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 직급별 관리자 리더십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미정,변호승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중소기업 직급별 관리자 리더십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립한 연구문제는 중소기업 관리자 직급별로 개발된 리더십 역량 척도는 타당한가이다. 중소기업 직급별 관리자 리더십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McCoach 등(2013)이 제시한 척도개발 절차를 따랐다. 중소기업 직급별 관리자 리더십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문헌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간관리자는 대인관계능력, 지적자극, 목표관리, 업무추진력, 조직관리 등 5개 요인에 30개 문항으로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고위관리자는 관심표출, 지적자극, 목표관리, 업무추진력, 대인관계능력 등 5개 요인에 35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새로 개발된 중간관리자 리더십 역량 척도는 부하직원의 지적자극을 통해 역량을 개발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등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리더십 역량을 중심으로 척도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조직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의사결정 권한이 막강하여 중간관리자의 영향력이 비교적 큰 중소기업의 특성상, 리더십의 여러 능력 중에서 특히 업무추진력과 조직관리 능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고위관리자 리더십 역량 척도는 조직 구성원에 대한 관심표출, 대인관계능력, 구성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지적자극 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되었는데, 고위관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목표를 관리하고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가진 직급이라는 것을 새로운 척도를 통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leadership competency scales by manager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developed leadership competency scale for managers valid?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 the scales development process proposed by McCoach, Gable, and Madura (2013) was follow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surveys to develop leadership competency scales for managers wer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s.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verified. As the results, for mid-level managers, thirty items of 5 factors, for senior managers, 35 items of 5 factors were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we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dership competency among manager level of pos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level of positions in the company. However, leadership capacities at each level are interconnected and organically linked.

      • 점포 개성의 척도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달영,김주완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08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소비문화에 맞는 고유한 점포개성 척도를 개발하고 제안하는 데 주된 연구목적이 있다. 점포 개성에 관한 척도개발 및 구조분석을 위해서 점포 이미지, 점포 개성, 그리고 브랜드 개성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점포 개성을 구성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우리나라 점포 특성을 반영하는 점포 개성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d'Astous and Levesque(2003)가 개발하여 사용한 20개의 점포개성 측정항목을 근간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선행연구들을 참조하고 마케팅 전문가 3인에게 안면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11개의 항목을 추가하여 31개의 1차 점포 개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1차 척도는 사전조사와 본 조사에서 확증요인분석 등을 거치면서 최종 20개의 점포개성 척도로 정제되었다.본 연구에서 개발된 우리나라 점포특성에 맞는 점포 개성 척도는 활기(enthusiasm), 세련(sophistication), 불쾌(unpleasantness), 신뢰(trust), 매력(atrraction) 등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활기, 세련, 불쾌 등의 점포 개성 구성차원은 d'Astous and Levesque(2003)의 연구결과와 같으나 신뢰, 매력 등의 구성차원들은 우리나라 점포의 고유 특성을 반영하는 점포 개성 차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점포 개성 차원인 세련, 불쾌 차원들도 세부적인 측정항목에서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포 개성 척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문화적 감각에 맞는 세부적인 점포 개성과 이미지를 창출해 낸다면 소매업체는 소비자들에게 적절하게 다가갈 수 있고 강력한 점포애호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고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양예진,도현심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가자는 각기 다른 가정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아버지로서, 척도개발과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각각 300명, 총 600명의 부모가 질문지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도구는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개발을 위한 척도와 결과타당도 검증을 위한 척도로 구성된다. 척도 개발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국내외 관련 연구 고찰, 면접 조사, 델파이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총 72문항으로 구성된 것이며, 결과타당도 검증용 척도는 부부갈등 척도(Grych, Seid & Fincham, 1992), 양육스트레스 척도(Abidin, 1990b), 양육행동 척도(이선희, 2012) 및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Merrell, 1994)를 포함한다.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지지(7문항), 침해(7문항), 갈등(5문항) 및 소통(5문항)의 네 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하며, 총 24문항으로 구성된다. 지지는 배우자의 양육 방법에 대한 지식, 배우자의 양육 참여 의지, 한 팀으로서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협력 및 배우자의 도움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침해는 어머니 혹은 아버지가 양육과 관련한 배우자의 책임감과 능력에 대해 믿지 못하고 배우자의 자녀 양육에 대해 부정적 감정 및 생각을 갖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갈등은 배우자에게 부정적인 말을 하거나 서로 말다툼을 하고 화를 내는 등 부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의미한다. 소통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 양육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대화를 나누는 등 긍정적 측면의 부모공동양육을 뜻한다. 다음으로,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는 결과타당도 및 교차타당도 검증에 의해 수행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결과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부모공동양육 척도의 하위요인은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등 각 변인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결과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교차타당도 검증과 관련하여, 척도 개발을 위한 부모와 유사한 사회인구학적 배경의 부모에게도 척도 개발에서 적합성이 확인된 모형이 적용되는지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높은 적합도와 신뢰도 기준에 부합함으로써 교차타당도가 확보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지, 침해, 갈등 및 소통을 부모공동양육의 구성요인으로 포함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네 가지 요인 중 지지, 침해 및 갈등은 일부 선행 연구에서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인이며, 소통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포함한 구성요인이다. 이는 국내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한 첫 시도이므로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국내 부모공동양육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아기 자녀의 부모용으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추후에 다른 발달단계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공동양육 척도를 개발하는 데 유용한 초석이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공동양육 척도는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등의 현장을 포함한 다양한 중재적 노력을 위하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척도개발 패러다임에 근거한 호텔 멘토링 기능 척도(H-MFI)개발

