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및 차이 분석

        박선호(Park, Sunho),김남정(Kim, Namjung),박환용(Park, Hwany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민간임대주택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공공임대주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이며,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자료는 정부가 가장 최근에 실시한 2019년 ‘주거실태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 있어서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안전·위생상태’요인, ‘방수·난방상태’요인, ‘소음상태’요인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방수·난방’요인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4.549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을 높일 확률이 3.697배, ‘소음상태’요인은 2.19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방수·난방상태’요인의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871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를 높일 확률이 3.587배, ‘소음상태’요인은 1.94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의 경우는 비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주택유형이 변화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이 불만족에서 만족 수준으로 개선될 확률이 1.328배 증가하고, 월소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만족도 수준도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환기의 상태 수준이 ‘불량’에서 ‘양호’로 개선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2.094배가 증가하고, 채광의 경우는 1.460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서 공통적으로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 ‘거주 환경성’요인, ‘주차·보행환경’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요인 구성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공원·녹지 접근성, 교육시설 이용성, 방범, 이웃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높아질 확률이 6.3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은 2.747배, ‘주차·보행환경’요인은 2.007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의 경우는 Exp(B)의 값이 0.998배로서 만족도 수준 변화에 미치는 확률은 매우 적지만 월소득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며, 반대로 소득이 낮아질수록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의 경우는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거주할 경우에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1.684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49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 증가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2.020배 증가하고, ‘주차·보행환경’요인은 1.90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에 있어서 도에서 광역시·특별시로 거주지가 이전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개선될 확률이 1.229배 증가하고, 주택 노후도의 경우는 1.48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놓고 볼 때,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방수, 균열, 난방·단열 등 ‘방수·난방상태’와 관련된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상태가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의 건설·공급 입지와 단지내 위치에 대한 계획적 배려가 요구된다. 의료시설·상업시설·공공기관·문화시설·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수요가 많은 도심 내에서 공공참여형 또는 공공주도형 정비사업 등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을 확보하고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통해 양질의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is growing demand for more emphasis to be placed on the quality of public rental housing rather than only expanding its supply.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extend eligibility for public rental housing for middle income households. Quality of public housing is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we accurately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residents’ level of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ublic rental housing compared with private rental housing. We analyzed the micro data obtained from the 2019 Korean Hous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verall housing facility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water-proofing and heating” followed by, in order of importance, “security and sanitation” and “noise.” Apart from this, satisfaction with private rental housing is influenced by “income,” “types of building,” “ventilation,” and “sun lighting.” In additi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facilities,” “environmental aspects for residents,” and “car-park and pedestrian-friendliness,” in order of importance. Other common variables explaining resi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parks, green area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lthough these factors are comm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for both types of housing, in terms of how strongly each factor influenc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 KCI등재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주택재개발사업의 주거환경 만족도 및 만족요인 비교연구

        임병호(Lim, Byung-Ho),이건호(Lee, Kun-Ho),지남석(Ji, Nam-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와 주택재개발사업지구 내 거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 및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정비사업의 사후평가 차원에서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와 주택재개발사업지구 거주자를 설문조사하여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재개발사업지구내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거주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주택재개발사업은 단지 내부적 요인 그리고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외부적 요인의 개선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내 거주자의 주거환경 종합만족도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연관이 높은 반면, 주택재개발사업지구에서는 경제적 환경이나 근린의식과 연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간 상관관계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정비사업 유형별 거주자들의 주거환경 종합만족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높이는 전략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거환경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공통요인은 경제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로 파악되었다. 경제적 요인 외에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서는 ‘현재 단지에 대한 인식·이미지’ 항목의 만족도가, 주택재개발 사업지구에서는 ‘단지의 청소 및 관리상태’와 ‘단지 주변 치안·방범’ 항목 등의 만족도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정비사업지구 내 거주자 대상의 설문조사에 기초한 실증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정비사업 유형인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와 주택재개발사업지구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또한, 주거환경 종합만족도와 세부항목 간의 만족도 연관관계 및 영향요인에 있어서 정비사업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는 점은 연구를 통해 도출된 중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주거환경 개선전략과 연계한다면 사업유형별로 보다 효과적인 주거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o deduce the factors of dwelling satisfaction in RIPD(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District) and HRPD(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District)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f 120 inhabitants in RIPD and 70 in HRPD to achieve our goals and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l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IPD was higher than that in HRPD. Secondly, the total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IPD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satisfaction. but the financial condi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are more important in HRPD. Lastly, the common factor affecting to the total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the both districts is the financial condition. And the satisfaction of impression about the current district is another main factor influencing to the total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IPD. Meanwhile, the satisfactions of management and cleaning condition and of security and crime prevention are crucial in HRP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actual proof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with residents in the current urban redevelopment districts. The comparison analysis method of the total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n RIPD and HRPD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Also one of the important results from this study is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y urban redevelopment project types. If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viewpoints and methods would be carried out, it will be helpful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 KCI등재

