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의 지형공간정보 서비스의 활용성 개선

        장훈(Chang, Hoon),전형진(Jeon, Hyung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1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은 환경영향평가 관련 정보의 다양화, 최신화 및 질적 향상, 그리고 평가서 및 협의의견 등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하여 평가서 작성의 기간단축 및 사회적 비용절감과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이를 제공하여 환경평가제도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본 시스템의 지리정보서비스를 소개하고 사용자들의 편의성 향상과 서비스 지원범위 확대 등을 위하여 시스템 사용자의 설문조사를 통한 지리정보서비스의 활용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지리정보의 자료 업데이트 관련한 개선방안으로 환경공간정보의 자료수집, 구축, 그리고 활용을 위한 일원화된 인벤토리 구축을 위하여 데이터하우스의 단계별 유통 및 연계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EIASS(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provided the various updated quality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data and the assessment reports through database system to support cost effective and stable services. Through this system users can access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and have great convenience in their relevant works. This study introduces geo-spatial information usages in EIASS and how this system developed the use of convenience and expansion of service ranges by user surveys.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step-wise delivery and links on one-stop database inventory for data collection, manipulation, and usages of geo-spatial information among environmental information.

      • "사이버" 도시 실현을 위한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김재윤 한국공간정보학회 200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효율성 있는 지형공간정보(Geo-spatial data)를 구축하기 위하여 공간정보를 3차원화 하고, 이것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각종응용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모색, 응용기술개발 등에 대하여 현재진행중인 「해운대구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중심으로 분석·종합하였다. 지리정보(Geographic Information)데이터의 획득과 효율성 있는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은 향후 GIS의 질적 신용도를 판가름하는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공간자료(Spatial Data)의 오차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효율적 구현을 위하여 추구하는 공간자료의 최종 결정체는 현실과 똑같은 개념과 수치, 속성정보(Attribute Data)를 가지고 있는 3차원 공간자료의 구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효율성 높은 공간자료의 구축기술이 개발되어 전 국토를 디지털화 하여 컴퓨터 안의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 국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공기관의 행정업무와 대민 서비스업무처리, 기업의 경제활동,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담을 수 있는 국토시뮬레이션 공간구축을 목표로 「사이버 도시」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사이버 도시」구축의 조기실현을 통하여 효율적인 GIS 실현과 기술강국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고 나아가 선진 기술수출로 해외시장을 개척해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more useful Geo-spatial data by building spatial data to three dimensional and utilize the database effectively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program, and application technology, which is on going based on “Haeundae three dimensional database construction project”. Furthermore, the acquisi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 and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of effective construction would be the important factors to judge the qualitative reputation of GIS. Above all, studies to create accurate data and overcome the error limitation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 Final form of Spatial Data to materialize efficient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ust be three dimensional spatial data which has attribute data, actual concept and numerical value of real world. In connection to that, development is on the move to improve building technique of useful spatial data and digitalize the entire country in cryberspace. $\ulcorner the cyber country lrcorner$is designed to mange the entire country systematically. This simulation would be able to cover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institution, public service, corporate business and even the public life in the cyeberspace though the computer. Materialization of efficient GIS and establishment of condition as technically strong nation through the early realization of $\ulcorner the cyber country lrcorner$will provide a great opportunity to open up the global market with exportation of advance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이사로,지광훈,박노욱,신진수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 자원환경지질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containing the process, which reveals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 sets, which occurred in Janghung area in 1998. Landslide locations were detected from remotely sensed image and field survey and topography, soil, forest, and land use data sets were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in GIS. As the landslide occurrence factors, slope, aspect, curvature and type of topography, texture, material, drainage and effective thickness of soil, type, age, diameter and density of wood and land use were used. To ex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base, likelihood ratio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Yongin area. Also,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 was calculated by summation of the likelihood ratio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was generated using the index.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base is helpful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lilndslide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is used to reduce associated hazards, and to plan land use and construction. 본 연구는 1998년 경기도 장흥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취약성 분석을 목표로 산사태와 공간정보사이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산사태 발생위치는 원격탐사 영상과 야외 조사를 통해 작성하였으며,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지형, 토양, 임상 및 토지이용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자료로는 경사, 방위, 곡률을, 토양자료로는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유효 토심을, 임상자료로는 임상, 영급, 경급 및 밀도를 이용하였다. 산사태 발생과 공간정보사이의 관계는 우도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추출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분석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우도비를 이용하여 연구지역 전체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지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사업, 국토개발 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재관리를 위한 데이타베이스시스템 구축

