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세가〉에 나타난 미륵의 창조여신적 성격과 ‘미륵-석가’ 대결의 의미

        심재숙(Shim, Jae-suk)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3 No.-

        이 글은 한국 창세신화에 나타난 미륵의 창조여신적 성격을 살펴보고, 미륵과 석가의 대결에 담겨 있는 함의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신이 창조의 주체로서 인간세계의 형성과 인간의 창조를 책임지는 사례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견된다. 그렇다면 한국에는 창조여신이 없었던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 이 글은 시작되었다. 그래서 창세신 미륵이 남신일 것이라는 일반적 통념을 의심하고, 창조여신으로서의 미륵을 재발견해보고자 했다. 우선 ‘인간세상 및 인간 창조’ 신화소, ‘미륵-석가 경쟁’ 신화소, ‘석가의 서천국 일월조정’ 신화소 등을 분석하여 미륵의 창조여신적 성격을 확인했다. 상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내기의 의미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미륵에 내재된 창조여신으로서의 자질을 추출하고, 거인창조여신 설문대할망과의 비교를 통해 거인형상을 하고 천지를 분리하는 거인창조 여신의 모습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륵과 석가의 대결이 ‘사라지는 창조여신 대 부상하는 남신의 대결’로 나타난다는 것을 입증했다. 특히 ‘석가의 서천국 일월조정’ 신화소에 주목하여, 석가의 일월조정이 의미하는 바를 분석했다. 일월조정은 석가의 창조신적 권위와 석가시대의 완전한 성립을 알리는 표지로서 기능한다. 일월조정을 위해 떠난 서천국으로의 노정에서 석가는 사슴의 사체화생을 통해 자신의 창세신적 권위를 입증하고, 일월조정에 성공함으로서 새 시대의 통치자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그러나 창조여신 미륵이 물러났어도 창조여신의 원리를 지향하고 원망하는 무리가 있었다. 창조여신 미륵은 사라지지 않고 존재하며 영향력을 발휘했다.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 전환되면서 여신에서 남신으로 창세의 주체가 이동했으나, 여신의 영향력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남신과 공존하면서 부계사회 남신중심의 시대를 기다린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on Mitreya of the Creation Myth and the meaning on the competition of "Mitrrya-Budda". A case in which the creation goddess created the world and human beings can be found in many countries. Then was there a creation goddess in Korea?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nature of Mitrrya as creation Goddess. I analyzed the meaning of bet was made in a symbolic way and identified the qualities of the goddess. Also I found Giant creation goddess from Mitrrya compared to the Giant creation goddess, Seolmundae-Halmang. Based on these analyzes, I proves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Maitreya and Buddha appears as ‘the disappearing goddess VS the rising gods’. Especially I focused on ‘Buddha’s SeoCheon-Gug’ mythmes, and analyzed what the Buddha’s ‘SeoCheon-Gug’ mythmes means. It serves as a sign to announce the creation of the sacred authority of the Buddha and the complete establishment of the Buddha’s age. On a trip to the SeoCheon-Gug, Buddha proves his divine authority through deer’s SaCheHwaSaeng(Sun & the moon be settled). Also he secured his position as a ruler of the new age by being successful in Il-WolJoJeong. However, even if the goddess Maitreya had withdrawn, there was a group of people who were aiming at the principle of the goddess. The goddess Maitreya did not disappear and exerted her influence. While the subject of the creation moved from goddess to a male deity in the transition from maternal society to parental society, the influence of the goddess did not disappear but it coexisted with a male deity.

