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공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성규범과 CoE를 중심으로

        이정현 은행법학회 2020 은행법연구 Vol.13 No.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society, countries and companies have experienced various crises, such as financial crisis, accounting fraud and business failure, and in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e cause, having come to believe that establishing a transparent and sound corporate governance will enable the company's long-term and stable growth and maximize shareholders' interes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what is desirable corporate governance and how to develop a discipline framework to support it. Korea has steadily overhaul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governance in the Commercial Act and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strument Business Act. Apart from the legal regulations, the private sector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best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 since 1999, but it was not binding. In 2017, the Korea Exchange began applying the binding code that is mandatory to listed companies by introducing the disclosure rules to apply the ten core principl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in a comply or explain manner. After collecting the institutional supplements, large companies with total assets of more than 2 trillion won were forced to submit mandatory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from 2019. The Comply or Explain method, which is applied to the Corporate Governance Report, is a method and an evaluation tool that gives flexibility to the implementation of Soft laws, which complies with the core principles or, if not, faithfully explains why. Even if disclosure of corporate governance of large enterprises is mandatory, it is a voluntary option for enterprises to comply with the core principles. Although a legal system with strong effectiveness was put in place, the evalu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is not positive. The demand for continuous improvement indicates that raising the willingness to implement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law is the key to establishing a sound governance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rational investor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fair institutional investors will exert more effective market power than legal regulations. The following is a comparison of the law-based system and the use of soft laws as a method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and examines the utility of soft laws, focusing on best practices, analyzing the m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in overseas countr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orporate governance regulations in Korea.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the Code of Conduct, including the Standards and Best Practices, we will look into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mply or Explain,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Code of Conduct, and apply it to the Report of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경제 및 사회가 발전하면서 각 국가와 기업들은 금융위기, 회계부정, 기업도산 등 다양한 위기를 겪었고 그 원인을 찾으려는 과정에서 투명하고 건전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추는 것이 기업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가능케하고 주주 이익도 극대화시키는 방안이라는 보편적인 믿음을 갖게 되었다. 그에 따라 바람직한 기업지배구조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규율체계는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우리나라도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상법 및 자본시장법에 지배구조 관련 규정을 마련하여 정비하여왔다. 이와 별도로 민간에서 1999년부터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제정하여 운용하여 왔으나 동 모범규준의 구속력은 사실상 없었다. 2017년 한국거래소에서는 기업지배구조 관련 10가지 핵심원칙을 Comply or Explain 방식으로 도입하였고, 이후 제도적 보완사항을 수렴하여 2019년부터는 대규모기업에 대해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전환하였다. Comply or Explain 방식은 핵심원칙을 준수하거나 준수하지 않은 이유를 충실히 공시하라는 이행 방식이다. 대규모기업의 기업지배구조공시가 의무화되더라도 핵심원칙의 준수여부는 기업의 자발적 선택사항이다. 강력한 실효성을 가진 법규체계가 마련되어 있었지만 건전한 지배구조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는 것을 보면 더욱 강력한 규율체계의 마련보다 수범자의 이행의지가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의 열쇠라고 볼 수 있다. 해외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연성규범을 통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력 또한 강력하고 획일적인 법적용보다 자본시장, 기관투자자 및 기업 자체의 자율적인 규제가 효과적임을 암시한다. 대규모기업에 대한 기업지배구조 의무공시 시행으로 사실상 구속력을 가지는 제도가 마련된 바, 해외의 기업지배구조공시 및 연성규범 활용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공시의 보완점과 개선방향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변동성 간의 관련성 연구

        류예린(Ye-rin Ryu)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수준이 해당 기업의 회계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Book-Tax Difference) 변동성 정보를 회계이익의 질 대리변수로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지금까지 기업지배구조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재량적 발생액, 회계보수주의 등을 활용하여 기업지배구조가 회계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최근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정보의 유용성을 입증한 연구가 많이 이뤄졌고, 이를 활용한 연구 또한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그 자체는 본질적으로 한계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의 한계점을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의 변동성에 주목하였다. 또한 기업지배구조는 (단편적인 지표가 아닌) 해당 기업의 전반적인 기업지배구조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 평가등급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수준이 높을수록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의 변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업규모를 통제한 추가분석과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추가분석에서도 각각 지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인 지배구조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 내부 및 외부의 강도 높은 감시와 통제로 인해 (지배구조 수준이 낮은 기업에 비해) 회계이익의 질이 높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회계이익-과세소득 차이 변동성을 활용하여 기업의 전반적인 지배구조 수준이 회계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was measured by the volatility of Book-Tax Differenc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rporate Governance has relevance with the volatility of Book-Tax Difference.