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 일본민법에서의 채무불이행법체계

        김철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cently revised Japanese Civil Law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us, in this paper, the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scission of contract, an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were reviewed.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quires that the obligor fails to effec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obligation as a basic requirement in relation to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n addi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which is one of the requirements of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judged in light of the contract and common notion of society in the transaction, not by the intention or negligence of the obligor. And in relation to the extent of demand for damages caused by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changed the expression that the party had foresee or could have foreseen to more normative expression by modifying it to the expression that the party should have been foreseeable. Second, in relation to the rescission of contrac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defined the provisions on the rescission of contract by dividing it into the rescission by notice and the rescission not by notice. Regulations on the rescission by notice are general regulations on the rescission due to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and not only the delay of performance but also the incomplete performance are handled under these regulations. And the rescission not by notice is done without notice in the case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n case of periodic acts, and refusal to perform. And as a requirement for the rescission of contrac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is not required. Third, regarding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change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 as the liability for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goods, and the general principle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applied. In addition, in case of the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rights, the provisions on the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goods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As a result, both of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has been changed to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Fourth,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n the Japanese Civil Law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First, regarding the requirement of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is judged in light of the contract and common notion of society in the transaction. I think that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is point is worth a sufficient reference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Law. In addi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i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minor in case of the rescission by notice, the right of rescission dose not generate. Although the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Law in 2013 has similar regulations, it also requires additional requirements that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will be insignificant and that the purpose of contract will not be hindered. I think that further review is necessary for this poin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structure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as the liability for contractual inconsistency from the viewpoint of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Civil Law will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본고는 개정 일본민법에서의 채무불이행법체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제3장에서는 계약의 해제, 제4장에서는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결론을 맺었다. 본고에서의 검토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일본민법은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이 없는 때”라고 하는 것을 채무불이행의 기본적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채무불이행의 요건의 하나인 귀책사유에 대하여는, 이것을 채무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파악하지 않고, 계약과 사회통념에 비추어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범위와 관련하여 개정 일본민법은 “예견하거나 또는 예견할 수 있었던 때”의 문언을 “예견하였어야 했을 때”로 수정하여 보다 규범적인 표현으로 바꾸었다. 둘째, 개정 일본민법은 계약해제의 규정을 ‘최고에 의한 해제’와 ‘최고에 의하지 않은 해제’로 나누어 재구성하였다. 최고해제는 채무불이행 해제에 관한 일반적인 규정으로서 이행지체는 물론이고 불완전이행의 경우도 이 규정에 의하여 처리된다. 그리고 무최고해제는 최고해제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이행불능, 정기행위, 이행거절 등의 경우에는 최고 없이 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그리고 계약해제의 요건으로서 채무자의 귀책사유는 요구하지 않는다. 셋째,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개정 일본민법은, 하자담보책임을 물건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으로 수정하여 원칙적으로 채무불이행에 관한 일반원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권리의 계약부적합의 경우에도 물건의 계약부적합에 관한 규정을 준용함으로써, 매도인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은 모두 채무불이행책임인 것으로 변경되게 되었다. 넷째, 개정 일본민법상의 채무불이행법체계의 개정이 우리 민법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정 일본민법은 채무불이행책임의 요건인 채무자의 귀책사유를 계약과 거래상의 사회통념에 비추어 판단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점과 관련한 논의는 우리 민법에서도 충분히 참고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개정 일본민법은 최고해제의 경우에 채무불이행이 경미한 때에는 해제권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013년의 법무부의 민법개정시안에서도 이와 유사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우리 민법개정시안에서는 채무불이행이 경미한 것 외에, 계약의 목적달성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요건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개정 일본민법은 매도인의 담보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파악하는 입장에서 매도인의 담보책임을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으로 재구성하였는데, 우리 민법개정시안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개정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 KCI등재

