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269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ver the country a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o collect basic data for community use skills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order in korea. Pla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necessity and support need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listed in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are 1) Link to IEP objective of students with disorder are not enough wh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laned. 2) ecological assessment are actively practiced for prior and post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3) class-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efore community-based instruction. 4) instruction strategies that is important to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ely practiced, but visual prompt is not used enough. 5) Instruction for use of money in community are not enough. Every teacher gives positive response to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but their biggest inquiry are staff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it surveyed specifically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needs, and then proposed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 KCI등재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 및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P>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질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 고등학교 특수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 실행,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 계획시에 장애학생의 IEP 목표를 참조하거나, 현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전년도 IEP를 참조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 전ㆍ후에 평가를 위해서 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나가기 전에 교실중재를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었다. 4)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들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나, 시각적 촉진법 사용은 미비하였다. 5) 지역사회현장에서 돈 이용하기지도가 미비하였다.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 시에 지원인력과 재정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특수학교 중ㆍ고등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P>

      • KCI등재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 조사

        장혜성(Chang Haes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지역사회적응기술 교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지역사회 중심교수 계획,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행, 지역사회중심교수 평가 및 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필요성 및 지원요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1)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위한 계획서 작성 및 실시 전 평가에서 IEP와의 연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2) 지역사회중심교수를 계획, 실시, 평가할 때에 필수적인 과정인 현행수준파악을 위한 평가, 실시 전 답사, 가정연계, 실시 후 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3)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진행할 때에 중요한 교수전략인 자기결정권, 다양한 일반화, 시각적 촉진, 사전지도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4)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매우 저조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연령 및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비장애학생의 참여가 증가하였고, 중고등학교 교사 모두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수강한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교사보다 지역사회중심교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 및 교사들의 지원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In this research, we will propose basic data for model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fter we research community-based instruction of special class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Korea and teacher s support needs. We surveyed 207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over the country with questionnaire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community-based instruction implementati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evaluation and support,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cessity,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support needs. Several survey results can be presented. Link betwee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lan and IEP are poorly performed. Process and instruction strategy required for pl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poorly done. Peers don t participate in a lot. Eve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agree on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eachers who joined lectur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need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more than those who didn t join the lecture. High school teachers need it more than middle school teachers.

      • 서울시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의 지역사회중심 교수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진영,한경근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7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9 No.-

        이 연구는 서울시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의 지역사회중심 교수 운영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지원 및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필요성 및 적용가능성을 고찰하며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특수학교의 2005, 2006, 2007년도 재택·순회교육 담당교사5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택·순회교육의 지역사회중심 교수운영은 학생의 장애 정도 및 능력에 따라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유·초등부는 여가시설 이용하기, 중·고등부는 가게 이용하기를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운영하면서 학생의 중증장애로 인한 건강 및 안전 관련 문제와 이동에 필요한 교통수단 마련 및 이동의 어려움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실시하지 않는 이유 역시 이러한 어려움과 상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 운영 시 가장 도움을 받는 인적자원으로는 학부모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학교에서는 이동차량을 지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 단체의 지원에 대해서는 실제적인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 운영을 위해 학교차원에서는 통학방법 및 인적자원의 배치를, 지역사회 내에서는 도로 및 건물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지원 및 개선해야 하며, 학부모가 협조 및 지원해야 할 사항으로는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교육 효용성 인식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지원 및 개선을 통해 재택·순회교육 대상학생들에게 학교복귀를 위한 방편의 하나로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적극적으로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actic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tinerant education settings to suggest systematic ways improv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those settings. A total of 52 special education itinerant teachers in Seoul were asked to fill out a survey asking about the practice of itinerant education, problems and issues deliver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heir ideas to improve the instruction.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were mainly for using recreation facilities and stores in the community setting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students' disabling conditions. The teachers reported that health and safety, transportation, and difficulties moving around were issues in deliver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se results indicate d the needs of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 and additional staff from school, improving barrier-free community facilities and parental supports and participation. Further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 KCI등재

