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충청 지역주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특성

        김욱(Kim Wook) 한국정치정보학회 2007 정치정보연구 Vol.10 No.2

        거시적 차원에서 보면 한국의 선거 과정에서 지역주의의 영향력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다 미시적인 차원에서 지역주의의 내부적 성격은 지난 20년간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처음에는 3김을 중심으로 한 특정 정치지도자와의 감정적, 정서적 유대감에 의존했던 지역주의가 이제는 감정적 요소보다는 이념적, 정책적 요소를 다분히 갖게 되었다. 그리고 지역주의는 지역별로 다른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다. 본 연구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충청 지역주의는 영호남 지역주의에 비해 공고화의 수준이 낮다. 처음부터 영호남 지역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탄생했으며 표의 수나 결속력의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세에 위치한 충청 지역주의는 주도적으로 대권을 차지할 능력을 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충청 지역주의는 전략적 성격을 강하게 띠며 유연하고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또한 영호남 지역주의에 비해 이념성이 약하고 대신 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다. 영호남지역주의가 각기 보수 및 진보 이념과 중첩되면서 한국 정치의 커다란 균열 축을 구성했다면, 충청 지역주의는 그러한 공고화를 경험하지 못하고 아직도 가변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At the macro level, the influence of regionalism in the Korean electoral process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f one looks its internal characteristics at the micro level, however, they have gone through significant changes over the past 20 years. The old regionalism, which relied heavily on "emotional" ties with prominent political leaders from particular regions (e.g, the three Kim'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new regionalism, which has more ideological and policy elements. And in the process, different regions have developed different forms of regionalism. Regionalism in Chung-chung region, in particular, is less consolidated than Ho-nam and Young-nam regionalism. Chung-chung regionalism, rather than seeking hegemony, has taken a more strategic approach, exhibiting greater flexibility and versatility. It is not so ideologically oriented as Ho-nam and Young-nam regionalism, thus focusing on gaining actual benefit through specific policies, as exemplified in the case of "relocating the Capital" to Chung-chung region. In short, Chung-chung regionalism is quite utilitarian in nature.

      • KCI등재후보

        역대 선거를 통해서 본 충북 지역주의의 동태와 특성

        정상호,송정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選擧硏究』 Vol.1 No.8

        본 연구는 전국적 단위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주의가 충북지역에서는 어떤 양상 및 관계로발전하고 있는지를 역대 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다음과같다. 첫째, 충북에서의 지역주의는 1987년 민주화 이전까지는 발견할 수 없었다. 충북의 지역주의는 1987년 대선과 1988년 총선을 거쳐 형성되었고, JP가 민주자유당을 탈당(1995.2.9)하고 자유민주연합(이하 자민련) 을 창당(1995.3.30) 하여 신당 돌풍을 일으켰던 15대 총선과 15대대선에서 정점을 이루었다. 하지만 DJP 연합의 해체 이후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과 탄핵 열풍이불었던 17대 총선(2004) 을 거치면서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둘째, 충북의 지역주의는 충청 지역주의와 공통점과 차이를 갖고 있다. 공통점은 영호남 지역주의에 비해 공고화와 결속력의 수준이 낮다는 점이다. 처음부터 영호남 지역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탄생했으며 표의 수나 결속력의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세에 위치한 충청 지역주의는 주도적으로 대권을 차지할 능력을결여하고 있다. 따라서 충청 지역주의는 전략적 성격을 강하게 띠며 유연하고 다양한 모습으로나타나게 되었으며, 또한 영호남 지역주의에 비해 이념성이 약하고 대신 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다. 차이점은, 충남 ․ 대전과 달리 지역주의의 존속 기간이 짧고 강도가 약했다는 점이다. 이는 지역주의를 주도한 정치인과의 친밀성과 유대감이 낮고, 개방적인 역사적 정체성을갖고 있으면, 수도권과의 교류가 밀접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 on regionalism which is said to be most strongly have influenced on the Korean electoral process. Especially this articles try to explain not Chung-chung regionalism but Chung-buk Regionalism viewed from Elections in History. This paper find new facts. First, Chung-buk Regionalism could not discover before democratization in 1987. It was formed by the occasion of presidential election in 1987 and general election in 1988. And Chung-buk Regionalism reached its peak when JP resigned his membership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1995 and formed the United Liberal Democracy party(ULDP) in 1996. But it was rapidly dissolved following Roh Moo-hyun’s getting elected president(2002) and gale of impeachment(2004). Second, Chung-buk and Chung-chung Regionalism have differences as well as the commonalities. A point of sameness is less consolidated than Ho-nam and Young-nam regionalism. Chung-buk regionalism, rather than seeking hegemony, has taken a more strategic approach, exhibiting greater flexibility and versatility. It is not so ideologically oriented as Ho-nam and Young-nam regionalism, thus focusing on gaining actual benefit through specific policies. differences among them, lifetime and strength of Chung-buk regionalism had been short and vulnerable by far than Chung-chung regionalism. We can interpret this disparity on account of weak affinity to politician who leaded the regionalism and opening identity.