      • KCI등재후보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 검토

        정진희 제주학회 2019 濟州島硏究 Vol.51 No.-

        It is a widely acknowledged idea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 female giant featured in folktales of Jeju Island, indicates the goddess who created Jeju Island. A small number of scholars, however, have presented counterarguments. This article reflects upon the validity of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by reexamining a number of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to support such an understanding. First, I argue that in the folktales that scholars have been using to support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was believed to separate heaven and earth and created Jeju Island, the subject of separation and creation in those tales is in fact no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but different character. Second, scholars argue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has been recognized as a goddess since the Chosŏn period by suggesting that the term “sŏnma 詵麻” mentioned in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漂海錄(1771) by Chang Han-chŏl indicates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 argue that such a suggestion is not verifiable. Third, existing studies acknowledge the records of shamanistic rites transcribed by Chang Chu-gŭn and Yi Sŏng-jun as the evidence supporting the idea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was traditionally the object of ritual rite for the mountain spirits. My examination of those two materials, however, reveals that they do not specifically indicate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object of rite. I argue, in sum, that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the goddess of creation is not verified sufficiently by the remaining documents. That does not mean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not definitely the goddess of creation. The records transcribed by a Japanese scholar, Izumi Sēich(泉靖一), can be used as supporting evidence for the idea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It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not an indigenous goddess of Jeju Island but a goddess of foreign orig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idea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calls for more investig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제주 설화 속 여성 거인 ‘설문대 할망’이 제주도의 창조 여신이라는 주장은 현재 학계의 보편화된 통설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소수의 반론이 없지 않은바, 본고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을 뒷받침해 온 몇 가지 근거를 재검토함으로써 학술적 입론으로서의 정합성을 따져 보았다. 설문대 할망이 천지를 분리하고 제주 섬을 창조했다는 근거로 제시된 설화 각편에서 분리와 창조의 실제 주체는 설문대 할망이 아니라 별개의 인물이고, 조선 시대 설문대 할망이 여신으로 믿어졌다는 근거로 제시되어 온 장한철의 『표해록(漂海錄)』에 기록된 ‘선마(詵麻)’는 설문대 할망과 동일 인물이라는 근거가 미흡하며, 설문대 할망이 산신굿의 제향 대상이었다는 근거로 제시되곤 하는 장주근 채록의 무가 자료와 이성준의 조사 자료는 두 자료 모두 설문대 할망이 의례의 대상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는 있지 않음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여성 거인 창세신이 주변 민족 신화에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난다는 입장은 오키나와의 사례가 반례가 될 수 있음을 들었다. 이에 따라, 설문대 할망이 제주의 창조 여신이었다는 학술적 입론은 정설로 자리하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충분치 않다고 보았다. 그렇다고 해서 본고의 결론이 설문대 할망이 창조 여신이 아니라는 데 이르지는 않는다. 이즈미 세이치(泉精一)가 채록한 자료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의 한 근거가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이 자료는 설문대 할망이 제주의 토착신이 아니라 외래신(外來神)이었을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이 정설이 되려면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설문대 할망 설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함을 구체적 과제와 함께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오랑 세오녀>의 신화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유형동 중앙어문학회 2023 語文論集 Vol.96 No.-

        이 글은 <연오랑 세오녀>가 지닌 신화적 성격을 다시 한 번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오랑 세오녀>는 주로 고대 한일관계를 살필 수 있는 텍스트로 다뤄지면서 다양한 성과가 축적된 작품이다. 선행연구의 성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오랑 세오녀>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텍스트이다. 역사적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하고, 고대 한일관계를 살필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더 근본적으로는 여성이 문화의 창조나 문제 해결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신화적 세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연오와 세오가 겪는 두 가지 문제는 부부의 문제이면서 고국의 문제라는 이중적인 맥락에 놓이게 되는데 이 문제 해결의 과정에 창조신화에서부터 나타나는 여성의 활동과 능력 발휘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오가 창조적 여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은 남편을 따른 도일의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을 수 있다. 이들의 도일은 존재적 전환을 가능케하고 자신들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신라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 해결은 여성의 창조적 능력을 통해 이뤄진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여기에는 여성의 능력 발휘가 중요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가정회복신화, 창조신화가 응축되어 있다. 이 이야기의 의미는 이처럼 여성신에 내포된 다층적 신화적 사유를 내포한 이야기가 남성을 위한 질서 속에 재편되었고, 그 질서를 위협하는 문제를 마주했을 때 동원된다는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왕권의 문제와 같은 역사시대의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문제를 고대의 신화적 사유와 여성의 노력과 능력으로 해결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ythical dimensions of <Yeono-rang Seo-nyeo>, a work widely recognized for its role in exploring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Positioned as a text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Yeono-rang Seo-nyeo> not only symbolizes historical facts but also functions as a gateway to understanding the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More fundamentally, it unveils a mythical world where women assume pivotal roles in the creation of culture and problem solving. Yeono and Seo encounter dual challenges that intertwine a couple's dilemma with issues pertaining to their home country. It is evident that resolving these issues inherently involves the activities and abilities of women, emerging from the realm of creative myth. Seo'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goddess may potentially be attributed to her journey accompanying her husband to Japan. Their relocation to Japan initiates a transformative journey, addressing the challenges stemming from their forced departure from the Silla Dynasty. This holds particular significance as it is achieved through the creative abilities of women. Here, the family recovery myth and the creation myth converge, highlighting women'sabilities as the key to resolving important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ory lies in its revelation that the tale, rich with multi-layered mythological thinking inherent in the female god, underwent a reorganization tailored for men. This reimagining was mobilized when confronting problems that posed a threat to the order. Its importance lies in its ability to resolve problems prevalent in a male-centered society of the historical era, such as the challenges to royal authority, employing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and leveraging the efforts and abilities of women.

