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and Quality of Fruits in Triploid Hybrid Grapes

        Sung-Min Park(박성민)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3배체 포도를 이용하여 지베렐린 및 다른 몇몇의 생장조절물질을 처리하여 과실의 발달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베렐린은 50㎎ L?¹, 100㎎ L?¹ 단용처리와 지베렐린과 streptomycin(SM, 200㎎ L?¹), 후라스타(MC, 880㎎ L?¹), 풀메트(CPPU, 2.5㎎ L?¹) 혼용처리하였다. 지베렐린 50㎎ L?¹ 및 100㎎ L?¹ 단용처리 간에는 과실의 발달 및 질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과방중 및 과실의 크기는 지베렐린 100㎎ L?¹ 및 CPPU 2.5㎎ L?¹ 혼용처리로 ‘KB0120’, ‘KN200110’, ‘KS20015’, ‘KTS011’, ‘YRB9803’ 등의 계통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지베렐린 100㎎ L?¹ 및 CPPU 2.5㎎ L?¹ 혼용처리 구에서는 수확시기가 다른 처리 구보다 10일 정도 늦었다. 당함량 및 유기산은 3배체 계통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당함량의 감소는 지베렐린 100㎎ L?¹ 및 SM 200㎎ L?¹ 혼용처리된 대부분의 3배체 계통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베렐린 100㎎ L?¹ 및 CPPU 2.5㎎ L?¹ 혼용처리 구는 지베렐린 단용처리 구와 비교하여 당함량 및 유기산 함량의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지베렐린 100㎎ L?¹ 및 CPPU 2.5㎎ L?¹ 혼용처리가 3배체 포도의 과실 발달 및 품질에 효과적인 처리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bberellic acid and several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and quality of fruits in triploid grapes. The gibberellic acid (GA₃, 50 and 100 ㎎ L?¹) and GA₃ (100 ㎎ L?¹) with other plant growth regulators such as streptomycin (SM, 200 ㎎ L?¹), mepiquat chloride (MC, 880 ㎎ L?¹), and N-(2-chloro-4-pyridyl)-N′-phenylurea (CPPU, 2.5 ㎎ L?¹) were treated to grapes.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fruit growth and quality of grapes when only GA₃ were treated as 50 or 100 ㎎ L?¹ in all of triploid hybrid grape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largement of cluster weight and berry size were shown in ‘KB0120’, ‘KN200110’, ‘KS20015’, ‘KTS011’, ‘YRB9803’ triploid hybrids treated with 100 ㎎ L?¹ GA₃+ 2.5 ㎎ L?¹ CPPU. In combined treatment of 100 ㎎ L?¹ GA₃ and 2.5 ㎎ L?¹ CPPU treatment, harvest time was delayed for up to 10 days. The sugar content and organic acid varied depending on the hybrid conditions. The decline of total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100 ㎎ L?¹ GA₃+ 200 ㎎ L?¹ SM for all hybrid grap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100 ㎎ L?¹ GA₃+ 2.5 ㎎ L?¹ CPPU and GA₃ alone treatment in organic acid and total sugar cont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bined berry treatment of 100 ㎎ L?¹ GA₃ and 2.5 ㎎ L?¹ CPPU seem to b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fruit in triploid hybrid grapes.

