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융의 무의식에 관한 탐구

        진숙(Jin, Sook)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융의 심리학은 프로이트 심리학과 함께 의식 중심의 심리학의 관점을 벗어난다. 이러한 융의 심리학은 무의식 개념을 통해 근대적 주체인 데카르트의 단일한 의식적 주체, 칸트의 선험적 주체, 흄의 판단의 주체 개념을 해체시킨다. 또한 그의 심리학은 무의식 개념을 통해 이성주의를 비판한다. 융의 심층 심리학은 개인 심리의 충동으로 보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넘어서 신화적 상징을 구성하는 집단 무의식의 원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융의 원형심리학은 ‘정신=의식’ 이라는 주관 정신의 영역을 벗어나 경험적으로 객관정신(집단 무의식)을 수용하려는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정신=의식’으로서 정신은 주관적 정신인 한에서 두 가지 한계를 드러냈다. 첫 번째는 주관정신이 오성 영역이상으로 넘어서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관 정신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객관정신(집단 무의식)을 배제하게 된다. 두번째로 헤겔식의 주관정신은 오성으로 우주적 가치로 확장시켜 객관정신(집단무의식)으로 나아가고자 시도하지만 주관정신이 객관정신을 수용하지 못한 채로 확장시킴으로서 내용 없는 의식의 팽창만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한다. 의식의 형태로는 지향성으로서의 의식, 선별로서의 의식, 종합으로서의 의식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 또는 정신이 지향적이며 선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며 종합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의식의 영역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의 마음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정신분석이란 우리 자신도 시인하기를 거부하는 무의식적인 관심사 즉 우리가 억압하고 있는 무의식적인 관심사를 밝혀내려는 심리학적인 탐구 방법이다. 이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와 융에 의해서 개발되고 발전되었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이런 문제 의식을 가지고 프로이트와 융이 어떤 방식으로 무의식의 탐구를 개시하고 어떤 방식으로 전개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특별히 융의 집단 무의식 개념이 어떻게 탄생하고 어떤 방식으로 객관정신을 보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Jung’s psychology overcame the way of regarding mind a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as much as in Freud’s psychology. His psychology aimed to dissolve the concepts of Descartes’ single conscious subject, Kant’s transcendental subject, Hume’s subject of making judgement by the means of unconsciousness. Also he continued to criticize the rationalism. In addition, Jung’s psychology propose archetyp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which compose mythical symbols beyond Freud’s concept of unconsciousness which is identical with individual psychological impulses. This archetypal psychology is different from subjective mind which identifies mind with consciousness and is trying to accept empirically objective mi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Mind as consciousness has two problems in so far as subjective mind: first, subjective mind can’t overcome understanding, so that this excludes subjective mind(collective consciousness) which comes form ancient times. second, Hegel’s subjective mind attempts to extend understanding in order to reach objective mind by means of making it cosmological value. But there is just inflanation of consciousness without contents, since subjective mind can’t include objective mind. The forms of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internationality, selection and synthesis. But there are some areas in our minds which can’t be explained by internationality, selection and synthesis. Therefore we need to study the unconsciousness in order to understand whole aspects of our mind. Psychoanalysis is a kind of psychological investigations which focus on unconscious interests that we don’t want to accept and suppress. In this article I am dealing with these problems in the perspectives of G. Freud and C.G. Jung. I develop my thesis specially on how Jung made his main area of research as collective consciousness.

