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 Dae Seok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문학사 교육의 위상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문학사 교육 탈구축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사의 탈구축 작업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문학사 교육을 국민 교육의 장으로 삼았으나 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적 지식은 독립적인 지식과 개별 작품들을 통합하는 지식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되었다.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해석을 이끌어 내는 방향으로 전환한 문학 교육은‘복수의 문학사’를 제재를 통해 구성하였기에, 단일하고 평면적인 해석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민족 문학사와 괴리되었다. 그 때문에 문학사적 지식은 고전과 현대의 상호텍스트성을 지시하는 전통의 연속성과 민족 문학의 정전을 부각시키는 한국 문학의 범위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되었다. 이러한 문학사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교육학계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목표를 지식 습득보다는 지식과 능력이 결합된 안목의 획득으로 재설정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통합적이고 관계적인 문학사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문학사교육을 갱신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고정된 실체로서의 민족 문학사를 해체하고 복수의 문학사를 도입하거나 그 복수의 문학사를 토대로 자신만의 소문자의 문학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 연구 영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문화사적 문학사를 서술하자는 제안도 제출되었다. 이러한 민족 문학사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문학사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문학사 교육은 정치적 장이자 비평적 장으로서 문학사를 새롭게 탈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hang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describe the efforts to deconstruct it.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as used as a main tool to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and raise the feeling of national unification. But it ceases to be the knowledge which controls the interpretation of each texts, as in 1990’s Korean education changed it’s points to learner itself. Literary education which was changed to drag out the variou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learners can not coexist th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hich produces only the unified and plat interpretation. In this phase the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egan. The ai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as reset as gaining an appreciative eye for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 united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as deconstructed to plural histories of literature and small-letter histories of learners themselves. And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write the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which reflect the recent achievement in literary studies.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can be consisted of cultural histories and micro histories.