      • 여론 주도층과 지역주의 선거 : 17대 총선에 대한 경험적 연구

        정병은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4 사회발전연구 Vol.- No.10

        정권교체 이후, 3김씨가 모두 출마하지 않은 선거에서도 지역에 따른 유권자의 차별적인 투표행태는 계속되고 있다. 지역주의가 유지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서는 개별 유권자의 연결망이 선거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지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연결망 내에서 영향력 있는 위치를 차지하는 여론주도층의 특성과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지역주의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동원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17대 총선에서 강남(갑)과 관악(을)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선거전·후로 수집된 면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40대가 여론주도층으로서 타인의 태도와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이 여론을 주도할 수 있는 것은 고학력 등의 개인적인 속성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보여지는 특성, 그리고 그 속에서 우호적인 감정, 신뢰, 충성심을 갖기 때문이다. 여론주도층은 다수의 타인과 잘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망 내부에서 한편으로는 참신하고 새로운 정보를 확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조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여론 주도층은 지역주의 요인(지역감정, 지역애착, 지역의식), 투표기준, 투표행태의 측면에서 모두 지역주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주의 정당 체제는 지역주의 성향이 강한 여론 주도층을 동원하여 효과적인 선거전략을 전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주의 선거가 소멸되기 위해서는 40대의 지역주의 성향이 소멸되거나, 아니면 40대의 연결망이 갖는 여론 주도적인 특성이 약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pla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which has been persistent in Korean elections on the social network of voters. How does the social networks of voters operate in the election, what are their effects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I argue that not only personal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attributes but also voter's social network is important to determine his/her propensity for regionalism and political preference. I focus on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opinion leaders who occupy influential positions in the stratified voter's networks. Generally the voters in forties have led political opinions and decision-making in Korean regionalistic elections. Two districts from Seoul are selected to represent the regions where the typical Korean voting behavior is observed, and 600 voters are interviewed to b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in both pre- and post-election. Findings support the arguments on social network presented. In the term of type and characteristic of social network, the voters in forties are different. Their social network is well connected, and has advantages in diffusion of news and group assimilation pressure. And the political propensity and voting behavior of opinion leaders are definitely regionalistic. So it is they that have a key to solve the regionalism problem in Korean elections.

      • KCI등재

        지역주의 투표행태에 대한 게임이론적 접근

        權贊晧 한국의정연구회 2016 의정논총 Vol.11 No.1

        이 글은 기존의 합리적 선택이론들이 지역주의 문제의 게임이론 모형화와 관련된 쟁점들을 충분히 다루지 않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지역주의의 투표를 어떻게 게임이론으로 설명할 있는지를 모형화해 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합리적 선택이론에 대한 기존의 비판들이 합당한지를 검토한 다음 게임의 모형화 문제를 다루었다. 연구결과 투표영향력(voting power)을 전략에 대한 보수(payoff)로 삼을 경우 지역주의 투표와 비지역주의 투표가 죄수의 딜레마 구조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지역 단위에서도 무임승차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지역주의 투표의 문제는 지역내부와 지역 간이라는 두 차원에서의 딜레마가 중첩되어 있는 ‘중층적 죄수의 딜레마(layered prisoners’ dilemma)’ 구조로 이해될 수 있음을 밝혔다. 게임이론적 접근법이 갖는 의의로는 지역주의 투표의 옳고 그름에 대한 규범적 판단의 근거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함을 지적했으며, 지역주의 투표의 해소방안과 관련해서는 양자적 상호작용(dyadic interaction)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복게임의 해법 논리가 지역주의 투표 문제에 적용되기는 어려우므로 투표자들의 ‘확장된 자기이익’에 기초한 선호의 변형만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주장했다. This study tried to explain regional voting behavior by applying game theory. Literature review on the rational choice theory does not deal with game theoretic model fully on regional voting issue.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a model of regional voting behavior and analysed the types of it. Research finding are as follows: Regional voting and non-regional voting had a prisoners' dilemma structure. Regional voting behavior has layered prisoners’ dilemma on condition that voting power is considered as a payoff. It has internal and intra-regional section and each one has free rider problem.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dyadic interaction of repetition game does not adjust to the regional voting behavior. If this finding is true, the best way to resolve regional voting behavior will be voters' natural preference transfer based on the self- interest well understood.