        최석근 경북실업전문대학 1996 慶北實業專門大學論文集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 문화재에 대한 계승·발전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석탑을 대상으로 근거리 사진측량기법에 의한 자료수집 및 자료처리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이용된 근거리 사진측량기법은 중요 문화재의 자료수집 및 정보화를 수행하는 데에 신속·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3차원 도화를 통해 문화재 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2. 문화재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관련된 도면 및 자료를 연계하므로써 종래의 이원화되어 있던 시스템에서 일원화 관리시스템으로 구축하므로써 관리업무의 고도화를 이룰 수 있었다. 3. 본 시스템은 관측자의 시각에 따라 대상물을 3차원 도시할 수 있고, 화면상에서 자료 보완·편집하는 등 한 화면에서 도시 및 분석, 출력 등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므로써 문화재 관리업무의 편의성을 이룰 수 있었다. 4. 본 개발시스템의 구동환경은 컴퓨터에 대한 비 전문가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인 컴퓨터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GSIS를 이용한 적조발생지의 공간결정 연구

        김진기(Kim Jin G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2

        기존 유해성 적조의 발생해역에 대한 공간결정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적조발생지와 소멸지에 대한 공간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좀 더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방법으로서 적조의 발생과 이동에 따른 시?공간적인 방법으로의 분석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발생되는 유해성 적조 발생지에 대한 공간을 파악하기위해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GSIS기법을 적용 해안선을 추출하였으며, 수년간 발생된 적조발생 자료를 근거로 발생지의 공간위치를 결정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지 중 여자만 일대에서는 적조의 발생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고 남해 돌산도와 남해도 앵강만 해역일대에서 최고의 발생빈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해역에 대한 적조의 분포상황을 시공간적으로 판단하여 이동경로 해역의 예측과 피해의 사전예방이 가능 하리라 판단된다. Few researches related to the spatial determination of areas where red tide occurs have been performed, so accurately determining the area where red tide occurs and disappears poses difficulties. Therefore, a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ccurrence and movement of red tide based on a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coastline was extracted using a digital topographic map in order to examine areas where red tide occurs each year. An analysis of red tide occurrence areas, which were determined based on red tide data for the last several years, showed that only Yeoja bay had almost a zero case of red tide of the areas studied, whereas Dolsando in the South Sea and NamHaedo Aenggang bay areas exhibited the highest frequency of red tide occur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by using a system that determines the geo-spatial distribution status of areas repeatedly hit by red tide every year, it would be possible to predict the course of red tide and prevent consequent damages.

      • KCI등재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전통마을의 입지 및 공간구조 분석 방법

        한필원(Han, Pil Won),민관식(Min, Kwan Sik) 한국지적정보학회 2016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동구 이사동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정량화된 지형공간정보의 취득과 객관화된 해석을 통해 공간형상 분석을 함으로써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수치표고모델을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표고, 경사도, 경사방향, 가시권 및 음영기복도를 구축하여 전통마을의 입지를 지리적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데이터 구축으로 3차원 시각이미지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정성적 접근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통마을 입지와 공간구조 특성을 객관적이고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같이 구축된 지형공간정보는 향후 지역개발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shape through the acquisition of quantified geospatial information and its analysis in the case of Isa-dong, a traditional village which is located in Daejeon city. Based on the digital elevation model, this study has built the elevation, slope, aspect, viewshed, shaded relief image of the target area. The geographic loca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village is analyzed quantitatively and grasped objectively by means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produces 3D visual images. This study shows that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qualitative approach can be overcome with the quantified approach based 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which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e compatible.