      • KCI등재

        특집 :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김성수 ( Seong Su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 『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 『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 『조선문학사』 16(2012)는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수령론’으로 점철된 ‘선군(先軍) 문학사’를 정초하고, 남한은 문학사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거나 아예 해체하는 분위기이다. 그나마 민족문학사연구소의 『새민족문학사강좌』(2009)가남북문학(사)의 공존을 소수자담론으로나마 서술한 수준이다. 문학사적 분단의 재검토를통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해진 북한문학과의 상호 이해와 교류, 통합방안을 다시 고민할 때이다. 북한문학의 실체를 인정하고 부단히 소통하며 남북 문학의 공존을 서술해야 우리 민족문학사의 재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perspective we should take toward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other party of Korean literatur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ac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of the reunified Korea and therefore cannot be blindly rejected due to the difference of ideolog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also 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Korean race.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period right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forced occupation, the starting period of the nation’s division.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Joseon New Literature History Survey by Baek Cheol,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Jeo Yeon-hyeon, Modern Joseon Literature History by Han Hyo, Joseon Literature History After 1900s by Ahn Ham-gwang, Comprehensiv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the Literature Lab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lar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ttempted to secure historic legitimacy of their regim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subtraction’ aiming to appropriate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a self-oriented manner and exclude the counterparty. The self-oriented legitimacy discourse is merely the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divided nation which signified the division of mother tongue as afact. There has been little outcome providing insight into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integrated approach until recently after 1950s. As a result,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For example, the no. 16 volume of Jose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literature history rooted in the military-first principle oriented toward Joseon Race First Policy and Theory of Great Leader, while the South Korea dismantles the literature history itself. Fortunately, the New Race Literature History Lecture by Race Literature History Lab at least describes the coexistence of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s minority discourse. The reintegration of literature history w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exist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is recongized and the coexistence is promoted with communication.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 『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several representative of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rom colonialperiod to date in the aspec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ademism. Specifically,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1939),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1948),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73), ‘Na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1993), ‘Lecture on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2009), and ‘History of Literature after History of Literature’(2013) were investigated. As noticed, the previous publications regard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ere comple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tory of literature as a modern academic system was constructed indifferent ways based on historians’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sm and realit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history of literature. The thoughts of relations between Western society as universal and Cho-Seon as particular, namely the perspectives on comparison literature which were inherent in history of literature was in a state of flux according to a time. The reputa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y has remarkably changed in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over the last decad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 longer in the same place as it was in the past. The direction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years to come hinges on how to transform its traditional framework of ‘nation-university-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병민 ( Jin Bing-m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은 다중 주체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일본 인식을 통해 민족 주체성을 확립했고, 중한관계 인식을 통해 이중 주체성을 확립했으며, 세계평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중 주체성을 확립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자신들을 민족해방의 주체, 중국 항일투쟁의 주체, 세계 피압박민족 해방의 주체로 인식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부단히 분화되고 조합되는 복잡한 역사 과정을 경과했다. 그들은 항일투쟁과 민족해방의 기치 아래 역사적인 회합을 이루었으며, 중국의 항일투쟁과 세계적인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 나갔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주체성 확립은 일련의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신채호와 신규식 등의 ‘정신적 자아’, ‘양심적 자아’는 철학사상 면에서뿐 아니라 투쟁실천 면에 이르기까지 주체성 확립에 정초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한국 망명지사들의 민족 주체성, 이중 주체성, 다중 주체성의 삼자 구성 중에서 민족 주체성은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의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은 물론 민족 주체성에 의한 민족국가 상상―민족의 해방과 자유 실현을 제일 목표로 삼았다. 한편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은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중국 체험은 본토 체험을 가속화하고 승화시켜 주었으며, 중국의 담론 환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의 수용과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민족 문제 및 세계평화 문제에 대하여 직시하게 했다. 한국의 망명지사들은 중국의 담론장을 통해 민족 담론, 항일 담론, 국가 담론을 구축하여 제국담론과 식민 담론을 전복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은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지식 담론의 참신성과 혁명성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Korean exile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ubjectivity.