      • KCI등재

        충청 지역주의의 변화와 지역정당해체

        장수찬(Soo Chan Jang) 한국정당학회 2006 한국정당학회보 Vol.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충청 지역주의의 특성과 변화경로를 경험적으로 추적하여 해명하고 지역주의의 해소경로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는 것이다. 충청지역에서 지역주의는 2000년 17대 총선과정을 거치면서‘자민련 해체현상’을 거쳤고, 2002년 대선에서는‘전통적 지역주의’에서‘정책적 지역주의’로 이동하고 있음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정책적 지역주의’역시 지역균열이라는 이슈차원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어서 지역주의의 해소라기보다는 또 다른 형태의 지역주의로 이해된다. ‘행정복합도시’를 둘러싸고 충청지역에 새롭게 나타난‘정책적 지역주의’는 보다 구체적이고 과시적인 지역이익에 반응하여 지역민들의 정치적 지지가 결정되었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지역주의와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충청지역의 정책적 지역주의는‘전통적 지역주의’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국가권력 혹은 대권을 누가 차지하느냐에 따라 지역이익이 대단히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인식을‘정책적 지역주의’는 ‘전통적 지역주의’와 공유한다. 전통적 지역주의는 국가권력의 소유권을 누가 차지하는가 하는 단차원적인 정치결과에 집중적 관심을 보여 왔다. 그리고 정당체제가 지역균열을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권자들의 선택은 단선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정책적 지역주의’는 충청지역 유권자들의 관점에서 보면‘합리적 선택’이라는 것이다. ‘신행정수도이전’이라는 쉬운 쟁점 역시 한국정당체계의 구조 때문에 다른 양태의 지역주의를 재생산할 수밖에 없었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and to map the changes in regionalism based upon empirical data. The 17th congressional election held in 2000 showed that 'Jaminryun' (The Coalition for Freedom and Democracy) lost its monopolistic status among voters in the region.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majority of voters in the region cast their ballots in favor of candidate Roh Mu Hyun based on his campaign promise that if elected, he would move the capital of South Korea to Chungcheong Province. This voting behavior was depicted as policy-based regionalism by pundits and scholars. Under the scenario of policy-based regionalism, voters in the region respond to specific, anticipated economic interests, in this case, that the new capital city would be established in the region. In traditional regionalism, voters' emotional ties and loyalty to a candidate play a pivotal role in determining their ballot behaviors. However, policy-based regionalism is not far removed from traditional regionalism, in the sense that the voters' primary concern is about who will take over the power of state rather than a specific socioeconomic policy aiming at various social classes. The current voting behavior based on regionalism is, to a large extent, attributable to the party system which is primarily built upon severe regional cleav-age. Under this sort of party system, the voter's rational choice is to cast his ballot to the party candidat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regional interests.

      • KCI등재후보

        한국 지역주의 선거의 원인과 기원, 그리고 그 심화과정 - 집단적 결집과 정당일체감을 중심으로 : 한국 지역주의 선거의 원인과 기원, 그리고 그 심화과정

