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고성민,박윤희 중앙대학교 Human Engagement Institute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대학생 대상의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기간을 지정하지 않고 2023년 8월 기준에서 학술정보서비스(RISS)에서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또는 ‘경력개발역량’ 을 키워드로 사용하여 학술논문 총 25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연구물 특성 분석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역량에 관한 연구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발표됐으며, 2015년에 4편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게재지별 분석 결과 교육관련 학회에 투고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는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밝혀 진로교육의 내실을 강화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의 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모두 횡단연구를 사용했다. 다섯째, 진로개발역량 측정에는 성희진과 나승일(2012)의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진로개발역량의 하위요인은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지식, 진로결정 확신도, 의사결정 효능감, 관계활용 효능감, 구직기술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은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로 대학의 진로취업서비스경험, 경력탐색행동, 고용가능성, 전공만족도, 진로결정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술지에 작성된 주제어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주제인 진로개발역량, 대학생, 경력개발역량, 진로역량, 경력개발 등의 주제어가 빈출 횟수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안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25 papers were analyzed, selected from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ISS) using keywords 'undergraduate' or ‘college’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02, peaking in 2015, primarily in education-related journals. Second, the majority of research subjects were 4-year college students. Third, most studies focused on enhancing career educa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related variable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as cross-sectional studies were the most. Fifth, the measures of Heejin Sung and Seung-il Na(2012) were the mostly used to measure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sub-factors were self-understanding, major and occupational knowledge, career decision certainty, decision-making efficacy, relationship utilization efficacy, and job search skills. Six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most ofte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support service experienc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employment possibilit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area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re provided.

      • KCI등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진성희(Jin, Sunghee),성은모(Sung, Eunmo),최창욱(Choi, Changwo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평생진로 발달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흥미와 적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소질을 발굴하고 이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외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진로개발역량의 정의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였고 개발한 진로개발역량의 구성체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 조사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총 28명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진로개발역량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71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9개의 세부지표가 개발되었는데 진로설계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자기이해, 진로 및 직업 탐색, 진로결정능력, 여가활용역량의 세부지표로는 여가필요성 인식, 여가 조절, 여가 몰입,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는 차별화 태도, 도전정신, 위험감수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진로개발역량 및 지표는 그동안 유사 다른 선행연구보다는 사회적 변화 및 청소년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접근하고, 청소년 학계 및 청소년 관련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합의를 도출된 결과이기에 보다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진로개발 관련 다양한 체험활동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Many researchers have undertaken work to develop competencies related to youth careers due to the increasingly highlighted importance of these particular areas of competence. Howev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limitations in this previous work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chiefly the fact that such work has not reflected current you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changes. This is mainly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career” as the notion which is focused largely on the idea of “job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for assessing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aim, the indicators for assess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were drawn up from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they were then validated and modified by the expert review method and finally developed into two surveys targeting youth. 28 youth experts participated in the expert review. The participants comprised 333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survey and 79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second survey. In terms of results, nine indicators were developed: self-exploration, career and job exploration and career decision ability for assessing career design competency, needs for leisure, leisure control, leisure commitment for assessing leisure use, attitude for differentiation, challenge spirit, and risk-taking for assessing the pioneer spir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guidelines for developing various activities and establishing youth policies related to youth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성희(Sung-Hee Jin),성은모(Eunmo S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진로개발역량은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자신의 직업뿐만 아니라 개인 및 사회생활을 적극적으로 개척할 수 있는 관점에서 진로개발역량을 접근하고 그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개념과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기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에 대해 총 45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표본표집을 통해 총 663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문항분석, 정규성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의 구성체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은 진로설계 15문항(자기탐색 4문항, 직업탐색 4문항, 직업가치관 3문항, 진로준비 4문항), 여가활용 16문항(여가태도 6문항, 여가 유능감 4문항, 여가만족 2문항, 여가몰입 4문항), 개척정신 8문항(차별화태도 5문항, 도전정신 3문항) 등 총 39개의 최종 측정문항이 개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문항 개발에 대한 의의와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Youth should not only be able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but also be able to pioneer their own career and everyday life. A total of 45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initia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surement items through the concep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previous studies. The total of 6637 youth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alysis of items, normal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nstruc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measurement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5 item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4 items of selfexploring, 4 items of job search, 3 items of job value, 4 items of career preparation), 16 items of leisure usage (6 items of leisure attitude, 4 items of leisure efficacy, leisure satisfaction 2 items, and leisure immersion 4 items), 8 pioneering spirit (5 differentiated attitude, 3 challenging spirit).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진미석,이강주,이상아,김하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직업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복합적인 진로개발과제를 안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경험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21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참여 대학: PRIME, 이하 프라임 대학) 대상으로 2,906명의 소속 대학생들이 학교로부터 제공받는 진로교육경험을 분석하고 진로교육경험에 따라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역량, 즉 진로개발 핵심역량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진로개발핵심역량으로 진로개발준비도, 대학생핵심역량, 기업가정신 등을 살펴보았다. 