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national subjectivity through Japanese recognition, established dual subjectivity through Chinese-Korean relations recognition, and established multiple subjectivity through recognition of world peace. In other words, the Korean exile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national liberation, the subject of the Chinese anti-Japanese struggle and, by extension, the subject of the world’s oppressed people. The Korean exiles appeared as variou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and established a knowledge discourse, and the various subjects continued to divide and combine, but they formed historic convergence under the banner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liberation, and fought together for the great victory of China’s anti-Japanese war and global anti-fascist wars.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shows a series of unique features and values. First of all, Shin Chaeho and Shin Gyusik’s “spiritual ego,” “conscientious ego” played vital roles i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not only in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in fighting practice. Secondly, among the national subjectivity,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the national subjectivity direc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Therefore, the goal was to realize the nation-state imagination-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people, based on not only dual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but also the national subjectivity. Next, the Chinese experiences of Korean exiles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ir East Asian recognition and subjectivity. Their experiences in China accelerated and sublimated the mainland experiences, an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China prepared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new ideas, and went on to face up to the world peace issues. The Korean exiles have built national discourse, anti-Japanese discourse and national discourse through China’s “discussion ground,” which has led to the overthrow of imperial and colonial discourse. The Korean exiles’ recognition of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jectivity are vivid records of the novelty and revolutionary nature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the spiritual values of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 고전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김준형 ( Joon Hyeong Kim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이 글은 이미 제출된 한국문학사에 드러난 문학 사관이나 지향성에 주목하여 그 들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제시되었는가를 사적으로 '보여주는' 데에 목적을 둔다. 식민지 시대, 우리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은 문학사로 표출되었고, 그 서술 방 향은 크게 세 형태로 진행되었다. 안확의 문학사로 대표되는 '정신사로서의 문학사', 김태준의 한문학사로 대표되는 '문헌학으로서의 문학사', 그리고 실증주의 학문을 학습한 경성제 대 연구자들이 쓴 장르사로 대표되는 '과학적 실증주의 문학사'가 그것이다. 해방 공간에서 이루어진 한국문학사 편찬은 일차적으로 대학교재를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문학의 범주에 대한 고민이나 한국 근대문학의 전통론 등을 제시한 문학사도 있지만, 해방 직후에 쓰인 문학사 가운데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할 문학사는 이명선의 『조선문학사』와 조윤제의 『국문학사』다. 조윤제는 민족정신의 흐름로서의 문학사를 지향했다면, 이명선은 생산관계와 생산력의 대립 구도로서의 문학사를 지향했다. 한쪽은 유물사관, 한쪽은 신민족사관이라 할 분명한 문학 사관을 제시했다. 또한 이명선은 세계 보편성 아래 한국의 특수성을 강조한 '조선'문학사를, 조윤제는 한국의 특수성을 세계 보편성에 적용하려는 '국'문학사라는 타이틀을 제시했다. 사실 우리가 이상적으로 제시하는 문학사는 조윤제와 이명선의 문학사가 지향한 요소를 균형 있게 정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학 내적 아름다움과 삶의 외적 실천, 실증과 실용, 형식과 내용, 남과 북.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문학사가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 은 기실 조윤제의 문학사와 이명선의 문학사를 어떻게 아우를 것인가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그 문제제기는 이미 해방 공간에서 나왔던 셈이다. 분단 이후, 남한 학계에서는 객관 성을 강조하는 풍조가 점차 확대되어 갔고, 북한 학계에서는 그와 달리 주관적인 해석을 강조하는 풍조가 강해졌다. 전자는 학문적 엄격성이라는 이름으로 주관적인 해석에 대해 비판을 가했고, 후자는 편의에 따라 없는 사실도 조작하였다. 해방 공간에서 이루어진 실용과 실증의 논의는 둘 다 현재적 삶에서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한 논쟁이었지만, 분단 이후에는 그런 물음이 '이념' 이라는 외적 요소에 의해 사라졌다. 1980~90년대에 남북한에서는 공히 문학을 집대성하는 문학사가 등장했다. 남한에서는 1950~70년대에 객관적 실증주의의 틀이 여전히 강한 힘으로 작동했지만, 그래도 그 한계를 극복한 조동일의 문학사가 등장하였다. 객관적 사실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문학사가 지향할 방향성은 분명히 인식했다. 그렇지만 문학사를 관통하는 문학사관의 부재는 한계로 남는다. 북한에서도 문학을 집대성한 문학사가 등장했다. 그렇지만 북한의 문학사는 오히려 1970년 문학사보다도 퇴보하였다고 할 만큼 왜곡이 심하다. 정치적인 요소가 문학사에 개입함으로써 문학사의 본질이 퇴색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view of history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times chang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researchers expressed their critical mind on the writing of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There were three different ways of writing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ose were the writing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as the history of national spirit by An Hwak,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 as the philology by Kim Tae-Joon,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scientific positivism by researchers studied with KyeongSeong Empire University.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mainly compiled for the purpose of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e prominent books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re the history of Choson Literature[Choson Munhaksa] by Lee Myeong Seon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KookMunhaksa] by Cho Yun Jae. Cho aim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pirit, but Lee tri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ist literary view. In fact, we need to wri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ith balanced attitude toward these two different views of literary history. But since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need of objectiveness studying on literature in South Korea,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North Korea. The different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gave birth to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 literature. But the critical mind toward social functions of literature are in common. There were the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 since 1980s and 1990s. It was the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HanKook Munhak Tongsa] by Cho Dong-il in South Korea, but it still was absence of view of literary history. And also, there are compilation of Choson literature in North Korea, but it also was distorting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우리어문학회의 국문학 인식 『국문학개론』을 중심으로