        주택담보대출에서 연체 및 채무불이행의 발생시기별 위험률: DTI와 LTV 비율의 교차효과를 중심으로

        김문년,이용만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7 No.-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timing and hazard rates of arrears and default as well as the cross effects between the original DTI and LTV ratios, using individual residential mortgage dataset from a large commercial bank in Korea. This study utilizes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for its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First,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rrears hazard rate stably maintains 0% from the issue date of mortgages for up to 12 months, gradually increases after that, and then sharply accelerates after 60 months. Moreover, the default hazard rate steadily retains 0% from the issue date of mortgages for up to 17 months, slowly grows after that, and then dramatically rises after 60 months as well.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original DTI and LTV ratio have critical values. The critical values of the original DTI ratio may be 30% in the arrears hazard rate and 40% in the default hazard rate. In addition, that of the original LTV ratio may be 40% in the arrears hazard rate and 50% in the default hazard rate. Thir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more than 30% of the original DTI ratio and more than 40% of the original LTV ratio individually may be a trigger factor that ultimately increases arrears hazard rat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more than 40% of the original DTI ratio and more than 50% of the original LTV ratio respectively may be a trigger factor that rapidly swells default hazard rate. More importantly, the highest peak of default hazard rate is depicted when these two trigger factors appear simultaneously, which may therefore be called the “double-trigger effect”. Also,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arrears hazard rate is more affected by the original DTI ratio than LTV ratio, and the default hazard rate is influenced thanks to both of them. 본 논문은 주택담보대출의 연체 및 채무불이행의 발생시기별 위험률과 결정요인들(대출 당시의 DTI와 LTV 비율) 간의 교차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시중은행의 개별 주택담보대출 자료를 사용하여 Cox의 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체 위험률은 대출 취급 후 12개월까지는 0%대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그 이후부터 서서히 높아지며, 60개월이 지나면서부터 빠르게 증가했다. 채무불이행 위험률은 17개월까지는 0%대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그 이후부터 서서히 높아지며, 60개월이 경과하면서부터 빠르게 증가했다. 둘째, 대출 당시 DTI 비율의 임계치는 연체 위험률에서 30%, 채무불이행 위험률에서 40%인 것으로 보인다. 대출 당시 LTV 비율의 임계치는 연체 위험률에서 40%, 채무불이행 위험률에서 50%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체 위험률에서는 DTI 30% 초과와 LTV 40% 초과 그룹이 위험률을 높이는 촉발요인인 것으로 보이고, 이때 LTV 비율보다 DTI 비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무불이행 위험률에서는 DTI 40% 초과와 LTV 50% 초과 그룹이 위험률을 높이는 촉발요인인 것으로 보이고, 이 두 가지 촉발요인이 겹칠 때 채무불이행 위험률이 가장 높아지는 ‘이중촉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무불이행 위험률은 DTI나 LTV 비율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최소운영수입보장 조항을 지닌 BTO PF 민자도로 사업의 채무불이행 위험 완화효과

        전재범(全在範),최충익(崔忠翼) 한국지방자치학회 2021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3 No.2

        본 연구는 민간사업자의 사업참여를 돕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MRG 조항을 포함하는 BTO PF 민자도로 사업이 지닌 채무불이행 위험의 완화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사회간접자본의 공급에 있어 공공과 민간 사업자의 위험관리를 위한 이론적 틀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RG 계약조항 및 BTO PF 민자도로 사업 고유의 금융구조를 고려한 현금흐름모형을 금융 · 경제이론을 토대로 구현한 후, 채무불이행 위험 완화효과의 정량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실물옵션이론에 기반한 금융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BTO PF 민자도로 사례에 적용한 후, 주요 변수를 대상으로 민감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MRG 조항과 BTO 민자도로 사업의 금융구조는 민간 사업자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완화시켰으며 그 정량적 가치는 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채무불이행 위험의 완화효과는 MRG 조항의 수준 및 무위험 이자율과는 반비례하고 시장수익률 및 사업 수익률의 변동성과는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업 내외의 환경이 수익성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때 채무불이행 위험의 완화효과는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tries to propos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risk management of public entities and private developers in the supply of SOC by assessing the mitigation effect of default risk in BTO PF privatized road including MRG agreement. To do so, this paper establishes a cash flow model based on financial and economic theory considering the MRG agreement and the unique financial structure involved in BTO PF road project, and then constructs a financial model with real option theory to assess the quantitative value of default risk mitigation effects. And, after applying this to the BTO PF privatized road case, this research goes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on key variables. Finally, results driven from are that the financial structure of BTO PF road project and the MRG agreement seem to have an impact on default risk mitigation for private developers and its quantitative value i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itigation effect of default risk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the MRG agreement and the risk-free interest rate and proportional to the market rate of return and volatility of underlying asset, indicating that the mitigation effect of default risk increases as the environment changes in a direction that undermines profitability of project.