진로교육경험은 12개의 대표적인 진로교육활동으로 구성하고 양적인 경험과 질적인 만족도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진로경험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비교과중심 유형과 학교주도 진로교과목 중심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진로교육경험 분석결과 21개 대학 공히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비교과중심 교육보다 학교주도 진로교과목중심의 진로 교육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개 대학 별로 학생들의 진로교육경험의 정도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교육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3점(4점 만점)의 만족도에 근접하고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도 학교간의 편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을 하회하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두 영역에서 평균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학교가 있었고,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나 질적으로 만족도는 낮은 학교도 있었다. 진로교육경험도와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도, 기업가정신, 대학생 핵심역량(K-CESA)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년, 학교, 계열을 통제하고 회귀분석한 결과 진로교육경험도 특히 진로교과교육경험과 진로개발역량과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진로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기업가 역량, 태도, 의지,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등 K-CESA의 인지적 역량으로 자가진단이 아닌 수행형 진단도구로 측정된 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진로교육경험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당국이나 대학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진로개발활동 경험을 양적으로 확충하고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로교육경험의 유형과 분류기준은 진로교육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과 정부의 학생진로개발정책과 전략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에서 진로교육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Seongok, Yuhoa),임현정(Lim Hyun Jung),서우석(Seo, Wooseok)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첫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적합도를 판정하고, 둘째,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구명하며, 셋째, 진로개발역량의 구조모델 내에서 나타나는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세부 목표를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의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6/2017/2018)의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최신 데이터(2018년 n=9,546)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진로개발역량모델은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검증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및 진로개발역량에 각각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개발역량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개발된 진로개발역량모델 내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은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 및 진로개발역량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CDC), career education experience(CEE), parent support(PS), self-directed learning(SDL)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2016/2017/2018)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Finally, the latest data of high school’ students(2018’s n=9,546) was mainly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EE, PS, SDL and CDC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EE and PS was verified within the validated CDC Model. And CEE and P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DL and CDC, and SDL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DC. Third, SDL within the CDC model had the partial mediation between CEE, PS and CD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내 4년제 대학의 진로개발지원 현황과 과제

        진미석,정혜령,이수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sent state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present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For doing this, it has been examined organization, programs, a personnel setup, and difficulties of career development centers in 144 universities nationwide. One of the major findings is that the supporting activities for career development in 4-year universities have been expanded and reinforced since 2000 in terms of finance, personnel and programs. However, there are not many programs for improving core competences of employability skills required as important quality to college graduates by employers in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need to pay more attention and programs to develope core competence of employability in order to support lifelong career development of their students rather than programs focusing on shot-term events for recruit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in 4-year universities have been improved, the difficulties still exist in terms of financial issues and the shortage of experts. Especially small size universities have been poorly supplied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ervice for their students and granted just small financial supports by the government. Thus, policies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need to be rebuilt more substantially and delicatel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개발지원 활동의 중요성이 높아가는 현실에서 국내 4년제 대학생들의 진로개발지원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정책적, 실천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 144개를 대상으로 조직현황, 프로그램 운영현황, 인원, 애로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주요결과로는 2000년대 이후 국내 각 대학들의 진로개발지원 활동이 조직적으로 예산적인 측면, 인적자원측면에서 확대보강된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센터의 인력구성은 2000년대 중반에 비해서 늘어났고, 진로개발 지원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직업진로취업교육, 진로체험, 진로캠프 등 대다수의 취업관련 프로그램들은 대학 내에서 보편화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진로개발지원 기능이 양적으로 외형적으로 확대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대학담당자들은 예산과 전문 인력의 부족을 애로사항으로 제시하고 있어, 급증하는 진로개발지원 업무를 충분하게 지원할 수 있는 인력이나 예산의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주요프로그램들은 통상적인 취업·진로개발지원 프로그램에 비해 적게 제공되고 있다. 대학의 진로개발지원이 일상적인 진로 및 취업지원프로그램을 넘어서서 생애진로개발지원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과 강화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진로개발지원현황 조사의 결과에서 조직, 예산, 프로그램 시행, 정부지원 등 여러 측면에서 학교규모에 따른 차이나 지역별, 학교형태별 차이를 일정정도 볼 수 있었으며, 특히 학교규모별로 그 차이가 두러진다. 소규모대학일 수록 학생들의 진로개발지원이 미흡하고 정부재정지원을 받는 비율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바, 소규모학교에서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진로개발지원 방안을 보다 더 섬세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지지가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영옥,김지현,김현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4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10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학생의 지역사회지지 관련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학생의 지역사회지지 관련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원시 중학생 1학년 236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방법으로 2023년 5월~6월 2개월간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Process Macro 4.0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사회지지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이 진로개발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사회지지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공동체를 구성하여 이를 활용한 진로체험활동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학생의 진로교육이 진로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원시 중학생 1학년 236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지도하에 자기기입식 설문지 작성방법으로 2023년 5월~6월 2개월간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Process Macro 4.0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사회지지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이 진로개발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사회지지 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과 진로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공동체를 구성하여 이를 활용한 진로체험활동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학생의 진 ... Background & Purpose: As a way to improve youth’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community support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the parallel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areer resilience on that influence. Methodolog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36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Changwon City for two months from May to June 2023 by complet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under the guidance of their homeroom teacher.