        김용찬 ( Kim Yong-cha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3 No.-

        해방 이후 각 대학에 설립된 국어국문학과의 운영 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대학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일군의 학자들이 1948년에 만든 모임이 바로 ‘우리어문학회’이다. 이들은 모두 일제 강점기에 경성제대 조선어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처음에는 본격적인 학회라기보다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동인적인 성격’을 지닌 모임으로 출발하였다. 그들이 애초에 내걸었던 목표는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에 관한 문제를 토론하고 국어국문학 총서와 같은 것을 발간하는 모임’이었다. 그리고 대학 교재로 사용할 『국문학사』를 출간하면서 ‘우리어문학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어서 『국문학개론』도 학회 구성원들의 공동 집필로 저술되었다. 이들에 의해 출간된 두 권의 저서는 모두 대학의 국문과 수업에 사용할 교재를 염두에 두고 기획된 것이다. 이 가운데 『국문학사』가 국문학의 전개 과정을 살피면서 문학사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면, 『국문학개론』은 국문학의 갈래를 구분하여 각 갈래들의 특징에 대해 개략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들은 학회지인 『어문』을 발간하면서 개별 논문을 비롯하여 다양한 학문적 성과를 제출하였는데, 이처럼 구성원들의 활발한 연구 활동을 기초로 본격적인 모임의 체계를 갖추어 나갔던 것이다. 국문학 연구가 아직 본격적인 토대를 갖추기 전에 학회를 조직하여 활동했지만, 이들의 학문적 성과와 활동 양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충분히 조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각 대학의 초창기 교과 과정 등 주요 자료들은 ‘한국전쟁(1950)’으로 대부분이 사라지고 남아있지 않아, 당시의 상황을 재구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당시 활동했던 ‘우리어문학회’의 활동과 구성원들의 연구 성과를 검토함으로써, 초창기 국문학 연구사의 빈틈을 어느 정도 메울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에 그들이 남긴 각종 기록을 통해 우리어문학회의 활동 내용을 탐색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초창기 국어국문학과의 교과 과정이 정립되어 가는 상황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시 대학 교재로 출간했던 『국문학개론』의 체제와 내용의 분석을 통해 우리어문학회 구성원들의 국문학 인식의 양상을 따져보기로 하겠다. Urieomunhakoi(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Society’ hereafter) was the association of a group of scholars founded in 1948,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o set up a system for operating the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universities and apply it to university education. All the founders were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 Society began as a coterie, rather than an academic association, propelled by practical needs. The original objectives of the Society were to discuss o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education and to publish a collection of articles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name ‘Urieomunhakoi’ began to be used when a university textbook 『Kukmunhaksa(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published. It was followed by the publication of 『Kukmunhakkaeron(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which was co-authored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Both the books published by the Society were designed as the textbooks to be used for the Korean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Kukmunhakkaeron』 classified the branche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hereas 『Kukmunhaksa』 summarized the evolvement and cours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 Society members continued to organize a system of regular academic association through active efforts, such as the publication of the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Eomun』, in which a variety of academic outcomes were submitted. Although they organized the Society even before the Korean literature research had robust foundation, their academic outcomes and activities have not yet been highlighted sufficiently. It is not easy to reconstruct the circumstances of early university education because most documents, such as curriculums of each university, were lost during the Korean War(1950). It is expected to fill a gap of the history of early Korean literature research to some degree by investigating the activities and research outcomes of the Society and its members. In this study, the activities of the Society were examined meticulously based on every kind of documents it left.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procedures of the settlement of the early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some degree. The patterns of the Korean literature cognition of the Society members were also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Kungmunhakkaeron』, which was published as a university textbook.

      • KCI등재

        1980년대 문학(운동)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전승주 ( Seung Ju J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3 No.-

        1980년대 문학운동론은 현실 변혁론의 문학적 변용이다. 이들 문학론들은 공통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현실 대응 지침의 문학적 표현이라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1980년대의 문학론들은 이념적 차별성과 관계없이 계몽도구로서의 문학이라는 틀에서는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분단체제론을 근거로 삼고 있는 백낙청의 민족문학론, 한국 근현대사의 과제를 반제반봉건(반외세반독재)투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김명인의 ‘민중적 민족문학론’, 계급문학의 독자성과 당파성을 강조하는 조정환의 ‘노동해방문학론’ 등이 모두 그러하다. 민족해방문학론, 자유주의문학론도 마찬가지다. 1980년대 문학과 문학론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초점은 과도한 정치성에 맞추어져 있다. 변혁논리의 문학론 적용에만 몰두했다는 것이다. 어떤 수식어를 앞에 붙이든 민족문학의 건설이라는 과제를 상정하는 것은 근대 민족국가의 건설 이념을 문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볼 수 있다. 민족문학 및 민족문학론에 대한 강조는 그 자체로 보편자에 대한 강한 지향성을 지니게 마련이다. 그 보편 지향성은 특히 민족문학론이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담론을 기반으로 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이처럼 1980년대의 문학운동론들은 모두 ‘보편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근원적인 문제는 ‘보편성’으로 전화해야 한다는 인식 자체일 것이다. 1980년대 문학론들의 정치성에의 경도나 배타성은 바로 이러한 보편주의로부터 비롯된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1980년대 문학론들이 지니는 문제의 핵심은 모든 역사를 ‘진보’의 과정으로만 파악하는 데에 있다. 1980년대의 문학론이 과학적 세계관을 표나게 내세우고 있는 것도 이러한 역사적 인식을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1980년대의 문학론들 스스로가 ‘과학’이 되고자 했던 것이다. The theories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is the literary coverage of revolutiontheory. So the theories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seem the same character asenlightenment of literature no matter what ideological difference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on the literature and theory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bring into focusexcessive political personality. Whether that holds any qualifier, the presentation of ‘establishing of the nation literature’is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construction of ‘Nation State’. An emphasis on thenation literature and nation literature theory, naturally have strong directivity foruniversality.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e aware of itself that universality must beobtained. Strong political personality and exclusivity of the theory of literature(movement) of the 1980s` is the result of this ‘universalism’. At the same time, the core ofthe problem that the theory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have, emerges from therecognition that all the history is only a process of ‘progressive’ grasp. The reason thatThe theory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emphasis the scientific world view isbased on that recognition. As a result, The theory of literature (movement) of the 1980s` want to be the ‘science’.