      • KCI등재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 처리가 국화 ‘신마’의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황인택,조경철,김희곤,기광연,윤봉기,김정근,한태호,이정현,유용권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신마’품종의 절화품 질 향상시키고자 양액 pH조정 비료종류와 모수포 관리 및 지베렐린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모 수포 관리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일장) 처리가 114 cm로 가장 컸고, 꽃 잎수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모수포관리(온도, 일장) 처리가 29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은 모수포관리 (온도,일장) 처리가 102g/본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엽록 소(SPAD-value)는 영양관리(몰비아 500배)처리가 5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베렐린처리 농도와 살포시기에 따른 절화장은 무처리(관행) 103 cm에 비해 지베렐린 1,000배 개화 60일전 처리가 121 cm로 가장 컸고, 꽃잎수 도 무처리(관행) 259개/송이에 비해 지베렐린 500배로 개화60일전 처리가 308개로 가장 많았고, 절화중 2,000배 개화60일전 처리가 110.7 g/본 가장 무겁게 나타 났다. 하지만 꽃목길이는 관행(무처리) 3.5 cm에 비해 500배 개화45일전 처리 10.4 cm와 1,000배 개화45일전 처리가 9.7 cm로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stock plant management and foliar spray of GA on the flower quality in hydroponically grown chrysanthemum 'Shinma'.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as affected by stock plant management, cut flower length, petal number and cut flower weight were the best in the plot of long day and chilling treatment showed 114 cm, 298 and 102 g, respectively. Chlorophyll content (SPAD-value) was the highest in the plot of foliar spray of diluted Molbia(1 : 500). Flower quality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spray time of gibberellin showed a different pattern. Cut flower length was the longest in the plot of solution diluted to 1 : 1,000 spraying before flowering at 60 days, petal number was the most in 1 : 500 at 60 days, and cut flower weight was the heaviest in 1 : 2,000 at 60 days, respectively. However, peduncle length was tended to be elongated with foliar spray of gibberellin solution diluted to 1 : 500 or 1 : 1,000 before flowering at 45 days.

      • KCI등재

        한지형 마늘의 인경 발육 과정에서 내생 지베렐린류의 함량변화

        손은영(Eun-Young Sohn),김윤하(Yoon-Ha Kim),김병수(Byung-Su Kim),서동환(Dong-Hwan Seo),이현숙(Hyun-Suk Lee),이인중(In-Jung Lee)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마늘의 안정적 수량 확보와 품질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늘의 인경 비대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지형 마늘의 인편 분화기에서 인편 비대 최성기까지 식물체내 호르몬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생육 특성과의 연관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늘 식물체(엽신과 엽초)의 GA 함량을 GC-MS로 동정한 결과 마늘 식물체에서 18종 이상의 GA를 확인하였다. GA 함량은 마늘에 고등식물체에서 주로 존재하는 두 생합성 경로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리활성 GA4를(7.25ng · g?¹ D.W.) 생합성 하는 non C-13 hydroxylation pathway(NCH)가 GA₁을(2.97ng · g?¹ D.W.) 생합성 하는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ECH) 보다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지형 의성마늘 인경 분화 및 비대 시 식물체내 호르몬 변화를 조사한 결과 total GA 함량은 인편 분화기부터 비대개시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인경이 비대되는 동안 점차 감소하였다. 생리활성 GA인 GA₄와 GA₁의 함량은 총 GA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여 인경 비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생장 양상과 엽초의 호르몬 변화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엽초의 호르몬 변화가 마늘 생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ytohormones in the bulbing of garlic in order to assess the yield and quality. The effect on endogenous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n (GA) content was also examined during growth stage i.e. clove differentiation to bulbing in garlic. More than 18 gibberellins in garlic were identified with extensive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GAs were biosynthesized by both non C-13 hydroxylation pathway (NCH) and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ECH) in garlic plant. It was also revealed that NCH pathway leading to synthesis of bioactive GA₄ was the more prominent GA biosynthesis pathway than ECH pathway in which bioactive GA₁ was synthesized. Total GAs level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clove differentiation to bulbing and later decreased, which portrays the active role of GA in differentiation. The biosynthesis ratio of bioactive GA₄ and GA₁ concentr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GAs content,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bulb development in garlic.

      • KCI등재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Interspecific Variation in Seeds of Three Rhododendron Species Native to Korea