        정욱,김성혁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호텔경영학연구 Vol.26 No.8

        Studies today applying the mentoring function to most hotel organizations make use of the index developed by Noe (1988). However, this index is designed to be applied to general business, and it is not suitable to apply it to the hospitality industry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enc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ntoring function index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organizations is required. Thu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the mentoring function index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organizations through delphi method and actual analysis. After the delpi research, H-MFI was devised, and in order to confirm the practical validity, a survey targeting members of the five star hotels in metropolitan areas and an actual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5 sub-factors were abstracted. Then the validity of index construction was secured through verification of first order・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discriminant validity. Continually, causality of H-MFI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verified. This study suggests the academic im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follow-up related studies by developing the H-MFI. On the basis of those research findings, follow-up related studie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human resources issues within hotel organizations by deducing even more profound and specific research findings. 최근 호텔에 적용되고 있는 멘토링 기능 측정 척도는 1988년 Noe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이 척도는 일반 사업체에 적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척도로서, 특성이 다른 환대산업에 이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호텔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멘토링 기능 척도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선행연구들에서 개발하였던 척도들을 토대로, Churchill(1979)의척도개발패러다임법을 활용하여 호텔 멘토링 기능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토대를 쌓고, 전문가집단 토의를 통해 척도를 정제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척도에서 많은항목들이 중복 또는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함을 확인하였고, 신규로 문항을 추가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정제된 척도의 표면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선행연구들과의 논리일치성 등을 파악하는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국내 수도권 5성급 호텔의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해당척도를 활용한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취합된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1단계, 2단계)을 수행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으며, 조직몰입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구조방정식모델을 구성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호텔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멘토링기능 척도를 개발한 연구로서, 척도개발의 특성상 반복검증되어야 한다는 향후과제가 남아있으나, 기존 척도의불안정성을 밝히고, 척도개발관련 이론적 토대를 쌓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섬 관광개발의 측정척도에 관한 연구 - 제주도 4개 섬을 대상으로 -

