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 연구

        노미연(Noh, Mi Yeon),석소현(Seok, So Hyeo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의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인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의 조사 사용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 오류의 원인을 대조분석적 측면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랍어권 학습자가 중국어권 학습자에 비해 전체 오류율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유형은 ‘대치 > 누락 > 첨가 > 형태’의 순으로 동일하였고, 각 유형의 오류율도 아랍어권 학습자가 중국어권 학습자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 학습자는 동일하게 모국어(L1)에 대응어가 있는 조사의 오류율은 낮게 나타난 반면 L1에 대응어가 없는 조사의 오류율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랍어권 학습자는 대응어가 없는 ‘이/가, 을/를, 은/는’의 오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이/가, 을/를’의 대치, 누락 오류율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는 특히 중국어에 대응어가 없는 ‘이/가’의 대치, 누락, 첨가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어 대응어가 있는 ‘와/과’의 누락 오류가 높은 것도 특징적인 결과였다. 지금까지 아랍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다른 언어권 학습자와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랍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비교함으로써 아랍어권 학습자의 문법 인지 능력의 부족함을 발견했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make comparisons between the use of particles by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intermediate level coming from China and those from Saudi Arabia, Arabic region in order to identify their use patterns and clarify the cause of errors with contrastive analysis.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nd analyzed essays and materials written by these learn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otal error rate of Arabic speaking Korean learners is twice higher than that of Chinese Korean learners. Second, error types between the two groups are identical in this order of replacement, omission, addition, and form errors and Arabic speaking learners appear to make twice as many errors as Chinese learners for all error types. Third, it found that the two groups made less errors in use of particles to what they have corresponding in their mother tongue (L1) while they seem to make more mistakes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particles in L1. Fourth, the error rate by the Korean learners from Arabic regions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use of some particles such as ‘이(-i)/가(-ga), 을(-eul)/를(-leul), 은(-eun)/는(-neun)’ that has no corresponding particles in Arabic language, among which ‘이(-i)/가(-ga), 을(-eul)/를(-leul)’ shows higher error rate in replacement and omission. Lastly, it is shown that Korean learners from China make more replacement, omission, and addition errors in particular in the use of particles, ‘이(-i)/가(-ga)’, that also do not have corresponding particles in Chinese language. It is also characterized that omission errors rate is found high among the learners from China in the use of ‘와(-wa)/과(-gwa)’ that have corresponding Chinese particles. There has been no study of comparing errors in the use of particle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Arabic regions and those belonging to other languag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ly meaningful by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Arabic and the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finding out that the Arabic are comparatively less able to recognize Korean grammar.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 오류 연구

        이문화(Li Wenhua),한승규(Han, Seung 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국립국어원 오류 주석 말뭉치에 나타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오류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종결어미 오류의 양상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오류 주석 말뭉치에서 중국어권 학습자의 종결어미 오류 용례 1,168개를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문어의 오류 용례는 922개, 구어의 오류 용례는 246개로 정리됐다. 학습자의 오류를 문어와 구어로 구분해서 분석한 후 초급부터 고급까지 각 숙달도별 오류 형태, 양상, 층위까지 살펴봤다.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어와 구어에서 종결어미 사용 오류의 경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각각 오류가 고빈도로 출현한 단계로 문어는 중급, 구어는 고급에 해당하는 숙달도이다. 또 오류 양상에 따라 살펴본 결과는 문어와 구어에서 각각 고빈도로 나타난 오류 양상은 ‘오형태’와 ‘대치’이고 이 두 가지 오류 양상은 각각 고빈도로 나타난 단계는 3급, 5급이다. 또한 오류의 층위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문어에서는 ‘형태 오류’가, 구어에서는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숙달도에 따른 ‘오류 양상’과 ‘오류 층위’에서 종결어미의 오류를 살핀 결과, 문어에서는 ‘오형태 양상+형태 오류’가 각 등급에서 많이 나타났다. 구어에서는 ‘높임법’을 대치한 ‘대치 오류’가 비교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오류 주석 학습자 말뭉치를 자료로 오류 형태, 층위, 양상에 따라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각 단계에서 산출한 종결어미의 오류 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문어와 구어를 구분하여 경향성을 밝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교사나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그리고 연구자에게 유의미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overall analysis of terminating errors of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ppeared in the error annotation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patterns and types of final endings errors were examined. Methods For this purpose, 1,168 examples of final endings errors by Chinese-speaking learners were analyz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error annotation corpus. Among them, 922 examples of errors in written language and 246 examples of errors in spoken language were summarized. After classifying and analyzing learners errors i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e types, patterns, and levels of errors for each level of proficiency, from beginner to advanced, were examined. Results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to use terminating endings in written and spoken words. The stages in which errors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were proficiency levels corresponding to intermediate level for written language and advanced level for spoken languag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error types of ending endings calculated by Chinese-speaking learners at each stage according to the error type, layer, and pattern us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 error annotation learners corpus as data.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meaningful reference material for Korean teachers,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discriminating the written language from the spoken language.

