골반환 손상에서 천장관절 복합구조물의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내고정을 통해 만족할 만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형태상 C형 골절과 수직 전단 골절에서 상대적으로 나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clinical outcomes of surgical fixation of a sacroiliac joint complex in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sixteen cases in our hospital from 2006 to 2010 that underwent surgical fixation of the sacroiliac joint complex and had unstable pelvis ring injuries corresponding to B and C of Tile classification. Plate fixation through an intra-pelvic anterior approach was performed for 9 cases, tension band plate fixation for 2 cases, iliosacral screw fixation for 4 cases, and spino-pelvic fixation through extra-pelvic posterior approach for 1 case.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s wer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reatment. Results: Bone union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For radiological evaluation using the Matta and Saucedo criteria, 15 cases were above the nearly-anatomic reduction. Out of 10 cases that performed rotational displacement analysis, 9 cases were above fair. All cases had above moderate clinical results as well. Conclusion: For unstable pelvic ring injuries, the satisfactory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anatomical reduction of the sacroiliac joint complex and firm internal fixation. And from the evaluation of fracture types, the Type C fracture and vertical shear type fractures showed relatively poor results.

      •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Adalimumab 치료 후 관찰된 천장관절염의 회복 1예 Running title: 강직성 척추염에서 Adalimumab 치료와 천장관절염의 회복

        강성욱 ( Sung Wook Kang ),김대호 ( Dae Ho Kim ),홍성훈 ( Seonghun Hong ),정상완 ( Sang Wan Chung ),김소미 ( Somi Kim ),송란 ( Ran Song ),이연아 ( Yeon?ah Lee ),홍승재 ( Seung Jae Hong ),양형인 ( Hyung In Yang ),이상훈 ( Sang Hoon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2 全北醫大論文集 Vol.36 No.1

        강직성 척추염은 몸통 뼈대와 큰 말초 관절 그리고 근육힘줄뼈 부착부위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류마티스 질환이다. Adalimumab은 anti-tumor necrosis factor(TNF) 중 하나로 강 직성 척추염의 치료에 투여한다. Adalimumab 이 강직성 척추염의 징후와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서 뼈의 발생 혹은 재형성과 TNF 사이의 뚜렷한 연관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 리고adalimumab 치료 후에 이전에 손상되었던 천장관절의 회복이 영상의학적으로 증명 된 적은 극히 드물다. 여기서 우리가 소개하는 29세 남자는 이전에 천장관절의 염증성 변화를 보이는 강직성 척추염을 진단 받았던 자로, adalimumab 치료 전후에 영상의학적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컴퓨터 단층촬영 영 상에서 adalimumab 치료 후 양측 천장관절 의 관절강이 좁아진 소견없이 미란성 변화들 이 거의 회복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adalimumab 치료 후에 강직성 척추염의 징 후 와 증상의 호전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천 장관절의 골미란이 관절강이 좁아지는 소견 없이 회복된 첫 번째 증례라고 할 수 있다. Ankylosing spondylitis(AS) is a chronic rheumat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axial skeleton, large peripheral joints, and entheses. Adalimumab is one of anti-tumor necrosis factor(TNF) and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AS. Although adalimumab is effective in treating the signs and symptoms of AS,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TNF and bone formation or remodeling in patients with A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nd radiological evidence of reparative change of a previously damaged sacroiliac (SI) joint by adalimumab treatment is extremely rare. Here, we present a 29-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AS, with sacroiliac joint inflammation. We compared radiological difference before and after adalimumab treatment. Computerized tomography showed full recovery and repair of bilateral SI joint space erosions without joint-space narrowing after adalimumab treatmen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patient who showed an improvement of AS signs and symptoms-coupled with reparative changes to SI joint bone erosions occurred without joint-space narrowing after adalimumab treatment.

      • SAPHO 증후군 - 증례보고 -

        서무삼,박형택,박종훈,Seo, Mu-Sam,Park, Hyung-Taek,Park, Jong-Hoo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수장족저 농포증은 특별한 골, 관절계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초기 전흉벽에 국한되었던 이러한 질환은 이후 말초 골, 관절계를 침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균성 가감염성 골, 관절 질환 역시 심한 여드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987년 Kahn 등은 과거 25년간 발표된 특별한 골, 관절 그리고 피부병변에 관한 수많은 보고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약성어를 제시하였다. SAPHO 증후군은 Synovitis, Acne, Pustulosis, Hyperostosis and Osteitis syndrome을 뜻한다. 저자들은 SAPHO 증후군으로 의심되는 과골증을 동반한 좌측 쇄골 및 우측 천장 관절 동통과 수장 농포증이 있는 27세 여자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Palmoplantar pustulosis may be associated with peculiar bone and joint conditions. Initially restricted to the anterior chest wall, these conditions were later found to involve peripheral bones and joints. The same aseptic pseudoinfectious bone and joint lesions were also found associated with severe acne. In 1987, Kahn et al suggested this acronym to describe a number of reports of peculiar bone, joint, and skin lesions published over the last 25 years. SAPHO sydrome stands for synovitis, acne, pustulosis, hyperostosis, and osteitis syndrome. We report one case of SAPHO syndrome: A 27-year-old female presented left clavicular and right sacroiliac joint pain with hyperostosis and pustulosis palmaris.