      • 「김현감호」호랑이 아가씨의 모성(母性) 계승과 창조성

        김기호 ( Kim Ki-ho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9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3 No.-

        진한의 형산(兄山)을 중심으로 삶의 터전을 잡았던 원주민들이 신앙했을 원형의 호랑이 여산신과 「김현감호(金現感虎)」의 호랑이와의 조우를 통해 우리는 먼저 호랑이 여산신의 전통 계승과 창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계승은 「김현감호」에 등장하는 어머니 호랑이를 통해 확인된다. 창조는 「김현감호」에 등장하는 아가씨 호랑이를 통해 확인된다. 한편 오늘날 선도산의 산령각에 모셔진 호랑이는 「김현감호」호랑이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오늘도 선도산에 오르면 만날 수 있는 탱화 속의 호랑이는 다층적 정체성을 「김현감호」호랑이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삼국유사』소재 「김현감호」이야기의 또 한 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김현감호」를 『삼국유사』<감통> 편의 맥락 속으로 배치한 일연 스님의 의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김현감호」가 불가능한 사랑을 사랑한 진정한 사랑의 이야기이지만 이것이 『감국유사』<감통> 편에 수록되는 순간 그 의미는 재맥락화가 된다. 재맥락화의 결과로 이 불가능한 사랑의 세속적 사랑이야기는 숭고하고 거룩한 종교의 이야기가 된다. 일연 스님은 이와 관련하여 부정과 부정에 대한 긍정, 그리고 긍정에 대한 재부정과 이 재부정에 대한 재긍정의 논리를 펼쳐서 이 이야기를 ‘기도와 감응’의 불교 이야기로 재맥락화 하는 창조자의 솜씨를 발휘한다. The inheritance and creation of the tradition of the tigress mountain spirit is reflected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archetypical tigress mountain spirit, who natives must have worshiped after building a life base around the Mt. Hyeong of Jinhan, and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Its inheritance is confirmed in the mother tigress in Gimhyeongamho, and its creation is confirmed in the maiden tigress in it. The tiger at the house for the guardian of Mt. Seondo today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inheriting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The tiger in the altar portrait of Buddha, which one can watch in Mt. Seondo today, is considered to have inherited its multi-layered identity from the tigress in Gimhyeongamho. Finally, it is needed to consider Ilyeon's intention behind placing Gimhyeongamho in the context of "Gamtong" in Samgukyusa in order to understand another layer of the Gimhyeongamho story in Samgukyusa. Although Gimhyeongamho is a love story to depict impossible love, its meanings were re-contextualized the moment that it was included in "Gamtong" in Samgukyusa. The outcome of its re-contextualization is the shift from a secular impossible love story to a sublime and divine faith story. Ilyeon exerted his skills as a creator that re-contextualized this story into a Buddhist story of "prayer and divine response" by developing a logic of denying, affirming what was denied, re-denying what was affirmed, and re-affirming what was re-denied.

      • KCI등재

        상징해석을 통한 창세여신 설문대 할망 이미지 복원

        고혜경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8

        Sôlmundae Halmang is the creator of Cheju Island. Halmang is a giantess; the highest mountain on the Island (Hanla Mountain is over 6,000 feet in elevation) reaches below her elbow, and the deepest river reaches near her ankle. Her diarrhea turns into 360 heights and her urine creates the channel. She is the land itself, and her presence is marked over the entire Island. Despite her explicit manifestation in the landscape, her cult has completely vanished. The detritus of Sôlmundae Halmang are sporadically fragmented with no apparent link among them. However, these fragments are precious mythological gems that have never completely disappeared from the psyche of the Cheju Islanders. These mere skeletal remains can be the valuable foundation on which the image of the age-old goddess can be built once more. To grasp Her image, every fragment will be examined within the specific site. This work is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the remnants fragments are archetypal images, which are not conscious inventions, but naturally born in our psyche. Putting some life into this skeleton with imagination and intuition is a way to re-call and re-member the goddess into our psyche again. 설문대 할망은 제주우주의 창세여신이다. 조각조각 남겨진 할망 신화의 파편들과 각각의 자리를 탐색하여 할망의 이미지를 재구성해 보려 한다. 이 작업은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파편들은 원형적 이미지라는 심층 심리학적 명제를 전제로 가능하다. 구체적인 방법론은 알란 던디스가 실용적으로 분류한 심리적-상징적 시각을 적용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연상 확충하여 신화 파편에 담긴 은유와 상징의 이해를 꾀한다. 이를 통해 설문대 할망의 창조행위와 특질을 이해하려 한다.

