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쪽방생활자의 복지욕구와 정책방향

        윤경아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4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 · 고령 쪽방생활자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여 이 들에게 적합한 사업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대전의 주요 쪽방 밀집지역인 동구 정동과 중동에 거주하는 40 세이상의 중 · 고령 쪽방생활자 99 명 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9월 18일부터 20 일까지 3 일간이었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이 경험하는 문제는 ‘경제적 어려움’, ‘본인의 건강문제’,‘이웃의 음주’, ‘ 공중 위생’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필요한 서비스 는 ‘의료비지원’, ‘식생활지원’, ‘질병치료’, ‘주거비지원’, ‘장기적인 주거대책’ 등의 순으로 높게나 타났다. 본 연구는 쪽방생활자의 연령이 점차 고령화되는 상황에서 대 전지역중 · 고령 쪽방생활자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조사하여 , 이를 바탕으로 지역 쪽방생활자에 대한 정책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서울도심주변 쪽방지역 연구 : 쪽방지역의 토지이용 건축물관리현황을 중심으로

        최지훈,이준호 한국도시연구소 1999 도시연구 Vol.- No.5

        이 논문에서는 쪽방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통해 현재 서울도심주변 쪽방의 분포현황과 각 쪽방지역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내 쪽방지역을 조사한 결과 서울역 주변의 남대문로 5가와 동자동, 영등포 민자역사 서편, 피카다리 극장 뒤편인 종로구 돈의동, 동대문 이스턴 호텔 주변의 종로구 창신동에 쪽방이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이들 쪽방 지역은 공통적으로 도시내 낙후된 주거시설밀집지라는 특지을 지니고 있다. 쪽방은 그 자체로서는 주거빈곤의 한 형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내부지 쇠퇴에 따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쪽방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심 및 도심주변 내부시가지에서 주거기능 쇠퇴방지책 마련이라는 물리적인 정비외에 쪽방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실태조사를 통한 직 간접적인 지원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권지성(Kwon Ji-s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기술지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1년 정도의 기간에 쪽방 지역과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참여관찰을 하고 쪽방 거주자들과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문화기술지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체와 공간, 시간, 생활방식의 네 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쪽방 거주자들과 관련된 주체는 나, 우리, 그들로 파악하였다. 쪽방 거주자들이 살아가는 공간은 쪽방, 쪽방지역, 쪽방상담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이 존재하는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경험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쪽방 거주자들의 생활방식을 생존, 생계, 생활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생활방식을 생존계층, 생계계층, 생활계층으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과 행정, 실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n Jjok-bang. To achieve this purpose, I conducted an ethnographic approach. I contacted the residents in Jjok-bang, collected data from an in-depth interview, participative observation, documents, and analysed data by an ethnographic approach. In research findings, I presented four dimensions of the daily life: subject, place, time, way of life.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I', 'We', and 'They'. I investigated the residents' places that were categorized as three places such as Jjok-bang, a Jjok-bang region, and a Jjok-bang service center. I identified the residents' experiences in time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addition, I gain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way of life which was divided to survival, living, and life. Based on the results, I offer suggestions for policy, administration,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쪽방거주자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황세인(Hwang Se 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되어 형성된 쪽방에 거주하는 이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분산형 쪽방지역으로 알려진 부산광역시의 쪽방거주자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제공자들은 생계유지를 위한 ‘절약’과 ‘시간 때우기’가 가능한 장소를 찾아 전전하고 있다. 무위(無爲)한 일상을 “시간을 때우며” 보내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저 단순히 시간을 때우는 것이 아닌, 목적이 있는, 나름의 생활전략을 가지고 필요한 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둘째, 이들은 자신들의 거주지를 쪽방 밀집지역과 같은 쪽방촌, 쪽방지역이라는 인식보다는 쪽방, 여인숙과 같이 살고 있는 건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며, 때문에 쪽방지역과 그 바깥 지역이라는 구분없이 생활에 필요한 곳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장소 사이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이런 생활권은 마치 보이지 않는 개별적인 쪽방 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과 같다. 셋째, 이들은 ‘일하는 것’과 제도 및 복지자원의 활용에 있어서 내·외부의 엄격한 시선 속에 놓여있다. 즉, 근로능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비난을 받기도 하며, 혹여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보여질까, 그래서 기초생활보장수급에서 탈락되지는 않을까하는 불안 속에 살아가고 있다. 넷째, 이들은 쪽방으로 오는 과정에서 가족, 주거, 고용 및 사회로부터 배제되어 왔으며, 점차 스스로 누군가를 멀리하며 배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혼자 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정보제공자들은 앞으로도 여전히 혼자인 삶을 걱정하고 있으며, 나름의 방법으로 그 삶을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및 실천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e residents who are living in Zzock-bang that are developed throughout scattered spots. In order to do so,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Zzock-bang resi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ich is known as the typical Zzock-bang area with dispersal patter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triving to find a 「place」where they can ‘save money’ and ‘fill in time’. Although they are ‘filling in time’ in their meaningless routine, they don’t waste time just recklessly but spend time in a place they need with their own living strategies having certain goals. Second, they tend to regard their residence not as a ‘Jjok-bang village or Jjok-bang area’ where Jjok-bang households are densely located but as a ‘Jjok-bang or inn’, that is the ‘building to live in’; thus, they are moving to the place they need for living with no distinction between the Jjok-bang area and the outside area. Among the places, however, relatively regular spheres of living are formed, and each of these spheres seems to form an individual Jjok-bang area that is almost invisible. Third, they get a strict ey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working’ or utilizing ‘institutional or welfare resource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y are not equipped with working capabilities, they are often criticized as ‘a person unwilling to work’, and they are anxious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y might seem a person who is capable of working’ and it deprives them of their subsidies for basic living. Fourth, in the process they enter Jjok-bang, they become excluded from their family, residence, employment, or society, and gradually, they, too, exclude themselves from somebody else. La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living alone are still worried about their lonesome life in the future and preparing for it somehow in their own wa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 KCI등재

