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 경험과 교육이 운영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용업종을 중심으로

        양도현,허정록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e cosmetics industry has a very high percentage of entrepreneurs in the service sector because it is possible to start manpower-based business ent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start-up education on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cosmetics business in order to obtain successful results after the start-up. As a result, those who had experience in entrepreneurship showed much experience in entrepreneurship.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experienced person in the hair salon had a higher perception of management strategy, differentiation, and location factors than the inexperienced person, and the experienced person in the hair salon had higher discrimination and position than the inexperienced person. Through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start-up is found through the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analysis of factor such as management strategy, differentiation, and location is expected to help business start–up. Future research suggests the practical effect of operational performance depending on whether it is entrepreneurial education. 미용업은 인력 기반의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여 서비스 업종 중 창업비율이 매우 높다. 이에 창업 후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하여 창업 경험과 창업 준비 과정의교육이 실제 미용업 운영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용업종 사업주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업 경험자가 창업에 대한 교육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용실 창업 경험자는 미경험자에 비하여 경영 전략, 차별성, 입지 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용실 창업 교육 경험자는 미경험자에 비하여 차별성과 입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창업 시 운영과 성과의 영향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창업 경험과 창업 교육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경영전략, 차별성, 입지 등의 요인 분석이 실제 창업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연구로는 창업 교육 여부에 따른 운영 성과의 실질적 효과를 제안한다.

      • KCI등재

        소상공인 창업자의 특성, 창업성공요인 및 창업성과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나상균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된 사업체 운영의 성공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업 성공요인이 창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나 기 창업자들이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사업체 창업과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 특성과 창업성공요인과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소상공인 창업자 특성 중 경험특성은 창업성공요인과 관계에 있어서 재무상태, 점포관리, 제품 및 서비스관리의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심리적 특성에서는 제품 및 서비스관리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재무상태와 점포관리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상공인이 창업에 대한 성취욕구 및 창의성이 높을수록 창업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창업성공요인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창업성공요인인 재무상태, 점포관리, 제품 및 서비스 관리는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소상공인 창업자가 사업체 운영에 필요한 창업성공요인의 정확한 의사결정은 소상공인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창업자 특성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창업자 특성인 경험특성과 심리적 특성은 모두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창업자 특성인 창업에 대한 경험과 심리적 특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소상공인이 창업성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small-scale start-up founde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s of start-up businesses. It is also aim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structural effects of start-up founders' characteristic upon their performances and, by thus, to provide those who prepare for and/or have been operating start-up business with suggestions for stable and successful start-up as well operation. The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start-up business found that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start-up business founders might influence every factor for their success including the financial conditions as well as management of shops, products and service.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upon the management of products and service only, but not upon the financial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shops, a result implying that the higher desire and creativity small-scale start-up business founders have, the more probable the start-up businesses become successful. Second, it was learned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s of start-up businesses that such success factors of start-ups as financial conditions as well as management of shops, products and service could exercise impact upon their performances, signifying that the exact decision making of small-scale start-up founders might affect the performances of small-scale start-up businesses.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start-up founders revealed that both empir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rt-up founders might have influence upon the performances of start-up businesses,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small-scale start-up founders could achieve higher performances in their start-up when they are highly aware of empir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start-up as par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창업동기가 청년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재기가능성의 조절효과검증

