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의 관계

        장영숙,황윤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leadership in a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 Subjects were 279 preschool children who were composed of 138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41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leadership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in both the half-day program and the full-day program. In the half-day program, utilization of emotion, relationship with peers,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and empathy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leadership. In the full-day program, utilization of emotion,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and relationship with peers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아 27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8명, 종일제 유아는 141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리더십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리더십 평균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리더십 전체에 대해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또래와의 관계, 자기정서의 인식과 표현, 그리고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가 리더십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 역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

        전일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ir creative characteristics in half-day programs and full-day programs. The subjects included 286 preschool children, composed of 133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53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t-test,Pearson's-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playfulnes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creative characteristics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in both the half-day and full-day programs. In the half-day program, social spontaneity and children's humor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In the full-day program, children's humor and cognitive spontaneity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33명, 종일제 유아는 153명이다.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 놀이성 척도와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의 평균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에 대해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이 창의적 행동 특성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 행동 특성 역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유머감각과 인지적 자발성은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 인식 비교 연구

        김경 ( Kyung Kim ),김정아 ( Jeong Ah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7 영유아교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교사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각 200곳씩 총 400개소에 질문지를 총 400부 배포하여 220부(55%)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저조한 40부를 제외하고 184부(회수대비 83.6%)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 종일제 프로그램 학급 구성에 있어 혼합연령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운영에 있어서도 종일제 프로그램의 오후 활동을 전담하는 교사가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의 경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을 두는 오후 활동으로 두 기관 모두 휴식을 중심으로 한 보육서비스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취학 전 준비교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우선되어야 할 개선 사항으로 어린이집 교사는 장시간 근무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담 또는 보조 교사 확충을, 유치원 교사는 종일제 프로그램을 위한 시설설비의 개선과 확충으로 인식하고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have been carried out to compare between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about full-day program`s management condi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200 child care center and 200 kindergarten in Gwangju,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a researcher. Finally 184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11.0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n the Full-day program`s class consist, kindergarten`s different age group more than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full-day program complete charge teacher more than child care center, too. Second, Full-day program`s afternoon active is care service and teaching for academic skill as 3R`s. Third, The majority of child care center`s teacher wanted to use budget for increase of the complete charge teacher. But, The majority of kindergarten`s teacher wanted to use budget for facilities, equipment for full-day program. This result contribute require budget for develop different age group program and teaching method, increase of the complete charge teacher and facilities, equipment for full-day program.

      • KCI등재

        종일제 프로그램의 편성ㆍ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문미옥(Moon Mi-Ok),조부경(Cho Boo-Kyung),이연승(Lee Yeon-Seung),신은수(Shin Eun-Soo),김영실(Kim Young-Sil),안진경(Ahn Jin-Kyeong),김지영(Kim Ji-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종일제 프로그램의 편성ㆍ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비례 유층표집을 통해 선정된 201명의 유치원 교원과 이들 중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선정된 11명의 교원이다. 연구도구는 설문지와 면담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유치원 교원은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였으며, 교육과정 작성시 참고하는 자료로는 교육부ㆍ지역 교육청ㆍ시중에서 판매하는 자료를 많이 사용하였다. 종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는 교원들의 상당수는 종일제를 위한 교육계획안을 작성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유아의 늦은 하원과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해 종일제 교육계획안을 작성하지 않았다. 종일제 교육계획안 작성시 보육, 심화학습, 특별활동 위주로 종일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종일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으로 교사들은 종일반 전담교사, 운영비 보조, 보조 교사 투입, 종일제 프로그램개발 및 자료 개발, 종일반의 물리적 환경 개선 등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and to present guideline of improvement ways. The subjects for investigation questionnaire were 201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for population and the subjects for interview were 11 teachers who were selected out of 201 subjects by means of the same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preceding studies and documents.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ity of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made a plan for all-day program and consulted current materials and books that wer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ovinces office of education. The majority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didn't make a all-day program's plan didn't feel the necessity of making a plan and didn't make a plan for reasons of children's late homecoming and excessive work load. The majority made a plan for a care program, deepening study and special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requested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ll-day program that is to support administration expenses for full-day kindergarten teachers, investment assistant teachers, develop the full-day programs and materials and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full-day class.

      • KCI등재후보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 행동과 적응 간의 관계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 행동과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아 31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중 반일제 유아는 150명, 종일제 유아는 165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 행동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종일제유아의 문제 행동 및 부적응 행동의 평균이 반일제 유아의 문제 행동 및 부적응 행동 행동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일제 유아의 유치원 적응 평균이 종일제 유아의 유치원 적응 평균보다 높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반일제 유아 행동과 유치원 적응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치원 적응 전체에 대해 유아 행동의 하위변인 중 과잉행동 및 산만과 공격성이 유치원 적응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일제 유아 행동과 유치원 적응 역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 행동의 하위변인 중 과잉행동성 및 산만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 전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behavior and their early school adaptation in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 Subjects were 315 young children, who were composed of 150 half-day program children and 165 full-day program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ull-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behavior than half-day program children. Second, half-day program children showed higher their early school adaptation than full-day program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their early school adaptation in both half-day program and full-day program. In half-day program, aggressive, anxious, and hyperactive behavior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aptation. And, in full-day program, aggressive, anxious, and hyperactive behavior were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aptation.