        보도된 쪽방촌과 보도되지 않는 쪽방촌 : 탈식민주의적으로 빈곤의 공간 읽기

        탁장한(Tak, Jang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3

        본고는 빈곤이 밀집된 공간, 그리고 그곳에 거주하는 빈곤한 타인들이 그동안 대중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묘사되어왔는지를 회고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빈곤의 문제를 포함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인간의 각종 인식 및 실천을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인 주요언론의 보도내용에 관심을 두고, 한국사회에 실재하는 주요 빈곤밀집지역인 쪽방촌과 관련해 무엇이 보도되고 무엇이 누락되어 왔는지를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분석의 도구로서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는 의미로 2010년대에 작성된 쪽방촌 보도들을 전수조사했으며, 대조가 명확한 두 매체인 보수언론 《조선일보》와 진보언론 《한겨레》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 두 언론의 보도 모두에서 먼저 쪽방촌은 인간이 거주해서는 아니 되는 온갖 조건들을 갖춘 ‘역(逆)유토피아’로 수렴되었고, 그 내용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빈곤포르노’의 형태로서 지극히 자극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 해결책을 보도함에 있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각각 ‘사회복지단체’와 ‘시민사회단체’를 내세워 ‘외부의 구원’ 대 ‘내부의 자조’라는 처방의 대립각을 보였고, 그것은 재개발의 명목으로 쪽방의 멸실, 쪽방촌의 철거, 주민들의 추방이 현실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결부될 때 ‘쪽방촌 소멸’ 대 ‘쪽방촌 보호’라는 더욱 극적인 차이를 빚어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빈곤한 공간 및 타인을 이해하고 그것들에 대한 대중의 실천을 추동하는 렌즈들에 어떠한 권력이 침투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빈곤의 문제를 바라보는 사회적 태도들의 경합과 그 이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how poverty-stricken area and the poor people inhabiting there have been portrayed to the general public for years. Thus the newspaper reports related to Jjokbangchon (one sort of concentrated poverty areas in Korea), of mainstream media in Korea, which are a crucial source for ordinary peopl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s to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were thoroughly reviewed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see what was reported and what was not. For analysis, all Jjokbangchon reports in 2010s were collected, but especially narrowed down to the distinctively different two representative media, one, conservative 《Chosun》 and the other, progressive 《Hankyoreh》, respectively. In study results, initial reports were converged to depict Jjokbangchon as Dystopia where human beings must not live with inhumane housing conditions, while expressing there as a provocative poverty pornography. However, when the solutions were reported, 《Chosun》 and 《Hankyoreh》 showed a totally different and even opposing prescriptions, especially when the social reality in Korea where Jjokbangchons have been torn down and residents there have been involuntarily displaced. With the study results, the intense competition as to social attitudes toward the phenomenon of poverty was attempted to be shown by disclosing the authorities reproducing people’s particular way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poverty area and the poor others through the discourse used in media.