      • KCI등재

        샤갈(Chagall)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의 상징에 관한 연구

        강미화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러시아 태생의 유대인 화가인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의 작품세계를 분석심리학의 논의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심리학에서는 예술의 창조성이 예술가 개인의 정신을 넘어서는 인류 공동의 집단무의식에 기원하고 있으며, 예술은 이런 집단무의식의 내용을 의식이 지각할 수 있는 형태인 상징체계로 표현한 것이라고 본다.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샤갈의 작품이 주목을 끄는 이유는 인간정신의 심층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의 언어를 풍부한 상징을 통해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샤갈의 작품에서는 개인의 경험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집단무의식의 원형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형상화한 상징을 통해 무의식의 정신활동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그의 예술은 아니마에 의해서 이끌어진 창조적 영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무의식과 의식의 통합에 의해 얻어진 정신의 전체성과 대극적인 요소의 합일에 의한 정신의 초월적 기능을 나타내는 다양한 자기원형의 상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샤갈의 예술에서는 무의식과 의식의 협업을 통한 상징화과정이 가져다주는 치유적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이때 상징은 분열과 부조화를 벗어나 통합과 균형을 찾아가는 정신의 치유과정을 알려주는 가장 효과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무의식의 창조성은 예술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지닌 고유의 정신능력이므로 인간의 본성에서 유래하는 자기실현을 향한 힘과 예술이라는 창조적 행위가 지닌 치유력의 결합은 미술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이자 이론적 근거가 된다. In this study, the works of Marc Chagall(1887~1985), who was a Jewish Russian painter,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Analytical psychology regards artistic creativity as being originated from the common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beyond the personal spirit of an artist. And art was considered to be an expression of a symbolic system, in which the person could perceive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reason of why Chagall's works attract our attention is that his abundant symbols may represent the language of unconsciousness in the depths of human psyche. In Chagall's works, the archetype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were expressed in various symbols and these symbols revealed the dynamics of unconsciousness. His art was based on creative inspiration arisen by anima and included various symbols of Self-archetypes which reflected the transcendental functions and the wholeness of human psyche. Also, Chagall's art activates the healing power which results from the symbolization by the interaction between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The symbol can play a role of the most effective medium that indicates the healing process of psyche which gets out of discord and unbalance to search for integration and balance. The creative unconscious is not only an exclusive property of artists but also the original mental capacity that all human beings possess. Therefore, the integration of the healing power of creative activity and the basic human instinct for self-rea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the theoretical base of art therapy.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구현된 집단 무의식에 관한 연구 -칼 융의 ‘집단 무의식’ 이론을 중심으로-

        허진화,김홍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7

        본 연구는 칼 융의 집단 무의식이론을 애니메이션 작품에 적용하여 집단 무의식이 갖고 있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칼 융이 제기한 집단 무의식의 세 개의 원형, 즉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등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나타·마동강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작품에 있어 관객의 공감대와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바로 인간의 심리에 공통적인 원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나타·마동강세>는 전통 신화 <봉신방>을 기반으로 다양한 원형적 특징을 결부하였다. 극 중 자신의 원형들을 통합하고 조정하여 자아실현의 목표를 이루어나가는 나타의 모습을 통해 중국 애니메이션이 캐릭터의 내면세계를 부각하여 관객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캐릭터의 이미지, 색채, 동작 등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 집단 무의식이 폭넓게 반영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중국 애니메이션 작품에 반영된 집단 무의식의 원형 역할 및 영향을 분석하여 단독 또는 여러 원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캐릭터의 내면세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과 칼 융이 제기한 집단 무의식 이론을 기반으로 향후 중국 캐릭터 창작에 다양한 접근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융심리학의 콤플렉스, 집단적 무의식, 개성화