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Findings: First, the perception of communit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Second, it was analyze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areer resil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r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areer resilience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perception of community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youth’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form a community-centered educational community and utilize it to promot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dditionally,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can improve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정재원(Jung Jae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특성을 규명하고 취업을 위한 진로개발역량 및 교육요구를 도출하여 진로개발역량강화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진로개발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켜 취업률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취업 프로그램의 장·단점과 진로개발역량을 도출하 고 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학습자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진로개발역량강화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 다. 개발된 모형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보완되어 최종적으로 완성되었 다. 진로개발역량강화 프로그램 모형은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취업실전대비 프 로그램의 두 가지 트랙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학습자의 요구 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장기 프로그램으로 저학년을 대상으로 자아인식, 교육적·직업적 탐색, 진로계획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취업실전대비 프로그램은 단기 프로그램으로 취업을 앞둔 고학년 을 대상으로 취업실전대비를 강조한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대학생이 진로개발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learner-centered employment and career competence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the derive of basic skills and training needs for employment. Through the research, it was expected that the frame of the employment and career competence program was founded and this allowed the promotion of the employment and career competence to improve employment. To develop the program model, employment and career programs were analyzed and basic skills were identified to enhance employment and career competence. Developing employment and career competence program model was divided into two tracks, long-term program and short-term program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The long-term program consisted of self-knowledge,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career planning. The short-term program focused on career planning for students to prepare employment.

      • KCI등재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 분석 - CDI의 2021 개정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장현진(Jang, Hyunji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잉글랜드)의 진로개발원(CDI)에서 2021년 개정 발표한 진로개발 틀을 중심으로 영국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한 정책 틀(blueprint framework)을 심층적 및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Hooley 등(2013)의 분석 틀을 수정 적용하여 문헌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의 2021년 개정 진로개발 틀의 진로개발 영역(역량)은 선행 국가 및 영국의 기존 진로개발 영역(역량)에서 벗어나 평생진로개발 관점에서 대폭 개정하여 6개 영역(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이 틀은 개인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의 방식에 따라 나선형 학습모형을 도입하고, 영국의 교육단계에 따라 유아기부터 Post-16까지의 6단계로 설정되었다. 셋째, 이 틀의 실행을 위해 진로개발원에서 자원(자료)을 개발·제공하고, 학교 진로교육 실천가의 실행 공동체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있다. 넷째, 영국은 교육법의 진로교육 조항과 교육부의 중장기 진로교육 전략 및 학교 진로교육 필수기준(Gatsby Benchmark)을 마련하여 지역교육청 및 학교 단위의 진로교육 책무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영국은 민간 진로개발 실천가 협회를 중심으로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을 개발 및 운영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 실행이 어려운 한계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국이 진로개발(역량) 정책 틀은 미국이나 캐나다에 비해 후발주자지만 영국의 환경여건에 특화된 진로개발 정책 및 틀을 개발・실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으로 논의하고 한국의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and critically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blueprint framework) for career development skills in the UK, focusing on the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revised in 2021 by the Career Development Institute (CDI) of England. For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Hooley et al. (2013).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areas (competencies) of the UK s 2021 revised career development framework was significantly revised and composed of 6 areas (competenci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career development,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career development areas of previous countries and the UK. Second, this framework introduces a spiral learning model to foste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sets six phases from early child to Post-16 according to the education stage of the UK. Thir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framework, the CDI develops and provides the necessary resources, and solidifies the community network of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Fourth, the career education provisions of the Education Act and the recent mid-to-long-term career strategies at the level of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the Gatsby Benchmark have been prepared to increase the career education accountability of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K is operated mainly by the private career practitioners associ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discussions were conducted, and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조영아,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and their family.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Career and Occupation of Youth in 2009 applying 531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nal analysi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a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leve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Concretely, the level of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was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career/occupation knowledge’ was the lowest. Second,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development behavior and have relatively high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pport of their family than support of high school. Third,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on al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tors was career development behavio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positively affected ‘self-understanding’ section and ‘career/occupation knowledge’ section. The support of family was positively affected career decision-mak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사회적 지지 변인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분석 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 청소년 진로·직업실태 조사’자료 중 고등학생의 자료 531명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은 평균적으로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진로개발역량 중 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으며 3학년이 1,2학년에 비해, 일반계 고등학생이 전문계 고등학생에 비해 진로개발역량 전반에 있어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중 정보를 탐색하는 진로탐색행동 보다는 실제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진로개발행동이 진로개발역량과 보다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가족의 지지가 학교의 지지에 비해서 진로개발역량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들을 통제하고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개발역량 하위영역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진로준비행동 하위영역의 진로개발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탐색행동은 진로개발역량 하위영역 중 자기이해영역과 진로직업지식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실제적인 진로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 중 가족의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