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나라(Han, Na-Ra),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서직무 자기효능 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세 가지 구인을 비서직무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설정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구성요소와 열 개의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60개의 문항으로 비서 직무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이 척도를 사용하여 192명의 현직 비서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의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척도 24문항이 선별되었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최종 척도를 예비검사 때와는 다른 140명의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다시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타당도 중 수렴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 24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정을 거쳐 본 척도를 보다 정교화한다면 비서학 분야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were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조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들은 대체로 보육업무에 대한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평균이상인 것으로 나타낫으며,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는 지지자원 및 복지가 가장 낮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자신감이 가장 낮게 나타낫다.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총점에 대한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에 따른 차이에서는 직무만족도는 시설유형, 교육수준, 월평균급여, 결혼유무 등이, 자기효능감은 결혼유무와 이직횟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r=21의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특히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직무만족도의 총점 및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1% 정도 설명하였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회인구론적 변인들의 경로에 대한 모형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ir self-efficacy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s were 170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Chungnam province. The instruments we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forward), path analysis, Sheffe´ test for a post hoc test, Cronbach's a for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by SPSS(10.0 version) and AM0S(4.0 version) 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total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university graduation, married status, high monthly salary, and employer of national child care center and their self-efficacy was high in married status and over twice in experience to take up other employment. Seco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21 in relation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ird, teachers' self-efficacy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explained about 3~15%. Finally, teachers' self-efficacy was an intermediation variable for their job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분석-인공신경망 분석의 적용

        강태원,이용기,이용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f SMEs’ organization members on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marital status by applying SEM-ANN analysis.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285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00 SMEs' organization members and analyzed. In this study, self - efficacy consisted of three sub-dimension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lf - efficacy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job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lso, married males preferred self-regulation efficacy, while females preferred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efficacy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ramework of self-efficacy-job engagement-job performance of SMEs by measuring the self-efficacy related researches mainly in education and service industries, and is meaningful that companies can help to find the basis of management of organization member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of organization members. In addition, the SEM-ANN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explains the nonlinear (nonobservative) relationship that can analyze the influence or the combination of the reference variables in the linear (compensatory) relation using the SEM.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SEM-AN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rtificial neural network) 분석을 적용하여 성별 (gender)과 결혼 여부의 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400명의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285명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 등의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혼 남성은 과제난이도 선호 , 기혼 남성은 자기조절효능감을 가장 중요시하나, 여성은 결혼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교육 및 서비스업종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를 다차원으로 측정하여,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효능감-직무열의-직무성과 간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기업들이 조직구성원의 성별, 결혼 여부에 따른 조직구성원 관리의 근거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SEM-ANN 분석 과정은 지금까지 SEM을 이용한 선형적(보상적) 관계에서 영향 또는 기준 변수들의 조합을 분석할 수 있는 비선형적(비보상적)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직무태만: 직원협동조합의 조절효과

        최동철,박노근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2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neglect.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roles of worker cooperativ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neglect because some previous studies do not fi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neglect. * To examine the hypotheses, this study used surveys of worker cooperatives and corporations conducted in 2016. Using the multilevel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study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negl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both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neglect were stronger in worker cooperatives than in corpor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on self-efficacy and worker cooperatives in several ways. To date, little research exists on mechanisms through which self-efficacy is related to job neglect and on roles of worker cooperatives in these relationship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on how self-efficacy may reduce job neglect and how worker cooperatives can desirably change these relationships. In addition, s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mployees with stronger self-efficac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engaged in job neglect less frequently in worker cooperatives than in corporations, this will likely trigger interest in worker cooperatives from society, the government, and practitioners.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만 사이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적 역할을 연구하였다. 자기효능감과직무태만 사이의 관계는 기존 논문들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자기효능감과직무만족 사이에 양의 관계, 직무만족과 직무태만 사이에 부의 관계를 보고하였으나, 일부 연구들에서는 그들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직무만족과 직무태만사이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조절변수로서 직원협동조합의 역할도 연구하였다. 2016년에 직원협동조합과 주식회사에서 실시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본 논문의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다수준조절된 매개모형(multilevel moderated mediation model)을 활용하여 직무만족이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만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 중요하게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사이의 양의 관계와, 직무만족과 직무태만 사이의 부의 관계가 주식회사보다는 직원협동조합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직원협동조합 관련 연구에 다양한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자기효능감이직무태만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과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서 직원협동조합의 조절적 역할에 대한 연구가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자기효능감이 직무태만을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직원협동조합이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다. 한편, 사회적 시사점으로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들은 주식회사보다는 직원협동조합에서 더욱 직무에만족하고, 직무만족이 높은 사람들은 직원협동조합에서 더욱 직무에 태만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직원협동조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 KCI등재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직무만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우성민 ( Woo Sung-min ),이진구 ( Lee Jin Gu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0년 3월 10일부터 4월 4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D그룹의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244개 케이스를 확보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패키지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직무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몰입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다섯째,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몰입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 사이에서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입사원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제고시키고,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new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pecifically, it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job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nd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0 to April 4, 2020, and 244 cases were secured for new employees of Group 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nfirmatory factor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ew employee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involvement. Second, the new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involvemen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the mediated effects of job involvement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verified. Fifth, the new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Sixth, job involvement was found not to have paid attention to self-efficacy. Therefore, job involvement is not mediat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lications and follow-up research were made to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new employees and to enhance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호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심리자본의 조절효과