        윤희조 ( Youn Hee-jo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본고는 융심리학을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콤플렉스는 유위법 또는 번뇌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융은 자신의 심리학을 콤플렉스의 심리학이라고 이름 붙일 만큼 콤플렉스는 핵심 개념이다. 불교적 관점에서 콤플렉스는 넓은 의미에서는 유위법을, 좁은 의미에서는 번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콤플렉스는 유위법의 특징과 번뇌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고, 심·심소의 구분에서 보면 심소, 즉 마음작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콤플렉스의 범주에는 자아, 그림자, 페르조나, 원형이 있다. 자아는 의식의 중심으로 자아콤플렉스라고도 불리고, 페르조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외적 인격으로 기능 콤플렉스이다. 그림자는 억압된 열등한 내적 인격으로 본성에 근원으로 있는 원시적 정신으로서 동물적 충동양식이고, 전형적인 콤플렉스이다. 원형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인간 행태의 선험적 틀로서 무수히 많은 원형이 존재하고, 숙명적으로 나타나는 체험 콤플렉스이다. 둘째, 집단적 무의식은 윤회적 함축을 가진다는 점이다. 융심리학에서 마음의 차원은 의식, 개인무의식, 집단적 무의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림자는 개인무의식의 영역에서 작용하고, 원형은 집단적 무의식의 영역에서 작용한다. 집단적 무의식은 개인적으로 획득되지 않고, 유전 덕택이고, 상속되고, 선재하는 틀이고, 집단적 무의식의 내용인 원형은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고 유전되는 것이다. 이 점에서 집단적 무의식과 그 내용인 원형은 윤회적 함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붓다는 숙명지와 천안지를 통해서 자신과 모든 존재들의 윤회를 직관함으로써 윤회의 실재성을 드러내었고, 융도 윤회를 심리적 실재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팔식의 이명으로 사용되는 유분식, 이숙식, 유지식에서 윤회적 함축을 볼 수 있다. 셋째, 개성화는 개체성과 전체성, 고유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융심리학은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해서 의식의 중심인 자아에서 전체 정신인 자기로 나아가는 것, 즉 개성화를 목표로 한다. 개성화는 진정한 개인이면서 전체 자기로 나아가는 것이다. 개성화는 고유성과 보편성의 의미에서 개인의 개체성과 전체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개성화는 개인이 개체로서 고유하게 가지는 번뇌와 마음작용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인간이 보편적으로 가지는 전체성으로서의 유위법과 마음의 본래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이러한 개성화 과정은 견도에서 수도로 나아가는 불교의 깨달음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Jungian psychology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complex can be seen as defilement or conditioned dhammas. The complex is a key concept enough for Jung to name his psychology the psychology of the complex.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a complex can be said to mean conditioned dhammas in a broad sense and defilement in a narrow sense. The complex can hav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conditioned dhamm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filement, and it can be said that it corresponds to the action of the mental function in ter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mental function. The category of complex includes ego, shadow, persona, and archetype. The ego i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and is also called the ego complex, and the persona is an external personality required by society and is a functional complex. The shadow is a typical complex with a suppressed inferior inner personality, and the archetype is an experience complex that fatefully appears as a transcendental frame of human behavior that we have from birth. Seco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has a rebirth implication. In Jungian psychology, the dimension of mind can be divided into consciousness,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The shadow works in the realm of the personal unconscious, and the archetype works in the realm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not personally acquired, but is a genetic, inherited, and pre-existing framework, and the archetype, which is the conten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innately given and inherited.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ollective unconscious and its content, the archetype, have a rebirth implication. Buddha revealed the reality of rebirth by intuition about rebirth of himself and all beings, and Jung also acknowledges rebirth as a psychological reality. In addition, we can see the implication of rebirth in the vipāka consciousness, bhavaṅga consciousness, and ādāna consciousness, which are used as the other names of the eighth consciousness in Yogacara Buddhism. Third, individuation can be seen in terms of individuality and wholeness, uniqueness and universality. Jungian psychology aims to move from the ego, the center of consciousness, to the Self, the whole mind, that is, individuation, through the consciousization of the unconscious. Individuation is to become a true individual and to become a whole Self. Individuation can be said to show the individuality and wholeness of an individual in the sense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Individuation seeks to understand the defilement and mental function uniquely possessed by individuals as individuals, and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s a universal whole and human beings. This process of individuation can be seen as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from Seeing of the Way to Cultivation of the Way.