        손성곤,김형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경기침체의 장기화와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청년의 실업 문제가 갈수록 점차 더 심각해지고 있어서 청년들의 실업률을 감속시키기고 미래산업과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청년창업을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 청년들에게 창업을 하고자하는 동기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 시대 청년들의 진정으로 창업을 하려고 하는 이유와 그러한 동기가 청년들의 창업에 도전과 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청년들의 경우 창업 실패에 대한 부담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창업을 실패하더라도 다시 재기할 수 있다는 재기가능성은 창업의지에 결정요인에 따른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창업동기 중 능동적 동기와 기회 및 성취동기는 청년층의 창업의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금전적 동기는 청년층의 창업의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창업동기 중 능동적 동기와 기회 및 성취동기가 청년층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재기가능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기가능성 즉, 창업을 실패하더라도 다시 재기할 수 있다는 인식과 사회적인 제도와 정책이 마련 되여 질 때 청년들이 창업에 대한 도전과 의지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년의 창업에 대한 도전과 창업성과 뿐 만 아니라 창업 실패 시 재기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적 정책마련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Recently, the keynote policy in most countries is to invigorate innovative start-up business to overcome unemployment and economic downturn caused by low growth rate Especially, nowadays, undergraduates' interest in business start-up is increasing, and many students choose to start-up business rather than finding jobs as domestic universities establish departments related to business start-up.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effects on undergraduates' business start-up and the performance expected.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rational direction for the vitalization of undergraduates' business start-up in the future, by analyzing factors having effects on undergraduates' business start-up among youth entrepreneurs, and then analyzing the expecte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ased on the caused entrepreneurial motivation For the analysis, this study surveyed present construction technicians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m to collect data from November 17 to January 7 in 2017. Except 21 responses which were not clear, this study used 449 copies of the respons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ll the entrepreneurial perception, soci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that have been selected as influence factors having effects on youth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t. According to the past preceding researches, the entrepreneurial perception showed lots of negative elements. However, due to the extreme unemployment crisis and polarization, the perception of business start-up might be gradually changed. Currently, the institutional start-up support is vitalized, and its support percentage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Each school establishes departments related to business start-up while the rate of undergraduates' participation in start-up club activities or all sorts of competitive exhibitions is increasing. Due to the extreme unemployment crisis, the social perception has been changed, which is working as a positive factor. Second, the entrepreneurial motivation had Second, a multi-functional education program had a youth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motiv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recovery possi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전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병윤,이주헌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Youth unemployment including college graduates has become more serious in recent years. It is very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se days, the number of female entrepreneurs has been increased dramatically. There have been many successful entrepreneurs with technology background in Korea. Until now, there have been not so many empirical studies examining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college major. A lot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gender and major as moderators in the relationship. Until now, there has been very few research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maj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urvey questionaries were given to 400 college students randomly chosen in Gangwon-do. Finally, 334 survey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milar to previous studi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participation both in school entrepreneurship courses and out of school entrepreneurship education does positive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Gender and major are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ith low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how much lower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compared to Non-STEM students, STEM students with low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how much lowe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us, in order to improv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specially for female and STEM college students. 한국 대학졸업자들의 실업은 최근 아주 심각한 수준인데 이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여성창업자과 이공계창업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성별과 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업관련 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한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외를 통해 기업가정신의 다양한 요인들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결측치를 제외한 339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선행 실증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남녀 모두에 있어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이공계 전공 대학생보다 이공계 전공 대학생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성과 이공계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을 진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력의 조절효과

        박상문,이미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ior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es of new ventures founded by experienced entrepreneurs. There are inconclus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new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 data of Korean new ventur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se relationships of different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Success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but no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ailure experience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ment. There are moderating effect of firm age on the relationship of only failure experience with performanc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s’ development and performances.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은 벤처창업기업의 중요한 인적자본으로서 후속 창업시 벤처창업기업의 운영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실증적 연구결과들은 일관된 결과들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을 성공창업경험과 실패창업경험으로 구분하고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업력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창업경험특성에 따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성공창업경험은 고용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무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창업경험은 고용과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는 실패창업경험에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성공창업경험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창업경험의 특성(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이후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창업기업의 업력이 늘어나면서 이전 창업경험의 효과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창업경험과 성과간의 단기적인 영향관계와 장기적인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의 효과가 경험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창업경험이 있는 창업가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서도 창업경험의 특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창업교육의 매개효과