        소득 계층별 주거만족도 분석

        권영수,최완호,송종철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7 부동산경영 Vol.16 No.-

        본 연구는 소득 계층별로 주거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 계층별 주택의 안전성, 주택의 쾌적성, 주택의 내구성은 주택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소득 계층별 주거환경 접근성, 주거환경 쾌적성, 주거환경 안전성도 주거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저소득 계층은 주택 안전성에 매우 취약하며, 주거환경 쾌적성과 주거환경 안전성도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모든 소득 계층에서 주거환경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에, 주택의 쾌적성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에서 주택 내부의 환기와 일조가 방해되지 않는 도시계획이 요구되며, 주거취약 계층이 밀집한 도심지역 내 방범과 보행안전을 강화하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analysi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he income class and the effect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fety, amenity and durability of housing by income level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ccessibility, residential environment comfort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the lowest income group is very vulnerable to housing safety, and the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amenity and stability is somewhat low. Thir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ccessibility is high in all income groups, but the amenity of housing is remarkably decreased. In the above analysis, it is required that urban planning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ventilation and sunshine inside the house is needed, and policy consider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crime prevention and pedestrian safety in the downtown area where dwellers are concentrated.

      • 노인의 주거와 삶의 만족도

        박성복 ( ) 한국행정학회 201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영역들 중 특히 주거 및 주 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해 보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즉,주거 및 주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주관적 만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문제 삼되,주거만족도 및 여타 주거관련 환경요인들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 구조를 갖는가 하는 것을 분석한다.이를 위해 7개로 선정한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들을 독립변수 군에,주거만 족도를 매개변수로,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생활만족도,가족관계만족도,경제생활만족도,근린생활만족도,여가생 활만족도,사회관계만족도,공적보장만족도 등 주거환경 만족도의 일곱 영역 모두는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주거만 족도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나아가 그러한 주거환경 만족도들은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도 밝 혀졌다.따라서 주거환경 만족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과,주거환경 만족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1개 연구가설,그리고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한 주거환경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 모두 채택되었다.

      • KCI등재

        중소도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심재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6 경영컨설팅연구 Vol.6 No.1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평가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택에 대한 선호도는 경제성, 안전성, 쾌적성, 사회성, 환경성, 외부환경, 편의시설, 접근성 등과 같은 다양한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주택보급을 확대할 목적으로 수도권주변에 중소도시들의 급속한 도시화를 지원하고 있으나, 중소도시들은 교통문제, 사회문제, 환경문제, 편의시설이용문제, 주택사후서비스문제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것은 주거만족도의 결정 요인에 대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중소도시의 주택수요자에게 주택의 선호도에 대해 언제나 열등적 위치에 놓이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주변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요인별 및 요인항목별 주거만족도 분석,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주거만족도 차이 분석 등을 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요인항목들은 기존 문헌연구의 요인묶음 내용과 일치하고 있으며, 요인의 항목들은 8개의 요인들로 구분되어 명명되었다. 둘째, 전체적인 주거만족도는 보통이하로 만족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요인별로는 사회성 부문이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불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편의시설 이용부문과 경제성 부문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각 요인항목들에 대한 만족도가 인구통계학적변수와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의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변수는 월소득수준, 성별, 연령, 학력,직업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주택구매결정영향변수에서는 이주동기, 주택규모, 맏자녀나이, 거주기간, 주택소유유형 등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거주기간과 주택소유유형은 일부의 항목에서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가족수, 주택층수, 이주전주택유형 등에서는 집단간 만족도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소도시의 주거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주택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도시 및 주택개발의 입안자는 이와 같은 사항을 심도 있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주거지원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1인가구의 특성 분석