      • KCI등재

        융의 심리학에 나타난 아니마의 세 층위 : 심리적 성향과 내적 인격과 집단 무의식적 역동

        최은주(Eun-Ju Choi)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4

        융의 심리학에서 아니마는 세 층위로 구분하여 규정할 수 있다. 심리적 성향으로서의 아니마, 내적 인격으로서의 아니마,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가 그것이다. 심리적 성향으로서의 아니마는 남성에 내재해 있는 여성성으로서, 경험적 마음의 작용을 가리킨다. 내적 인격으로서의 아니마는 외적 인격으로서의 페르소나와 비교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개인적 수준의 무의식을 가리킨다.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는 원형적 성격의 무의식이 발휘하는 힘으로서, 초개인적 수준의 영혼을 가리킨다. 여러 층위에서 규정되는 아니마를 수미일관된 것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그 다양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정확히 어떻게 파악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점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여러 층위에서 규정되는 아니마를 하나로 수렴하여 파악할 때 밝혀질 수 있다. 세 층위의 아니마 중에서 다른 층위의 아니마를 수렴하는 것은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이다. 심리적 성향과 내적 인격으로서의 아니마는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즉, 영혼―가 각각 의식적 수준과 개인적 수준에서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는 다른 두 층위의 아니마와 동일한 성격의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 앞의 두 층위의 아니마가 경험적 수준의 것이라면, 집단 무의식의 역동으로서의 아니마는 형이상학적 수준의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 점이 엄격히 규정되지 않고서는, 심층의 마음을 탐구하는 융의 이론은 정합된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렵다. The anima in Jung’s psychology can be explained by distinguishing three phases of it: the psychological tendency, the inner personality, and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anima as the psychological tendency, which is the feminine psychological tendency in a man’s mind, refers to the operation of empirical mind ; the anima as the inner personality, which is contrast to persona as outer personality, refers to the personal unconscious ; the anima a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which the archetypal unconscious exerts, refers to suprapersonal soul. To grasp the anima being defined in several phases as a coherent on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how it should be understood appropriately in spite of the various explanations of it. This is possible when trying to apprehend anima being defined in several phases which converge into one. What converges the other two phases of anima into one is the anima a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anima as the psychological tendency and as inner personality are the expression of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at the conscious and the personal level respectively. In this sense, the anima a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cannot be regarded as the one identical with the other two phases of anima. While the latter ones are said to be the anima at the empirical level, the former can be regarded as the anima at the metaphysical level. As long as three phases of anima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it is impossible to explain Jung’s theory of the mind of depth as coherent theory.

      • KCI등재

        유식학이 융의 분석심리학의 마음 형성에 미친 영향

        문을식 ( Eul Sik Mo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이 글은 불교의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마음을 어떻게 보고 또 이해하는지를 살펴본 다음에 유식학이 융의 분석심리학의 마음형성에 어떤 점들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논의한다. 유식학에서 유식학에서 마음은 의식, 말나식 그리고 알라야식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유식학에서 의식은 현행하는 의식이다.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의식은 현행하는 의식이고, 그것의 중심에는 자아가 있다. 그리고 유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의식은 둘 다 능동적인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유식학에서 제7말나식은 심층(深層)에서 지속적으로 자기에 대한 집착하는 마음이다. 제8알라야식은 이숙식(異熟識)이고, 그것은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이므로 그것은 행위의 결과인 종자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마음은 의식 및 자아, 개인적 무의식, 집단적 무의식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개인적 무의식은 의식에 인접해 있는 부분으로 쉽게 의식화될 수 있는 망각된 경험 또는 감각경험이며, 언제가 한 번은 의식적이었던 내용들로 이루어졌다. 집단적 무의식은 사람들이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이지만 그것의 내용은 일생에서 한 번도 의식된 적이 없던 것들이다. 개인적 콤플렉스는 개인적 무의식을 이룬 것이라면 집단적 콤플렉스는 원형들로 이루어진 집단적 무의식을 이룬다. 융의 무의식에서 리비도((libido; 성적 욕구 또는 성적 충동)는 마음의 에너지(psyche energy)로 본다. 이것은 제 7말나식의 네 가지 번뇌와 도덕적 개념인 선과 악의 중성적 무기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무의식의 내용은 선도 악도 아니며, 합리와 비합리적인 것이 아닌 그 양면성이 있다. 알라야식은 결과가 발생하면 원인은 소멸하는 것처럼 끊임없이 상속한다. 이것은 융의 집단적 무의식이 사고의 저장고로 이해한 것과 유사해 보인다. 융의 집단적 무의식은 잠재해 있다가 위기나 어려움에 부딪치면 그림자라는 원형이 의식화된다. 이것은 유식학에서 마음(알라야식)의 종자는 잠재해 있다가 인연을 만나 활동하게 된다는 것과 유사해 보인다. 또한 융의 자기 원형은 유식학의 본유무루종자와 상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들이 유식학이 융의 분석심리학의 마음 형성에 미친 영향들로 볼 수 있지만 융의 마음 형성이 유식학의 마음에서 모든 것을 영향 받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울 것 같다. Jung`s analytical psychology examines how to see and understand, How Vijnapti-matra-Science sees the mind(psyche). Then, the mind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will discuss which had been received the impacts at some point of Vijnapti-matra-Science. The mind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s divided consciousness and ego, personal unconsciou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 mind of Vijnapti-matra-Science is divided consciousness(vijnana), self-consciousness (mano-nama-vijnana), and store house(alaya-vijnana). Conscious is the current consciousness and the ego is its center. Consciousness roles active gate keeper in Jung`s psychology and Vijnapti-matra-Science.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system of Jung`s psychology. The collective unconscious does not rely on personal experience. The contents of personal unconscious was once done consciously. However, the content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have been never experience the things in a lifetime. The seventh conscious (mano-nama-vijnana) is to cling to persistingly the mind in the depth. The store conscious(alaya-vijnana) is the conscious(異熟識, vipaka-vijnana) which is ripen differently. Jung`s libido(psyche energy) is regard as the energy of the mind in the unconscious. This is seemed relate to four defilements(catus kle?as) and the good, evil and neutral non-record of which consist moral concept in the seventh mano-nama-vijnana. Because of contents of the unconscious is not good, or not evil, and not neutral non-record, and it is the duality which is not reasonable, or not an unreasonable thing. Alaya-vijnana goes on as like the cause disappear when the result occur. This seems similar to the understanding of Jung`s unconscious as a reservoir of the thought. Jung`s unconscious radicalized the shadow/archetype when meets with the crisis or difficulty. This seems to Similarity with which is to activate when the seeds meet relationship which the mind of Vijnapti-matra-Science.is to be potential, In addition, Jung`s archetypes seems to Corresponding with the original non-flow seed(本有無漏種子) of Vijnapti-matra-Science. These points can see which the mind formation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s influenced from the mind of Vijnapti-matra-science. However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Vijnaptimatra- Science have also each other different perspectives. Therefore, Jung`s mind seem to difficult to say which everything had been affected by the mind of Vijnapti-matra-science.