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listed corporate, consist of 1,875 observations are collected from 2008 to 2010 at TS-2000. The result of this study’s is as follows. The Corporate Governance have a negative relevance with the volatility of Book-Tax Difference. And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additional analysis was considered of Firm’s size could influence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So we can expect that Corporate Governance can have a effect to reduce firm’s earnings management. Because good Corporate Governance are very useful to enhanc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his study, we should consider how to make good Corporate Governance as much as possible in Firms . This study can contribute the field of accounting research by using new proxy of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the volatility of Book-Tax Difference. And our study can expand prior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But this study can have some limitations at application of result analysis because of tax income’s estimation. So we think this study need a follow-up study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우수성 및 효과성과 이익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동순,박동욱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earnings quality for Korean domestic firms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4 and 2010.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points provided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re used as a proxy for the corporate governance strength, and for the robustness check, we adopt the ratio of independent outside directors and the board size as the governance strength alternative. Furthermore, industry-adjusted consistent ROE (return on equity) is used to measure corporate governance effectiveness, which reflects a firm’s degree of agency problems; accrual quality, and earnings persistence are used to measure earnings quality. A key aspect of our research is the relevance of strong and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for the earnings quality. The residual agency problem would be less based on the agency theory, if a firm has more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firms with more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have better corporate profitability performance. In addition, the two dimensions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e., its strength and effectiveness, are correlated, and supplementary. Second, we fou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rporate governance strength. After controlling for the strength, more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leads to higher earnings quality. Third, firms with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have far higher earnings quality when their corporate governance is stronger. In contrast, when firms have in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nings quality between firms with strong corporate governance and those with weak governance. Fourth, when we use the ratio of independent outside directors as a proxy for corporate governance strength, firms with weak corporate governance make no difference in earnings quality regardless of corporate governance effectiveness. However, firms with strong corporate governance show far higher earnings quality when those have effective governance structure. Fifth, when we use another proxy for the strength, i.e. board size, we also found that firms with effective as well as strong governance show much higher earnings quality. In addition, controlling for governance effectiveness, firms with strong governance structure exhibit higher earnings quality. Overall, corporate governance strength and effectiveness play a mutually complementary role in enhancing earnings quality. The two dimensions of corporate governance are also expected to reduce a firm’s fraudulent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In particular, when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is inferior, there is no difference in earnings quality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governance. For future research, more sophisticated measures of corporate governance strength and effectiveness are to be develop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as follows. We considered various aspects with respect to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performance, and earnings qual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directors and board size as additional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와 이익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업지배구조의 강도에 대한 대용변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이용하였고, 또한 독립적인 사외이사 비율과 이사회 규모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기업지배구조의 효과성은 지속적인 기업의 수익성 내지 자기자본이익률을 이용하였고, 이익의 질 측정은 발생액 및 이익지속성을 사용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통계량과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들이 여러 수익성 지표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기업지배구조의 강도와 효과성도 서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와 이익의 질 비교에서는 우수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이 유의하게 이익의 질이 높았으며, 또한 지배구조의 강도를 통제한 후에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이 높은 이익의 질을 나타냈다. 셋째,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우수한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이 열악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에 비해 이익의 질이 높았다. 이에 대해 지배구조가 대리인 문제 통제에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우수한 지배구조와 열악한 지배구조 기업 그룹 간에 이익의 질이 차이가 없었다. 