        송재호,김향자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10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islands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mainland because of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isolation, narrowness, and being surrounded by the sea. Studies on island tourism have been conducted on the tourism development stage, management model, competitiveness indicators, island image, island selection attributes, experience quality, and revisitatio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small island touris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sland tourism development measurement scale to evaluate the conditions of touris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island area, to evaluate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tourism development, and to apply it to the islands around Jeju Island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cales of tourism development related to islands, appropriate scale items for island tourism development were deriv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 this proces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ourism development in small island areas due to lack of research on island tourism development.. 본 연구는 섬이 지닌 격절성, 협소성, 환해성 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섬 관광개발은 육지와는 다른 접근에 의하여 관광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동안 섬 관광연구는 섬을 관광목적지로 보고 발전단계, 관리모델, 경쟁력 지표, 섬 이미지 등에 대한 연구와 섬 관광지의 선택속성, 체험품질, 재방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소규모 섬 관광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섬 지역의 여건에 따라 관광개발 조건을 평가하고 어떤 방향으로 관광개발 추진하는 것이 적정한 지를 평가할 수 있는 섬 관광개발 측정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제주도 내 섬에 적용하여 척도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에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섬 관광개발 관련 척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섬 관광개발에 적합한 척도 항목을 도출하고 요인분석 등을 통해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섬 관광개발 측정척도를 제주도 내 소규모 섬을 대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측정척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섬 관광개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섬 지역의 관광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 기대되며,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섬 관광개발 정책 추진 시 섬 관광개발 척도 적용을 통하여 관광개발을 점검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연구 : Thurstone 척도 개발 원리 적용

        박은숙 ( Eun Sook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했다. 개발된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는 Thurstone등간척도이다. 척도개발을 위해서 교육대학원 학생 25명이 일본에 대한 긍정적·중립적·부정적 태도를 나타내는 진술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술문은 88명의 대학생이 평정하였고 교육학 교수 2인이 문항검토를 하였다. 다양한 척도의 문항 선정을 위해 표준편차와 평균을 고려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양호도 검증을 위한 재검사를 실시하였고 Thurstone 척도와 Likert 척도의 비교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6개의 진술문 중에서 표준편차와 평균을 고려하여 18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척도값은 최하 2.6에서 최고 8.7의 값을 가지며 0.8에서 1.7의 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검사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1주일 간격으로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검사-재검사의 상관계수는 r=.823으로 신뢰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단일특성-중다방법 접근의 수렴타당도를 실시하였다. 즉, Thurstone 척도에서 선택-비선택 문항에 대한 Likert 척도의 평균차이 검증 결과는 신뢰수준 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는 2.6에서 8.7의 척도값을 지닌 18문항이다. 둘째, 재검사신뢰도를 통해 대학생의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는 안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일특성-중다방법 접근을 통해 일본에 대한 태도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검사의 범람화 시대에 응답자의 수고를 줄이기 위한 Thurston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e of attitude toward Japan for college students. The scale is based on the Thurstone isometric scale. To develop the scale, 25 graduate school students developed statements that showed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Japan. The developed statement was evaluated by 88 college students, and two educational department professors reviewed the questionary. In order to select items on various scales,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considering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For 38 college students, re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item goodness and comparative tests were conducted between the Thurstone scale and the Likert sca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66 statements, 18 item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The scale values ranged from the lowest 2.6 to the highest 8.7 and the standard deviation from 0.8 to 1.7. Second, in order to confirm the stability of the test, retest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one week. Thir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single characteristic-multiple approach was implemented. That is, in the Thurstone scale, the result of verify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the Likert scales for the non-selected ques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the confidence level of 0.01.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the attitude scale toward Japan is 18 questions with a scale value of 2.6 to 8.7. Second, it can be seen from the reliability of re-examination that the measure of attitude toward Japan is stable. Third, the validity of the attitude scale toward Japan was confirmed through a single-multiple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the Thurston scale to reduce the labor of respondents on the flooding of tests.