        윤병선,김천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innovation, risk-taking, and enterprising on entrepreneurship. From 2013 to 2020, 392 papers, which were judged as quantitative research from doctoral and master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28 duplicates of thesis and thesis are excluded. A total of 52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excluding 312 papers that were insufficient to be used as research data because there were no statistical value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52 selected papers, the homogeneity of the variables was first verified. As a result of the homogeneity test, the innovativeness, risk-taking, initiativ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l showed great effects on heterogeneity,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analyzed by random effect model. The average effect size analyzed was 0.38 ~ 0.49, and all four variables showed moderate average effect siz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effect size by forest plot, all showed proper results. From the results of funnel plot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ublished errors were confirmed asymmetric. Research data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ws that it cannot represent the whole. It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parameter. Iinnovation and risk-taking have an impact on entrepreneurship by tak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 parameter. Initiative had an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 business, regardl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 number of studie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had an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should be changed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into continuous and field-oriented education.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이 창업교육을 매개변수로 하여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들 중 2013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박사 및 석사 학위에서 양적연구로 판단되는 392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이 중복되는 28개를 제외하고, 상관계수 등 통계수치가 없어서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 미흡한 논문 312개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52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5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변수에 대하여 우선 동질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동질성 검증결과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창업교육 모두 이질성에 있어서 큰 효과를 보여 평균효과크기는 확률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평균효과크기는 0.38~0.49로 4개 변수 모두 중간정도의 평균효과크기를 보였다. 평균효과크기에 대하여 forest plot로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창업교육에 대한 funnel plot 분석 결과에서 출간오류가 비대칭으로 확인되어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 자료가 전체를 대변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창업교육을 매개변수로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창업교육을 매개변수로 하여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진취성은 창업교육과는 관계없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수의 연구결과에서 대학의 창업교육이 본질적 목적인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창업교육으로 개편되어야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은 지속적이고 현장 중심교육으로 변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창업교육이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윤영집(Young Jib Yoon),이종원(Jong Won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에 대한 관심 증대되고,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업선도 국가로 알려져 있는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재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창업에 대한 열의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대학 교육에 있어 창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 대학생의 실제적인 창업 비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창업 교육의 성과를 구조적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주효한 요인을 발견하고자한다. 즉 중국 대학생의 창업교육, 셀프리더십, 혁신행동, 창업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관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창업교육 방향성을 제안해 보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연구 결과, 중국 대학생들에 대한 창업교육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창업교육을 통해 얻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이 셀프리더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을 통해 창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어 셀프리더십이 창업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교육은 학생들의 혁신적인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혁신행동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을 강조한 창업교육이 필요함을 언급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창업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있어서 창업에 대한 의도와 함께 창업 행위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known as a leading country for entrepreneurship, at a time when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is increasing in many countrie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ing revitaliz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by observing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elf-leadership, innovative behavior,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s gained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and that self-leadership increase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it can be mention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ing self-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s necessary because it has been shown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is, if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mplemented, it is judged that college students can lead entrepreneurship activities.

      • 청년창업가의 학제간융합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안태욱,박재환,여경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2

        창업은 새로운 성장 동력인 동시에 국가 경쟁력 부분에서도 그 역할과 책임이 요구된다. 특히 창업가정신은 창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성과를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연구자가 창업가정신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중요성을 인정하였고 연구가 많이 이뤄졌지만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창업가정신요인 과 창업 전 준비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히 창업생태계 인프라의 매개 효과로 성과여부를 고려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청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준비요인이 창업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활용 여부가 어떤 매개효과가 있는지 그 관계를 실증적 검증하였다.연구 결과, 창업가정신은 창업성과와 창업준비에 유의한 정의(+) 영향, 창업준비요인은 창업생태계 인프라에 유의한 정의(+) 영향,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은 창업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이 증명되었다. 결국 청년창업가의 성공적인 창업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창업가정신을 고취 시켜야하며 단순히 창업준비만으로 창업성과를 기대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적극적인 창업생태계 인프라 활용을 통해서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본 연구 결과 청년창업가의 성공적인 창업성과를 위해서는 단순한 창업준비에서 창업가정신을 고취시키고 충분한 창업준비와 함께 창업가를 위한 실질적인 창업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창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의미있는 결론이 도출하였다.

      • KCI등재

        적성과 욕구가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창업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 -

        구모란,구철모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8 경영컨설팅연구 Vol.8 No.1

        기업의 창업은 국가의 경제발전과 고용창출의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에겐 직업선택의 기회이기도 하다. 따라서 기업의 창업 연구는 국민 전체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창업 연구는 창업 의지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창업의지에 의해 후행 행동요인으로 창업이 이루지기 때문이다. 창업의지는 개인의 욕구와 적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창업의지의 선행요인들, 욕구와 적성, 이 고등학교 창업 교육프로그램의 미디어 교육이 학생들에게 욕구와 적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 결과 고등학교의 미디어 창업 교육은 적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욕구와 적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고등학교 미디어 창업교육의 활성화가 학생 진로와 졸업 후 창업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f a media education program of venture enterprise intentions in high school influenced the antecedent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feasibility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media education program whereas the perceived desirability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edia education program. In turn, the perceived desirability and feasibilityare positively influenced the venture enterprise intentions. We used 266 student data based on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