      • KCI등재

        만화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상징분석

        김정경(Jung-Kyung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칼 구스타브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으로 만화 <진격의 거인(進?の巨人)>에 나타난 원형상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상징들이 어떻게 수용자와 관계되어 반향을 일으키는지에 대해 조명하고자 했다.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을 통합하여 자신의 전체성(Totality)을 이루는 과정을 자기실현(Self-realization)으로 정의한 융의 분석 심리학은 개성화 과정을 통한 전체적이고 통일된 인격 실현을 인격완성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다. 그에게 무의식은 모든 인간에게 선천적이고 보편적이며 개인의 정체성과 삶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영역이었으며, 그러한 무의식을 개인무의식(Personal Unconscious)과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으로 구분하였다. 융은 의식과 무의식을 간접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상징을 정신적 에너지의 요체로 정의하였다. 본 논문은 융 심리학의 상징이론을 근거로 만화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상징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징들이 어떻게 수용자의 반향을 일으키는 에너지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에 그림자, 아니마(anima), 아니무스(animus), 페르소나(Persona), 집단무의식의 원형(archetype) 상징 등 융 심리학의 핵심 개념과 작품의 상징을 매개로 작가, 작품, 독자 사이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고, 그러한 상징이 우리의 삶에 어떤 보상적인 의미를 전달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인육섭식의 거인에서 굴절되고 분열된 무의식의 상징을 해석하였으며 죽음, 공포, 전쟁, 재앙 등 집단무의식의 원형상징을 읽었다. 또한 부정적 아니마와 아니무스로 상징되는 거인과, 진정한 아니마, 아니무스와 조우하려는 자기(Self)의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3중의 성벽을 통해 인류의 신성함을 지키려는 의지와 인간 마음의 전체성을 상징하는 만다라(mandara)의 상징을 분석하였으며 병사에게선 외적 세계에 대한 관계기능으로서의 페르소나 상징을 발견하였다. 결론으로 만화 <진격의 거인>에 나타난 이러한 집단무의식의 원형상징 등이 수용자의 정신에너지와 매개되어 다양한 문화현상으로 반향되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rchetypal-symbol in the cartoon 『Attack on Titan』 from the perspective of Carl Gustav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se symbols caused resistance from people. Jung defined that people achieved self-realization through integrate their"s conscious and unconscious, and stressed the goal of complete development of personality is related to process of individuation in our life. The unconscious is universal and inherent to all human being, it affected to personal identity and high-impact areas of life. Moreover unconscious was divided into personal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Most of all, he emphasized out that symbols are like the essence of spiritual energy to connect the between man"s conscious and unconscious indirectly.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symbol from the comic『Attack on Titan』based on the Jung’s psychology. Moreover I discussed about how these symbols to produce energy which will become an echo of the people. So, through this cartoon, I studi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by Jung’s the key concepts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shadow’, ‘the persona’, ‘the persona’, ‘archetype’. And I examined how these symbols deliver any compensation in our lives. fter that, I understood the eating human flesh in the『Attack on Titan』is related to fragmented unconscious. and collective unconscious refer to ‘the death’, ‘the fear’, ‘the war’, ‘the disaster’. Moreover I found out the giant in the cartoon who is symbolized negative anima and animus, and making the self-willingness which is symbolized true anima and animus. I analyzed the meaning of mandala from the three of the walls in the cartoon which showed defending the sanctity of the human race. also found out persona which is symbolized form the soldier who get the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world. In conclusion,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see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symbol of archetype from the cartoon『Attack on Titan』, and how this cartoon show the people"s energy reflect on a variety of cultural phenomena.