        신은경,차오위,김진강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3

        호텔 직원의 직무성과를 관리하는 것은 조직의 성공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다수의 교육 프로그램들은 종사원의 감정을 자극하고, 합리적인 생각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심리학적인 변수들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관계에서 긍정적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자기효능감은 하위요인 세 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가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적 심리자본(희망)이 유사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는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적 심리자본(희망)이 유사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긍정적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복원력과 낙관주의는 유사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기업에서는 종사원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종사원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 등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훈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사원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원들의 희망과 자기조절효능감이 두 가지 심리적 정서를 통합적으로 중시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호텔기업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사원들에게 긍정적심리자본을 갖도록 하는 직무환경을 유지하고, 상사지원, 조직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고객으로부터 종사원의 인권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등 종사원이 조직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Job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is considered to be managed and regarded very importantly because it affects the success of organization. Recently number of education programs which stimulate emotions and help better control in the areas where the rational thoughts are seriously considered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noted as an improving factor of organization'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to job performance and moderation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Study results showed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in three sub-factors and confidence didn't aff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result was drawn that job performance is increasing a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re higher. Additionally in test results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moderation effects in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First, hope showed moderation effects in the effects of self-regulatory 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and the result was drawn that job performance could be expanded which could be increased by self-regulatory efficacy. However, optimism and resilience didn't show moderation effects i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to job performance and it was analyzed that optimism and resilience didn't affect the job performance directly as in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김은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내적 강화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융합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는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71명 의 임상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9월 20일부터 10월 4일 사이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 으나(r=.439, p<.001), 마음챙김과 직무만족도(r=-.067, p=.583), 자기효능감(r=-.142, p=.241) 간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β=.429, p<.001), 설명력은 25.9%이었다(F=5.772, p<.001). 마음챙김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4, p=.844). 본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한 요소로 임상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 증진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This is a convergence study to examin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r this explanatory survey research, 71 clinical nurses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were recruited.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4 in 2015 and analyzed with PASW Statistics (SPSS) 18.0 program.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439, 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r=-.142, p=.241) or mindfulness and job satisfaction (r=-.067, p=.583). Self-efficacy was the only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 on job satisfaction (β=.429,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fficacy could be a key facto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and many trials had to b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increase it for enhancing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옥인 ( Ok In Lee ),홍재영 ( Jae Young Hong ),박은영 ( Eun Young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결과, 직무스트레스 척도 중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요인과 자기효능감 척도의 자기조절, 자신감 요인은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rvey was completed 2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variables,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measurement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 workplace culture in subfactor of job stress and self-regulation, confidence in subfactor of self-efficacy were useful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a direct impact on job stress that appeared, and job stress showed that direct impact in the self-efficacy. Demographic variables appeared to be an indirect affect the self-efficacy.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stress demand have a positive effec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demand habe a negative effect. Thus the appropriateness of research model was good. This study focused o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일개 대학 RN-BSN 과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김상희 국가위기관리학회 2020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9 No.1

        본 연구는 RN-BSN 과정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 계를 분석하여 직무 스트레스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 이며 결국 간호측면에서의 국가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 시 소재 I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3, 4학년 학생 12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개발 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 KOSS-SF)을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0월 1일부터 2018년 10월 2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차이는 t-test, ANOVA로, 사후검정은 Scheffe 's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Pe 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총 6점 만점에 평균 3.54±0.27이었고, 직무 스트레스는 총 4점 만점에 평균 2.52±0.22로 중간 정도로 확인되었다. 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는 현재 근무부서, 근무형태, 현재 직위, 근무지 만족도, 취 미생활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 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하겠다. 그러 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RN-BSN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또 한 병원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in RN-BS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is study was also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eventually promote national development in nursing. A sample consisted of 122 RN-BSN students from 1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 October 2018 to 21 October 2018.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measured by KOSS-SF.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the SPSS 24.0 program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3.54±0.27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the average grade point was 2.52±0.22 points. Regarding the job stress resulting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sent department(F=0.58, p=0.012), type of work(F=0.31, p=0.011), position(F=0.41, p=0.047), satisfaction of place of work(F=0.38 p=0.023), hobby(t=1.91, p=0.048). Regarding th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job stress, there was the negatvie correlations(r=-0.39, p=0.029). Therefore, we should reduce job stress by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 the RN-BSN course should conduct research on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It also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systematic program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at school as well as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