        특수교육현장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목적인식과 실행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장혜성 한국직업재활학회 2011 職業再活硏究 Vol.21 No.3

        This is a research on objective-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for special schools or resource rooms. As results, special teachers' objectives-understanding for community-based instruction are “activities to offer variety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Three main themes and eleven sub themes came out from circle of “activities to offer variety of experiences," and three main themes and thirteen sub themes came out from circle of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epare for future."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appropriately understood the purpos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were able to implement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leading to successful outcome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feel the need for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focused on simple enjoyment and health improvement, resulting in less successful outc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s follows. Training should be given and case of successful application should be actively presented to help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 right objectives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get knowledge of systematic instruction plans.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중고등부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서면접과 심층면접을 통해서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과 실행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들의 인식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은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과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대비되어서 나타났다. 교사들이 인지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두가지 목적의 차이에 따라서 실행의 과정이 차별화되어서 진행되고 있었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교사영역에서 주제 3개, 부주제 11개,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인식하는 교사영역에서 주제 3개, 부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장애학생의 미래를 준비하는 활동’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올바르게 인식한 특수교사는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교수계획을 통해서 많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인식한 특수교사는 구체적인 교수계획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성과도 단순한 즐거움, 체력증가에 두고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현장에서 정기적으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행하고 있는 특수교사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목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그에 맞는 교수계획을 준비하여서 장애학생을 지도할때에 비로소 장애학생이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할수 있다. 현장 특수교사들이 지역사회중심교수 목적을 바르게 인지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교수계획에 관한 전문성있는 지식을 갖춘 지역사회중심교수자가 되기 위해서는 연수 및 교사 성공사례발표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초등특수학급교사와 특수학교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실태 및 인식 비교