      • KCI등재

        BOT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금융구조 및 특성의 채무불이행 위험완화 효과

        전재범,이재수,이삼수,Jun, Jae-Bum,Lee, Jae-Sue,Lee, Sam-Su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2

        BOT(Build-Operate-Transfer) 프로젝트 파이낸스(PF: Project Finance)는 민간이 자본조달, 건설, 그리고 운영을 맡고 운영수입에서 투자비와 수익을 회수하므로 사업의 위험으로부터 정부를 보호하며 사업자도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하고 부외 및 비소구 금융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기 때문에 채무불이행의 책임으로부터 보호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와 함께 BOT PF 사업의 금융구조와 특성에 의한 채무불이행위험 완화는 금융시장 경색,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그리고 건설사의 우발채무 등과 맞물려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과 여러 계약조항들이 유발하는 비대칭수익으로 인해 전통 금융 경제이론에 기반한 평가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BOT PF 고유의 금융구조와 특성에 의한 채무불이행위험 완화효과의 평가를 위해 옵션가격결정 및 관련 금융 경제이론을 토대로 이론모델을 구성하고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BOT 사업의 위험관리를 위한 이론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BOT 사업의 금융구조 및 특성이 사업자의 채무불이행위험을 완화시키며 특히 관련변수들이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할 때 그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One of the advantages of BOT PF(Project Finance) is the government can be protected from risks involved in projects as the private finances, builds, and operates relevant projects. Moreover, the private may avoid outstanding responsibility in case of default thanks to BOT PF's unique finan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However, despite increasing attention on risk mitigation effect of finan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BOT PF to default risk with emerging controversies of capital crunch, introduction of IFRS, and contingent liabilities, valuation of default risk mitigation effect caused by finan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BOT PF still seems sophisticated due to uncertain cash flows, complexly layered contracts, and their interaction. So, this paper is to show the theoretical frame to assess the default risk mitigation effect of finan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BOT PF with option pricing and related financial economic theories and to provid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Finall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inan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BOT PF help mitigate the default risk and default risk mitigation effect increases as change of relevant variables on financial feasibility gets the BOT project less financially feasible.