        전세란,김세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1인가구는 가구형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보편적인 가구형태가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중앙정부의 주거지원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1인가구의 특성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인가구 대상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징과 현황을 살펴보고, 통계청에서 실시한 ‘2020년 주거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을 분석하였다. 현재 중앙정부에서 시행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주거자금 지원, 주택공급 지원, 기타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3종류로 유형을 구분하여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주거특성에 따라 향후 1인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안을 유형별로 제시하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의 전반적인 주거지원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는 주택공급 지원, 주거자금 지원, 기타 주거지원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자금지원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1인가구의 요인은 점유형태, 연령, 지역, 주택유형,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공급지원 프로그램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1인가구의 요인은 점유형태, 지역,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내집보유 의식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타 주거지원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1인가구의 요인은 주택유형, 지역, 주택구조,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내집보유 의식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 대비 아파트인 경우에 기타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을수록 기타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한편, 수도권 대비 광역시 등 또는 도지역인 경우, 원룸형이 아닌 경우 대비 원룸형인 경우, 내 집 보유에 대한 생각이 없는 경우 대비 있는 경우에 기타 프로그램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과가 향후 1인가구 주택정책 방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구조 변화와 1인가구의 증가 양상을 반영하여 현행 1인가구 정책의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주거자금지원 프로그램은 현재 청년층 위주의 주거비 지원제도를 저소득 무주택 노년가구로 확대하고, 상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주거자금지원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원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택공급지원 프로그램은 다양한 1인가구의 특성을 세밀히 분석하여 빈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형별 맞춤형 주택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기타 주거지원 프로그램 마련 시 1인가구의 특성을 연령별, 계층별 세분화하여 공급 유형을 다양화하고 임대차 제도의 유연화 방안 등 1인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새로운 운영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1인가구 주거지원 프로그램 실효성 제고 방안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외 주거만족도 연구 동향의 연대별 동시 출현 단어 분석

        한주연,김석경 한국주거학회 202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4 No.3

        This study conducted a co-occurrenc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idential satisfaction research. The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and the KCI-Korean Database, which yielded 1,897 international papers from 1984 to 2022 and 1,094 Korean papers from 1999 to 2022. Using VOS Viewer, a tool for academic text co-occurrenc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lated concepts based on clusters of co- occurring keywords were analyz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scope of international residential satisfaction research has expanded over time, with increasing integration of related theories and concepts. Similarly, the considerations for creating residential spaces have broadened. In contrast, domestic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identifying research questions based on existing theories, rather than exploring new theoretical concepts. Further, themes such as sustainability, green buildings, and community attachment have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continuous redevelopment of apartments and expanding cities. Finally, subsequent to the COVID-19 crisis, an increased number of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explor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a corresponding shift in research attention from crimes to diseases as sources of anxiety and stress in residential settings. 주거만족도 개념이 측정하고자 하는 거주자의 만족 수준은 국가별, 시대별로 다양하게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의 주거 만족도 연구가 가지는 발전 방향성과 시대별, 국내외별 차이를 고찰하고, 이에서 추정되는 향후의 발전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만족도와 유관 개념의 연구 실태를 확인하고, 이들이 시기별로 나타낸 발전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해외 연구와 다르게 나타나는 국내 연구의 특성과, 이러한 차이에서 나타나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현재의 사회상에 큰 영향을 끼친 COVID 사태의 발생 전후로 변화한 주거 만족도 연구의 경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Web of Science를 기반으로 수집한 국외 논문 1,897건과 국내 논문 1,094건을 대상으로, 학술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VOS Viewer를 이용하여 연도별 동시 출현 단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국외 연구의 경우 특히 발전 과정에서 별도로 연구되던 관련 영역이 융합되었고, 결과적으로 주거 만족도를 고려한 공간 구성에서의 고려 대상이 확대되었다. 한편, 국내 연구의 경우 새로운 이론과 개념을 탐구하기보다는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문제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관련 연구 영역의 융합도 적었다. 한편, 재개발 및 재건축 풍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성, 녹색 건축, 지역 공동체에 대한 애착 등의 주제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COVID 사태 이후 주거 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수가 비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주거 환경에서 나타나는 거주자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연구하는 경우 범죄 대신 질병을 지목하는 연구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첫째, 주거 만족도 연구 범위의 확대를 고려할 때, 보다 개인화되고 다양화된 변인을 추적하기 위해 빅데이터 방법론을 도입하는 등 주거 만족도 평가 도구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질병 등의 이유로 실내공간의 의존도가 증가하는 점을 들어, 건축물 자체의 평가 시스템의 변화 방향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주거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실내환경의 향상 방안을 제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동시 출현 단어를 기반으로 주거 만족도 연구를 분석하여 국내외의 시계열적 연구 경향을 비교하고 변화를 추정하여, 추후 주거 만족도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2020년대 초기에 이루어졌고 Web of Science에 디지털화되어 등록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더욱 넓은 시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2020년대의 연구가 보다 진척된 이후에 실시되어 보다 많은 정보를 대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혼합주거형태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임대주택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오정석,이성원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internal and external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ocial relation for resident between rental-only housing complex and tenure mixed housing complex and its types. The types of complexes include; (1)rental-only housing complex,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Statistical techniques were Mann Whitney and Kruskal Wallis analysis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and the non-mixed complex. In addition,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obtained for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followed by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and (1)rental-only housing complex. This suggests that tenure mixed housing is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social exclusion phenomenon and the spatial separation of the residential areas with different income levels. Meanwhile, it seems that public efforts will be need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for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패널자료를 원자료로 혼합단지유형 자료를 추가 활용하여 서울시 혼합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혼합단지와 비혼합단지(전용임대단지)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혼합주택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내부환경 만족도에서는 마감상태는 전용임대단지가, 배리어프리설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만족도에 대해서는 휴게/녹지공간, 주차시설, 장애인/고령자시설 및 방범상태 모두가 혼합주택의 경우가 임대전용단지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대중교통 편의성, 교육환경, 생활편의시설, 공공시설 접근성, 문화시설 접근성 및 의료시설 접근성에서 전용임대단지가 혼합단지의 경우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각각 이웃과의 교류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 이용여부는 임대전용단지가, 이웃에 대한 신뢰와 동거가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혼합단지 분리동과 비혼합단지가 각각 그 다음으로 높았다. 주택 내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 혼합단지 혼합동이 주택성능, 마감상태, 설비상태, 배리어프리 설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주택 외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도 모든 항목이 복합단지 복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비혼합단지, 혼합단지 혼합동 그리고 혼합단지 분리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대중교통편의성은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이웃에 대한 신뢰도는 혼합단지 혼합동, 분리동, 그리고 비혼합단지 순으로 나타나고, 동거가족 관계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이용여부는 혼합단지 분리동, 혼합동 그리고 비혼합단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물리적인 혼합배치를 통하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공공은 지금까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데 있어, 혼합주거형태를 통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향상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주거이동이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기현(Ki-Hyun Kwon),정지은(Ji-Eun Jeong),전명진(Myung-Jin Jun)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2010년 주거실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주거 이동 특성이 현재의 주거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 이사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가장 향상되었으며 단독주택에서 아파트, 혹은 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거주했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는 참조집단 (단독주택- 단독주택)보다 훨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주거 이동은 그들의 주거 만족도 개선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차가에서 차가로의 이주보다 자가에서 자가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가장 향상되었으며 차가에서 자가로 이주한 사람들의 주거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게 향상 되었다. 셋째, 주거지 이동에 따른 주거 만족도를 보면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주거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직장, 교육 등 경제사회적 이유로 수도권으로 이주하지만 주거 이동에 따른 상당한 비용 (주거 만족도 감소)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린환경요소는 모두 주거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변 자연환경과 대기질의 확률 비율 (odds ratio)이 각각 2.6과 2.4로 나타나 이들 요소가 주거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using 'The 2010 Korea Housing Survey' data. We used ordered logit model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sidential mobility. There are several findings worthy to note. First, households who moved from an apartment to a single-family housing have the highest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households who moved within multifamily housing units have the poorest residenti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ow-income people who live in the multifamily housing hardly improve their residential condition through residential mobility, possibly due to the poor housing conditions of multifamily housings. Seco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owner-occupier is higher than that of renters, indicating that owning a house is positively related to housing satisfaction. Third, residents who moved from the non-SMA (Seoul metropolitan area) to the SMA have a reduced residential satisfaction, implying that migration to the SMA is involved with the reduction of housing satisfaction, possibly due to high living cost and poor environmental amenity in the SMA. Lastly, the proxim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igh air qualit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 KCI등재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박성복(Sung Bok Park) 한국정부학회 2011 한국행정논집 Vol.23 No.3