      • KCI등재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어 음절 종성에 대한 일본어와 중국어권 화자의 산출 차이에 대해고찰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와 일본어권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종성 ‘ㄱ, ㄷ, ㅂ’ 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및 일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두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 산출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대개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본어권학습자들은 음절 종성을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재음절화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국어의 CVC 음절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 일본어권 학습자는 CV.CV로 산출하는 데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CV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음운론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목표어 음절 종성 발음은 목표어의 음절종성이 가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의 같은 종성 자음에 대해 두 언어권 학습자가 달리 산출한다는 것은, 그 원인이 학습자 모어의 음절구조 및 음절화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특징 및 음절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히 두 언어가 모두 기본적으로 CV 음절 구조를 가지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출 결과가 나오는 원인에 대해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V로 산출하는 이유는 그들이 한국어의 음절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 廷와 발음 ん로 대응하는 데서 비롯되는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어권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이나 발음으로 대응시키는데, 이들은 CV-Q.CV, CV-N.CV의 구조로만 나타나야 하는 음절 구조 제약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CV구조로 발화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탈락은 그들이 하나의 형태소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여 음절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의 형태소(문자)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인식할 때에도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한국어의 표기에 많이 견인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different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that are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and Japanese who are learning Korean samely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incorrect especially, syllable final consonant ㄱ, ㄷ, ㅂ. The inaccurac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mong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ther study on Korean phonology regard the error of foreign learners`` pronounce as being due to the nature of syllable-final consonant of target language. But different output of syllable-final consonant in Korea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result from the syllable structure of foreigners`` mother tongue. By the way, it is different that the output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learners are generally apt to eliminate syllable-final consonant of Korean. But the Japanese learners usually resyllabicate the consonant in coda as the next initial consonant. It mean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 word which is CVC syllable structure like CV syllable structure word. But the Japanese pronounced like CV.CV structure word. The reason for the Japanese learners output as CV.CV structure in pronounce CVC structure word is that the Japanese learners unconsciously regarded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s Japanese ``廷`` or ``ん``. As result, the Japanese learners outputs as CV-Q.CV CV-N.CV structure. But the Chinese learners`` eliminating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r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the certain syllable boundary. The Chines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ir syllable struc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especially Jan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foreign learners`` error are caused by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성어미 사용 오류 연구