넷째, 독립적인 사외이사 비율을 기업지배구조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한 경우, 열악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효과적인 지배구조와 비효과적인 지배구조 기업 그룹 간에 이익의 질이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우수한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의 이익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사회 규모를 기업지배구조 강도의 대용변수로 사용한 경우에도 우수한 지배구조와 동시에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이 높은 이익의 질을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지배구조의 효과성을 통제한 경우에도 우수한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이 높은 이익의 질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지배구조의 강도와 효과성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지배구조가 열악한 경우에는 지배구조의 효과성에 따른 이익의 질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배구조가 우수하고 동시에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지닌 기업은 이익의 질이 높게 나타나서, 분식회계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재무적 성과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호갑,손영건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firm value between the companies which have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those which have poor corporate govern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find out how the corporate governance relates to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firm value of the company by clearly distinguishing companies with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those with poor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analysis of their financial performance and firm value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it was revealed that, in terms of the profitability index, companies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displayed higher ROA (return on assets) at .01 level of significance while showing higher income versus sales ratio at .05 significance level. This mean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ms' profitabi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corporate governance system. Second, it was shown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Tobin's Q between the companies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and those of poor governance. Finally, it was shown that EVA (Economic Value Added) of companies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was higher than those of poor corporate governance at the .01 level of significance. This means the former has higher gains in net value, through normal business activities, than the latt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과 통제기업간 재무적 성과와 기업가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CGS의 지배구조등급이 양호 이상이었던 기업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기업을 지배구조우수기업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통제기업표본은 CGS의 기업지배구조등급이 취약과 매우취약이었던 기업 중 지배구조우수기업표본으로 선정된 기업과 동일업종에 속하며 자산규모가 근접한 기업을 1개의 기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우수기업이 수익성, Tobin's Q 및 경제적 부가가치(EVA)에서 통제기업에 비해 높을 것이라는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위해 재무적 성과지표와 기업가치의 대용변수인 Tobin‘s Q를 이용하여 두 기업집단간의 평균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통합자료에 의한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익성 지표는 지배구조우수기업이 통제기업보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1%, 매출액영업이익률은 5% 유의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익성 지표 중에서도 특히 영업이익률 지표가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Tobin's Q에서는 지배구조우수기업과 통제기업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경제적 부가가치(EVA)는 지배구조우수기업이 통제기업에 비하여 1%의 유의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배구조우수기업이 통제기업보다 고유영업활동을 통한 기업의 순가치 증가분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지배구조가 개선되면 지배주주의 비합리적 의사결정과 사적이익추구를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설1과 가설3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러나 기업가치 대용변수인 Tobin's Q에서는 지배구조우수기업과 통제기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다.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 및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의 관계

        최보람(Bo-ram Choi),임영제(Young-je I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0 기업과 혁신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 및 감사서비스 구매행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2005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사용하여 총점수와 각각의 개별항목(주주권리보호, 이사회, 공시, 감사기구, 경영과실배분)의 개별점수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들은 기업지배구조와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품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고 많은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는 감사보수와 감사시간과 양(+)의 관계가, 감사품질과는 음(-)의 관계를 보고하였다. 물론 반대의 결과를 보인 연구도 있고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은 연구들도 있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인의 수익성과의 관계나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와의 관계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동시에 증가할 때 감사보수를 감사시간으로 나눈 시간당감사보수가 증가하는지는 실증의 문제가 된다. 만약 감사보수와 비교해 감사시간이 더 증가한다면 시간당감사보수는 낮아져 실제로 감사인의 수익성은 약화될 수 있고 반면에 감사보수가 감사시간보다 더 증가한다면 시간당감사보수는 높아져 감사인의 수익성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비감사서비스에 대한 제한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배구조가 좋은 기업들의 비감사서비스 구매행위도 감사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이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주제를 연구하고 감사인의 유지상황(초도감사시와 계속감사시)의 세부 속성을 함께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수익성은 양(+)의 관계가 있었다. 