        이 연구는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들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주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가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을 문제 삼는다. 이것을 위해 필자는 주거환경에 대한 7개의 주관적 만족도들로 독립변수로 삼고, 주거 자체의 만족도인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인 7개의 독립변수들은 건강생활만족도, 가족관계만족도, 경제생활만족도, 근린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사회관계만족도, 공적보장만족도 등이다. 이러한 변수들의 관련성들이 구조방정식 경로분석 모형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주거환경에 대한 7개의 주관적 만족도 모두가 주거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만족도 역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주거환경에 대한 7개의 주관적 만족도들이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도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 모두가 경험적인 검증 과정에서 채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 of relationship in which the residence factors of the elderly affect to their life satisfaction. That is, it matters how and in which way the subjective satisfaction to the residence factors affect to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I set up seven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the subjective satisfactions to residential environment, an intermediate variable which is residence satisfa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that is life satisfaction. Seven subjective satisfactions to residential environment are health satisfaction, family-life satisfaction, economic satisfaction, satisfaction to neighborhood facilities, leisure-life satisfaction, social-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to public social safety network. Thos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odel of structural path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all the subjective satisfactions to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the effect both on residen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residence satisfaction also have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urther more, seven subjective satisfactions to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th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variable of residence satisfaction. Therefore, all the hypotheses set up in this study were accepted in the empirical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