        이문화,한승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verall transformational ending errors of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and examine the patterns and types of errors. Methods For this purpose, 1,467 examples of grammatical ending errors by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were analyzed from the error annotation corpus constr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mong them, there were 1,040 errors in written language and 427 errors in spoken language. After analyzing learners'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written and spoken words, the types, patterns, and levels of errors for each proficiency level from beginner to advanced were examined. Results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use transformational endings in written and spoken words. In general, the error forms of mainly adjective endings were calculated relatively. In addition, the types of errors shown with high error rate in written language are ‘syntactic error’ and ‘form error’. A high rate of error in spoken language is ‘pronunciation error’. Also, errors in the form of ‘replacement’ were found with high frequency in written and spoken words. Lastly, ‘misformal aspect + form error’ and ‘replacement aspect + syntactic error’ appeared relatively frequently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in written or spoken languag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at the types of errors in the transformational endings that appeared in each stage of the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e level and pattern of the error targeting the error annotation learners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re are more errors in the transformational endings produc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ducate Korean Learners in Chinese Language from beginner to advanced in the educational field. 목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전성어미 오류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오류의 양상과 유형을 살펴보도록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오류 주석 말뭉치에서 중국어권 학습자의 전성어미 오류 용례 1,467개를 분석하였다. 그 가운데 문어의 오류 용례는 1,040개, 구어의 오류 용례는 427개로 정리됐다. 문어와 구어로 구분하여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한후 초급부터 고급까지 각 숙달도별 오류 형태, 양상, 층위까지 살펴보았다.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어와 구어에서 전성 어미 사용 오류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보면 주로 관형사형 어미 ‘-는’, ‘-(으)ㄴ’, ‘-(으)ㄹ’의 오류 형태가 비교적으로 많이 산출하였다. 또 문어에서 고빈도 오류율로 나타난 오류 유형은‘통사 오류’와 ‘형태 오류’이다. 구어에서는 나타난 고빈도 오류율은 ‘발음 오류’이다. 그리고 문어와 구어에서 ‘대치’ 양상의 오류는고빈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어나 구어에서 중급에서 고급까지 주로 ‘오형태 양상+형태 오류’, ‘대치 양상+통사 오류’는 비교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오류 주석 학습자 말뭉치를 대상으로 오류 층위, 양상에 따른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각 단계에서 나타난전성어미의 오류 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중급, 고급 학습자들이 산출한 전성어미의 오류가 더 많다는 것을 보면 교육 현장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초급부터 고급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교육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권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 측정 연구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 말뭉치의 작문 자료를 대상으로-

        정진경 ( Jung Jin-kyu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본 연구는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 말뭉치의 작문 자료에 나타나는 어휘 풍요도 즉, 어휘 다양도, 밀도, 세련도를 측정하여 언어권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측정 결과 언어권별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어휘 풍요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6급 정도의 고급 학습자가 되었을 때, 어휘적 복잡성의 측면에서 살펴본 어휘 능력의 차이가 언어권별로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어휘 세련도의 경우 언어권별로도, 학습자 개인별로도 차이가 좀 더 두드러졌으며, 작문 주제의 난도가 높아질수록 세련도 역시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측정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언어 권별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 연구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풍요도 연구가 주로 숙달도에 따른 어휘 능력 측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언어권별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competence of learners by native language by measuring the lexical richness, that is, lexical diversity, density, and sophistication in the writing materials of Chinese, Japanese, and English-speaking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lexical richness in the learners’ writing materials by native langu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ce in lexical competence examined in terms of lexical complexity was not large for each language region when they became an advanced learner of level 6. However, in the case of lexical sophistication, the difference was more pronounced by language region and individual learner, and the sophistication also increased as the difficulty of the writing topic increased. In addition, each measurement result was carefully reviewed to summarize the matter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on lexical richness of learners.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on lexical rich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mai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lexical competence according to profici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and analyzed learners’ lexical richness by native language.

      • KCI등재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한자어 부사 사용 양상 연구 : 고빈도 한자어 부사 36개를 중심으로