        문순보(Moon Soon B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사회연구 Vol.- No.7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정치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해온 지역주의 선거의 원인을 분석하고, 지역주의 선거의 기원과 그것의 심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주의 선거의 원인은 정치권과 유권자의 상호책임과 관련이 있다. 지역주의 선거는 집단적 결집과 정당일체감에 따른 정치권과 유권자의 상호작용의 결과였다. 이와 같은 주요 논지를 입증하기 위해 필자는 Hardin의 집단적 결집(collective coordination) 모델을 적용하여 1963년부터 1997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정치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주요 선거들의 사례분석에 치중했다. 지역주의 선거의 원인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선거 경쟁 자체가 지닌 냉혹함이다. Hardin의 집단적 결집 모델은 한국에서 반복되는 지역주의 선거의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먼저 정치권에서는 패권적 권력경쟁의 수단으로 유권자들을 동원하기 위해 지역감정을 조장한다. 유권자들은 특정 정당과 강한 일체감을 느끼면서 집단적 결집을 행사한다. 지역주의 선거가 온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경쟁적인 둘 이상의 지역에서 정치권과 유권자가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한국에서 지역주의 선거의 본격적인 기원은 1971년에 치러진 제7대 대통령 선거였다. 그 후 현재까지 한국의 정치과정에서는 지역주의 선거가 지속적으로 파괴적인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지역주의란 정치권과 유권자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정치권의 조작과 전략이 아무리 정교하고 선동적이라 할지라도 유권자의 실제 투표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지역주의 선거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지역주의 선거의 해결을 위해서는 유권자 모두의 책임있는 주권실현 자세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ause, origin, and deepening process of the regionalism in Korean elections. Hardin‘s collective coordination model is applied to analyse several cases that are thought to have great influences on regionalism in Korean elections. The politicians and the voters have mutual responsibility in the regionalism. Resionalism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arty. The official regular election where the regionalism first observed in Korea was in 1971. Park Jung-Hee and Kim Dae-jung used regional emotions in their presidential election. Since then, regionalism continues to have destructive effect on political process in Korea. In order to win in the power struggle of hegemony, politicians instigate the voters in their area bad emotions toward people of competing area among. The voters in return feel strong bond with that specific party and identify themselves with it. This is the mechanism of collective coordination shown in the elections of Korea. The regionalism in Korean elections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politicians and the voters. If the voters vote according to their own political beliefs, the phenomenon of the regionalism in Korean society may no longer exist no matter how instigative the politicians may be.

      • 지역주의와 WTO의 다자주의에 관한 소고

        이풍림 전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19 No.1

        다수의 지역무역협정이 다시 새로운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지역주의가 WTO 다자주의체제에 미치는 영향여부가 중요한 논쟁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역주의와 WTO의 다자주의를 검토한다. WTO의 최근 자료 이용하여 WTO의 다자주의에 미칠 영향에 초점을 두고 문헌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지역주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역사적 발전과정과 지역주의의 확산을 살펴본다. 또한 지역주의와 WTO의 다자주의에서 GATT/WTO에서의 지역주의 그리고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에 대한 논의로 대별하여 검토한다. 이러한 문헌적인 검토결과, 전반적으로 지역주의는 WTO의 다자간 무역자유화를 촉진시키는 요소로 작용하여 다자주의에 다소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한국 정당체계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이론(1948-2000)

        온만금(Mahn-Geum Ohn)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3

        이 논문은 한국의 역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거법과 지역주의가 정당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 한다. 이를 위해 선거법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선거법과 지역주의가 정당체제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거에서 지역주의가 다차원적 개념임을 밝히고 정당 편파성, 지역 편파성, 그리고 총체적 지역주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지표를 구성,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특히 1988년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당 편파성, 지역 편파성, 총체적 지역주의 수치가 높아졌는데, 지역주의가 강한 상황에서는 다수대표제하에서도 소수당이 불리하지 않고 다당제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당체계에 대한 선거법의 영향은 지역주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새로운 이론이 타당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첫째, 정당 편파성, 지역 편파성, 총체적 지역주의 등 지역주의의 여러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경험적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주의를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과거 정당체계 연구에서 등한시한 지역주의 요소를 선거법과 더불어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제도적 장치인 선거법과 더불어 지역주의와 같은 내재적 사회갈등구조를 함께 고려할 때 비로소 정당체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regionalism and electoral rule have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arty system by examining the national election since 1948. For this research, a critical review on the existing theory that has emphasized only the effect of electoral rule is followed by a theoretical suggestion that both electoral rule and regionalism affect conversion ratio and, thus, party system. To examine the new theory, the paper suggests new concepts and their indices to measure the degree of regionalism in the parliamentary election. Those concepts are party skewedness, regional skewedness and overall regionalism, which are logically and empirically specifiable. Through analysis of electoral data, it was found that levels of the three concepts all have increased since 1988, the year when several region-based parties competed for the first time. With a high level of regionalism, minor party is not penalized in number of seats and this encourages formation of multi-party system even under the plurality rule. This paper could trace the trend of multi-faceted regionalism by identifying several indices to measure regionalism. It also specified several new conditions and associated empirical outcomes that are beyond the scope of existing theory. By considering regionalism and electoral rule jointly, new theory gains more explanatory power than the previous one in that it covers many exceptions under old theories as legitimate cases.