      • KCI등재

        천장관절가동술 후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공원태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7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있어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34명의 대상자를 선발하여 실험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 또는 대조군 17명 (여자 10명, 남자 7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은 6주간 주 3회, 회당 3세트의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을 받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 그룹 내 균형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체중분포지 수와 우측 발 뒷부분과 발 앞부분(힘 판 CD), 좌, 우 발 뒷부분(힘 판 AC)과 좌측 발 뒷부분과 우측 발 앞부분(힘 판 AD)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대조군은 전체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in normal adult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4, and 17 were randomly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15 in the control group (CG). The subjects in the EG have conducted the 3 se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per day, 3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CG did not conducted the intervention. Comparing the EG’s balance pre-test and post-test this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WDI, CD, AC and A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affects balance in normal adults.

      • KCI등재

        천장 관절의 Crescent 골절 탈구에 대한 골반 내 전방 금속판 고정술

        오광준 ( Kwang Jun Oh ),최진호 ( Jin Ho Choi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3

        목 적: Day 2형 Crescent형 천장 관절 골절-탈구에서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 시행 시 정복 정도와 골반 안정성,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이후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를 시행하였고 전 예에서 Day Classification상 2에 해당하였다. 수술은 전 예에서 후방 골반환에 대하여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해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내고정술을 먼저 시행하였고 4예는 전위가 심한 전방 골반환의 손상에 대한 금속판 고정술도 같이 시행하였다. 이에 방사선학적 평가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모든 환자에게서 유합을 얻었으며, 방사선학적 결과에서 천장 관절의 정복은 준 해부학적 정복 이상이 9예, 회전 전위는 만족할 만한 정복이 9예로 나타났다. 변형 지수 및 수직 전위는 골반 내 전방 고정술을 통한 후방 골반환 고정과 전방 골반환 고정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 상대적으로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7예에서 보통 이상이었다. 결 론: Day 2형 Crescent형 골절 탈구에 대하여 골반 내 전방 접근법을 통한 금속판 고정술 시행 시 만족스러운 해부학적 정복, 골반환의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intra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s for Day Classification Type II crescent fracture-dislocations of sacroiliac joint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had undertaken the surgical treatment for the sacroiliac joint from 2006 to 2012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cases fell into Type II by Day Classification for sacroiliac joint injuries. For surgical treatments, the plate fixation through the intra-pelvic anterior approach was first performed for all cases and anterior ring fixation was performed in 4 cases with more severely displaced anterior pelvic ring injuries. Then,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was implemented. Results: The bone union was observed from all patients whom performed the surgical fixation. In the radiological results, 9 cases with the anatomic and nearly-anatomic reductions were observed. Out of the 10 cases which performed the rotational displacement analysis, there were 3 excellent cases, 6 good cases and 1 fair case. The 10 cases that performed the deformity index and vertical displacement analysis, less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anterior ring fixations after intra 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 group. According to the clinical results, 4 excellent cases, 3 good cases, and 3 moderate cases were observed. Conclusion: In the Type II crescent fracture-dislocation of sacroiliac joint, the intrapelvic anterior plate fixation achieved satisfactory anatomical reductions, radiological stabilities and clinical results.

      •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 구역에 대한 방사선적 평가

        오종건,배서영,김종오,노권재,이정준,장상열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3

        목 적 : 천골 이형성증과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의 안전구역간의 상관관계, 천골 익상부 경사의 정상변이와 안전구역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골반골 손상으로 입원한 환자중 단순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했던 5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천골 이형성증의 유무는 Routt 등의 기준에 근거하여 판독하였고, 천골 익상부 경사(sacral alar slope)의 변위는 컴퓨터 단층 사진에서 양측 ICD(Iliac cortical density)를 연결하는 선(inter-ICD line)을 기준으로 하여 익상부의 위치를 전방위(anterior), 중위(coplanar), 후방위(posterior)로 분류하였다. 경피적 천장관절 나사못 고정술에 사용되는 직경 6.5mm의 횡나사못에 의해 앞으로는 천골 익상부를, 뒤로는 천골의 척수관을 침범하는가에 따라 안전구역이 넓은가 좁은가를 판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의 검정은 McNemar x^2-test와 Cochran Q-test로 하였다(p<0.05). 결 과 : 전형적인 천골 이형성증은 5례(9%)에서 발견되었다. 이형성증이 있는 5례중 4례(80%)에서, 이형성중이 없는 경우는 47례중 18례(38.2%)에서 안전구역이 좁은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천골 익상부의 경사는 전방위가 16례, 정위가 25례, 후방위가 11례였는데 전방위의 15례(93.7%)에서 좁은 안전구역을 보여 다른 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천골 이형성증은 Routt등의 보고에 비해 빈도가 낮았다. 이형성증과 안전구역이 좁은 것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컴퓨터 단층 사진에서 양측 ICD를 연결하는 기준선에 대한 익상부 경사의 전방위는 안전구역이 좁을 것을 나타내는 지표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safe zone of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with sacral dysmorphism and sacral alar slope var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pelvic bone CT images of 52 patients. We reviewed each cases in terms of Routt' s dysmorphism and sacral alar slope variation(anterior, coplanar and posterior to inter-ICD line). We divided each cases into narrow and wide groups by the width of safe zone for the transverse 6.5mm cannulated cancellous screw. The data were analysed by McNemar x2-test and Cochran Q-test(p<0.05). Results : Typical sacral dysmorphism was found in five cases(9%). Four cases with dysmorphism(80%) and eighteen non-dysmorphic cases(38.2%) revealed narrow safe zones. The sacral slopes were anterior in 16 cases, coplanar in 25 cases, and posterior in 11 cases. The safe zone was significantly narrow in the group with anterior slope variation. Conclusion : We could not found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sacral dysmorphism and a narrow safe zone because the incidence of dysmorphism was too low in our study which differed from Routt' s report. An anterior sacral alar slope on CT can be a significant risk indicator for potential narrow safe zone and the risk of screw malposition.