      • KCI등재

        유치원의 일과 운영 프로그램에서 종일제와 시간연장제 집단간의 사회적 능력 및 정서지능의 차이

        정유정(Jeong yujeong),이연희(Lee yeonhee),김규수(Kim kyus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일과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에 어떤 차이기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치원 일과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종일반 프로그램에 비해 시간연장제 프로그램 유아들이 사회적 능력과 징서지능 점수가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오전부터 독립적으로 편성된 종일제 프로그램이 아닌 연장제반 유아들을 모아서 종일반을 편성 운영하는 종일반 프로그램은 혼합연령집단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더라도 유아의 사회 정서 능력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erenc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 daily management program. The stud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both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time extended program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full-day program. As we can see i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full-day program which is not independently placed in the morning but time extended program does not affect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even though managing as a mixed age group.

      • KCI등재

        유치원의 종일제 프로그램 실태와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김경화(Kim Kyung Hwa) 한국보육학회 2005 한국보육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종일제를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종일반의 교육 운영 현황은 어떠한지, 교육 운영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며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원과 운영자의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종일반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서 종일제를 운영하고 있는 유치원 40곳의 원장들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일반 프로그램 운영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학부모들의 요구에 의해 종일제로 운영하게 되었으며, 교육경비는 부모와 국가가 공동 부담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종일반 담당 교사는 보육과 함께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서는 운영 재정이 지원되지 않아 종일반 원아 학부모의 부담이 커지고 별도의 종일반 교사를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교사의 재교육을 통해 종일반운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종일반 원아를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있어야 한다는 것과 운영자 및 교사의 인식 변화와 함께 시설 설비의 꾸준한 확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status of full-day educare program carried out in kindergartens were examin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gram were suggested. For the study, 40 kindergartens in Seoul were chosen and the statu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with administrators of the kindergarte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Programs were regulated based on the government regulations, parent"s demand and administrator"s management policy. However, imperfect full-day educare programs were unavoidable in almost all kindergarten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full-day program such as operation hour, meals and demand and supply of teachers are also mentio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dify or renovate the existing facilities of kindergartens to accomodate full-day educare program in proper way. In particular, the separate full-day classroom and dining facility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후보

        유치원 종일반 운영에 관한 고찰

        정유정(Jeong Yu-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종일반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원리와 운영 형태를 도출해보고 바람직한 종일반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현행 종일반 운영은 유아의 사회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들을 유념해 프로그램과 운영 형태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종일제 교육과정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기본생활 교육을 강조하고, 유아의 요구와 흥미 및 개별성을 존중하며, 놀이 중심의 교육을 전개하여 자신의 역할 이해 및 정서적 갈등을 해소하고, 즐거움과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해 주도록 구성해야 하는 것으로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종일제 교육과정의 모형은 보육활동만 수행하는 형태, 보육 및 심화활동 형태, 보육과 심화 활동 및 특성화 활동을 모두 수행하는 형태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현장에서 종일반 운영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노력에서 유념해야 할 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principles of construction and administer models. And to review studies of realities and effect administer th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In this paper, we suggest 4 type administer models. These are type of day care, type of day care plus extended activities, type of day care plus special activities, and type of all of them. And to propose the effort of Kindergarten by one-self according to indicator of assessment and revitalization of full-day kindergarten program.

      • KCI등재

        공사립 유치원 종일반 운영의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배지희,이봉선,탁옥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종일제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기술적 접근을 통하여 종일반이 유아들에게 주는 혜택과 종일반 운영상의 어려움에 대해서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의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종일반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면담하였고, 종일반 4곳을 선정하여 참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종일반이 유아들에게 주는 혜택으로는 가정과 같은 분위기 제공, 또래 상호작용 기회의 확대, 실외놀이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한편, 종일반 교사들은 근무 조건, 흔들리는 교사의 정체성, 교육 시설의 부족, 교사의 놀이 계획과 지도의 어려움 등을 종일반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practices of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focusing on the benefits of and barriers to effectiv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Twelve kindergarten teachers of full-day classe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4 full-day kindergarten classes were observed. This inquiry found that the benefits of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include family-lik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extended opportunities for peer interactions, and more time devoted to various kinds of outdoor play. However, teachers also encounter barriers to implementing effectiv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such as difficult working conditions, insecurity regarding their identity as teachers, lack of adequate educational environments, difficulti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ivities for mixed-age groups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