      • KCI등재

        동아시아지역주의와 평화: 역사, 구조, 함의

        이홍규(Lee, Hong Gyoo)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4

        본고는 근대 시기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형성 과정을 평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평화와의 ‘역사적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역사적 조건 하에서 동아시아 지역주의를 구축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추론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고는 현재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저해 요인을 구조적 차원에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미국의 지속적인 역내 개입과 중국의 부상으로 미중관계가 오늘의 동아시아 질서의 구조적 특징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종합적으로 본고는 이를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새로운 모색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과거 동아시아지역주의의 역사적 과정에서 보다 구체적인 교훈을 얻어 동아시아 평화 구축의 역사적 방안을 찾아내고 오늘날 동아시아 지역주의를 제약하는 구조적 장애를 극복할 방안을 찾아내 진정한 동아시아지역주의 구축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formation of regionalism in East Asia from the modern period to the present, focusing on the issue of peace. This is to deduce historically necessary conditions for East Asian regionalism by analyzing the “historical correlation” between East Asian regionalism and peace.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hinder regionalism in East Asia at the structural level. In particular, the US-China relations also reveal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day"s East Asian order due to continuous intervention of US and the rise of China. Through this,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a new search for regionalism in East Asia. In other words, by learning more concrete lessons from the historical process of East Asian regionalism in the past, it seeks to find the historical solution of building peace in East Asia, and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structural obstacles that limit East Asian regionalism today. This is the way to establish true East Asian regionalism.

      • KCI등재

        세계화의 패러독스: 지역주의의 병존과 심화

        유호근 ( Ho Keun Yoo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0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8 No.3

        현상적으로 보면 세계화의 진행과 지역주의화의 심화가 동반하여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리제이션과 지역주의화는 서로 모순적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테면 글로벌리제이션은 세계화, 지구촌화 등으로 이행하면서 국가 간의 경계를 낮추고 세계를 하나 된 시장통합의 방향으로 이끄는 움직임이다. 한편 지역주의화는 세계적 차원이 아니라 설정된 지역의 경계에 기반 한 협력관계의 설정이다. 이러한 새로운 지역주의화는 정치, 경제적 이익의 공유를 토대로 공간적 인근성의 경계를 넘어 상상된 지역주의 속에서 선별적 국가들이 중심이 된 지역협력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세계화와 지역주의화는 동시에 병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화의 가속화 속에서 지역주의화는 더욱 진전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한 답을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자주의에 입각하여 현재화 한 세계화의 양태와 지역주의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본다. 둘째로, 지역주의의 역사적 맥락을 반추하면서 지역 협정 체결의 정치적 경제적 동인을 탐색한다. 즉 정치, 경제적 동태성에 기초하여 새로운 지역주의화 과정을 살펴본다. 세계무역 자유화 보다 지역차원의 무역 자유화가 급증하는 등 지역주의화의 원인과 그 효과에 주목한다. 셋째로 다자주의에 입각한 세계화와 지역주의 간의 관계에 대한 맥락적 성찰을 통해 세계화와 지역주의의 모순적 동거현상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탐색을 한다. 결국 세계화의 다자주의적 맥락의 거시적 경향성 속에서 지역주의의 지속적 강화 현상은 경제적 평가 이외에도 정치적인 고려가 동시에 작용하는 정치경제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세계화와 지역화에 대한 결정론적 지향성보다는 두 조류의 흐름에 따른 적절한 선택적 절충 방식의 정책적 좌표에 대한 심도 있는 천착이 필요할 것이다.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world order are the post-cold war, and the mutual dependent phenomenon of states. The key phenomenon of this changing world represents WTO(World Trade Organization) system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is, so called, says the globalization. In the same time, the economic bloc formation is told as the regionalism. there has been a domino effect of regionalism for regional trade agreements since the mid-1990s. The principal form of regionalism is one that involves a free trade area within which external countries can be discriminated. On the era of giobalization it is paradox that regionalism is spreading and deepening. This article investigates a historical process of regionalism, a perspective on coexistence of regionalism and globalization, and a primary cause of regionalism under globalization. Regionalism is complex. But, given its political appeal and its likely spread, it is important to contain and shape it in the ways sketched here so that it becomes maximally usefel and minimally damaging, and consonant with the objectives of arriving at multilateral free trade fo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