        조수현 ( Su Hyun Cho ),김은경 ( Eun Ky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ㆍ경기ㆍ인천 지역에 있는 초등특수학교교사 99명, 초등특수학급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에 대한 교사 집단별 차이는 빈도 분석 및 검정을 하였으며, 교사 집단별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인식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t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를 보면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시 문서의 구성요소, 고려사항, 지역사회 방문 횟수, 학생들의 흥미와 주의력의 정도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와 초등특수학교교사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중시교수 계획 시 참여하는 인적자원,문서작성, 시간배당방법, 교수자료,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에 참여하는 인적자원에서 실태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중심교수 인식에서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념의 이해와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발 및 실행 요소들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실현가능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가 초등특수학교교사에 비해 지역사회내 지역사회중심교수실시 지역선정과 학생 수행에 근거한 과정적 평가에서 실현가능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researcher i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inety-nine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seventy-eigh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ractice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M(Mean),SD(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First, on the realities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document constituent, consideration on devising pla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umber of community-based visit, interesting and attention of students.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other parts. Second, on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i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mmunity -based instruction - to instruct students on variable and natural community -based environment - and for all constitu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development and action.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the realizable possibility.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 적용사례 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김진호(Kim Jinho H.),권승희(Kwon Seung H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연구동향과 실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지역사회중심교수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여,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10편의 적용사례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11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과 기법,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결과, 유지 및 일반화)에 따라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다양한 기법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장애학생의 지역사회시설 이용기술, 이동 및 여가기술 등을 습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습득된 기술은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고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의 목표기술은 직업적응이나 거주적응과 같은 일상생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통합된 기술보다는, 제한된 기술영역에서 개별적이고 분리된 과제들을 목표기술로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1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와 지역사회 적응관점에서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Community-based instruction(CBI)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to improve skill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newly learned skills to everyday living environments. Community-based instructio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e community integration and successful adult life adjustment especiall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07 revealed 10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This study analyzed the 10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11 analytic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ation, treatment fidelity, result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primary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components and target skills of the analyzed studies. In general, this review study showed that community-based instruction programs were effective in teaching community living skills and improving generalization of learned skills to community setting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11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다중요소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ackage using the multi-components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community use skills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four typical peers in an inclusiv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nitored using a single subject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activities. The specific skills of interest were using subway, fast food restaurant, and music Karaoke in their communities.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intervention package consisted of ecological assessments, use of the various instructional settings, peer support, general-case instruction methods, visual cues and response prompt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target students' skills on using subway, fast food restaurant, Karaoke were improved with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ackage. Furthermore, the students' improved skills were generalized in non-trained setting and maintained after withdrawing the intervention.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capability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in their community were empowered. The friendships between the target students and their peers were established and the peersperspective on the target students was chang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ackage with peer support using the multi-components would be very effective on increasing the community use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3명의 정신지체학생에게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학생 4명이 참여하는 다중요소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3명의 지역사회활용기술의 습득, 일반화, 및 유지에의 효과를 활동간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지역사회활용기술은 지하철 이용하기, 패스트후드점 이용하기, 노래방 이용하기였으며, 지역사회중심교수는 다중요소로 구성되었는데, 생태학적 평가, 다양한 교수장소와 동료지원 활용, 일반교수사례, 시각적 단서, 반응촉진법이 교수요소로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에게 비장애학생이 참여하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실시한 결과, 지하철, 패스트후드점, 노래방 이용하기의 지역사회활용기술이 습득되었으며, 이미 습득된 지역사회활용기술이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습득된 지역사회활용기술이 교수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장애청소년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의 개발과 활용 측면과 일반고등학교에서의 장애청소년의 통합교육의 확산 측면에서 논의가 제공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장혜성.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특수교육』, 2011, 제10권, 제3호, 5-31.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한 교사들의 경험에 초점을 둔 질적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시행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한 특수학교 고등부 담임교사 5명과 교사와 함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참여하여 교사의 경험을 말할 수 있는 담임교사가 추천한 자원봉사대학생 5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은 문서면담, 구술면담, 포커스그룹면담으로 세가지 면담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경험이 무엇이며 어떠한 과정으로 경험이 변화되는지에 대한 현상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6가지 주제와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인 교사의 경험은 주제 1 학생들에게 독립적 수행의 기회를 제공하게 됨; 주제 2 장애학생에 대한 잠재력을 발견하게 됨; 주제 3 지역사회중심교수는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함; 주제 4 학생에게 경험과 지도를 병행해야 함; 주제 5 교사의 교육방향이 변화됨; 주제 6 교육자로서 역량의 재발견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 경험기회를 위한 학교지원, 지역사회중심교수 연수의 기회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This is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experience of teachers who undertook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ive teachers of special high school and five volunteer university students who gained positive experience from the community-based instruc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per interview, oral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hat teacher's experience is and how teacher's perspective has been changed were the core research questions. Six themes emerge from the teachers' experience: (1) they were abl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independent performance: (2) they discovered student's potential: (3) community-based teachers must instruct in a systematic way: (4) practical experience must complement theoretical instructions: (5) change of teacher's educational objectives: (6) rediscovery of capabilities as an educator.

      • KCI등재

        지역사회중심 교수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이성용 국립특수교육원 2014 특수교육연구 Vol.21 No.1

        지역사회중심 교수는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생활 기술을 지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중재로 활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메타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고 앞으로 효과적인 지역사회 생활 기술 교수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지역사회중심 교수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21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메타 분석은 3가지 분석영역에 따라 총 7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중재유형, 목표기술, 중재 효과, 유지 및 일반화 효과)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메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중재는 큰 효과로 나타났으며, 유지와 일반화에도 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지역사회중심 교수와 증거기반 실제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CBI)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community skill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CBI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BI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3 revealed 21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1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tion. In particular, results indicated a largely positive effect for CBI (mean ES > .80, median PND = 100%). Maintenance (median PND = 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 = 100%) revealed large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BI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