지배구조의 세부 항목으로는 주주, 경영과실 부분과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와 비감사서비스의 구매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바 없는 감사분야의 연구로써 그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기업지배구조가 갖는 경제적 의미를 다른 측면에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or"s profitability and non-audit service. In this study, we use the total score and individual item scores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board of directors, public announcement, audit organization, management negligence distribution) from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from 2005 to 2013. Previous researches conducted studies on corporate governance, audit fees, audit hours, and audit quality. In many prior literature, corporate governa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udit fee and audit hour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udit quality. Of course, some studies showed the opposite result and some studies did not show significant findings. Howev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profitability of auditors or the employment of non-audit services has not been studied. When the audit fee and audit hours increase at the same time, whether the hourly audit fee is increased is a matter of verification. This is because if the audit hours are increased more than the audit fee, the hourly audit fee will be lowered and the profitability of the auditor may actually weaken. In addi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restrictions on non-audit services are increasing, how to purchase non-audit services by companies with good governance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audit field, bu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yet. For this reason, we studied the two subject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detailed attributes of the auditor"s maintenance status; at the time of initial and continuing audi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profitability. As for the detailed items of the governance structur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hareholders and management err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purchase of non-audit services. As a study in the audit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that it can expect its follow-up research, but also that it has confirmed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corporate governance from other aspect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가 실제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업지배구조보고서의 자발적 공시와 의무공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추형석,문태곤,문두철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 disclosure policy using the sample of mandatorily disclosed firms starting on 2018. To analyze the different effect of voluntary disclosure and mandatory disclosure on corporate governance enhancement, this study classified firms into voluntarily disclosed firms those disclosed corporate governance report previously and mandatory disclosed firms those started disclosing corporate governance report from 2018 by comparing real earnings management. As a result, during the voluntary disclosure period, the degree of voluntarily disclosed firms’ real earnings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firms did not.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 disappeared during the mandatory disclosure period. The result implies that voluntarily disclosing firms signal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by disclosing corporate governance report than the firms do not. However, after mandatory period, voluntarily disclosed firms lose motivation to signal their effective governance. Additionally, we conducted controlling revised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law that implemented on the same year of corporate governance report mandatory disclosure and weak governance group. As a result,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additional tests. Especially,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mandatory disclosure policy was effective in lower blockholder ownership group by diminishing the degree of real earnings management after the mandatory disclosure period. This result implies disclosure policy will be effective if regulatory institution can consider firms’ governance system during stepwise implementation of mandatory disclosure. 자산 2조원 이상의 유가증권 상장 법인은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에 따라 2019년부터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한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2019년 의무공시 기업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미리 공시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하고 두 기업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와 실제이익조정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지배구조 개선이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의무공시 이전 자발적으로 공시 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실제이익조정 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의무공시 이후유의적인 차이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발적으로 공시하는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우수한 기업지배구조를 신호전달 하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공시제도 의무화 이후 두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사라진다. 나아가 자산 2조원 이상이라는 표본의특성과 개정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이 겹치는 연구기간의 한계로 인하여 지배구조 수준이 낮은 집단(최대주주 지분율, 이사회 지분율)과 개정 외감법의 영향을 통제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사회 지분율이 낮은 집단에서는주요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지만 최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집단에서는 공시제도 의무화 이후 의무공시 집단의 실제이익조정 정도가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자산 2조원 이상의 기업임에도 경영자에 대한 견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않는 집단에서는 공시제도 의무화에 따른 지배구조 개선 효과가 존재함을 암시한다. 또한, 개정 외감법과 관련성이 높은 감사변수를통제한 분석에서도 주요 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의 자발적 공시와 의무 공시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던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자발적 공시 기업과 의무 공시 기업 간의 실제이익조정 정도 차이를 통해 지배구조 수준의변화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도의 자율성과 기업지배구조 수준의 연관성이 있음을보여주며, 최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집단에서 공시제도 의무화 이후 실제이익조정이 낮아진다는 점을 통해 향후 단계적 공시 의무화를진행할 때 기업의 지배구조 특성을 고려할 경우 효과적인 제도를 마련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김확열(Kim Hwak-Yeol),최미화(Choi Mi-Hwa)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배구조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Book-Tax Difference: BTD)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업지배구조는 외환위기 이후, 불투명한 경영관행을 개선하고 회계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기업들이 노력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지배구조대용치로 이사회, 소유구조를 고려하여 이사회변수로 사외이사비율, 소유구조변수로 외국인주주 지분율, 대주주지분율, 임원의 주식보유율을 사용하였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는 재량적 발생액에 비해 측정오차의 문제에 덜 민감한 이익조정측정치라 최근 연구에서 이익조정의 지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의 관련성을 보고자 함이다. 