      • KCI등재

        공공주택지구 쪽방촌 주민의 생활실태 및 이주대책 설문 분석: 대전역 마을을 사례로

        김도형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es to stably resettle the residents of Jjokbang Zone, Daejeon Station in public rental housing via temporary migration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jjokbang (one-room shantytown housing),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residents subject to migration, identified residential life desirablity and intentions for resettlement, and analyzed the results. In addition, it explored various alternatives for resettlement, such as reexamining the feasibility of the primary method of migration through rental of nearby accommodations. The Daejeon Station Jjokbang Zone Redevelopment Project has plans to provide temporary migration facilities by renting accommodations while the public housing project is promoted.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these plans, it was judged that accommodations, such as inns, are not suitable for migrants as a space that guarantees minimum housing rights. The plan to use accommodations such as inns, that can include the concept of jjokbang as temporary migration facilities, is problematic in terms of housing rights, an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than jjokbang should be provided to migrants. 본 연구에서는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쪽방촌의 주민들이 임시이주시설을 거쳐 공공임대주택에 안정적으로 재정착할 수 있도록, 대전역 인근의 쪽방촌인 대전역 마을을 사례로 그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쪽방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주 대상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거생활과 재정착 의사 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주변 숙박업소 임차를 통해 이주한다는, 큰 방향성의 실현 가능성을 재검토하는 등 재정착 방안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탐색하였다. 대전역 쪽방촌 정비사업은 공공주택사업이 추진되는 동안 숙박시설을 임차하는 방식으로 임시이주공간을 제공하려는 계획이 있으나, 이에 대해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여관이나 여인숙 등이 최소한의 주거권을 보장하는 공간으로 이주 대상 주민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쪽방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여관이나 여인숙 등의 숙박시설을 임시거처로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은 주거권 차원에서 문제가 있는 접근으로, 쪽방 주민들의 임시이주공간으로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쪽방보다 더 나은 주거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쪽방지역 주민의 생활실태와 빈곤의 재생산