      • KCI등재

        제주창조 여신을 통해 본 제주다움과 올레 개발 방향성 고찰

        강준수,송영민 한국해양관광학회 2023 해양관광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specific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Jeju Olle development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realization of a specific image of the nature of Jeju seen through the value of Jeju's creative goddess.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creative goddess culture with unique values of Jeju. Jeju Island, as the hometown of mythology, is unique in that most of the gods are composed of goddesses. Goddess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value unique to Jeju Island as a value of matrilineal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The core elements of the nature of Jeju identified through the culture of the Jeju Creation Goddess include the vitality of the land, subjective femininity, altruistic maternal love, equal compromise, closeness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sacredness of nature. Despite the long and arduous journey of the Camino de Santiago, hikers have a sacred and holy experience towards their destination rather than complaining. On the other hand, Jeju Olle hikers complain of various inconveniences. This means that Jeju Olle brought only the motif of ‘road’ from the Santiago pilgrimage route. The pilgrimage route to Santiago does not mean a simple ‘road’, but has symbolic images, sacredness, and storytelling of holiness that can be recognized as the hardships and journeys of life. Santiago hikers experience joy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special image and value of the pilgrimage route. This means that Jeju Olle needs to build values and images of sanctity, holiness, and mystery through storytelling using the Jeju creation goddess.

      • KCI등재

        설문대할망 신앙 고찰: 표선리 당캐할망당 전승을 중심으로

        류진옥 한국무속학회 2023 한국무속학 Vol.- No.47

        The faith of Seolmundae Halmang shows aspects of a faith that has been passed down but has now disappeared, and a faith that has not been handed down but has been born newly. Through records such as 『Pyo Haerok』,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belief in Seolmundae Halmang,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Jeju Island people, bu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reality of that faith any longer. It is only possible to presume that the existence of the goddess of creation in Jeju Island or the goddess of the mountain in Halla Mountain and the idea of belief in it existed. Seolmundae Halmang faith was not accepted into the existing shamanic belief system in Jeju Island. In this situation, Pyoseon-ri Dangkaepogu Haesindang shows a special case of transmission of faith. The Bonpuri of Dangkaehalmangdang, commonly referred to as Dangkaehalmangdang, was reported as Seolmundaehalmang. If Dangkaehalmangdang is handing down this aspect of faith,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is an aspect in which primitive religious elements and indigenous religious elements of Jeju Island face each other. This study tried to closely examine how Seolmundae Halmang, who was the goddess who created Jeju Island and was worshiped as a mountain goddess of Halla Mountain in the past, is meeting with the goddess of Jeju Island. To this end, the pattern of Bonpuri and faith transmission of Dangkaehalmangdang in Pyoseon-ri, which shows a special transmission aspect, was examined, and as a reference point for interpreting this belief, the overall transmission data and religious aspects of Pyoseon-ri Dang faith were examined.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ransmission of the faith of Pyoseon-ri Dangkae Halmangdang, which is currently handing down Bonpuri with a motif similar to Seolmundae Halmang. It raises the possibility that an hybridity tradition was newly formed through a transmission separate from the universal transmission context. 설문대할망 신앙은 전승되었으나 이제는 소멸한 신앙과, 전승되지 않았으나 신생된 신앙의 양상을 보인다. 『표해록』 등의 기록을 통하여 제주도민들이 전승해 왔던 설문대할망에 대한 신앙심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제 더 이상 그 신앙의 현실태를 만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제주도 창조신격 혹은 한라산 산신격의 거녀신의 존재와 그에 대한 신앙 관념이 존재했을 것이라는 추정 정도가 가능할 뿐이다. 설문대할망 신앙은 제주도에 현전하는 무속신앙 체계에 수용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표선리 당캐 포구 해신당은 특별한 신앙 전승의 사례를 보인다. 당캐할망당으로 속칭되는 이 당의 당신으로 설문대할망과 동일한 신격이 좌정한 본풀이가 보고되었다. 당캐할망당이 이러한 신앙 양상을 전승하고 있다면 이는 원시 신앙적 요소와 제주도 토착 신앙적 요소가 대면하는 양상이 되므로 상당한 의미를 갖게 된다. 본고는 제주도를 창조한 여신이면서 그 옛날 한라산신으로 숭배 받았던 설문대할망이 제주도의 당신앙과 어떠한 관계로 만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별한 전승 양상을 보이고 있는 표선리 당캐할망당의 본풀이와 신앙 전승 양상을 살피고, 이에 대한 신앙 해석을 위한 기준점으로서 표선리 당신앙 전반의 전승 자료와 신앙 양상을 두루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현재 설문대할망 설화 전승과 유사한 화소로 본풀이를 전승하고 있는 표선리 당캐할망당의 신앙 전승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먼저 본향신과의 관계에서 부부 관계로 전승하는 일뤳당신과의 본풀이 상의 교착 양상, 자생적인 신앙 전승을 바탕하지 않은 특정 자료의 편향적 전승 양상 등이 해신당으로서의 당캐할망당의 신앙 전승에 영향을 끼쳐온 점 등이다. 신앙민의 자생적 신앙 양상의 변천과 다소 거리가 있는 신앙 연구 과정에 의한 영향이 더욱 크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보편적인 당신앙 전승 맥락과는 별개의 전승을 거치면서 혼종적 전승이 새로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제기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