      • KCI등재

        지형공간정보체계를 활용한 소수력 개발의 입지분석

        이충성,김길호,이진희,심명필 한국수자원학회 200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0 No.12

        소수력은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은 청정에너지중의 하나이며, 국내 부존량이 매우 풍부하기 때문에 최근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소수력 개발을 위한 자원조사나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매우 미흡한 상황이어서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수력 개발의 계획단계에서 입지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약기준과 입지기준을 설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각 Small hydropower is the one of the cleanest one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with less green house gas emissions. Recent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mall hydropower is emerging since its remaining potential resources in this country are abundant. Ho

      • KCI등재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봉수의 입지에 관한 연구 - 오해야항 봉수를 중심으로 -

        이동화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2

        Beginn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Chosun Dynasty, Signal Fire was a signaling system to promptly inform the central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situation of the border area with torches and smoke. Signal Fire can be divided into Capital Signal Fire, Inland Signal Fire, and Costal Signal Fire. Among them, Costal Signal Fire served as defense and backdrop for attack as well as signal transmission, unlike Capital Signal Fire and Inland Signal Fire. In this paper, we try to look at the role of the Costal Signal Fire from the standpoint of the observation, and tried to approach the Costal Signal Fire located in Busan City u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mentioned in the old literature and related papers. This paper analyzes the visible area of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viewshed analysis of the GIS analysis techniqu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d the lo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ation of the Oheyahang signal fire which has two different opinion for position of signal fire in the old document or the ancient map and the reasonable position of Oheya signal fire was identified.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봉수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상황을 신속하게 중앙 및 주변에 신속히 알리기 위한 신호체계였다. 봉수에는 크게 경봉수, 내지봉수, 연변봉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연변봉수는 내지봉수나 경봉수와는 달리 신호전달의 목적 이외에도 적침에 대한 방어 및 후망 등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변봉수 중에서 오해야항 봉수대에 대해 문화재적 시각으로 현대기술을 접목하여 GIS의 가시권분석을 통해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문헌 및 관련논문에서 언급한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연변봉수에 대해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GIS분석기법의 가시권분석을 통하여 각 봉수대에서 주변으로의 조망영역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고문헌이나 고지도 상에서의 봉수위치에 대한 이견이 있는 오해야항 봉수를 대상으로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망의 관점에서 오해야항 봉수의 적정위치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 KCI등재

        GIS를 활용한 생태산업단지 및 재활용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강경호(Kang Kyung Ho),방건석(Bang Keon Suk),손홍규(Sohn Hong Gyoo),정재훈(Jung Jae Hoon),김창재(Kim Chang J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정부에서는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부산물과 폐기물을 다른 기업의 원료나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EIP: Eco Industrial Park)을 2010년부터 전국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GIS를 이용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는 국내외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네트워크 구축의 체계적인 확대를 위해 GIS 기반의 생태산업단지 구축 방안을 연구하였다. 실제 경기도내 특정 산업단지에서 조사된 업체정보와 업종별 산업폐기물정보를 토대로 GIS 공간입지 분석을 활용한 업체간 폐기물 재활용 연계 분석, 지원시설 최적입지 선정, 폐열회수 최적네트워크 설계 등을 수행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해 생태산업단지 재활용 네트워크 구축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 기반 생태산업단지 및 재활용 네트워크가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nationwide Eco Industrial Park (EIP) project to recycle by-products and wastes in industrial park since 2010. However,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is insufficient to support the project.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GIS-based management can be an alternative of the current statu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recycling network based on EIP using GIS approach. Two industrial park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study sites. GIS-based spatial lo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of recycling company, and to identify linkage of one manufacture to the other manufacturers based on the types of waste. Also, the optimal network for recycling of waste heat was established. Finally, the feasibility of the current GIS-based recycling network was established by performing benefit-cost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