        정비(Ding 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들이 고빈도로 쓰이고 있는 한자어 부사를 사용하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립국어원 300만 어절 세종말뭉치와 학습자말뭉치를 기반으로 하고, 자료 처리는 counter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counter를 이용하여 세종말뭉치에서 고빈도로 출현한 36개 한자어 부사 목록을 선정하고 그 다음에 언어권과 숙달도에 따라 학습자말뭉치에서 36개 한자어 부사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며 마지막으로 중국어권 학습자 36개 한자어 부사의 오류 양상과 오류율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어권 학습자의 고빈도 한자어 부사의 사용 빈도는 모어 화자와 다른 언어권 학습자보다 많았으며, 그중에 ‘지금’, ‘열심히’, ‘정말’, ‘항상’, ‘계속’, ‘점점’, ‘특히’, ‘별로’ 중국어권 학습자가 우세성을 띠고 자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등급이 높아지면 사용하는 한자어 부사가 많아지고 특정 부사에 집중도가 떨어지지만 모어 화자보다 어휘 사용의 다양성이 부족하며, 한국어 교육용 어휘 등급 구분을 대비하여 학습자가 특정 어휘를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오류 양상은 음운 규칙이나 학습자의 실수로 인한 형태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어 시간 부사와 빈도 부사 내부의 부사들 간의 혼동이 가장 흔한 오류이다. 또한 한자어 부사 오류는 등급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밝히며, 이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hinese Korean learners use sino-Korean adverbs, which are being used at high frequency by Korean spea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million characters Sejong corpus and the learner s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the counter and the SPSS 25.0 program. A brief presentation of the results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requency of use of Sino-Korean Adverbs by Chinese Learners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speakers and other learners. Among them, Chinese learners of ‘지금’, ‘열심히’, ‘정말’, ‘항상’, ‘계속’, ‘점점’, ‘특히’, and ‘별로’ were frequently used with predominance. Next, it is predicted that the next higher grade will increase the number of Sino-Korean adverbs used,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ertain adverbs, but lack the diversity of vocabulary use compared to More speakers, and that learners will often avoid certain vocabulary words in prepar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rating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the error pattern was most common, with form errors due to phoneme rules or learners mistakes, followed by confusion between time adverbs and degree adverbs internal confusion. In addition, the Sino-Korean adverbs error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 KCI등재

        ‘이’, ‘그’의 문맥적 지시 기능 사용 연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황선영,이암 겨레어문학회 2019 겨레어문학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textual function of demonstratives by Chinese Korean Learners (CKL).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CKL differ in using the textual function of demonstratives?; (2) Do CKL show different use of the textual function of demonstrative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For this study, we surveyed samples of 35 KNS, 35 intermediate learners and 35 advanced learners on the use of the textual referencing function of '이' and '그'.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textual referencing demonstratives of CKL was different from KNS in the situation that KNS prefer to use '그‘. Moreover, the groups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did not differ in use of demonstr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KNS prefers to use '그‘, while CKL prefers to use '이’. Furthermore, the result shows that CKL is little known about the textual use even to the advanced learners. Therefore, although beginners are taught the basic deictic function, of demonstratives, more explicit teaching on the textual function should be given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문맥적 지시어 사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시는 담화 내의 표현과 그 언어 표현이 가리키는 것과의 연결 관계를 말하며, 이를 잘 활용하여야 응집성 높은 글을 쓸 수 있다. 그러나 문맥적 지시어는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어 한국어 학습자에게 습득이 어려운 항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권 학습자 간 문맥적 지시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문맥적 지시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 35인과 중국어권 중급 학습자 35인, 고급 학습자 35인을 대상으로 문맥적 지시어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카이 제곱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이 ‘그’를 선호하는 문항에서 한국인과 중국인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습자 숙달도에 따른 지시어 사용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은 ‘그’를 선호하고, 중국인은 ‘이’를 선호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해 주며, 한국어 숙달도가 고급이더라도 문맥적 지시어에 대한 습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지시어의 화시적 기능 외에 문맥적 기능에 대한 명시적인 교수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한자어 학습 오류에 대한 연구