        김민진(Kim, Min-Jin),조현미(Jo, Hyun-Mi)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빈민의 최종 종착지라 할 수 있는 쪽방 거주민의 주거특성 및 생활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주거이동과 직업력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빈곤의 재생산과정과 빈곤의 심화현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먼저 쪽방거주자는 낮은 학력에 월 평균 소득 또한 5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직업적 특성으로는 일용직, 단순노무, 노점상 등의 도시 비공식부문 종사자가 대부분이었다. 이들의 대부분은 건강상태가 비교적 좋지 못하였으며,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이웃과의 관계는 비교적 폐쇄적이며 단절적인 생활을 하였다. 쪽방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담의 결과에서 그들은 한번 쪽방에 거주하게 되면 그곳을 탈피하기가 어려우며, 쪽방을 전전하며 생활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주거빈곤과 노동시장에서의 불리한 조건, 노동의 비숙련성 등이 상호작용하여 도시빈민으로의 고착화를 유도하고 있었으며, 더불어 나쁜 건강과 가정 내 사적 공간의 결여, 그리고 가정의 자원부족과 불충분한 교육 등으로 인하여 빈곤을 심화, 재생산시키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부의 빈민대책은 빈곤의 재생산과 악순환을 발생시키는 사회구조적 모순과 빈민 정책의 제도적 문제를 개선하고, 도시빈민들을 위한 양질의 저렴한 주택을 도시 곳곳에 충분히 확보하여 도시빈민들의 자발적인 주거이동을 보장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reproduction process of poverty and deepening phenomenon of poverty by analyzing spacial characteristics being shown in residence transfer and job career by way of understanding residing features and living status of Jjok-bang residents who may be referred to as a terminal of urban underprivileged, with taking Daegu City as a case. As a result of this, Jjok-bang residents have shown low education level and most of them were low income bracket with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being less than KRW1Million. In addition, as an occupational features, most of them were urban unofficial employees engaged in day work labor, simple labor, street vending. Health condition of most of them was relatively poor and they were faced with serious economic difficulties. Furthermore, relation with their neighbors was comparatively closed and they led an isolated living.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performed with Jjok-bang residents as target, it could be realized that once they were confined to Jjok-bang residenc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cast away such living quarters and they were forced to lead such wandering life. In addition, such poor residing poverty, unfavorable cond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unskilled labor were driving them to urban underprivileged bracket permanently and moreo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ir poverty level was deepened and reproduced due to poor health condition, lack of private space in their living quarters, insufficiency of family resources and insufficient education. Countermeasure for the underprivileged by the government shall focus on ensuring voluntary residing transfer of the urban underprivileged by improving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 that entails poverty reproduction and vicious cycle and systematic problems of poverty policy and securing high quality low cost housing sufficiently for the underprivileged in every corner of the city.

      • KCI등재

        빈곤 비즈니스와 쪽방촌의 주거 빈곤

        탁장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고의 목표는 한국 사회의 대표적 도시 빈민가인 쪽방촌을 빈곤 비즈니스, 구체적으로는 빈민가 임대업과 연결 지어 탐구하는 것이다. 쪽방촌에서의 실거주 및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연구자는 쪽방촌 주거 빈곤의 현실및 그를 둘러싼 복합적 생태계를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여기서 쪽방촌의 빈곤은 건물주/관리인을 비롯한 비빈곤층의 소득원으로서 기능하는 도구로 파악되었다. 정부가 지원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거급여는 오롯이 쪽방의 월세로 사용되며 쪽방 건물주에게 제공되었고, 주거급여 인상 폭에 비례해 쪽방 월세도주거급여 최대치까지 함께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되었다. 건물주들이 훗날의 개발을 기대하며 사실상 하자 보수를 거의 수행하지 않음에도 빈곤 비즈니스는 쪽방촌의 세입자들이 쉽게 거부할 수 없는 통제력을 발휘하고있었고, 때로는 세입자들에 의해 정당성을 얻기도 했다. 빈곤 비즈니스와 세입자 주거권이 미묘하게 연동되고있었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쪽방촌 주거 빈곤 문제의 개선을 위한 다각도의 제언을시도했다.