      • KCI등재

        채무면제·유예상품의 교훈을 통한 소비자신용보험 활용방안

        하상석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3

        Consumer Credit Insurance is one in which the insured are debtors while surety insurance or credit insurance has creditors as the insured. Therefore consumer credit insurance has three advantages like protection of debtors, risk management of financial companies, and promotion of social welfare. The insurance may control the systemic risk in financial industry because it can erase the debt thoroughly through insurance hedg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chain. Particularly in South Korea, there are controversies about inequalities from inheriting wealth, predatory lending and money collection, or the like. The advantages of debt relief from consumer credit insurance can counter balance those inequalities. However, even though South Korea has a long history of consumer credit insurance, the insurance has not been vitalized thank to financial companiesʼ hesitation and financial consumerʼs negative perception. So we need to invigorate the insurance advantages through imposition of duty on creditor companies to notify debtors of the right to be exempted from the debt through insurance coverage. Also we need to offer financial companies revenue model like compulsory group consumer credit insurance. There is another barrier to stop activating the insurance, which is the legal restriction to prohibit financial companies from providing both insurance and loan simultaneously. We need to make an exception in the case of consumer credit insurance because it is to protect debtors, not creditors. There are other things to consider trying to vitalize the insurance. We need to note it has a nature that its advantages easily disappear by financial companiesʼ greedy. We have already observed many cases of failures to take advantages of the insurance in many countries. Especially South Korea has recently seen the failure of Debt Cancellation or Debt Suspension Contract. From the lessons of the failure, we need to prudently give shape to the regulating regime. 소비자신용보험은 채무자를 피보험자로 하는 보험으로서 채권자 위주의 위험담보에서 탈피하여 채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비자신용보험은 대출채권의 부실화 위험을 최초의 채권관계에서부터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화되고 있는 금융상품 간의 연쇄적 붕괴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그러나 소비자신용보험은 우리나라에서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의 무관심과, 소비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가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소비자신용보험의 장점을 잘 발현시키는 것만으로도 대안제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이 절실한 상황이다. 아무리 많은 장점을 가진 금융상품이라도 그 운용에 있어 적절한 통제가 가해지지 않는다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대출채권자와 대출채무자라는 경제력의 우열은 자율적 계약의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게 만든다. 우리나라는 소비자신용보험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채무면제·유예상품의 운용을 금융회사의 자율에 맡긴 결과 그들의 수익모델로 전락시키고 만 경험을 가지고 있다. 경제적 약자 보호라는 고유의 목적에 부합하는 제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활성화 방안과 더불어 선제적 규제가 필수적이다. 소비자신용보험의 활용을 위한 금융기관 유인책으로 단체소비자신용보험의 강제화, 소비자신용보험을 담보로 한 대출의 위험가중치 하향조정, 담보인정비율(LTV)의 적용완화, 악성다중채무자에 대한 소비자신용보험료 지원, 보증·신용보험과 소비자신용보험의 패키지상품개발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리고 금융소비자의 인식 개선을 위해, 소비자신용보험가입자에 대한 대출이자의 인하, 소비자신용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파산, 회생, 신용회복을 위한 절차의 간소화, 대출상품 판매시 소비자신용보험에 대한 설명의무 부과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소비자신용보험의 운용상 폐해를 막기 위해 최저보상율과 적정최대보험요율의 확정, 비적격자의 보험가입금지, 대출금상환 등의 경우 보험의 강제종료, 대출변경 등의 사유발생시 보험회사와 공유할 의무부과, 단체소비자신용보험의 경우 채무자에게 통지할 의무부과, 위반시 제재조항 등과 같은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 KCI등재

        위험부담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정진명(Chung, Jin-Myung)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8 No.4

        계약총칙상의 여러 제도는 양 당사자가 부담하는 의무가 서로 주관적 대가성을 가진다는 쌍무계약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계약당사자 사이의 권리의무관계를 급부의무와 반대급부의무라는 이원적 구조로 구분하고, 또한 이를 견련관계라는 논리로써 재결합된 한 쌍의 권리의무로 볼 것인지는 의문이다. 이 경우 위험부담을 당사자 일방의 급부청구권의 귀추가 대가적 견련관계 있는 반대급부청구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논리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위험부담에 대하여 견련관계에의한 규율을 부정하고 계약당사자가 어떤 의무를 부담하고, 또한 어떤 위험을 분담하는지를 토대로 하여 규율하고자 한다. 이 경우 반대급부청구권은 계약해제에 의해서도 소멸될 수 있으므로 위험부담과 계약해제가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일부 입법례들은 계약해제에 유책사유를 요구하지 않는 대신 위험부담제도를 폐지하고 해제제도로 일원화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2009년 민법개정시안은 2004년 개정안과 달리 계약해제의 요건으로 유책사유를 요구하지 않고, 또한 해제요건을 채무불이행의 유형별로 규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채무불이행과 해제’라는 제목하에 통일적인 조항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개정시안에 따르면 현행민법에서는 그 구분이 명백하였던 위험부담과 계약해제의 기능이 중첩되는 현상이 예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험부담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위험부담제도와 관련한 입법동향 및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위험부담제도를 개정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The issue of the risk of loss in a bilateral contract focuses on which part bears the risk of benefit in return. In relation to the risk of loss, the Korean Civil Code declares the principle of a debtor rule under its §537, which makes a debtor bear the risk of loss. Besides, the §538 of the Korean Civil Code also prescribes a creditor rule in an exceptional clause. Therefore, under the Korean Civil Code, a debtor must bear the risk of loss until he fulfills his whole debt.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suggests that the non-fulfillment of debt and termination(§544-3) and the change of circumstance and rescission•termination (§544-4) that are not regulated in the current civil law. The former legalizes the generalized regulation that permits rescission and termination of contract in the inevitable case separated from rescission by non-fulfillment of debt. According to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it prescribes that two systems are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over extinction due to the impossibility of fulfillment. This paper investigates German civil law, French civil law and Japan civil law focused on current civil law and the amended bill of civil law of 2009, then suggests whether the risk of loss can be approved under the bill of amendment 2009 that implies the congruity of Korean theories and cases or not.