기존의 기업지배구조관련 선행연구는 기업지배구조를 외생변수로 가정하고 회계정보와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된 변수를 이용하여 그 내생성을 통제한 후, 기업지배 구조와 BTD 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 첫째, 이사의 주식소유비율은 BTD에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기업지배구조 중 이사회의 독립성, 대주주지분율, 외국인주주 지분율은 BTD과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임원의 지분소유는 경영자의 사적소비나 대리인비용을 감소시켜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며 이는 이익조정이 감소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연구결과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지배구조 대리변수들의 유용성,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려는 후속연구의 징검 다리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익조정을 억제하고 통제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업지배구조의 설계와 운영이 우수한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firm's governance practices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publicly released financial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factor and the extent of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as measured by Book-Tax differences. In this paper, a research hypothesis is formated: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Book-Tax differences. The research hypothesis has been tested by the two stage least square regressions(2SLS) considering the endogeniety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e first stage is formula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governance practic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apital intensity(PPE), ROA, leverage, firm size, firm size dummy indication whether total asset amount exceeds 20 trillion won(ASSDUM). In the second stage, the governance probabilities estimated in the first stage is used as the level of experiment variable. Several control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second stage regression model: Big4, ACDUM(audit committee), SIZE, NOL, MTB, LEV, PPE. The second stage regression models are composed of both reduced and full ones. Reduced models' experiment variables are OUTD, MANA, OWN, FOR. For this study, earnings management measured by Book-Tax differences is estimated using DART. The sample consisted of 1078 Korean Stock Exchange firms from 2005 to 2008.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Book-Tax differences is partially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More specifically, it is supported that as director managerial ownership is higher, BTD decreases(the result of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manager shareholder's holdings and Book-Tax differences). Also, There are no association board independence, block-holder, foreign investor stock ownership and Book-Tax differences. These results may be interest to policy makers, standard setters, academic researchers, and investor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수준에 따른 주가 수익률의 장·단기적 관계 분석

        이인식(Lee, In Sig),이헌상(Lee, Hun Sa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지배구조 프리미엄의 존재를 검증하고 기업지배구조와 주가수익률 간 장·단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배구조 등급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단기적으로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일수록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주가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지배구조등급 공시 이후 3년 이후 이러한 현상은 반전이 되어 우수한 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이 더 높은 주가수익률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수한 지배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얻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상당기간 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배구조 등급에 따라 수익률의 차이가 나타나게 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3요인모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과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주식시장에서 지배구조 프리미엄의 존재를 검증하였으며, 지배구조는 단기적으로는 주가에 음(-), 장기적으로는 양(+)의 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취약한 지배구조의 정보는 비교적 단기간에 주가에 반영된 후 사라지며, 우수한 지배구조의 정보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장기적으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배구조라는 정보가 주식시장에서 효율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던 기업지배구조와 주가수익률 관련된 기존연구를 보완하고 연구의 범위를 확장 할 수 있는 실증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적으로도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xistence of a governance premium i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to examine the short and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stock return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overnance structure and stock returns will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in the short term. Second, governance and stock returns will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long term. Third, there will be different factors explaining the movement of stock returns depending on the level of governance. As a result, this study verified the existence of a governance premium in the Korean stock market. In addition, the governance structur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stock price in the short-term and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long-term. This study complements existing research on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an expand the scope of existing research.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help decision-making about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