        한지현 ( Ji Hyeon Han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이 글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어권 학습자가 범하는 여러 오류 가운데, 한국한자어로 인한 오류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한자어는 중국어와 자형과 음상이 유사하여 타 언어권 학습자에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의 초기 한국어 학습에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지만, 의외로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오류를 일으키는 한 요인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한자어로 인한 오류는 한국한자어 자체의 특성, 학습자의 인식의 문제, 교수·학습 현장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오류의 양상을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에서의 쓰임새가 다름을 인지하지 못하여 모어에서의 쓰임새를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고, 교수·학습의 현장에서는 두 언어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된 대조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어휘 가운데 기본 한국한자어를 선정한 후, 선정된 어휘를 중국어와의 대조를 통해 의미영역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의 방대한 작업에 기대어 선정한 ‘한국한자어 기본어휘 1,142’는 동형동의어 503개, 동형부분이의어 391개, 동형완전이의어 58개, 중국어사전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 202개이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1,142개의 한자어는 선정대상 어휘인 기본어휘 중 38.97%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자어가 한국어 어휘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것을 볼 때 이는 그야말로 한국어 어휘의 기본한자어라 할 만하다. 또한 두 언어의 의미 영역을 대조하며 살펴보는 가운데 드러난 사전의 아쉬운 점에 대한 짧은 생각을 피력하였다. The study is about the error caused by Sino-Korean Words among errors of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and the Solutions. Sino-Korean Words make it easy for Chinese to learn Korean in the beginning because of similarity of word shape and its sound, but it generates some constant errors even in the advanced stage surprisingly. The error caused by Sino-Korean Words is generated from the trait of Sino-Korean Words itself, Chinese learners`` problem of recognition and the problems of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are mixed. Some Chinese learners fail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of usage of Sino-Korean Words in korea and china, which leads to the over-generalization of Chinese rules to Korean. To overcome the errors, the learners should change their way of thinking and those who teach Korean should make use of materials like a comparative tables to let them know the differences and common points of Sino-Korean Words in the two languages while teaching. For that purpose, this study shows chosen words by categories of meaning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s and common points through the contrast with Chinese, after choosing basic Sino-Korean Words from Korean words. Thanks to 『The Study on Korean Basic Words』, we can have 1,142 basic Sino-Korean Words. There are 503 words that have the same meaning and the same shape, 391 words that have the same shape with partially different meaning, 58 words that are the same shape with entirely different meanings and the rest are the words that are not in list of Chinese dictionary. The 1,142 words that are touched in this study consist 39% of the basic words which are the object of the study. Those 1,142 words can be real basic words because Korean has Sino-Korean Words up to 60%. Above that, this study shows short opinion about the missing points of the dictionaries that were found while contrasting the category of meaning in the two languages.

      • KCI등재후보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절 습득 연구

        전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주격 관계절과 목적격 관계절 중에서 어떤 유형의 관계절을 좀 더 잘 습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관계절에 대한 이해 능력과 산출 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관계절 유형의 습득 위계를 세우고, 나아가 두 관계절의 하위 유형의 습득 위계 또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위계는 ‘주격 관계절 > 목적격 관계절’로 나타났다. 즉, 주격 관계절을 목적격 관계절보다 더욱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관계절의 세부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습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세부유형간의 습득 위계를 세울 수 없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hose objects are the Chinese who acquir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s follows: to identify which one of subjective relative clauses (SU RC) or objective relative clauses (DO RC) they can understand and acquire more easily; to identify whether a acquisition hierarchy can be made among sub-types of relative clauses (RCs) - SS, OS, SO, OO. The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by 36 Chinese who had already finished learning Korean relative clauses through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task and the sentence combination task . I examined their understanding and output abilities of SU RC and DO RC, and checked the acquisition hierarchy between the two RCs. In conclusion, the Korean RC acquisition hierarchy among the Chinese was characterized by SU RC > DO RC. However, the acquisition hierarchy among sub-types of relative clauses could not be set up. The acquisition hierarchy of Korean RCs reveal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acquisition material to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will be helpful to find a more practical RC educational method equipped with effective teaching and acquisition order.

      • KCI등재후보

        중국어권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초급 발음교육을 위한 실험

        이순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두 개의 중국어권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한 집단은 교사의 발음을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직접교수법으로, 다른 집단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등의 음성학적 정보를 제시하고 발음 을 교육하는 청각구두식 방법으로 동일 시간 동안 교육을 하고, 같은 문항으로 “받아쓰기”를 하여, 각 집단의 음소 인지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방법은 단순 반복을 통한 직접교수법이 라는 것을 밝힌다.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an effective method of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who are novices at learning Korea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wo target groups using two different approaches as follows : the Direct Method, which implies solely repeat ing by learners after listening teacher's pronunciation, was applied to the first group. Whereas, the second group was taught using the Audiolingual Method, involving presenting the students with phonetic information, such as places of articulation, manners of articulation and so on, before practical pronunciation teaching. These two groups were taught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and in the course of experiment their phoneme cognition was assessed through a "dictation" with identical questions. As a result, Direct Method through repetition proved to be a more effective way of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Chinese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