      • KCI등재

        스포츠아나운서의 매스커뮤니케이션 척도개발 및 적용 : 공신력과 스피치구성요인 혼합적용을 중심으로

        장용석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아나운서의 매스커뮤니케이션 척도를 개발하고 나아가 개발된 척도에 대해 다양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척도의 타당성, 신뢰성, 적용가능성을 평가함으로서 스포츠방송 시청자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척도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 절차를 참고하여 8단계 방법인 (1)선행연구 검토, (2)예비요인 및 문항 추출, (3)문항의 정제 및 평가, (4)예비조사, (5)본 데이터 수집, (6)문항의 타당성 확보, (7) 문항의 유효성 평가, (8)개발된 척도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포츠아나운서의 매스커뮤니케이션 척도 는 논리성, 설득성, 전달성, 외형성, 매력성, 표현성 6가지 요인, 24문항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매스커뮤니케이션 척도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논 리성, 전달성, 매력성, 표현성 요인은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리성, 설득성, 전달성, 외향 성, 표현성 요인은 재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매스커뮤니케이션 척도의 모든 요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ports announcer's mass communication scale and further evaluat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scale using various analysis methods for the developed scale to provide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on sports broadcast viewers. It has its purpose. Accordingly, the eight-step method of (1) review of previous studies, (2) extraction of preliminary factors and questions, (3) refinement and evaluation of questions, (4) preliminary research, (5) This data was collected, (6) secur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7)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questions, and (8)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ports announcer's mass communication scale was developed into six factors, including logic, persuasiveness, transmission, appearance, attractiveness, and expressiveness, and 24 question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re-viewing intention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ass communication scale, it was found that the logic, transmission, attractiveness, and expressive factors of mass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The factors of logic, persuasion, transmission, extroversion, and expressiv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viewing intention,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all factors of the developed mass communication scale.

      • KCI등재

        휴먼브랜드 특성 척도개발

        안은정,이형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2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엔터테인먼트사의 등장으로 휴먼브랜드의 영향력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휴먼브랜드들에 대한 전략적 관리를 위해서는 휴먼브랜드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이 가지 고 있는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먼브랜드가 일반 대중과 차별되는 특 징을 파악할 수 있는 휴먼브랜드 특성 척도를 개발하고 휴먼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연구1과 연구 2, 연구 3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휴먼브랜드 특성 척도 개발을 위해 다양한 항목풀을 구성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정제하였 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휴먼브랜드 특성의 각 요인들이 휴먼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척도개발 을 통해 측정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특성 요인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였 다. 연구 3에서는 휴먼브랜드 특성의 다양한 요인들이 인지도의 차이에 따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연구 1에서 휴먼브랜드 특성 척도개발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을 도출하였고, 세밀한 자료정제과정을 통해 신뢰성, 전문성, 리더십, 매력성, 독특성, 친밀성의 총 6요인의 29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2에서는 개발된 휴먼브랜드 특성 요인들이 휴먼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매력성, 신뢰성, 친밀성, 독특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휴먼브랜드 특성의 구성 요인들이 인지도에 따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즉, 인지도가 높은 휴먼브랜드에서는 연 구 2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지도가 중간 정도의 휴먼브랜드에서는 연구 2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전문성과 리더 십 차원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휴먼브랜드 특성 척도개발을 통해 휴먼브랜드 관리를 위한 학문적 바탕을 마련하였고, 휴먼브랜드 인지도의 차이에 따른 휴먼브랜드 관리 전략을 차별화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advent of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ntertainment companies, the influence of human brand is increasing these days. To manage these human brands, it is necessary to seek strategies for value enhancement based on research of human br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therefore implemented research 1, 2, and 3 to analyze actual proof of influences on human brand preference by developing criteria for human brand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general ones. In the research 1, various category tools to develop criteria for human brand characteristics were structured, and factors were adjust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research 2, the influences of each human brand characteristic factor on human brand preference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measured categories were deducted by criteria development and differences in preference by deducted characteristic factors were examined to prove the predicted validity of criteria. In the research 3, the influences of various human brand characteristic factors on preference according to difference in awareness were examined. In summary, the research 1 deducted organization factors and measured questions from broad bibliographic research and professional interview for developing human brand characteristic criteria, and total 29 questions in 6 factors; reliability, specialty, leadership, attractiveness, uniqueness, and intimacy are deducted by detailed data adjustment process. The Research 2 showed that developed human characteristic factors affect human brand preference in the order of attractiveness, reliability, intimacy, and uniqueness. The research 3 proved that human brand characteristic factors affect preference according to awareness. In other words, human brands with high awareness showed the result as in the research 2, and human brands with mediocre awareness showed specialty and leadership as important factors on preference, which were not shown on the research 2.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basis human brand management through developing criteria for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nd a working-level implication that strategies for human brand management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human brand awareness.