      • KCI우수등재

        日本의 채무불이행에 의한 해제

        나카타 히로야스(中田裕康)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5 No.-

        현재의 일본민법은 채무의 이행이 불능이된 경우 채무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면 채권자는 계약을 해제할 수 있고(일본민법 제543조), 귀책사유가 없다면 위험부담의 문제가 된다(동법 제534조 이하). 또한 이행지체 그 밖의 채무불이행의 경우 채권자는 최고를 한 후에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데(동법 제541조) 이 경우에 채무자의 귀책사유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학설에 다툼이 있다. 현재 일본에서는 법제심의회 민법(채권관계) 부회에서 채권법개정을 위한 심의가 진행되고 있다. 해제에 대해서는 채무자의 귀책사유를 요건으로 하지 않는 방향으로 검토가 되도 있다. 그 전제로서 2013년 2월의 “중간시안”에서는 귀책사유가 없는 이행불능의 경우에 대해서 위험부담제도를 폐지하고 해제로 일원화하는 안이 제시되었지만, 같은 해 10월의 “요강안 재검토 안”에서는 해제와 위험부담의 병존 가능성이 다시금 검토대상이 되었다. 또한 해제의 가부에 대해서 귀책사유가 아니고 최고기간 경과시점에서의 불이행이 계약목적의 달성을 방해하는 것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개정안에는 여전히 검토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즉 해제 가부의 기준으로서 “계약목적달성”과 “계약위반 내지 불이행의 중대성” 중 어느 쪽이 적절한지, 해제제도에서 최고를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지, 해제 일원화인지 해제와 위험부담 병존설인지 등이다. 상기의 부회에서는 2015년 통상국회에 민법개정안이 제출되는 을 목표로 신중한 심의가 계속되고 있다.

      • KCI등재

        비영리의료법인의 채무불이행 위험에 따른 이익조정-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전입액을 중심으로-