      • KCI등재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권보드래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근대 한국의 역사를 통해 '민족'은 국가체제에 맞서는 원심적이고 저항적인 효과를 내장해 왔다. '민족'과 '국가'의 가치가 선전되는 한편 그 사이가 변별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대였는데, 바로 이어 식민지화된 까닭에 식민지시기 내내 '민족'은 일본제국이라는 국가의 호명에 대항하는 준거점이 되었고, 해방기에는 남한과 북한이 각각 '국민'과 '인민'이라는 배제의 정체성을 가동시키는 가운데 '민족'은 통합의 가능성을 지시하는 이름으로 남았다. 1950년대에 개인주의가 약진하는 와중에 '민족'이 낡은 언어처럼 취급되었던 막간기를 지나, 4월항쟁 후 1960년대에 '민족'은 다시 핵심어로 도약한다. 민족사론과 민족경제론이 이론적 체계를 이루었던 이 시기를 지나 1970년대에는 민족문학론도 체계화되고 대중화된다. 최일수·정태용 등이 간헐적 문제제기를 이어갔던 1950~60년대를 거친 후, 김지하·황석영·신경림 등의 창작적 성과에 힘입어 민족·민중의 현실을 다루고 미래를 선도하는 것이 문학의 본령이라 선언되는 한편 문학사 서술 또한 민족·민중적 시각 하에 새롭게 시도되었던 것이다. 민족사론이나 민족경제론에 비할 때 민족문학론은 처음부터 개발독재의 국가론에 거리를 두고 현존 국가에 대한 비판을 내재화했다는 특징을 보였다. 오늘날, 제국과 세계-국가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민족문학의 '민족'과 '문학'은 근대-자본주의-국가 간 체제를 반성하고 갱신하는 데 당분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리라 기대 된다. State and nation forms a quite unique relationship in Korea. Korea was annexated when Koreans are beginning to explore the common consciousness as members of one nation-state, then the condition as a colony forced Koreans to live the subjects-identities of the state of Japanese empire. The strategy to separate the category of 'nation' and 'state' was enacted in colonial period, but the assertion of 'nation' was predominantly used by the right to stress the homogeneous identity of Koreans while the conceptual frame of class was persuaded by the left. The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delivers different significance from one of western world, erupted in the liberation period of 1945~48 as the common framework covering the right and left altogether. The left argued the leading role of working class while the right defended the trancendental quintessence of a nation, and 'nation' succeeded in the survival even amidst the antagonized political climate of the south and north. 1950s through 1970s, The virtual range of 'nation' to transcend the polarized confrontation and to focalize the reality of the people was experimented through the critical essays of Choi Il-su and Chong Tae-yong, and realized in the works of Paik Nak-chong and other Creation and Criticism members. Nowadays, having experienced the heated controversies of 1980s, the concept of 'nation' is marginalized while the concept of 'state' is gaining the new attentions. The will to overcome the division situation, the aesthetic revaluation of literary texts with the criteria of people's life, and the tendency to build a bridge between premodern legacies and modern tradition of literature are under the test imposed by the demand to explore the future of nation and literature.