      • KCI등재

        동자동 쪽방 주민의 생활경험과 주민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이현옥(Lee, Hyun-Ok),이은정(Lee, Eun-J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자동 쪽방지역 주민들의 생활경험과 주민들과의 관계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쪽방에 거주하는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구성요소와 7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분석되었다. 쪽방의 주거생활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은 불편해도 ‘노숙보다는 나은’ 공간이라는 안도감을 느끼고 있으며, ‘다른 대안이 없기에 살아갈 수밖에 없는’ 공간으로 인식하며 생활하고 있었다. 또한 쪽방은 ‘사생활과 공동생활이 모호할 수밖에 없는 공간’이었고 ‘아픔이 있지만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삶도, 타인의 삶도 포용해야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동자동 쪽방지역은 오래전 ‘주민들을 살펴주던 누군가 손길’이 불씨가 되어 자신이 ‘받았던 도움을 다른 이웃에게 되갚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주민들과의 유대감이 강화’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쪽방지역 정책에 대해 접근하는데 있어 주민들의 의견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며, 주민의 의사를 반영한 주거환경개선이나 리모델링 등의 저렴한 임대형숙박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빈곤층의 주민관계강화 방안으로 주민 자치조직에 대한 지원·확대가 요구되며, 쪽방, 노숙과 같은 취약주거로의 진입을 예방하기 위해 일시적인 거처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저렴한 임시주거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residential life and Resident Relationship of the living in Jjok-bang area in Dongja-dong.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xperience of life in Jjok-bang, three elements and seven sub-elements were identified. The study participants are relieved that it is a "better space than sleeping out in the open even though it is uncomfortable and recognize it as the space where they must reside because they don’t have other alternatives. The Jjok-bang is a space that private life and communal life are mixed ambiguously, and the people who are heart-broken but have to live their lives must embrace the lives of others as well as their own lives. Finally, it is analyzed that the community fellowship in the Jjok-bang area in Dongja-dong has been enhanced because someone started to help the poor people a long time ago and those who were helped have been repaying the kindness to other poor peopl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current policy approach to the Jjok-bang area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residents,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cheep rent-basis accommodation space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r remodeling the Jjok-bang considering their opinions. On the other hand, it is required that the support for the resident autonomy organization should be expanded, and the cheep temporary residential space should be secured for the people who can’t help moving in vulnerable houses such as homelessness.

      • KCI등재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허소영(Heo, so young)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서 이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 남성 8명이다. 의도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포커스 집단 면담과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쪽방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4가지 구성요소는 <마음 둘 곳 없어 외로운 신세: 아들, 남편, 아비구실 못해 가족을 지우고 살아옴, 몸은 머물지만 정들지 않는 쪽방 살이, 하루짜리 술친구에 머무는 사귐, 외로움을 안고가기>,<인색한 지원에 근근이 살아감: 쪽방처럼 사방이 막힌 인생살이에 우울함, 수급자라 휘둘리고 무시 받아 속상함>,<편견과 차별에 주눅 드는 삶: 아쉬워도 손 벌리지 못함, 가족을 꾸리지 못해 후회되고 냉대 받음, 다가가지 못하는 바깥세상 >,<사람노릇하며 살다가기: 홀로의 삶을 건사하여 독립을 유지하려 함, 빚 갚는 마음으로 도움주기, 하릴없이 보내는 나날이 고역이라 일을 하고 싶음, 쪽방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기, 어른도리 하기, 마음을 다스려 현재의 삶을 수용함, 폐가 되지 않을 죽음을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ull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by identify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This research use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or 7 months from september 2008 to march 2009. Eight elderly men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Mainly th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used.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Giorgi's 4 types of specific steps. As a result, 4 components and 16 subordinate component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The components resulted from the analysis are: <So lonely because no one to give their affection : 'erasing the family from their heart because he cannot play the role as a son, husband or father,' 'staying over in Chokbang but do not like it,' 'just making an one day drinking companion not an intimate friend,' 'living with loneliness>, <Making a scanty living due to stinge social support: 'feeling isolated and gloomy about their life just like the isolated Chokbang that they live in,' 'being looked down at and under other's control because of his status as a social welfare recipient>, < Feeling daunted because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 'not asking for help,' feeling regret and being treated coldly for familynessless, 'feeling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Living and dying as a decent man: 'keeping life independent by taking care of everything by himself,' 'giving help to others to compensate his indebtedness in mind,' 'hoping for work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because he hates doing nothing,' 'living differently from other Chokbang dwellers,' 'Preparing to die to avoid becoming a burden,' 'trying to do his duty as an adult man by taking care of his family, 'controling his mind to accept the current reality of his life>.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men living alone in Chokbang in meaningful and gender-sensitive ways. Moreover, I provided social welfare connotation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