        이천화,이준규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학 연구 Vol.37 No.3

        Although non-profit medical organizations(hereafter “NPMO”) are classified as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they have been levied with corporate tax because the medical revenue is recognized as a taxable income under the Corporation Tax Law. However, when NPMOs accumulate the reserve for proper purpose business(hearafter “RV”) as a deduction, they can recognize RV as expenses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interest of medical services and fairness in taxation with other public corporations. NPMOs require large amounts of funds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they will be more sensitive to borrowings than other corporations, as they are limited in capital raising through investment unlike private companies. Thus, NPMOs can recognize as a tax deduction by accumulating reserves for proper purpose business (hearafter “ACCRV”), but I predicted that they may have incentives to raise credit ratings and lower financial costs by boosting their earnings and stabilizing their financial structure. Therefore, I verify whether NPMOs abandon their taxable benefits. by decreasing ACCRV when they face a high risk of debt covenant violation. Further i verify whether the NPMOs choose earnings management over tax benefits, assuming the ninety percent of tax benefit limitation as the borderline of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NPMOs’ risk level of debt covenant viol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ACCRV below the deductible limit. Secondl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igher risk of debt covenant vio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tax benefits by decreasing ACCRV.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PMOs with a high risk of debt covenant violation will seek to overstate current earnings and stabilize their financial structure by reducing the ACCRV.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even if the limit of ACCRV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risk of covenant violation had a simila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ratio of ACCRV to total revenue. Lastly, NPMOs prefer to manage their earnings through ACCRV rather other accruals accounts. This study was the first to empirically analyze the debt covenants hypothesis of a domestic NPMOs and focused on a special item called RV. It suggests that institutional irrationality encourages the management of NPMOs to make an opportunistic accounting choice. 의료법인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공익법인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의료법인이 획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법인세가 과세된다. 그러나 의료법인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공익성을 고려하며 다른 공익법인과의 과세형평을 위해 당기 수익의 일부를 ‘고유목적사업준비금’으로 계상하면 일정 부분 손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의료법인은 산업의 특성상 대규모의 자금을 필요로 하며 일반 사기업과 달리 출자를 통한 자본조달이 제한되므로 다른 법인에 비해 차입금에 보다 민감할 것이다. 따라서 의료법인은 당기 이익을 고유목적사업준비금으로 적립하여 세법상 손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입금을 조달하기 위해 보다 높은 이익을 공시하거나 재무구조를 안정적으로 보여 신용평가시 높은 등급을 받고자 할 유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영리의료법인이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을수록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전입액을 줄여 세제상 혜택을 포기하고 당기 이익을 상향보고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이 때 조세혜택보다 이익조정을 선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법인의 채무불이행 위험은 손금산입 한도 대비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전입 미달율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을수록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전입액을 과소설정함으로써 조세혜택보다 이익조정을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은 의료법인은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전입액을 축소하여 당기 이익을 과대계상하고 재무구조를 안정적으로 보이고자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국내 비영리의료법인의 부채계약가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며,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이라는 비영리법인의 고유한 항목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료법인에 대한 제도적 불합리로 인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ESG 성과가 중오염기업의 채무불이행 위험에 미치는 영향 -융자규제 기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진사사,심재연 산업진흥원 2024 산업진흥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A주 상장회사 중에서 중오염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기업의 ESG 성과가 채무불이행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좋은 ESG 성과가 기업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에서는 기업의 ESG 성과가 자금조달 제약의 영향을 완화시켜 채무불이행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ESG 성과의 관점에서 채무불이행 위험의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기업의 ESG 성과가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기업의 채무불이행 위험 예방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ESG performance on debt default risk using a sample of Chinese A-share listed.The I mpact of ESG Performance on Debt Default Risk of Heavy Polluter Firms from 2012 to 2022. The findings show that good ESG performance can effectively reduce firms' debt default risk. Further analysis shows that firms' ESG performance reduces debt default risk by mitigating the impact of financing constraints.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ing factors of debt default risk from the perspective of ESG performance, and also enriches the research on the economic impact of corporate ESG performance,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prevention of corporate debt default risk.

      • KCI등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의 적립수준과 채무불이행의 위험과의 관계에서 투자효율성의 조절효과

        서민근 ( Mingeun Se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의 적립수준이 기업의 채무불이행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적립수준과 채무불이행의 위험과의 관계가 투자효율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1,334개의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AS 9.3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정급여형 퇴직급여 수준과 채무불이행의 위험 사이의 양(+)의 관련성이 투자가 효율적일 때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의 적립수준이 채무불이행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투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defined benefit levels on the risk of an entity’s defaul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fined benefit levels and the risk of default depends on investment efficiency. For analysis, 1,334 corporate-year data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were used from 2008 to 2017. For data analysis, SAS 9.3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defined benefit retirement benefits, the lower the risk of default. Second, the relevance of the amount (+) between defined benefit levels and the risk of defaulting is further enhanced when the investment is effici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funding for defined benefit retirement benefits can be useful to reduce the risk of default and that an efficient investment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