      • KCI등재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개발

        이수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항개발, 예비조사, 본조사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6요인 24문항으로 구성된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하위요인명은 창의・독자성지향, 가정역할지향, 전문성지향, 직업중심・자아실현지향, 안정성지향, 경제성지향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적합도 검증과 측정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모형적합도 검증에서는 절대적합지수인 χ²/df지수와 RMSEA지수, 상대적합지수인 CFI, TLI, IFI 지수, 그리고 간명적합지수인 PNFI지수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6요인 24문항의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는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로지향성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창의・독자성지향이 0.71, 가정역할지향이 0.67, 전문성지향이 0.81, 직업중심・자아실현지향이 0.83, 안정성지향이 0.80, 경제성지향이 0.75로 각 요인별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의 전체문항에 대한 신뢰도 역시 0.88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직업가치관 척도를 활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 척도와 직업가치관 척도의 상관계수는 0.57로, 두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로지향성 척도는 취업준비 기혼여성의 진로지향성을 측정하기에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scale to measure career orientation for married women for employment preparation and verify the validity.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results are concluded as follows. Firstly, a scale to measure career orientation for married women for employment preparation was developed. Career orientation scale in this study consists of six factors and twenty-four questions and each factor was named as creative identity orientation, family harmony orientation, professionalism orientation, occupation-centered and self-realization orientation, safety orientation and economics orientation respectively. Secondly, model fitness verification and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of married women for employment preparation. In model fitness verification, absolute fit index, which is χ²/df and RMSEA index, and relative fit index, which is CFI, TLI, IFI index and parsimonious fit index, which is PNFI index were confirmed. As a result, six factors and twenty-four questions of career orientation scale for married women for employment preparation were turned out to be a fit model.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mputation of Cronbach's α conducte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career orient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found out that creative identity orientation is 0.71, family harmony orientation is 0.67, professionalism orientation is 0.81, occupation-centered and self-actualization orientation is 0.83, safety orientation is 0.80 and economic orientation is 0.75 respectively Fourthl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ccupational value scale to verify the official validity of career orientation scale for married women for employment preparation.

      • KCI등재후보

        자기효능감척도 개발 연구

        이영광(Lee, Young Kwang),지은구(Ji, Eun Gu)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및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의 개념 및 구성요소, 척도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척도 구성요소를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으로 제시하였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적합한 질문문항을 본 연구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척도를 개발한 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자기효능감척도 예비문항은 총 22개 문항이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자기효능감척도의 하위요인은 부정적 효능감, 긍정적 효능감, 사회적 효능감으로 명명하였다. 21개의 문항을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개 문항이 제거되었다. 최종적으로 자기효능감척도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efficacy scale for adults and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mponents, and scale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throug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of the self - efficacy scale were presented as general self – 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constructing a scale suitable for measuring the self - efficacy by reconstructing the appropriate questions for each component. Self-efficacy scale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22 questions.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one item was removed and divided into three factors.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scale were named as negative efficacy, positive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21 items, 9 items were removed. Finally, the self-efficacy scale consisted of 12 items and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