      • KCI등재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진 숙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lf-cognition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and psyche, i.e. the conscious unconsciousness suggested by Carl Gustav Jung of analytical psychology. First it will look at the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nd the recognition of unconsciousness in the philosophy between Jung and Freud. Human psyche is beyond explanation through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psyche and minds as a whole, we ne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unconsciousness and why we need to know it. Jung calls the entire personality 'psyche' and the science of mind is referred to as ‘psychology’ in modern times. In this sense, the psyche embrace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helps us to adjust and adap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we belong. This concept supports Jung’s basic idea which is the belief that a human being is inwardly whole. We humans are already inwardly focused by birth and branch out into and develop such wholeness and become harmonized. When harmony and balance are broken in this process, illness of the mind arises and life falls into poverty. Our ultimate purpose is to rediscover that wholeness which we have lost and build the strength to consolidate our psyche in a conflicting or disrupting situation. As a way to increase this power, we will discuss the meaning of Self-Cognition, that is, the conscientization of the unconsciousness. For this, we first examine how Freud and Jung unravel and develop the concept of the unconscious, and then discuss what the unconscious means to us living in the modern world and why we need to know about it. Our life of goal is to live our own life being oneself; as highlighted by Jung self-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than self-realization. Thus, continuous effort, patience and philosophical wisdom are required. Therefore, it intends to investigate why being oneself and then achieving Self–Cognition are important goals for modern people and how they’re recognized. 이 글은 분석심리학의 칼 융(Carl Gustav Jung)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 즉 무의식의 의식화에 대한 의미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융과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차이와 인격의 구조, 그리고 철학에서의 무의식의 인식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정신은 의식의 영역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의 정신, 마음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왜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 밝혀야 한다. 융은 전체로서의 인격을 ‘정신(psyche)’이라 부르며 현대에는 마음의 과학을 심리학이라고 하듯이 ‘마음(mind)’이라 한다. 여기에서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 전체를 포함하며 우리가 속한 환경에 대해 조절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념은 융의 기본 사상인 인간은 본래부터 하나의 전체라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우리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전체성을 가지며 우리는 이 전체성을 분화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으로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화와 균형이 깨질 때 마음의 병이 생기며 삶은 빈곤해진다. 우리의 궁극적 목적은 잃어버린 전체성을 찾아 갈등이나 분열의 상황에서 우리의 정신을 강화하는 힘을 키우는 것이다. 이러한 힘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무의식의 의식화, 즉 자기인식의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이트와 융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의식의 개념을 밝히고 전개하는지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무의식은 어떤 의미이며, 왜 알아야 하는지 논의한다. 우리 삶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자기답게 사는 것, 즉 융이 강조했듯이 자기실현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지속적인 노력과 인내, 철학적 지혜가 절실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자기다움 그리고 자기인식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인식되는지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칼 G. 융의 『레드북』에 나타난 ‘무의식의 생태 영성’