      • KCI등재

        안확의 『조선문학사』 중 시가(詩歌)문학 서술 방식 고찰

        김형태 ( Kim Hyung-t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안확의 『조선문학사』 소재 시가문학 기술 양상을 살펴보고, 그 특성들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조선문학사』를 집필한 의도와 그의 사상의 일단에 접근하는 데까지 연구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조선문학사』에 수록된 시가 작품의 실제 양상을 시대구분에 따라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정리를 바탕으로 도출한 두드러진 특성은 우리 시가의 기원을 설명하면서 「신가(神歌)」를 언급한 점과 문학사 기술에 있어서 시조와 한시의 서술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이다. 먼저 「신가」는 문학사를 통하여 민족정신의 고취와 자주성의 고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종교에 입각한 시가를 활용한 안확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의도는 대종교에서 비롯된 안확의 사상적 측면과 맥락이 맞닿아 있다. 둘째, `시조`의 기술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은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 민족이 경험할 수 없었던 긍지의 체험을 통한 치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서 마련한 안확의 배려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평소에 시조의 상대적 우수성을 주장한 안확의 다양한 저술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시조가 부흥하던 경남 지역에서 그가 교사 생활을 하였다는 전기적 사실과도 연관 지을 수 있다. 셋째, `한시`는 우리글의 묘미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시조 등의 국문시가로 얼마든지 치환이 가능한 갈래이자, 『조선문학사』에서 우리 시조의 문학적 우수성을 돋보이게 하는 방편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기저에 `협화`의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chnical aspects of poetry literatures in `Chosun literature history` of `Ahn-Hawk(安廓)` and to summarize their characteristics. I also want to expand the horizons of my research to the point of approaching the thought and the intention of writing the `Chosun Literary History`. At first, the actual aspects of the poetry works in the `Chosun Literary Histor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period.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 derived from this theorem is that it refers to the `Shin Ga(神歌)`, explaining the origins of our poetry literatures. And he devotes a large amount to the descriptions of `Sijo(時調)` and `Chinese poetry(漢詩)`. Firstly, `Shin Ga(神歌)` reflects the intention of using the poetry based on religion as a way to achieve the goal of raising the ethnic spirit through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ncreasing the independence. This intention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ideological aspects of the unification that originated in `Daejonggyo(大倧敎)`. Secondly, we have devo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description of `Sijo`, which was a consideration of the uneasiness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provide a place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ride that the Korean people could not experience in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arious works of Ahn`s, which usually claim the relative superiority of `Sijo`. And he can also relate to the fact that he lived in the `Kyongnam(慶南)` area where `Shijo` revived. Third, `Chinese poetry` is a Korean poem that can fully utilize the charm of our writing. And it can be said that `Chinese poetry` functions as a way to enhance the literary excellence of our `Sijo` in the history of `Chosun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of `Cooperation and harmony(協和)` is contained in the background.

      • KCI등재

        탈민족 담론과 새로운 본질주의

        하정일 민족문학사학회 2004 민족문학사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최근의 민족 담론비판이 갖는 문제점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최근의 민족 담론 비판은 민족에 대한 본질주의적 인식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민족에 대한 본질주의적 인식은 모든 민족 담론을 민족주의로 환원하고 민족주의를 국가주의/근대주의로 환원하는 이중의 환원론을 산출한다. 민족 담론에 대한 본질주의적 비판은 텍스트주의적 읽기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모든 민족 담론을 사회적 실천이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로 받아들일 때 본질주의적 인식이 나오기 마련이다. 담론 상으로는 제3세계의 민족 담론이나 서구의 민족 담론이나 유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족 담론에 대한 본질주의적 인식을 극복하려면 맥락에 주목하는 수행적 독서가 요구된다. 이럴 때 민족 담론의 역사성과 실천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민족 담론의 역사성을 복원하는 일은 제3세계 민족 운동이 서구의 민족주의 운동과 맺고 있는 '반복 속의 차이'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된다. This essay is a study on critique of national discourse. Critique on national discourse is based on essentialism. Its essentialist thought is that nationalism is the discourse of oppression. but this thought ignores the historicity of nationalism. The third world nationalism is the discourse of resistance to colonialism. Resistance to colonialism produced the differance from colonialism. This is the specific phase of the third world nationalism. To comprehend the specific phase of the third world nationalism, we need the performative reading. Performative reading means that we must attend to the context of discourse. Because performative reading overcomes textualism to reduce all discourse to a text and to erase the reality from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