      • KCI등재

        증례 : 감염 ; 세균혈증을 동반한 비장티푸스 살모넬라에 의한 화농성 천장관절염 1예

        홍선인 ( Sun In Hong ),김태은 ( Taeeun Kim ),윤지현 ( Ji Hyun Yun ),조동희 ( Dong Hui Cho ),김양수 ( Yang Soo Kim ),우준희 ( Jun Hee Woo ),김성한 ( Sung Han Kim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3

        화농성 천장관절염은 드문 질환으로 의심하지 않으면 진단이 늦어져 패혈증으로 진행하여 사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정확한 조기 진단 및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배농술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저자들은 특별한 위험인자 없이 우측 둔부통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비장티푸스 살모넬라에 의한 화농성 천장관절염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Pyogenic sacroiliitis is a rare joint infection, with a challenging diagnosis due to its nonspecific indicators and symptoms.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common causative bacteria of pyogenic sacroiliitis, with Pseudomonas aeruginosa being the most common causative gram-negative bacteria. Interestingly, whereas Salmonella species. is reportedly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this disorder there have been no reported cases of acute sacroiliitis due to Salmonella spp. in Kore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first case in a young Korean adult caused by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Livingstone, with no underlying disease or predisposing factors. (Korean J Med 2015;88:346-349)

      • KCI등재

        천골 및 천장 관절을 포함한 골반골 골절의 치료

        김휘택 ( Hui Taek Kim ),손교민 ( Kyo Min Son ),천상진 ( Sang Jin Cheon ),유총일 ( Chong Il Yoo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천골 및 천장관절을 포함한 불안정성 골반골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 해면골 유관 나사를 이용한 조기 후방 내고정술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6예의 천골 및 천장 관절을 포함한 불안정성 골반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기전에 따른 분류상 측면 압박이 4예, 전후면 압박이 7예, 수직 전단력이 4예, 혼합형이 1예였다. 치료는 전방 외고정술과 함께 후방 내고정술을 병행한 경우가 9예(해면골 유관 나사 7예, 경 장골 막대 2예), 전방 외고정술만을 시행한 경우가 5예, 수술적 고정 없이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 경우가 2예였다. 치료결과는 방사선학적 분석과 함께 Matta등의 기준에 따른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방 외고정술과 함께 후방 내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만족 7예, 불만족 2예) 이 전방 외고정술만을 시행한 군(만족 1예, 불만족 4예)이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 군(불만족 2예) 보다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방사선학적으로도 부정 유합이나 불유합의 빈도가 적었다. 결론: 해면골 유관 나사를 사용한 후방 내고정은 비 침습적이고 시술이 용이하여 조기에 시행될수 있으며 불안정성 골반골 골절 후 따를 수 있는 여러 가지 합병증들을 막을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early posterior internal fixation(I/F) by cannulated cancellous screw(CCS) in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involving the sacrum and sacroiliac joint.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cas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jury mechanism, using Young`s criteria, was as follows: 7 anteroposterior compression, 4 lateral compression, 4 vertical shear and 1 combined mechanism. With respect to treatment, 9 cases were treated by combined anterior external fixation(E/F) and posterior I/F with CCS(7 cases) and transiliac rod(2 cases). Five cases were treated by anterior E/F only, and 2 cases were treated without surgery. We analyzed clinical results using Matta`s criteria, and radiologic abnormalities. Results: The management by posterior I/F with CCS and transiliac rod including anterior E/F has shown superior clinical results(7 satisfactory, 2 unsatisfactory) over the management by only anterior E/F(1 satisfactory, 4 unsatisfactory) or conservative methods(2 unsatisfactory). The rate of malunion and nonunion was also low in the former method in the radiographic analysis. Conclusion: Posterior I/F using CCS is an excellent surgical procedure in the treatment of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 due to its lessened invasiveness, early applicability, simple surgical technique and its direct effects on the prevention of several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