        신은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글은 칼 G. 융의 꿈과 환상을 소재로 한 ‘신화적 수필,’ 『레드북』에 나타 난 무의식의 생태 영성에 관한 종교적 성찰에 관한 것이다. 이 글에서 강조하는 무의식의 생태 영성은 인간의 분절적인 자아인식을 의식과 무의식의 신비적 융 합을 통해 대극 합일의 역동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융은 자신의 모든 학 술적·문학적 업적은 그가 직접 경험한 ‘무의식의 실현과정’이었다고 말한다. 융 은 1957년에 자신이 과거 16년 동안(1914- 1930) 집필해 왔던 『레드북』을 처음 으로 밝힌다. 융은 『레드북』을 통해 자신의 무의식 속에 잠재된 신적 원형의 이 미지들을 대면하며,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하나로 통합해 가는 ‘자기’실현의 개성화 과정을 경험한다. 『레드북』은 융이 사망 한 후 약 50여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세상에 공개된다. 이 글은 『레드북』에 나타난 무의식의 주요 원형인 ‘엘 리야’, ‘살로메’, ‘검은 뱀,’ 그리고 ‘필레몬’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융이 추구했던 무의식의 생태 영성의 종교적 의미를 해석한 것이다. 『레드북』은 탄생과 소멸, 빛과 어둠, 의식과 무의식, 개인과 초개인, 인간과 신성과 같은 대극들이 종합되 는 차원에서 구현되는 융합의 신비를 추구한다. The Red Book presents a series of Carl G. Jung’s dramatic exposition of visual dreams and fantasies that are the foundation of his understanding of the soul and collective unconscious. Jung worked on The Red Book for sixteen years (1914-1930) to understand his own inner images. The collective unconscious is here viewed as a source of higher spiritual wisdom. Jung attempts to formulate the significance of the unity of opposites and the wholeness of ‘Self.’ The idea of ‘Self’ is the subject of the totality and the prototype of Jung’s ‘individuation process.’ He offers various archetypical images of the unconscious such as Elias, Salome, Black Snake, and Philemon. The task of the eco-spirituality of unconscious lay in establishing a dialogue with the ‘theosophic figures’ and integrating them into consciousness with ‘hermeneutic experiment.’ The Red Book leads us to awaken to the depth of the totality of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covering the value of the ‘mythopoetic imagination’ which had been lost to the modern age.

      • KCI등재

        김동리 초기소설의 심리학적 연구 - 융의 집단무의식을 중심으로 -

        심영덕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4

        Human beings come together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mutual goals. Thereby, it is true that there is convenience, and at the same time, discomfort. If you are not alone, a social system is created, which becomes a law if it is manifested, or morality if it is an invisible institution. In it, 'taboo' is created. This is a new biography that is brought into the literature by the writers. Kim Dong - ri’s novels of the shamanism series correspond to this. In this stud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taboo were first linked first. Kim Dong-Ri's novel, which is approaching the foundation of our spiritual culture, was then investigated from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not merely as a repository of repressed desires. Taboos are religious and a priori, with both sides of holiness and uncertor ainty. Taboos have the power to limit human behaviors that cannot be set as taboo at first if they can easily be viola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cope of this term is quite wide, this study will be another work of Kim Dong - Ri 's novel. 언제부턴가 인간은 서로의 목적 달성을 위해 모여서 살고 있다. 하지만 거기에는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편리함도 있지만 불편함도 동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혼자가 아닌 여러 명일 경우 질서를 위해 사회 제도가 만들어지는데 그것이 명시화가 되면 법이 되는 것이고, 보이지 않는 것은 윤리나 도덕이 된다. 이것들은 작가들에 의해 문학 속으로 들어오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특히 김동리의 소설을 심리학적으로 볼 때 다른 작가들에게서 많이 나타나지 않는 신비성과 유기성들이 그 경우이다. 바로 본고의 목적도 이것에 대한 탐색이다. 이런 뜻에서 융의 집단무의식을 기준으로 샤머니즘과 금기의 공간을 먼저 연계시킨다. 그리고 단순히 억압된 욕망의 창고로서의 무의식이 아니라 우리 정신문화의 근간에 자리하면서 사회문화적으로 고착화된 김동리 소설에 나타나는 집단무의식을 발견하고자 한다.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샤머니즘과 금기는 종교적이고 선험적이며 거룩함과 부정함의 양면성을 지닌다. 이런 다양성은 작가연구의 풍요로 이어진다. 쉽사리 위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애초에 금기로 설정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에서 샤머니즘은 인간의 행동을 제약하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심리학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본 연구는 하위 장르의 일부분이겠지만 김동리 소설의 또 다른 자리매김을 위한 작업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