        Si Eun Kim,Gyeong Ho Jang,Gun Mo Kim,Jin Ju Baek,Jae Min Chung,Ji Young Jung,Seung Youn Lee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발아특성 구명을 목표로 하였다. 진달래속 종들의 배는 형태적휴면(MD)이 없는 완전히 발달된 직선(linear) 형태였으며, 만병초 및 꼬리진달래 종자는 탈리 시점에 이미 휴면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털진달래 종자는 population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생리적휴면(PD)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달래의 이러한 생리적휴면 (PD)은 외생 지베렐린(GA3) 1,000mg・L-1 처리를 통해 타파될 수 있었다. 그러나 4℃에서의 저온층적처리는 털진달래 종자 휴면 타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 했을 때,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적정 발아 환경조 건은 광조건・25/15℃(만병초), 암조건・20/10℃(꼬리진달래), 광 조건・25/15℃(털진달래)로 확인된다. 진달래속(Rhododendron) 에서의 종간 차이(interspecific variation)로 인해 모든 종이 종자 휴면유형 또는 발아특성에서 구별이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생리・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 dormancy type of three Rhododendron species (R. brachycarpum, R. micranthum, and R. mucronulatum var. ciliatum) native to Korea. The embryos of three Rhododendron species were linear and fully developed, indicating the absence of morphological dormancy (MD). R. brachycarpum and R. micranthum had non-dormant (ND) seeds at dispersal, whereas R. mucronulatum var. ciliatum seeds had some physiological dormancy (PD) at population level. The application of exogenous gibberellic acid (GA3) at 1,000 mg・L-1 broke the PD of R. mucronulatum var. ciliatum, while cold stratification at 4°C had no effect on seed dormancy.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eed germination were light・ 25/15°C for R. brachycarpum, darkness・20/10°C for R. micranthum, and light·25/15°C for R. mucronulatum var. ciliatum. Due to the interspecific variation of Rhododendron genus, the seed dormancy type or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ll species were distinguished in this study.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species native to Korea.

      • KCI등재

        콩나물의 세근발생과 하배측 비대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 효과

        강점순(Jum Soon Kang),이종환(Jong Whan Lee),최인수(In Soo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1

        본 실험은 고품질의 콩나물 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식물생장조절제를 이용한 세근발생 억제 및 하배축 비대촉진을 위한 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식물생장조절제 중 GA₃나 NAA 처리는 세근발생 억제효과가 미약하였다. 반면 BAP 처이믐 세근발생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고 하배축의 비대를 촉진하였는데, 저농도인 10㎎ㆍℓ?¹ 및 15㎎ㆍℓ?¹ 처리에서도 그 효과가 인정되었다. BAP의 처리시간은 짧을수록 하배축 비대가 촉진되었고 하배축 비대를 촉진하는 처리시간은 6시간 처리였다. BAP 처리 후 24시간 간격으로 관수는 세큰 발생율이 낮았고 하배축 비대는 촉진되었다. 인돌비는 적정농도로 알려져 있는 4.2%보다 낮은 농도인 1.1% 용액을 처리하더라도 세근 발생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treatment methods for the inhibition of lateral roots and promotion of hypocotyl enlargement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bean sprouts. Inhibition of lateral root formation was not significant from the GA₃ and NAA treatments. From the treatment of BAP, lateral roots were not occurred at all, and hypocotyl enlargement was promoted at the low concentration of 10 ㎎ㆍℓ?¹ and 15 ㎎ㆍℓ?¹. Promotion of hypocotyl enlargement was higher as the BAP treatment time was shorter. The optimum time of BAP treatment was 6 hours. Occurrence ratio of lateral roots were low and hypocotyl enlargement was promoted from water supply every 24 hours after BAP treatment. In the indole B treatment, lateral roots occurrence was very low with the concentration of 1.1 %, which is much lower than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4.2%.

      • KCI등재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억새(Miscanthus Spp.)의 종자 발아 향상

        육민정,임지수,정지훈,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4

        Miscanthus spp. is a perennial rhizomatous C4 grass and used to be considered as a weed in orchard and riparian areas. Due to its unique phenotypic characteristics, it ha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ultifunctional plant for biomass, gardening, and conservation. However, its propagation is mainly been made using rhizomes rather than seeds due to its improper seed propagation metho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ogenous chemicals,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to improve seed germination. Miscanthus seeds placed on petri dish were treated with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solutions at a range of concentrations and daily germinated seeds were recorded. Among the tested chemicals, GA3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both Miscanthus species (Miscanthus sacchariflorus, dkwlMiscanthus sinensis ) with particular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In the cases of the other chemicals, seed germination was slightly improved at lower concentrations of KNO3 and NaClO, while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and with increasing prochloraz concentration. Our study concluded that 50 mg/L GA3 and 10 mg/L GA3 are the most eff ective chemical treatments for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M. saccharifl orus and M. sinensis, respectively. Our fi ndings can be used for the mass propagation of Miscanthus spp. by their seeds and for seed germination study of other grass species. 억새는 다년생 화본과 식물로서 조경용, 바이오매스용, 생태복원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기대되는 식물이다. 그러나 종자 발아 및 번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근경을 통한 번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억새 중에서도 산업적 가치가 높은 참억새 및 물억새의 원산지로서 종자번식이 가능한 억새 품종 개발에 유리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억새 종자의 발아특성 최적발아조건 연구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종의 발아촉진제(GA3, KNO3)와 2종의 종자소독제(NaClO, Prochlaz)의 처리가 억새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억새의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화합물 및 농도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KNO3 및 Prochloraz 처리는 발아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고농도에서 발아율 및 발아 속도가 모두 저해되므로 억새 종자 처리 방법으로 부적합하다. NaClO 처리 시 0.3% 용액에 침지 후 파종한 물억새의 초기 발아 속도가 가장높았으며, 부가적으로 종자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억새 종자 처리방법으로 고려해봄직하다. GA3 처리 시 초기발아 속도는 물억새 50 mg/L, 참억새 10 mg/L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다른 화합물 처리의 최적 결과보다 양호하여 억새 종자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처리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억새의 종자를 통한 대량 번식법 확립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화본과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증식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배 ‘신고’에 GA3, A3+4+7 및 GA4+7 처리가 과실 형태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욱용, 최진호, 천종필, 안영직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7 自然科學論文集 Vol.28 No.1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숙기촉진용 식물생장조절제의 성분 차이에 따른 과실의 형태적 기형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기에 과실 무게를 측정한 결과, GA3, GA3+GA4+7 및 GA4+7의 모든 제제에서 과실비대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GA4+7 단용 제제가 가장 높은 비대율을 보였다. 과실의 형태적 이상은 종자생장과 관련이 있는데 GA4+7 제제를 사용한 과실에서 비정상종자발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저온저장 후 과실의 품질변화에서 GA4+7 제제의 감모율이 가장 높았으며 과육경도의 경우, GA4+7 제제가 GA3+GA4+7 사용 과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면 GA4+7의 단용처리구의 경우 과실의 비대효과는 크지만 수확기 이상비대 과실의 출현, 저장 중 경도 감소 등 전반적인 과실품위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지베렐린 이용 시 보다 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registered or unregistered plant growth regulator gibberellin pastes on fruit shape and internal in 'Niitaka' pears. The treatment of the GA4+7 produced the most enlarged fruit and the fruits treated with unregistered GA paste showed lowest flesh weights among the treatments. Fruit shape of 'Niitaka' pear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normal seeds. And the fruits treated with unregistered GA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abnormal seed with severe occurrence of abnormal-shaped fruit. We also compared the quality indices after cold storage. The highest fruit weight loss and the lowest flesh firmness values were found in the fruits treated with unregistered GA treatment. Futhermore, the use of unregistered GA products possibly smuggled from other country may occur irregular fruit development through the deficiency of seed development. Consequent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use of registered GA products such as mixture of GA3 and GA4+7 intensely important to the conformation of high quality fruit production in 'Niitaka' pears.

      • 장미 수분 횟수 및 호르몬 처리에 따른 결실율 향상

        박기영(Park, Ki-Young)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3

        국내·외 경쟁력 있는 국산장미를 조기 선발하여 외국 품종 종묘 입식비로 인한 로열티 절감, 외국품종 대비 가격 경쟁력, 수출 적합 및 해외 출원 등 우수한 국산 품종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결실률을 높여 다양한 개체에서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장미의 수분 횟수에 따른 결실률은 3회 실시가 적당하며, 과실내 종자수 및 과실 횡경의 크기는 수분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실 내 종자수도 증가하였다. 장미 교배 효율을 높여 결실률을 높이기 위한 지베렐린 (GA) 처리 결과는 스탠다드 조합에서 무처리 13.3%, 0일 후 26.7%, 5일 후 40.0%, 10일 후 처리에서 53.3%로 무처리에 비해 10일 후 GA 처리 시 40.0% 높게 나타났으며, 스프레이 장미 조합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Domestic rose breeders should obtaining lots of seeds with variations for developing a domestic rose cultivar with competitiveness from home to abroa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alationship between times of pollination and hormone treatment after artificial pollination on Rosa hyprida. Increasing the number of seed the appropriate number of pollination is considered to be 3 times and The percentage of crossing and the number of seeds in fruits can be increased by spreading the GA after 10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